KR101812298B1 - 전복 치패 계수장치 - Google Patents

전복 치패 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298B1
KR101812298B1 KR1020160059737A KR20160059737A KR101812298B1 KR 101812298 B1 KR101812298 B1 KR 101812298B1 KR 1020160059737 A KR1020160059737 A KR 1020160059737A KR 20160059737 A KR20160059737 A KR 20160059737A KR 101812298 B1 KR101812298 B1 KR 101812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support
spatula
guide memb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967A (ko
Inventor
정태선
정인혜
Original Assignee
정태선
정인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선, 정인혜 filed Critical 정태선
Priority to KR102016005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29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65Apparatus for grading or sorting using divergent conveyor bel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8Supports or mountings for load-carriers, e.g. framework, bases, sp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치패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치패(稚貝)를 영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치패의 개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係數)해주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량의 치패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치패를 정렬하여 하강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가이드 홀(112)이 형성된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치패이송부(120)와,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발생기(130)와, 상기 호퍼(110)와 치패이송부(1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대(140)로 구성된 공급부(100);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구동수단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로 구성된 컨베이어부(2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봉(310)과,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감지수단(320)으로 구성된 감지부(3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부에 상기 제2지지대(220)와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정지될 때,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계수카메라(410)가 마련되는 촬영부(400); 상기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그 수신된 영상을 판독하여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기(512)가 마련되는 제어부(5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에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수단(602)이 마련되는 유도부재(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복 치패 계수장치{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
본 발명은 전복 치패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치패(稚貝)를 영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치패의 개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係數)해주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복은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해 온 해산물로서, 영양이 매우 풍부하고 맛이 뛰어나 고급음식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매년 많은 양의 전복이 수요되고 있는데, 연간 천해(淺海)에서 어획되는 양은 450M/T(metric ton)에 이르고 양식 수확하는 양도 80M/T(metric ton)나 되며, 특히 근래에 와서는 양식에 대한 관심이 현저하게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복의 양식은 치패(稚貝)를 양식장에 방류하고 먹이가 되는 미역이나 다시마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데, 양식에 사용될 치패의 공급 시 적정 크기의 치패를 공급수량에 따라 포장해야 하였다.
그러나, 전복의 치패는 전복 새끼의 일종으로 그 크기가 작아 수작업으로 선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500개 또는 1,000개 단위로 포장하기 위한 계수 작업 역시 인력으로 해결하게 되면 노동력의 낭비와 작업 시간의 증가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6612호에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치패를 그 크기에 따라서 선별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선별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선별수단과,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서 상기 선별수단에서 선별된 치패의 개수를 광센서를 이용하여 계수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위 기술은 광센서가 내장된 계수기가 이동됨으로써 파손되거나 변형 또는 색상의 변질 등과 같은 치패의 형상은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2개 이상의 치패가 서로 근접해 있거나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를 1개로 인식하여 계수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정확한 개수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확한 계수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후속 공정(출하 등)에서의 이중 작업을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46612호(2010.05.07.) 한국 등록특허 제10-1232595호(2013.02.06.)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6304호(2003.06.0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복의 치패(稚貝)를 정확하게 계수(係數)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전복의 치패를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치패의 개수를 계수해주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량의 치패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치패를 정렬하여 하강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가이드 홀(112)이 형성된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치패이송부(120)와,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발생기(130)와, 상기 호퍼(110)와 치패이송부(1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대(140)로 구성된 공급부(100);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구동수단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로 구성된 컨베이어부(2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봉(310)과,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감지수단(320)으로 구성된 감지부(3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부에 상기 제2지지대(220)와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정지될 때,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계수카메라(410)가 마련되는 촬영부(400); 상기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그 수신된 영상을 판독하여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기(512)가 마련되는 제어부(5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에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수단(602)이 마련되는 유도부재(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치패이송부(12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간부(122)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하면에는 그물망(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공간부(122) 각 끝단에는 치패가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평면 상 '∧'형상의 가이드부재(1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는 계수카메라(410)가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중첩된 영역에 치패가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치패의 크기에 맞추어 분할하거나 병합하여 하나의 개별적인 크기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진동발생기(130)는 진동파장을 발생시켜 상기 치패를 이송방향으로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30)의 일측에는 제어부(500)와 영상계수처리기(512)를 내장하는 콘트롤박스(510)가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계수된 치패의 개수를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프린터(5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 상부에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일정거리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정렬 바(242)가 하강 또는 승강되는 승·하강 수단(24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지점의 제2지지대(220) 양단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 축(710)과, 상기 각 지지 축(710)의 끝단에 치합되는 회전 축(720)과, 상기 회전 축(72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
Figure 112016046667011-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프레임(730)으로 구성된 회전안내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전면에는 치패의 전체수량, 누적수량, 현재수량, 설정수량 및 컨베이어 이송 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에는 치패가 달라붙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하부에는 한 쌍의 유도구(610)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 중앙에 상기 유도구(610)의 면적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치패가 선택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회동부재(620)와, 상기 회동부재(620)와 회전 축(632)이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수단(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630)은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한 회전 축(632)에 연결되는 에어실린더(634)와, 상기 에어실린더(634)와 연결되는 에어콤프레셔(6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의 개구된 부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방향을 향하도록 상부 외측면이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는 종측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재(6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두 개의 공간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한 공간으로 치패가 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지점의 양단 일측에 수직실린더(66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실린더(660)는 수직실린더 로드(662)를 매개로 상기 유도부재(600)의 양측면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하부에 제2지지대(220)의 프레임을 매개로 왕복실린더(640)가 설치되고, 그 왕복실린더(640)는 치패 유입량에 따라 상기 유도부재(600)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 판(650)이 상기 왕복실린더(640)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 판(650)은 치패가 닿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며, 그 양단은 상방을 향하여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프레임(230)에는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조명등(4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복 치패 계수장치는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전복의 치패(稚貝)를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치패의 개수를 정확하게 계수(係數)함으로써, 노동력의 절감과 작업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촬영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타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승·하강수단이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승·하강수단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사용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회전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는 다량의 치패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치패를 정렬하여 하강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가이드 홀(112)이 형성된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치패이송부(120)와,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발생기(130)와, 상기 호퍼(110)와 치패이송부(1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대(140)로 구성된 공급부(100);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구동수단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로 구성된 컨베이어부(2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봉(310)과,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감지수단(320)으로 구성된 감지부(3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부에 상기 제2지지대(220)와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정지될 때,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계수카메라(410)가 마련되는 촬영부(400); 상기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그 수신된 영상을 판독하여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기(512)가 마련되는 제어부(5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에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수단(602)이 마련되는 유도부재(600);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0)는 다량의 치패를 수용하고 상기 치패를 정렬하여 하강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가이드 홀(112)이 형성된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치패이송부(120)와,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발생기(130)와, 상기 호퍼(110)와 치패이송부(1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대(140)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하부면에는 그물망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된 지점으로 다량의 치패를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된 상기 치패는 상기 그물망과 면 접촉되면서 상기 치패에 묻어있는 물기를 빼줌과 동시에 치패는 어떠한 물체에 닿으면 엉겨붙을려는 성질(전복의 점액질 성분은 끈적하여 달라붙을려는 성질이 있음)을 지님으로 상기 그물망은 치패와 접촉되는 면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다음 지점으로 자연스러운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호퍼(110) 내에 수용된 다량의 치패는 정렬되어 하강 배출시키도록 하는 가이드 홀(112)로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 홀(112)은 횡방향으로 다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관통 형성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와 연결되어진다.
상기 치패이송부(120)는 상기 호퍼(110)에 형성된 가이드 홀(112)을 경유한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치패이송부(120)는 상기 호퍼(110)와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상기 호퍼(110)에서 치패가 정량 공급되어 치패들 간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간부(122)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하면에는 치패 간에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치패와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치패가 매끄러운 이송을 할 수 있도록 그물망(124)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그물망(124)의 하부에는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길이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지지수단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치패이송부(120)는 그 바닥면이 치패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호퍼(1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치패를 다음 지점으로 용이하게 이송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다수의 치패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가상의 같은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그룹들이 후술될 컨베이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치패들이 서로 너무 근접한 상태에서는 정확한 치패의 개수를 계수하기 곤란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치패이송부(120)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되, 다소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다수의 치패이송부(120)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그룹들 또한 같다.
제2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다수로 이루어진 공간부(122)의 각 끝단에는 치패가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평면 상 '∧'형상의 가이드부재(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6)는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는 다수의 치패들이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210) 상에 상기 다수의 치패들이 골고루 분포하게 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는 각각 진동발생기(130)가 설치된다. 상기 진동발생기(130)는 별도의 전력공급원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이 진동은 상기 호퍼(110)로부터 공급된 치패를 치패이송부(120)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진동파장을 생성하여 상기 치패가 일정한 방향, 즉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상기 치패가 정렬되어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호퍼(110) 및 치패이송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110) 및 치패이송부(120)와 제1지지대(140) 간의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50)이 각 모서리마다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탄성스프링(150)은 상기 진동발생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바닥면까지 전달되는 것을 감쇄(減殺)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술한 호퍼(110)를 포함한 공급부(100)의 부분품들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140)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대(140)의 최하부 각 모서리에는 제1캐스터(142)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의 이동을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캐스터(142) 간의 사이에는 다수의 제1수평조절부재(144)가 설치되어 있어서, 지면의 굴곡 등에 따른 상기 공급부(100)의 수평 보정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조절부재(14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140)와 체결하기 전에 너트를 볼트 나사산에 결합시키고 정확하게 수평을 조절한 후 상기 제1지지대(140)의 하단면을 관통하여 솟아나온 부위에 또 다른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1수평조절부재(144)와 제1지지대(140)를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컨베이어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구동수단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치패이송부(120)를 경유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로 이송되는 치패들은 서로 달라붙거나 또는 치패들 간의 간격이 좁아서 후술되어질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제대로 판독(判讀)하기 곤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에 상기 콘트롤박스(510) 또는 제2지지대(220)에 설치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승하강수단(240)이 마련되고, 상기 승하강수단(240)의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정렬 바(24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으로 이송된 치패들은 상기 정렬 바(242)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치패들을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이동시키고, 또한 서로 달라붙거나 근접해 있는 치패들 간의 거리를 멀어지도록 함으로 상기 치패들을 계수카메라(410)로 촬영 시, 촬영 영역 내에 치패들이 그 영역 내에서 짤림 또는 치패가 달라붙어 있을 시 계수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정렬 바(242)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240)은 제어부(50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정렬 바(242)가 하강할 때 상기 제어부(500)는 그 동작을 인지하여 계수카메라(410)에 촬영 명령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촬영 명령을 받은 계수카메라(410)는 촬영 영역 내에 있는 치패들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하강수단(240)은 공압 또는 유압을 발생시켜 작동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실시예로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지점에서 일정 높이 이격된 지점에 회전 축(720)을 중심으로 컨베이어 벨트(210)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안내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안내부(7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지점의 제2지지대(220) 양단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 축(710)과, 상기 각 지지 축(710)의 끝단에 치합(齒合)되는 회전 축(720)과, 상기 회전 축(72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
Figure 112016046667011-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프레임(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안내부(700)는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가 상기 회전프레임(730)과 닿으면서 상기 회전프레임(73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프레임(730)이 회전하면서 일정량의 치패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회전프레임(730)에 의해 밀어진 치패들은 상기 회전프레임(73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길이의 면적만큼의 양이 밀어지게 됨으로써, 촬영 영역 내에 치패가 모두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수카메라(410)로 촬영한 영상에서 중첩되는 영역에 치패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계수를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계수카메라(410)로 촬영 시 중첩되는 영역에 치패가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프레임(730)의 길이와 감지수단(320) 간의 간격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는 상기 공급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인접되게 마련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전단과 후단에는 풀리(212)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 의해 감싸지게 형성되고, 상기 풀리(212)의 일측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14)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는 무한궤도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이송된 치패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회전에 의하여 타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14)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풀리(212)에 동력원을 제공하고, 상기 풀리(212)는 그 동력원을 회전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풀리(212)를 감싸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21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14)는 유압모터 또는 공압모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에는 종횡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돌기(211)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와 면 접촉되는 치패가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하부에는 그 컨베이어 벨트(210)를 지지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양측까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220)의 각각의 가장자리 모서리에는 제2캐스터(222)가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 등의 부분품들이 포함된 컨베이어부(200)의 이동을 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기 제2캐스터(222) 간의 사이에는 제2수평조절부재(224)가 다수 설치되어 있어서, 평탄치 않은 지면 등에서 상기 제2수평조절부재(224)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 및 그와 연결되어진 부분품 등의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수평조절부재(2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220)와 체결하기 전에 너트를 볼트 나사산에 결합시키고, 정확하게 수평을 조절한 후 상기 제2지지대(220)의 하단면을 관통하여 솟아나온 부위에 또 다른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2수평조절부재(224)와 제2지지대(220)를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봉(310)과,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감지수단(32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봉(31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다수 개가 일렬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 결합된다. 상기 수직봉(310)은 최소 1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너비 등을 감안하여 그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봉(310)을 인식하는 감지수단(320)이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와 고정 결합된 수직봉(310)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감지수단(320)에 감지될 때, 감지신호가 촬영부(400) 및 제어부(500)로 전달되어 후속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수단(320)은 리미트 스위치로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부(4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부에 상기 제2지지대(220)와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하여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정지될 때,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계수카메라(410)가 마련된다.
상기 계수카메라(410)는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의 개수를 촬영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고정 결합된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될 경우에만 촬영 명령 신호를 받는다. 이때,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작동은 한시적(일시적)으로 중지된다. 예를 들면, 감지가 되는 시점부터 약 1초간 작동을 중지한 후에 다시 작동을 하고, 상기 컨베이어부(200)가 작동을 멈추는 동안에는 상기 계수카메라(410)가 컨베이어 벨트(210)의 지정된 영역을 제어부(500)로부터 촬영 명령 신호를 받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지시간은 관리자가 외부에서 임의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계수카메라(410)가 촬영하는 지점은 어느 한 지점에 국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게 좋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30)에는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으로 빛을 조사(照射)하도록 조명등(4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등(420)은 조도(照度)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계수카메라(410)가 치패를 촬영 시 주위가 어둡게 되면 촬영된 영상을 판독, 즉 계수를 정확하게 하기 곤란할 수 있음으로 상기 조명등(420)으로 조도를 향상시켜 밝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등(420)은 밝기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LED로 된 조명등을 사용하는게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받아 그 수신된 영상을 판독하여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기(512)가 마련된다.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는 상기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하여 일정 높이에 설치된 계수카메라(410)와 동일하게 콘트롤박스(5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고정 설치된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될 경우,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한시적(일시적)으로 중지되면서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계수카메라(410)가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판독하여 촬영된 영상 내에 존재하는 치패의 개수를 카운팅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박스(510)는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일측에 수동 제어를 가능토록 하는 각종 버튼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내부에는 전술한 계수카메라(410) 및 영상계수처리기(512) 외에 전자제어에 요구되는 각종 부품 등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치패의 정상적인 영상을 저장하고 촬영된 영상과 비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는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된 치패의 크기 및 모양의 이미지와 촬영된 영상을 중첩 또는 비교함으로써 치패의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치패의 크기는 작업자가 임의로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수카메라(410)가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중첩된 영역에 치패가 존재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0)에서 기 설정된 치패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중첩된 영역에서 촬영된 영상의 치패의 크기를 분할하거나 병합하여 하나의 개별적인 크기로 인식하여 계수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전면에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치패의 전체수량, 누적수량, 현재수량, 설정수량 및 컨베이어 이송 속도 등의 정보를 화면 상에 송출해주어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상기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5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계수된 치패의 개수를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프린터(5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린터(530)에서 출력되는 용지는 라벨스티커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치패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계수하여 그 계수된 수량을 상기 라벨스티커로 출력하여 출하될 제품에 바로 부착될 수 있으므로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계수한 치패의 수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퍼(110), 구동모터(214), 유도부재(600), 프린터(530) 및 승하강수단(240)과 상호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에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지되, 상광하협(上廣下挾) 형상의 상부측과 하부측은 한 쌍의 유도구(610)가 형성된다.
상기 유도부재(600)는 컨베이어부(200)의 끝단과 바로 인접한 지점에 구비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측면이 협소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 중앙부에는 상기 유도구(610)의 면적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치패가 선택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회동부재(6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620)는 회전 축(632)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 축(632)은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수단(63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전수단(630)은 이와 연결된 회동부재(620)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면서, 일측 지점은 개방되고 타측 지점은 폐쇄되거나 일측 지점은 폐쇄되고 타측 지점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도구(610)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을 시, 상기 유도구(610)의 타측에는 출하(出荷)될 치패를 담을 수 있는 수납수단(602)을 미리 설치하여 출하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납수단(602)은 어떠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그물망을 사용하는게 좋다.
한편,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수단(630)은 에어실린더(634)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0)에서 계수된 양 만큼의 수량이 상기 수납수단(602)에 담아졌을 때, 상기 에어실린더(634)는 왕복 이동을 하면서, 상기 회동부재(620)가 일측을 폐쇄하고, 타측은 개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계수를 수행하며, 정해진 수량만큼의 양, 예를 들어 500개 단위로 치패를 출하하고자 할 때, 상기 회동부재(620)의 개방되어진 유도구(610)에 500개의 치패가 수납수단(602)에 완전히 담아져서 출하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유도구(610)는 폐쇄하고 타측 유도구(610)를 개방하여 다시 500개의 치패를 수납수단(602)에 완전히 담아서 출하시킬 준비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 및 회동부재(620)는 제어부(500)와 상호 연동되어, 정해진 수량만큼의 치패가 출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2실시예로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어 상기 유도구(610)를 경유한 치패의 양이 사용자가 설정한 수량만큼 더욱 정확하게 수납수단(602)에 담아지도록 상기 유도구(610)의 개구된 부위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판(6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 판(650)은 왕복실린더(640)에 의해 왕복 이동하며, 상기 왕복실린더(640)는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왕복실린더(640)가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판(650)의 표면은 치패가 이탈되지 않도록 울퉁불퉁한 돌기가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 판(650)의 양단에는 상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어, 상기 치패가 가장자리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실린더(634)는 상기 에어콤프레셔(636)에서 발생되는 공압으로 그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 유도부재(600)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컨베이어 벨트(210)와 인접된 지점의 상기 유도부재(600)의 외측면은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는 종측, 즉 가로방향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두 개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600)의 상부 외측면이 굴곡진 이유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상기 유도부재(60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600)의 메커니즘은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지점의 양단 일측에 설치된 수직실린더 로드(662)를 포함하는 수직실린더(660)가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치패가 정해진 수량 만큼의 양이 상기 유도부재(600)의 2개의 공간 중 하나인 제1유도구(670)로 배출되었을 때, 상기 유도부재(600)가 이동되면서 치패가 제2유도구(680)로 배출되게 된다. 이 같은 작동은 상기 유도부재(600)를 지지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지점의 양단 일측에 수직실린더(66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실린더(660)는 수직실린더 로드(662)를 매개로 상기 유도부재(600)의 양측면과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600)와 컨베이어 벨트(21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가 상기 공간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낙하방지부재(69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낙하방지부재(690)는 고무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은 중앙부가 힌지 결합된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양 끝단은 유도부재(600)와 컨베이어부(200)의 제2지지대(220)에 각각 고정 결합되고, 하부 일 끝단은 상기 제2지지대(220)에 고정 결합된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상부 끝단에서 하부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에 다른 수단과 고정 결합되지 않은 부분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힌지 결합 구조의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유도부재(6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전술한 회전수단(630)과 마찬가지로 에어실린더(634)를 연결하여, 상기 에어실린더(634)의 왕복 이동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전복의 치패 개수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계수처리기에서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음으로, 제품 출하 시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노동력의 절감과 동시에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음으로 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 : 계수장치 410 : 계수카메라
100 : 공급부 420 : 조명등
110 : 호퍼 500 : 제어부
112 : 가이드 홀 510 : 콘트롤박스
120 : 치패이송부 512 : 영상계수처리기
122 : 공간부 520 : 디스플레이부
124 : 그물망 530 : 프린터
126 : 가이드부재 600 : 유도부재
130 : 진동발생기 602 : 수납수단
140 : 제1지지대 610 : 유도구
142 : 제1캐스터 620 : 회동부재
144 : 제1수평조절부재 630 : 회전수단
150 : 탄성스프링 632 : 회전 축
200 : 컨베이어부 634 : 에어실린더
210 : 컨베이어 벨트 636 : 에어콤프레셔
211 : 돌기 640 : 왕복실린더
212 : 풀리 650 : 개폐 판
214 : 구동모터 660 : 수직실린더
220 : 제2지지대 662 : 수직실린더 로드
222 : 제2캐스터 664 : 브라켓
224 : 제2수평조절부재 670 : 제1유도구
230 : 지지프레임 680 : 제2유도구
240 : 승·하강수단 690 : 낙하방지부재
242 : 정렬 바 700 : 회전안내부
300 : 감지부 710 : 지지 축
310 : 수직봉 720 : 회전 축
320 : 감지수단 730 : 회전프레임
400 : 촬영부

Claims (15)

  1. 다량의 치패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치패를 정렬하여 하강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가이드 홀(112)이 형성된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치패이송부(120)와,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발생기(130)와, 상기 호퍼(110)와 치패이송부(1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대(140)로 구성된 공급부(100);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구동수단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로 구성된 컨베이어부(2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봉(310)과,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감지수단(320)으로 구성된 감지부(3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부에 상기 제2지지대(220)와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정지될 때,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계수카메라(410)가 마련되는 촬영부(400);
    상기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그 수신된 영상을 판독하여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기(512)가 마련되는 제어부(5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에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수단(602)이 마련되는 유도부재(6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치패이송부(12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간부(122)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하면에는 그물망(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공간부(122) 각 끝단에는 치패가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평면 상 '∧'형상의 가이드부재(1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는 계수카메라(410)가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중첩된 영역에 치패가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치패의 크기에 맞추어 분할하거나 병합하여 하나의 개별적인 크기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기(130)는 진동파장을 발생시켜 상기 치패를 이송방향으로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30)의 일측에는 제어부(500)와 영상계수처리기(512)를 내장하는 콘트롤박스(510)가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계수된 치패의 개수를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프린터(530)가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전면에는 치패의 전체수량, 누적수량, 현재수량, 설정수량 및 컨베이어 이송 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 상부에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일정거리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정렬 바(242)가 하강 또는 승강되는 승·하강 수단(24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지점의 제2지지대(220) 양단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 축(710)과, 상기 각 지지 축(710)의 끝단에 치합되는 회전 축(720)과, 상기 회전 축(72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
    Figure 112016046667011-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프레임(730)으로 구성된 회전안내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에는 치패가 달라붙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하부에는 한 쌍의 유도구(610)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 중앙에 상기 유도구(610)의 면적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치패가 선택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회동부재(620)와, 상기 회동부재(620)와 회전 축(632)이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수단(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630)은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한 회전 축(632)에 연결되는 에어실린더(634)와, 상기 에어실린더(634)와 연결되는 에어콤프레셔(6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의 개구된 부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방향을 향하도록 상부 외측면이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는 종측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재(6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두 개의 공간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한 공간으로 치패가 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지점의 양단 일측에 수직실린더(66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실린더(660)는 수직실린더 로드(662)를 매개로 상기 유도부재(600)의 양측면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하부에 제2지지대(220)의 프레임을 매개로 왕복실린더(640)가 설치되고, 그 왕복실린더(640)는 치패 유입량에 따라 상기 유도부재(600)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 판(650)이 상기 왕복실린더(640)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 판(650)은 치패가 닿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며, 그 양단은 상방을 향하여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30)에는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조명등(4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KR1020160059737A 2016-05-16 2016-05-16 전복 치패 계수장치 KR101812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37A KR101812298B1 (ko) 2016-05-16 2016-05-16 전복 치패 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37A KR101812298B1 (ko) 2016-05-16 2016-05-16 전복 치패 계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67A KR20170128967A (ko) 2017-11-24
KR101812298B1 true KR101812298B1 (ko) 2017-12-26

Family

ID=6081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737A KR101812298B1 (ko) 2016-05-16 2016-05-16 전복 치패 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525A (zh) * 2018-05-24 2018-09-07 福建省欧麦鑫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的金属包装盖转运系统
KR102127507B1 (ko) * 2018-10-17 2020-06-30 주식회사 대경산업기계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CN109775015A (zh) * 2018-10-30 2019-05-21 保定来福汽车照明集团有限公司 一种双尖灯泡包装机
CN109533885A (zh) * 2018-11-15 2019-03-29 吴建德 一种餐厨废油蒸馏残渣输送装置
KR101984812B1 (ko) * 2018-11-16 2019-06-03 박종택 시약 주입 장치
CN109720807B (zh) * 2019-01-03 2023-09-19 浙江东精工量具有限公司 一种水准泡生产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66B1 (ko) * 2010-03-02 2012-01-04 주식회사 서울금속 부품이송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비전검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66B1 (ko) * 2010-03-02 2012-01-04 주식회사 서울금속 부품이송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비전검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67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298B1 (ko) 전복 치패 계수장치
CN210585958U (zh) 霉变玉米识别与分拣的辅助装置
US8967365B2 (en) Component feeder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and displaying components
US8635840B2 (en) Device for detec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composition of bulk material
CN107336991B (zh) 供料设备
KR101278630B1 (ko) 어류의 형태학적 영상처리를 통한 백신 자동 접종방법
KR101983611B1 (ko) 치패 계수장치
CN109352169A (zh) 激光打标检测机
JP2011098255A (ja) 茶葉の異物選別装置
CN207171119U (zh) 一种弹性体自动攻丝设备
JP6006568B2 (ja) 魚の小骨抜き取り機
KR102259879B1 (ko)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KR101773142B1 (ko) 멸치 자동 분리장치
JP2002086075A (ja) 魚体選別装置と活〆装置
SE1351121A1 (sv) Anordning för avlägsnande av ben ur fiskkött
JP4199898B2 (ja) 農産物の供給装置
JP4658703B2 (ja) 個数検査装置及び個数検査方法
KR101593384B1 (ko) 볼트선별장치
JP4471642B2 (ja) 被測定物処理装置
JP2013094764A (ja) 莢果選別装置
KR100590595B1 (ko)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JP3916619B2 (ja) 異色パスタ分別装置
KR101763565B1 (ko) 저품질 마늘 선별 장치
KR101147628B1 (ko) 스트로 불량품 검출 및 정품 투입장치
CN212638042U (zh) 一种鸡蛋分拣包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