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879B1 -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 Google Patents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879B1
KR102259879B1 KR1020190096217A KR20190096217A KR102259879B1 KR 102259879 B1 KR102259879 B1 KR 102259879B1 KR 1020190096217 A KR1020190096217 A KR 1020190096217A KR 20190096217 A KR20190096217 A KR 20190096217A KR 102259879 B1 KR102259879 B1 KR 102259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plaque
sorting
unit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250A (ko
Inventor
정태선
Original Assignee
정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선 filed Critical 정태선
Priority to KR102019009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8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패를 크기별로 분류하여 선별하고, 그 선별된 치패의 수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하며, 그 계수된 치패를 설정된 수량에 맞게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량의 치패들이 수용되어 하부에 투입되도록 형성된 치패투입부(100)와, 상기 치패투입부(100)로부터 투입된 치패들이 공급되게 설치되어 그 공급된 치패들이 낙하하며 설정된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형성된 치패선별유닛(200)과, 상기 치패선별유닛(200)에 진동이 전달되게 설치되어 크기별로 선별된 치패들을 진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진동발생기(300)와, 상기 치패선별유닛(20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계수 대상으로 선별된 치패들을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치패이송부(400)와, 상기 치패이송부(400)를 따라 이송 중인 치패들을 촬영하여 수집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치패를 계수하도록 형성된 치패계수유닛(500)과, 상기 치패이송부(4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낙하된 치패들을 수거하도록 설치된 치패배출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Sorting and carculating device for young abalone}
본 발명은 치패의 선별과 계수를 겸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패를 크기별로 분류하여 선별하고, 그 선별된 치패의 수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하며, 그 계수된 치패를 설정된 수량에 맞게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패(稚貝)는 산란 수정한 다음 일정한 기간 부유생활을 하고 이 성숙 유생기를 지나 저서생활에 들어간지 얼마 안된 어린 연체동물 이매패류의 어린 개체를 말한다.
상기의 치패 중에서도 전복은 영양이 풍부하고 맛이 뛰어나 고급음식의 재료로 많이 사용될 뿐 아니라 한약재로도 사용될 만큼 귀한 재료로 인식되어 1960년대 이후부터 전복 양식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복은 5~6월에 방란과 방정을 하는데 인공수정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하여 수조에서 6개월 정도를 키워 패각 길이가 2~3㎝에 해당하는 아주 작은 크기의 치패를 11월 즈음에 어민에게 분양하게 된다.
이를 위해 기준 크기에 이르지 못한 치패는 물론 치패의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작업을 거치게 되며, 선별 작업을 거친 치패는 설정된 수량으로 계수하여 포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치패 끼리 서로 달라붙게 되어 선별 및 계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가두리 양식의 경우 가두리 한 칸에 4000~5000마리의 치패를 넣어 키우기 때문에, 이처럼 많은 양의 치패를 선별한 상태에서 다시 정확한 수량으로 계수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었을 뿐 아니라, 수작업으로 치패를 분리 및 계수하였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612호와 같은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며, 도 1과 같이 치패들을 선별하는 선별수단과, 선별된 치패들을 계수하는 계수수단(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선별수단(10)은 마취액이 담긴 액조에서 치패들을 마취시킨 후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분리시키기 위한 선별공(23)이 스크린(22)에 형성되고, 계수수단(80)은 이송컨베어(70)와 정렬부(86)를 통해 정렬된 상태로 이송되어 낙하된 치패들을 감지하여 계수하기 위한 광센서(91)가 구비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선별수단(10)을 통해서는 치패들을 선별공(23)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이처럼 크기별로 분류된 치패들을 계수하기 위해서는 각 크기별로 분류된 치패들을 따로 따로 계수수단(80)으로 공급하여 계수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치패의 마취가 풀려 정렬부(86)에 달라붙게 된 경우에는 계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정렬부(86)를 따라 치패가 원활하게 이동시키고자 정렬부(86)의 바닥면에 일정량의 바닷물을 유입시키는 경우에는 광센서(91)가 치패와 함께 낙하되는 바닷물을 치패로 인식하게 되어 정렬부(86)에서 낙하하는 치패의 계수작업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1088호(2018.09.12.공개)로 공개된 치패 계수장치를 통해 선별된 치패들이 정렬되어 이송되는 동안 치패촬영부에서 촬영한 치패들의 영상을 판독하여 영상 내에 존재하는 치패들을 계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치패 계수의 속도 및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상품성이 있는 치패들이라 하더라도 모두 동일한 크기가 아님에 따라, 상품성이 있는 치패들 중에서 작은 크기의 치패를 계수 기준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그보다 큰 치패들은 1개 이상으로 카운트되는 문제가 있었고, 큰 크기의 치패를 계수 기준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그보다 작은 크기의 치패들은 계수하지 못하거나 또는 두 개의 작은 치패들이 서로 부착되어 이송할 때에도 1개로 인식하여 카운트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정확하게 치패를 계수하기 위해서는, 상품성이 있는 치패들을 재차 크기별로 선별하고, 그 이후에 선별된 크기별로 치패들을 이송시켜 계수하는 방법을 택해야 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치패를 계수하게 될 경우에는 각 크기별로 치패를 계수하는 속도 및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겠으나, 전체적으로는 치패 계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전체적인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612호(2010.05.07.공개,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1088호(2018.09.12.공개, 치패 계수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품성 여부에 따라 치패들을 선별하면서 상품성이 있는 계수 대상 치패들은 크기에 따라 둘 이상으로 분류하여 선별하고, 계수 대상 치패들은 분류된 크기별로 서로 다른 영역에서 구분되어 이송되도록 하며, 그 서로 다른 영역에서 크기별로 구분되어 이송되는 치패들을 동시에 촬영하여 기 설정된 크기를 기준으로 계수하도록 함으로써, 계수 대상이 되는 치패들의 크기에 차이가 있더라도 그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정된 수량으로 수거하여 포장 및 출하할 수 있는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치패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데 사용되는 선별스크린을 선별하고자 하는 치패의 크기에 맞게 쉽고 편리하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다량의 치패들이 수용되어 하부에 투입되도록 형성된 치패투입부(100), 상기 치패투입부(100)로부터 투입된 치패들이 공급되게 설치되어 그 공급된 치패들이 낙하하며 설정된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형성된 치패선별유닛(200), 상기 치패선별유닛(200)에 진동이 전달되게 설치되어 크기별로 선별된 치패들을 진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진동발생기(300), 상기 치패선별유닛(20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계수 대상으로 선별된 치패들을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치패이송부(400), 상기 치패이송부(400)를 따라 이송 중인 치패들을 촬영하여 수집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치패를 계수하도록 형성된 치패계수유닛(500), 및 상기 치패이송부(4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낙하된 치패들을 수거하도록 설치된 치패배출부(6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치패선별유닛(200)은, 치패선별프레임(210)에 상기 치패투입부(100)로부터 공급된 치패들을 선별하도록 다수의 선별공(225)이 형성된 선별스크린(221)이 상하로 다층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 층에서 분류된 치패들이 일측으로 이송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크린선별부(220)와, 복수개의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에 설치되어 크기별로 선별된 치패들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구분되어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치패인출안내구(230)와, 상기 치패인출안내구(230)에 의해 인출된 계수 대상 치패들을 크기별로 각기 다른 위치에서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그 공급된 치패들이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되도록 복수개의 정렬판(241)이 구비된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치패계수유닛(500)은, 크기별로 서로 다른 영역을 이송하는 계수 대상 치패들을 동시에 촬영하여, 그 서로 다른 영역에서 촬영된 치패의 크기와 이송 영역별로 사전에 설정된 치패의 크기를 비교하여 계수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패선별유닛(200)은, 상기 치패선별프레임(210)의 양측벽부 내면에 치패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선별부(2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거나, 상기 스크린선별부(22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을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시킨 스크린고정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고정구(250)는, 상기 치패선별프레임(210)의 양측벽부 각각에 최상층 선별스크린(221)의 상면 테두리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스크린가압프레임(251)과, 상기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그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관통시켜 형성된 높이조절홀(252)과, 상기 높이조절홀(252)에 끼워진 상태로 치패선별프레임(21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높이조절안내부재(253)와, 상기 치패선별프레임(210)에 힌지축(255)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을 하방으로 가압해 상기 스크린선별부(220)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스크린가압프레임(251)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해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이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회동식압력조절레버(254)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패인출안내구(230)는, 계수 대상 치패들을 선별하는 둘 이상의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에 인출방향을 서로 달리하도록 설치되어 계수 대상 치패들의 크기별로 상기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의 각기 다른 영역에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계수대상치패안내판(231)과, 상기 계수대상치패안내판(231)이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에 설치되어 계수 제외 대상 치패들과 이물질이 상기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의 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안내되어 배출되도록 형성된 비계수대상인출안내판(232)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는, 상기 치패인출안내구(230)에 의해 둘 이상의 크기로 분류되어 각기 다른 영역으로 인출된 계수 대상 치패들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판(242)과, 상기 스크린선별부(220) 중 둘 이상의 상기 선별스크린(221)에서 인출되어 공급된 계수 대상 치패들을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형성된 치패이송간격조절홀(24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패배출부(600)는, 상기 치패이송부(4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된 치패들이 인출되는 측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안내홀(611)이 형성된 호퍼지지프레임(610)과, 상기 호퍼지지프레임(610)에 지지되어 상기 치패이송부(400)에서 낙하된 치패들을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후로 복수개의 치패배출공간(622)이 형성되도록 구획하는 격벽(621)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치패배출공간(622) 각각에 투입된 치패들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치패배출홀(623)이 형성된 치패배출호퍼(620)와, 상기 호퍼지지프레임(610)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홀(611)에 끼워지는 연결부재(631)를 매개로 상기 치패배출호퍼(620)에 설치되며, 상기 치패배출호퍼(620)를 전후로 이동시켜 복수개의 상기 치패배출공간(622) 중 어느 하나에 치패들이 투입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게 형성된 호퍼위치가변실린더(630)와, 상기 치패배출호퍼(620)의 하부에 배출된 치패들을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치패배출공간(622)에서 배출된 치패들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 각기 구분되어 수거되도록 안내하는 수거방향안내판(641)이 설치되며, 끝단부에는 배출된 치패들을 수거하는 망체(645)의 입구를 벌려 고정시킬 수 있는 망체걸이부재(642)가 설치된 치패수거구(640)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패 선별 및 계수장치는 치패선별유닛에 구비된 복수개의 선별스크린을 통해 계수할 기준보다 큰 크기의 치패들은 크기별로 선별하면서도 계수할 대상에 부합되지 않는 크기의 치패들이나 이물질은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고, 서로 다른 크기의 계수 대상 치패들이 크기별로 각기 다른 영역에서 이송되는 동안 동시에 계수할 수 있음은 물론 정해진 수량대로 용이하게 수거가 가능함에 따라, 다량의 치패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노동력을 절감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별하고자 하는 치패들에 부합하는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된 선별스크린으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치패의 선별 및 계수작업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선별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선별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선별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선별부에 의해 치패들이 크기별로 선별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이송부에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분되어 치패들이 이송되는 것을 보인 상태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이송부에 설치된 치패계수유닛을 보인 상태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별스크린이 치패선별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배출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배출부에 공급된 치패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분되어 망체에 수거되는 것을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 계수 및 선별 장치는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치패투입부(100), 치패선별유닛(200), 진동발생기(300), 치패이송부(400), 치패계수유닛(500) 및 치패배출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의 치패투입부(100)는 다량의 치패들이 수용되어 하부에 투입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치패선별부(200)는 치패투입부(100)로부터 투입된 치패들이 공급되게 설치되어 그 공급된 치패들을 설정된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진동발생기(300)는 치패선별부(200)에 진동이 전달되게 설치되어 크기별로 선별된 치패들을 진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치패이송부(400)는 치패선별부(20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계수 대상으로 선별된 치패들을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것이고, 치패계수유닛(500)은 치패이송부(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치패들을 촬영하여 수집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치패를 계수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치패배출부(600)는 치패이송부(4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낙하된 치패들을 정해진 수량대로 수거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치패선별유닛(200)은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패선별프레임(210), 스크린선별부(220), 치패인출안내구(230),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패선별프레임(210)은 복수개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이용해 내부가 비어있는 장방형의 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이다.
스크린선별부(220)는 치패투입부(100)로부터 공급된 치패들을 선별하기 위해복수개의 선별공(225)이 형성된 선별스크린(221)이 상하로 다층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설치된 것으로, 각 층에서 분류된 치패들이 일측으로 이송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스크린선별부(220)에 설치되는 선별스크린(221)은 각 층마다 선별공(225)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이이다.
이러한 스크린선별부(220)는 치패들이 선별공(225)을 통해 낙하되어 분류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만큼, 선별스크린(221)에 형성된 선별공(225)의 크기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작은 크기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별스크린(221)은 총 3개가 설치되어 4개 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며, 이중 최상층 선별스크린(221a)과 차상층 선별스크린(221b)은 계수 대상이 되는 치패들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차상층 선별스크린(221b)의 하부에 위치한 최하층 선별스크린(221c)은 계수 대상에서 제외되는 크기의 치패들이 선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차하층 선별스크린(221c)의 하부에는 매우 작은 크기의 치패들이나 이물질이 선별되어 놓이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치패인출안내구(230)는 복수개의 선별스크린(221) 각각에 설치되는 것이로,크기별로 선별된 치패들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안내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는 치패인출안내구(230)에 의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인출된 계수 대상 치패들을 공급받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그 공급된 치패들이 크기별로 나뉘어져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되도록 치패들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정렬판(241)이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치패계수유닛(500)은 치패선별유닛(200)이 상기한 구성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크기별로 서로 다른 영역을 이송하는 계수 대상 치패들을 동시에 촬영하여, 그 서로 다른 영역에서 촬영된 치패의 크기와 이송 영역별로 사전에 설정된 치패의 크기를 비교하여 계수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치패투입부(100)에 다량의 치패들이 공급되면, 치패투입부(100)의 일측으로 치패들이 투입되어 치패선별유닛(200)을 이루는 스크린선별부(220)에 공급되며, 스크린선별부(220)에 공급된 치패들은 상하로 다층 구조를 이루는 복수개의 선별스크린(221)을 통해 각 층마다 서로 다른 크기의 치패들이 위치하게 된다.
스크린선별부(220)에서 치패들이 선별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최상층 선별스크린(221a)에 놓인 치패들은 최상층 선별공(225a)보다 큰 크기의 치패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방으로 낙하되어 차상층의 선별스크린(221b)에 놓이게 되고, 이후 차상층 선별스크린(221b)에 놓인 치패들은 차상층 선별공(225b)보다 큰 크기의 치패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방으로 낙하되는 방식을 통해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갈수록 점차 작은 크기의 치패들이 분류되어 놓이게 된다.
이때 각각의 선별스크린(221)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된 치패들은 진동발생기(30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치패이송부(400) 측으로 이송하게 되며, 이송되는 동안에는 각각의 선별스크린(221)에 설치된 치패인출안내구(230)에 의해 크기별로 분류된 치패들이 각기 다른 영역으로 인출된다.
치패인출안내구(230)에 의해 크기별로 나뉘어져 인출되는 치패들 중에서 계수 대상이 되는 치패들은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에 치패들의 크기별로 설정된 영역으로 공급되는데,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에 공급된 치패들은 진동발생기(30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치패이송부(400) 측으로 이송되며, 이송될 때에는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 내에 설치된 정렬판(241)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상태가 된다.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 내에서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된 계수 대상 치패들은 치패이송부(400)에 공급되며, 치패이송부(400)에 공급된 치패들은 도 6과 같이 이송컨베이어(410)의 각기 다른 영역에 선별 기준이 되는 크기별로 구분되어 치패계수유닛(500) 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치패이송부(400)의 하부에는 낙하된 치패들이 유동되거나 서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송컨베이어(410) 측으로 마취액을 분사하는 마취액분사노즐(420)이 설치되고, 치패계수유닛(500)을 거쳐 이송된 치패들이 치패배출부(600)에 공급되는 측에는 마취된 상태의 치패들에 물을 분사하여 마취에서 깨어난 정상 상태가 되도록 물을 문사하는 물분사노즐(4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컨베이어(410)는 첨부한 도면과 같이 계수 대상 치패들이 공급되는 높이보다 계수를 마친 치패들이 치패배출부(600)에 인출되는 높이를 높게 형성시킨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스크린선별부(220)가 복수개의 선별스크린(221)이 상하로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이어서 치패선별유닛(200)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즉, 이송컨베이어(410)는 치패들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치패선별유닛(200)의 설치 높이를 낮춰 치패투입부(100)를 통해 용이하게 치패를 투입할 수 있고, 치패이송부(400)를 통해 계수 대상 치패들을 원활하게 이송시킴은 물론 마취액분사노즐(420) 및 물분사노즐(430)과 같은 구성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계수 대상 치패들을 계수한 이후에 치패배출부(600)를 통해 인출되는 치패들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이송컨베이어(410)를 통해 서로 다른 크기로 선별된 계수 대상 치패들이 각기 다른 영역으로 구분되어 치패배출부(600) 측으로 이송되는 동안에는 치패계수유닛(500)이 서로 다른 크기의 계수 대상 치패를 동시에 계수하게 된다.
이러한 치패계수유닛(500)은 도 7과 같이 상기 치패이송부(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각기 다른 영역으로 이송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계수 대상 치패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된 영상촬영부(510)와, 영상촬영부(5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그 수신된 영상을 사전에 입력된 치패의 크기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부(520)와, 영상촬영부(510) 및 영상계수처리부(520)의 동작을 기 설정된 입력값으로 제어하면서 영상계수처리부(520)를 통해 계수된 수량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531)이 구비된 제어부(530)로 구성된다.
이처럼 영상촬영부(510)가 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 각기 다른 영역으로 이송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계수 대상 치패들을 설정된 구간에서 동시에 촬영하게 되면, 영상계수처리부(520)에서는 사전에 입력된 이송컨베이어(410)의 구간별로 이송되는 치패들의 크기 정보를 판독하여 치패를 계수하게 됨에 따라, 계수 대상이 되는 치패들이 크기별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영역을 이송하더라도, 각 영역을 이동하는 치패들을 정확한 수량으로 계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제어부(530)는 영상촬영부(510) 및 영상계수처리부(520)는 물론이고 진동발생기(300)의 진동 세기, 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 치패들이 이송되는 속도, 마취액분사노즐(420)에서 마취액이 분사되는 양, 물분사노즐(430)에서 물이 분사되는 양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 선별 및 계수장치가 하나의 제어부(530)를 통해 통합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영상계수처리부(520)와 디스플레이창이 구비된 제어부(530)는 도시된 도면과 같이 영상촬영부(510)와 함께 별도의 박스 내부에 함께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치패이송부(400)의 일측에 이격되어 별도의 지지프레임 등의 지지부재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치패계수유닛(500)에 의해 설정된 수량으로 계수된 치패들은 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 계속 이송되어 치패배출부(600)에 공급되며, 치패배출부(600)에서는 치패계수유닛(500)에서 카운트 된 정보를 바탕으로 수량에 따라 대로 치패를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패 계수 및 선별 장치는 치패투입부(100)에 공급한 치패들을 크기별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고, 그 선별된 치패들 중에서 계수 대상이 되는 치패들은 서로 다른 층의 선별스크린(221)에 의해 다시 한번 크기별로 구분되어 각기 다른 영역으로 구분되어 이송되며, 각기 다른 영역으로 구분되어 이송되는 동안에는 치패계수유닛(500)이 서로 다른 크기의 계수 대상 치패들을 동시에 계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치패의 선별작업과 계수작업을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패를 크기별로 정확하게 선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고, 계수할 대상이 치패들의 크기에 차이가 나더라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치패선별유닛(200)은 도 8a 및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패선별프레임(210)의 양측벽부 각각의 내면에 치패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고정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고정구(250)는 스크린선별부(2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스크린선별부(22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여 복수개의 선별스크린(221) 각각을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를 통해 스크린고정구(250)를 통해 스크린선별부(220)에 가해진 압력을 해지시킨 후, 선별하고자 하는 치패들의 크기에 따라 그에 부합하는 크기의 선별공(225)이 형성된 선별스크린(221)으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치패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스크린고정구(250)는 스크린가압프레임(251), 높이조절홀(252), 높이조절안내부재(253), 회동식압력조절레버(2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은 치패선별프레임(210)의 양측벽부 각각에 최상층 선별스크린(221)의 상면 테두리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높이조절홀(252)은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그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관통시켜 형성된 것이다.
높이조절안내부재(253)는 높이조절홀(252)에 끼워진 상태로 치패선별프레임(21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회동식압력조절레버(254)는 치패선별프레임(210)에 힌지축(255)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손잡이부(256)를 이용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을 하방으로 가압해 스크린선별부(220)를 이루는 복수개의 선별스크린(221)이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시키거나, 또는 스크린가압프레임(251)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해 선별스크린(221) 각각이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처럼 스크린고정구(250)가 상기와 같은 세부 구성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이 선별스크린(221)을 인출 또는 삽입하는 동안에도 치패선별프레임(21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계수 대상 치패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스크린(221a,221b)을 선별하고자 하는 치패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높이조절홀(252) 및 높이조절안내부재(253)에 의해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이 스크린선별부(220)를 가압하는 높이가 상하로 조절됨에 따라, 선별스크린(221)의 제작 높이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선별부(220)에 압력을 가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회동식압력조절레버(254)는 편심되게 회동되도록 설치된 것임에 따라, 손잡이부(256)를 이용해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회동식압력조절레버(254)를 회동시켜 스크린선별부(2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스크린선별부(220)에 가해진 압력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치패인출안내구(230)는 계수대상치패안내판(231)과 비계수대상인출안내판(232)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계수대상치패안내판(231)은 계수 대상 치패들을 선별하는 둘 이상의 선별스크린(221) 각각에 인출방향을 서로 달리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계수 대상 치패들의 크기별로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의 각기 다른 영역에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의 비계수대상인출안내판(232)은 계수대상치패안내판(231)이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계수 제외 대상 치패들과 이물질이 상기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의 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안내되어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처럼 치패인출안내구(230)를 계수대상치패안내판(231)과 비계수대상인출안내판(232)로 구비함으로써, 계수할 대상이 되는 치패들은 크기별로 서로 다른 영역에서 인출되도록 구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수할 대상이 되는 치패들과 상품성이 없어 계수에서 제외시켜야 할 치패들 그리고 이물질을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인출시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치패를 선별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의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는 스크린선별부(220)에서 인출된 계수 대상 치패들을 일렬로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판(241) 외에도, 구획판(242) 및 치패이송간격조절홀(243)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의 구획판(242)은 서로 다른 크기의 계수 대상 치패들이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 내에서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의 계수 대상 치패들이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 내에 각기 다른 영역으로 인출될 때는 물론이고,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 내에 공급된 이후에도 크기별로 할당된 영역을 통해 치패이송부(400)에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구획판(242)은 정렬판(241)과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기 다른 영역으로 인출된 서로 다른 크기의 계수 대상 치패들이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의 특정 영역에 집중되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치패이송간격조절홀(243)은 계수 대상 치패들이 둘 이상의 선별스크린(221)을 통해 크기별로 선별되어 인출되어 공급될 때, 치패들에 묻어있는 해수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치패이송간격조절홀(243)에 부딪히며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치패들이 차례대로 이송되게 유도하고, 치패들이 일렬로 정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치패이송간격조절홀(243)은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선별부(220)에서 공급되는 측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에 전체적으로 형성시킬 경우 치패의 이송 속도가 느려져 치패의 선별 및 계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치패간격조절홀(243)를 통해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의 길이를 줄여 치폐 선별 및 계수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치패의 선별 및 계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끝으로 상기의 치패배출부(6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지지프레임(610), 지패배출호퍼(620), 호퍼위치가변실린더(630) 및 치패수거구(640)로 구성될 수 있다.
호퍼지지프레임(610)은 치패이송부(4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된 치패들이 인출되는 측의 하부에 설치되며, 양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안내홀(611)이 형성된 것이다.
치패배출호퍼(620)는 호퍼지지프레임(610)에 지지되어 치패이송부(400)에서 낙하된 치패들을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후로 복수개의 치패배출공간(622)이 형성되도록 구획하는 격벽(621)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치패배출공간(622) 각각에 투입된 치패들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치패배출홀(623)이 형성된 것이다.
호퍼위치가변실린더(630)는 호퍼지지프레임(610)의 양측에 설치되고, 일측 끝단부는 슬라이딩안내홀(611)에 끼워지는 연결부재(631)를 매개로 상기 치패배출호퍼(620)에 설치되며, 치패배출호퍼(620)를 전후로 이동시켜 복수개의 치패배출공간(622) 중 어느 하나에 치패들이 투입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게 형성된 것이다.
치패수거구(640)는 치패배출호퍼(620)의 하부에 배출된 치패들을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치패배출공간(622)에서 배출된 치패들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 각기 구분되어 수거되도록 안내하는 수거방향안내판(641)이 설치되며, 끝단부에는 배출된 치패들을 수거하는 망체(645)의 입구를 벌려 고정시킬 수 있는 망체걸이부재(642)가 설치된 것이다.
이를 통해 도 10a 및 10b와 같이 치패이송부(400)에서 치패들이 인출되면 치패배출호퍼(620)에 마련된 복수개의 치패배출공간(622) 중 어느 하나의 치패배출공간(622a)을 통해 치패를 공급받게 되면, 그 어느 하나의 치패배출공간(622a) 하부에 형성된 치패배출홀(623a)을 통해 수거방향안내판(641)에 의해 구분된 치패수거구(640)의 일측으로 치패들이 배출된다.
또한 치패계수유닛(500)에서 설정된 수량이 계수되면, 호퍼위치가변실린더(630)는 상기한 제어부(530)에 의해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도록 제어되고, 호퍼위치가변실린더(63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치패배출호퍼(620)의 위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절되어 다른 하나의 치패배출공간(622b)에 치패이송부(400)에서 인출된 치패들이 공급되며, 그 다른 하나의 치패배출공간(622b)으로 공급된 치패들은 다른 하나의 치패배출공간(622b) 하부에 형성된 치패배출홀(623b)을 통해 치패수거구(640)의 타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치패수거구(640)의 양측 끝단부에는 망체걸이부재(64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각각의 망체걸이부재(642)에는 망체(645)가 벌려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치패수거구(64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배출된 치패들은 수거방향안내판(641)에 의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망체(645)에 설정된 수량의 치패가 수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의 치패배출부(600)는 치패계수유닛(500)에서 계수된 수량에 따라 호퍼위치가변실린더(630)의 길이가 가변되고, 호퍼위치가변실린더(630)의 길이기 가변됨에 따라 치패배출호퍼(620)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하여 복수개로 이루어진 치패배출공간(622)에 치패가 공급되는 위치가 달라지며, 서로 다른 치패배출공간(622)에 공급된 치패는 치패수거구(640)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곧바로 망체(645)에 수거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치패계수유닛(500)에서 계수된 치패를 설정된 수량대로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어느 하나의 치패배출공간(622a)으로 배출되는 치패가 망체(645)에 수거되는 동안에는 다른 하나의 치패공간(622b)으로 배출되는 치패를 수거하기 위한 망체(645)를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잇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패 선별 및 계수장치는 치패선별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선별스크린을 통해 계수할 기준보다 큰 크기의 치패들은 크기별로 선별하면서도 계수할 대상에 부합되지 않는 크기의 치패들이나 이물질은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고, 서로 다른 크기의 계수 대상 치패들이 크기별로 각기 다른 영역에서 이송되는 동안 동시에 계수할 수 있음은 물론 정해진 수량대로 용이하게 수거가 가능함에 따라, 다량의 치패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노동력을 절감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별하고자 하는 치패들에 부합하는 크기의 선별공이 형성된 선별스크린으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치패의 선별 및 계수작업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치패투입부
200 : 치패선별유닛 210 : 치패선별프레임
220 : 스크린선별부 221 : 선별스크린
225 : 선별공 230 : 치패인출안내구
231 : 계수대상치패안내판 232 : 비계수대상인출안내판
240 : 계수대상치패이송구 241 : 정렬판
242 : 구획판 243 : 치패이송간격조절홀
250 : 스크린고정구 251 : 스크린가압프레임
252 : 높이조절홀 253 : 높이조절안내부재
254 : 회동식압력조절레버 255 : 힌지축
300 : 진동발생기
400 : 치패이송부 410 : 이송컨베이어
420 : 마취액분사노즐 430 : 물분사노즐
500 : 치패계수유닛 510 : 영상촬영부
520 : 영상계수처리부 530 : 제어부
531 : 디스플레이창
600 : 치패배출부 610 : 호퍼지지프레임
611 : 슬라이딩안내홀 620 : 치패배출호퍼
621 : 격벽 622 : 치패배출공간
623 : 치패배출홀 630 : 호퍼위치가변실린더
631 : 연결부재 640 : 치패수거구
641 : 수거방향안내판 642 : 망체걸이부재
645 : 망체

Claims (6)

  1. 다량의 치패들이 수용되어 하부에 투입되도록 형성된 치패투입부(100);
    상기 치패투입부(100)로부터 투입된 치패들이 공급되게 설치되어 그 공급된 치패들이 낙하하며 설정된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형성된 치패선별유닛(200);
    상기 치패선별유닛(200)에 진동이 전달되게 설치되어 크기별로 선별된 치패들을 진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진동발생기(300);
    상기 치패선별유닛(20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계수 대상으로 선별된 치패들을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치패이송부(400);
    상기 치패이송부(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치패들을 촬영하여 수집된 영상정보를 영상계수처리부(520)로 전달하는 영상촬영부(510)와, 영상촬영부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부(520)를 포함하는 치패계수유닛(500);
    상기 치패이송부(4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낙하된 치패들을 수거하도록 설치된 치패배출부(600);로 구성되며,
    상기 치패선별유닛(200)은,
    치패선별프레임(210)에 상기 치패투입부(100)로부터 공급된 치패들을 선별하도록 다수의 선별공(225)이 형성된 선별스크린(221)이 상하로 다층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각 층에서 분류된 치패들이 일측으로 이송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크린선별부(220)와,
    복수개의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에 설치되어 크기별로 선별된 치패들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구분되어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치패인출안내구(230)와,
    상기 치패인출안내구(230)에 의해 인출된 계수 대상 치패들을 크기별로 각기 다른 위치에서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그 공급된 치패들이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되도록 복수개의 정렬판(241)이 구비된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치패계수유닛(500)은, 크기별로 서로 다른 영역을 이송하는 계수 대상 치패들을 동시에 촬영하여, 그 서로 다른 영역에서 촬영된 치패의 크기와 이송 영역별로 사전에 설정된 치패의 크기를 비교하여 계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패선별유닛(200)은,
    상기 치패선별프레임(210)의 양측벽부 내면에 치패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선별부(2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거나, 상기 스크린선별부(22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을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시킨 스크린고정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고정구(250)는,
    상기 치패선별프레임(210)의 양측벽부 각각에 최상층 선별스크린(221)의 상면 테두리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스크린가압프레임(251)과,
    상기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그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관통시켜 형성된 높이조절홀(252)과,
    상기 높이조절홀(252)에 끼워진 상태로 치패선별프레임(21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높이조절안내부재(253)와,
    상기 치패선별프레임(210)에 힌지축(255)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가압프레임(251)을 하방으로 가압해 상기 스크린선별부(220)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스크린가압프레임(251)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해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이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회동식압력조절레버(2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패인출안내구(230)는,
    계수 대상 치패들을 선별하는 둘 이상의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에 인출방향을 서로 달리하도록 설치되어 계수 대상 치패들의 크기별로 상기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의 각기 다른 영역에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계수대상치패안내판(231)과,
    상기 계수대상치패안내판(231)이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선별스크린(221) 각각에 설치되어 계수 제외 대상 치패들과 이물질이 상기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의 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안내되어 배출되도록 형성된 비계수대상인출안내판(2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대상치패이송구(240)는,
    상기 치패인출안내구(230)에 의해 둘 이상의 크기로 분류되어 각기 다른 영역으로 인출된 계수 대상 치패들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판(242)과,
    상기 스크린선별부(220) 중 둘 이상의 상기 선별스크린(221)에서 인출되어 공급된 계수 대상 치패들을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형성된 치패이송간격조절홀(24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패배출부(600)는,
    상기 치패이송부(4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된 치패들이 인출되는 측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안내홀(611)이 형성된 호퍼지지프레임(610)과,
    상기 호퍼지지프레임(610)에 지지되어 상기 치패이송부(400)에서 낙하된 치패들을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후로 복수개의 치패배출공간(622)이 형성되도록 구획하는 격벽(621)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치패배출공간(622) 각각에 투입된 치패들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치패배출홀(623)이 형성된 치패배출호퍼(620)와,
    상기 호퍼지지프레임(610)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홀(611)에 끼워지는 연결부재(631)를 매개로 상기 치패배출호퍼(620)에 설치되며, 상기 치패배출호퍼(620)를 전후로 이동시켜 복수개의 상기 치패배출공간(622) 중 어느 하나에 치패들이 투입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게 형성된 호퍼위치가변실린더(630)와,
    상기 치패배출호퍼(620)의 하부에 배출된 치패들을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치패배출공간(622)에서 배출된 치패들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 각기 구분되어 수거되도록 안내하는 수거방향안내판(641)이 설치되며, 끝단부에는 배출된 치패들을 수거하는 망체(645)의 입구를 벌려 고정시킬 수 있는 망체걸이부재(642)가 설치된 치패수거구(6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KR1020190096217A 2019-08-07 2019-08-07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KR102259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17A KR102259879B1 (ko) 2019-08-07 2019-08-07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17A KR102259879B1 (ko) 2019-08-07 2019-08-07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250A KR20210017250A (ko) 2021-02-17
KR102259879B1 true KR102259879B1 (ko) 2021-06-01

Family

ID=7473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217A KR102259879B1 (ko) 2019-08-07 2019-08-07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3273A (zh) * 2021-05-18 2021-09-03 李忠新 一种核桃仁分级精选加工生产线及方法
CN113789217B (zh) * 2021-11-16 2022-01-25 江西农业大学 一种基于油茶果干燥爆蒲的蒲籽混合物智能分离设备
CN114405871B (zh) * 2022-01-04 2023-07-28 湖北工业大学 一种油茶籽自动分选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416B1 (ko) 2017-03-06 2018-04-02 박동수 패류 선별기
KR101891654B1 (ko) 2017-02-21 2018-08-24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치패 계수장치
KR101983611B1 (ko) 2017-03-03 2019-05-29 정태선 치패 계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376B1 (ko) 2008-10-27 2011-12-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KR101625579B1 (ko) * 2014-11-03 2016-05-30 임형용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654B1 (ko) 2017-02-21 2018-08-24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치패 계수장치
KR101983611B1 (ko) 2017-03-03 2019-05-29 정태선 치패 계수장치
KR101844416B1 (ko) 2017-03-06 2018-04-02 박동수 패류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250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879B1 (ko)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DE102009017211B3 (de) Vorrichtung zur Rücknahme von Leergut, insbesondere Kunststoffflaschen und Metalldosen
CN105478365B (zh) 一种鱼豆腐自动分拣设备
KR101812298B1 (ko) 전복 치패 계수장치
EP2401906A1 (de) Vorrichtung zur Erfassung und Bestimmung der Zusammensetzung von Schüttgut
CN106830717A (zh) 一种用于蚕养殖的干燥石灰粉一体化加工设备
KR101891654B1 (ko) 치패 계수장치
KR20200089983A (ko) 전복치패 크기 선별기
KR101810570B1 (ko)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CN106097562A (zh) 一种智能化钱币分拣装置
KR101381473B1 (ko) 콩 탈곡장치
CN206916006U (zh) 一种用于蚕养殖的干燥石灰粉一体化加工设备
KR20180101088A (ko) 치패 계수장치
KR100330319B1 (ko) 어류 자동선별장치
EP2140758A3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mixing feed for livestock
CN116891095A (zh) 颗粒状农作物逐粒有序排列装置
CN105139068A (zh) 一种基于图像的自动宝石计数装置
KR101836814B1 (ko)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DE19511948A1 (de)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kleinen Gegenständen
CN113396839B (zh) 一种疫苗下种前鸡蛋分拣设备
CN102228304B (zh) 一种签子机构
TWM623910U (zh) 具有紫外光檢測功能之咖啡豆檢測機
CN101773277B (zh) 自动搭配摆放穿串物料方法及装置与穿制机构和签子机构
KR20210022967A (ko) 치패 자동 계수 장치
CN212975926U (zh) 一种用于色选机的均匀下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