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319B1 - 어류 자동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어류 자동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319B1
KR100330319B1 KR1020000012641A KR20000012641A KR100330319B1 KR 100330319 B1 KR100330319 B1 KR 100330319B1 KR 1020000012641 A KR1020000012641 A KR 1020000012641A KR 20000012641 A KR20000012641 A KR 20000012641A KR 100330319 B1 KR100330319 B1 KR 10033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orting
discharged
sorted
sc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200A (ko
Inventor
허남인
Original Assignee
주환용
주식회사 네가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환용, 주식회사 네가트론 filed Critical 주환용
Priority to KR102000001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31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2Arranging fish, e.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ead and ta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류의 치수(중량)를 외상없이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게 하는 어류 자동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회전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봉이 양측에 가로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두개의 회전롤러 사이에 어류의 선별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선별간격 조절구가 내설되며, 상기 회전롤러 및 롤러지지봉을 내측으로 스크린하여 외상없이 어류의 이송 및 선별을 가능하게 하는 어류선별스크린이 설치된 어류선별기가 복수개 내설된 어류선별박스와, 선별된 어류를 배출시키기 위한 어류배출슈트, 배출되는 어류를 한곳으로 집합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어류배출구를 구비하여 공급된 선별어류가 수류를 따라 슬립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어류선별수단, 어류투입호퍼, 어류선별수단을 지지하면서 상하요동케 하는 어류선별수단 지지 및 상하요동수단, 방출되는 물을 집수하고 최소어군을 배출하게 하는 집수 및 최소어군배출조, 및 집수순환펌프와 순환급수배관을 구비한 집수순환 및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어류 자동선별장치{Automatic equipment for sorting of fishes}
본 발명은 어류 자동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아 있는 양식어들의 치수(중량)를 외상없이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게 하는 어류 자동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식장 등에 있어서, 양식어류를 사육하는 동안에 수차례 실행되고 있는 양식어의 대소의 선별작업은 대부분 선별자가 하나씩 육안으로 확인하는 수작업, 또는 반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작업 또는 반수작업으로는 방대한 량의양식어를 선별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선별자의 선별능력 차이에 따른 선별의 정확도가 미비할 뿐아니라, 피선별 어류에 외상을 입히는 페단이 있는 등, 선별작업이 비능률적일 뿐아니라 선별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등으로 인해 양식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 여러가지 형태의 어류선별기가 제공된 바 있으며, 현재 양식장에서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어류선별장치로는 일본공개특허공고 소56-89884호에 도시되어 있는 바의 도 1과 같은 형태와 유사한 수작업 위주의 어류선별기가 있으며, 일본특허 소50-39037, 소62-19231, 평5-70512, 평3-15181, 평3-3144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은 회전롤러의 간격을 이용하는 어류선별장치를 볼 수 있다. 또한, 양식업자에게는 성장된 활어류의 선명도를 유지시킨 상태로 수요처에 공급할 목적으로 일정한 크기나 중량으로 선별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활어류에 대한 적절한 선별장치로서 독일특허 제3110024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독일특허 제3110024호에 의하면, V자형의 벨트가 복수로 구동되어 소위 활어류가 이동하는 홈통을 구성하게 되며, 선별기에 투입되는 어류이서 V홈의 간격(폭)보다 작은(가는) 활어는 낙하되고, V홈의 간격(폭)보다 큰(굵은) 활어는 V자 홈에 걸리게 되어 활어의 크기를 선별하는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 1992-40840호에서는 상기 독일특허에서 구성되어 있는 V자형의 벨트가 회전됨으로 인해서 활어류에 외상이 생기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따라서 종래에 알려진 활어선별장치로서는 원하는 바의 바람직한 활어의 선별이 불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한 바의 공고내용과 유사한 선별장치의 원리로 보여지는 것으로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97-32403호가 있으며, 여기에서는 어류를 컨베이어 등의 이송수단을 통과시키면서 어류의 두께에 따라 순차적으로 얇은 것부터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선별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어류 선별작업을 기구적으로 행함으로써 선별작업 능률을 극대화하고 인력절감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의 목적은 어획된 활어의 선별에 있어서 그 선명도 유지에 적합한 선별장치인 것으로, 성장을 계속하는 양식어의 선별작업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 실예로 상기 공개된 한국특허공개 제97-32340호에 개시된 어류선별기를 실제 제작하여 살아있는 넙치로 하여금 시험가동하여 본 결과, 그 공개내용에 설명하고 있는 바의 정확한 어류의 선별은 고사하고, 어류선별기를 통과한 활어류가 수많은 외상을 입어 활어가 수일내에 폐사한 사례가 있는 바, 이런 종류의 컨베이어를 이용한 어류선별기로는 활어를 신선한 상태로 선별하기가 불가능한 것으로 사료되며, 그 선별의 정확도 미비는 물론 피선별어류에 외상을 입히는 치명적인 폐단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양식업자에 의해 성장중의 어류를 사육기간중 수차례 실시하고 있는 대소 어류의 선별작업에 있어서, 비능률적인 수작업으로 인해 막대한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고 있는 현재의 방식으로는 고밀도 사육으로 인한 사육조에서의 대량 선별에 곤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며, 날로 심각해지는 인력난과 이러한 어류의 선별작업으로 인해 활어류에 외상을 주지않는 절대적으로 안정된 기능이 보장되는 고능률적인 어류 선별장치가 양식업자에게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어류선별기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살아 있는 어류의 치수(중량)를 외상없이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게 하는 어류 자동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장치는, 두개의 회전롤러를 롤러지지로더를 통해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봉이 양측에 가로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두개의 회전롤러 사이에 어류의 선별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선별간격 조절구가 내설되며, 상기 회전롤러 및 롤러지지봉을 내측으로 스크린하여 외상없이 어류의 이송 및 선별을 가능하게 하는 어류선별스크린이 설치된 어류선별기가 복수개 내설된 어류선별박스와, 상기 어류선별박스의 일단에 연설되어 선별된 어류를 배출시키기 위한 어류배출슈트, 및 상기 어류배출슈트의 일단에 연설되고 배출되는 어류를 한곳으로 집합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어류배출구를 구비하여 공급된 선별어류가 수류를 따라 슬립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어류선별수단,
여러종류의 치수를 갖는 선별어류를 투입하기 위해 최상부에 설치되는 어류선별수단의 일단에 설치되고, 선별어류를 직립시킴과 동시에 상기 어류선별스크린에 선별어류를 안착시키기 위해 내측에 상기 선별스크린 형상과 같은 형태의 만곡요홈이 형성된 어류투입호퍼,
상기 어류선별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수단 상부에 상하이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어류선별수단을 상하요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류선별박스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프레임에 상기 상하이동수단이 고정되며, 상기 상하이동수단를 상하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롤러캠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류선별수단을 상하 요동시켜 선별어류가 수류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용이하게 슬립되게 하는 선별수단 지지 및 상하요동수단,
상기 어류선별박스와 어류배출구에서 방출되는 물을 집수하고, 상기 복수의 어류선별박스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최소어군을 최소어군집합조에 집합시켜 측면에 설치된 배출구를 통해 최소어군을 배출하게 하는 집수 및 최소어군배출조,
및 상기 집수 및 최소어군배출조에 집수된 물을 상기 어류투입호퍼 및 하위에 위치하는 상기 어류선별박스로 각각 재공급하기 위한 집수순환펌프와 순환급수배관을 구비한 집수순환 및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장치의 어류선별수단과 저수 및 최소어류배출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선별박스의 내부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수단의 외관을 보여주고 있는 사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410 : 어류투입호퍼 20, 30, 420 : 어류선별박스
21, 31, 421 : 어류배출슈트 22, 32, 422 : 배출구
23, 33, 423 : 지지프레임 20a, 20b, 20c, 20d : 어류선별기
30a, 30b, 30c, 30d : 어류선별기 28 : 최소어군배출구
40 : 집수 및 최소어군배출조 41 : 최소어군집어구
51 : 롤러캠 52 : 캠로드
61 : 집수순환펌프 62a, 62b, 62c, 62d, 62e : 순환급수배관
63a, 63b, 63c : 급수밸브 71, 72 : 지지프레임
81, 82 : 상하요동수단 91, 92 : 캐스터
301 : 지지봉 303a , 303b : 롤러지지로더
304 , 305 : 회전롤러 304a , 305a : 고무부재
304b , 305b : 베어링 304c , 305c : 회전축
306 : 선별스크린 307 : 어류선별간격 조절구
320 : 어류선별박스 323 : 지지프레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장치의 어류선별수단과 저수 및 최소어류배출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선별박스의 내부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수단의 외관을 보여주고 있는 사시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으로서, 이러한 예의 선별장치에서 선별수단의 구체적인 형상을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류선별박스(20,30,‥, 420)에는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어류선별기(20a, 20b, 20c, 20d, 30a, 30b, 30c, 30d)가 각각 내설되어 있다. 상기 어류선별기(20a, 20b, 20c, 20d, 30a, 30b, 30c, 30d)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개의 회전롤러(304, 305)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봉(301)이 양측에 가로설치된 지지프레임(323)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두개의 회전롤러(304, 305) 사이에 어류의 선별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선별간격 조절구(307)가 내설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롤러(304, 305) 및 롤러지지봉(301)을 내측으로 스크린하여 외상없이 어류의 이송 및선별을 가능하게 하는 어류선별스크린(306)이 설치되며, 상기 어류선별스크린(306)은 내식, 내수성의 FRP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롤러(304, 305)는 회전축(304c , 305c)에 축설된 베어링(304b , 305b)과 활어류의 외상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의 외측을 고무재(304a , 305a)로 감싸고 있으며, 선별스크린(306)에 투입된 활어류 중에서 어류선별간격 조절구(307)에 의해 조절된 간격크기의 활어가 상기 회전롤러(304, 305)에 닿으면 활어 자체의 체중에 의해 롤러(304 , 305)가 회전되면서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어류선별기(20a, 20b, 20c, 20d, 30a, 30b, 30c, 30d)에는 어류의 선별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선별간격 조절구(307)와 어류선별스크린(306)이 각각 설치된 구성으로 된다.
상기 회전롤러(304, 305) 간의 간격은 어류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치수에 따라 선별간격조절구(307)에 의해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롤러(304, 305) 간의 간격이 26㎜이면 어류의 중량이 대략 500g 정도, 20㎜이면 어류의 중량이 대략 300g 정도, 16㎜이면 어류의 중량이 대략 100g 정도의 중량을 가진 어류를 각각 선별할 수 있다. 활어류가 항상 반수중 상태에 있는 양태를 부여하고 어류선별박스(20, 420) 상하운동시키는 상하요동수단에 의해 어류선별기를 통과하는 활어류가 선별티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낙하하게 하여, 각 선별단위가 설정된 회전롤러의 간격에 따라 활어류의 크기를 정확하게 선별하게 할 수 있으며, 100g 이하의 중량을 갖는 작은 활어류의 경우에는 투입과 동시에 곧바로 다량의 낙하수와 함게 집수조로 낙하되게 함으로써 작은 활어류의 생존률을 높일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어류선별박스(20,30,‥, 420)내 어류선별기 홈의 용적은 집수조에서 순환급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1/2 이상을 채워주어 활어류가 반수중 상태로 어류선별기를 통과하게 하여 활어류가 이송되는 동안 활어가 한곳에 몰리지 않고 분산되어 가면서 선별되게 하여 활어류에 외상을 내지 않고 선별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용적을 갖도록 측벽면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계방식을 설명하면, 선별박스(20)에 연이어 설치된 어류투입호퍼의 후부는 막혀 있게 하며, 선별스크린 하부에 위치한 회전롤러 간의 개구부를 통해 배수되는 배수량을 능가하는 급수량을 어류투입호퍼에 공급하여 어류선별기를 통과하는 활어류가 반수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집수조로 부터 공급할 수 있는 순환펌프의 용량과 순환급수배관의 크기를 설계하여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은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어류선별박스(20, 420)의 일단에는 도 4 및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류선별기(20a, 20b, 20c, 20d, 30a, 30b, 30c, 30d)에서 선별된 어류들을 배출시키기 위한 어류배출슈트(21, 31. 421)가 각각 연설되며, 어류배출슈트(21, 31. 421)를 통해 배출되는 어류를 한곳으로 집합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어류배출구(22, 32, 422)가 상기 어류배출슈트(21, 31. 421)의 일단에 각각 연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어류선별박스(20,30, ‥, 420), 어류배출슈트(21, 31. 421), 및 어류배출구(22, 32, 422)로 구성되는 어류선별수단은 공급된 선별어류가 수류를 따라 슬립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 예컨대 40 ±5°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활어류의 원하는 치수(중량)를 일거에 선별하기 위하여 상기한 어류선별수단을 다단으로 배열(30,‥)하여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원하는 활어류의 치수선별을 위해 두개의 회전롤러(304, 305) 사이에 설치된 어류선별간격 조절구(307)를 이용하여 최상단에 위치하는 어류선별기(20)의 어류선별간격을 가장 크게 조절하고, 하위의 어류선별기(30,‥)로 내려가는 순서대로 어류선별간격을 작게 조절하므로써,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어류선별수단을 통해서 원하는 치수(중량)의 활어류를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여러종의 선별어류를 투입하기 위해 최상부에 설치되는 어류선별수단의 어류선별박스(10, 420) 일단에 어류투입호퍼(10, 410)가 설치되고, 선별하고자 하는 어류를 직립시킴과 동시에 상기 어류선별스크린(306)에 선별어류를 안착시키기 위해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선별스크린 형상과 같은 만곡요홈(401)이 상기 어류투입호퍼(410)의 하부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류 자동선별장치의 하부프레임(100)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수단(71, 72)에 의해 상기 어류선별수단이 지지되고, 상기 어류선별수단을 상하요동시키기위한 상하이동수단(81, 82)이 상기 지지수단971, 7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이동수단(81, 82)의 일측이 상기 어류선별박스(20, 30, ‥)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프레임(23, 33)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상하이동수단(81, 82)의 일측에 상기 어류선발수단을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롤러캠(51, 52)으로 이루어진 상하요동수단이 캠로드(52)와 편심연결된 캠로드(5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어류선별수단을 상하 요동시켜 선별어류가 수류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용이하게 슬립되게 한다.
상기 어류선별박스(20, 30, ‥, 420)와 어류배출구(22, 32, 422)에서 방출되는 물은 집수조(40)에서 집수하고, 상기 복수의 어류선별박스(20, 3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최소어군을 집수조(40) 내의 최소어군집합구(41)에 집합시켜 측면에 설치된 배출구(42)를 통해 최소어군을 배출하여 집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어류배출구(22, 32, 422)의 하부에는 급수된 물의 방출을 위해 소정 형상의 급수방출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수조에(40) 집수된 물은 집수순환펌프(61)와 순환급수배관(62a, 62b, 62c, 62d, 62e)을 통해 상기 어류투입호퍼(10, 410) 및 하위에 위치하는 상기 어류선별박스(30,‥)로 각각 재공급되며, 상기 어류선별박스(30,‥)로 재공급되는 물은 필요에 따라 급수밸브(63a, 63b, 63c)에 의해 개폐된다.
상술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장치에 의하면, 고밀도로 양식장에서 사육·성장되는 어류를 대량으로 선별하는 과정에서 비능률적인 수작업으로 인해 종래에 겪고 있던 막대한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해소할 수 있으며, 살아 있는 어류의 치수(중량)를 외상없이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고능률적인 어류 선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어류의 양식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자동선별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의 일부의 구성요소를 등가물로 치환하거나 공지된 등가물를 부가하는 등의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와 같이 유사한 변형실시예들은 본 발명에서 주장하는 발명개념의 범주에서 보아 동일한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Claims (1)

  1. 두개의 회전롤러를 롤러지지로더를 통해 지지하기 위한 롤러지지봉이 양측에 가로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두개의 회전롤러 사이에 어류의 선별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선별간격 조절구가 내설되며, 상기 회전롤러 및 롤러지지봉을 내측으로 스크린하여 외상없이 어류의 이송 및 선별을 가능하게 하는 어류선별스크린이 설치된 어류선별기가 복수개 내설된 어류선별박스와, 상기 어류선별박스의 일단에 연설되어 선별된 어류를 배출시키기 위한 어류배출슈트, 및 상기 어류배출슈트의 일단에 연설되고 배출되는 어류를 한곳으로 집합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어류배출구를 구비하여 공급된 선별어류가 수류를 따라 슬립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어류선별수단,
    여러종류의 치수(중량)을 갖는 선별어류를 투입하기 위해 최상부에 설치되는 어류선별수단의 일단에 설치되고, 선별어류를 직립시킴과 동시에 상기 어류선별스크린에 선별어류를 안착시키기 위해 내측에 상기 선별스크린 형상과 같은 형태의 만곡요홈이 형성된 어류투입호퍼,
    상기 어류선별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수단 상부에 상하이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어류선별수단을 상하요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류선별박스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프레임에 상기 상하이동수단이 고정되며, 상기 상하이동수단을상하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롤러캠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어류선별수단을 상하 요동시켜 선별어류가 수류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용이하게 슬립되게 하는 선별수단 지지 및 상하요동수단,
    상기 어류선별박스와 어류배출구에서 방출되는 물을 집수하고, 상기 복수의 어류선별박스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최소어군을 최소어군집합조에 집합시켜 측면에 설치된 배출구를 통해 최소어군을 배출하게 하는 집수 및 최소어군배출조,
    및 상기 집수 및 최소어군배출조에 집수된 물을 상기 어류투입호퍼 및 하위에 위치하는 상기 어류선별박스로 각각 재공급하기 위한 집수순환펌프와 순환급수배관을 구비한 집수순환 및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자동선별장치.
KR1020000012641A 2000-03-14 2000-03-14 어류 자동선별장치 KR10033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41A KR100330319B1 (ko) 2000-03-14 2000-03-14 어류 자동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41A KR100330319B1 (ko) 2000-03-14 2000-03-14 어류 자동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00A KR20010091200A (ko) 2001-10-23
KR100330319B1 true KR100330319B1 (ko) 2002-04-01

Family

ID=1965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641A KR100330319B1 (ko) 2000-03-14 2000-03-14 어류 자동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077B1 (ko) 2006-01-06 2006-11-13 김윤호 회전롤러 선별장치
KR20200029239A (ko) 2018-09-10 2020-03-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KR20220063730A (ko) 2020-11-10 2022-05-17 어업회사법인 씨알 주식회사 인공지능 시스템을 적용한 자동 어류 선별장치 및 자동 어류 선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853B1 (ko) * 2004-08-25 2006-03-30 유영석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KR100582872B1 (ko) * 2005-01-25 2006-05-23 주선미 어류선별기용 어류계수장치
KR100879609B1 (ko) * 2007-07-27 2009-01-21 박경만 장어 선별기
ITUB20152914A1 (it) * 2015-08-05 2017-02-05 Andrea Baraldi Macchina vagliatrice per pescherecci
CN106838440B (zh) * 2017-04-01 2018-10-23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活体水产品重量检测用自动加水装置
KR102345243B1 (ko) * 2019-10-31 2021-12-2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KR102334687B1 (ko) * 2020-10-22 2021-12-0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장어선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077B1 (ko) 2006-01-06 2006-11-13 김윤호 회전롤러 선별장치
KR20200029239A (ko) 2018-09-10 2020-03-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KR20220063730A (ko) 2020-11-10 2022-05-17 어업회사법인 씨알 주식회사 인공지능 시스템을 적용한 자동 어류 선별장치 및 자동 어류 선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00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319B1 (ko) 어류 자동선별장치
CN211153372U (zh) 一种农业水产养殖装置
US4785761A (en) Mobile seed cleaning apparatus
KR101670988B1 (ko)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
KR101968263B1 (ko)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KR20090014046A (ko) 곡물 선별기
AU20092023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ding items
US7785866B2 (en) Compost tea apparatus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RU205302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на фракци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типа семян зерновых и других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CN208739633U (zh) 一种大白菜种子脱粒分选机
CN112808559A (zh) 一种油茶籽的去壳、干燥与分选生产线及方法
JP2831927B2 (ja)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KR200498024Y1 (ko) 동애등에 전용 선별장치
KR200427517Y1 (ko)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CN108770500A (zh) 一种大白菜种子脱粒分选机
Harmond et al. Seed cleaning and handling
JP7131650B1 (ja) 脱穀装置
JPH0333233Y2 (ko)
KR20050029451A (ko) 참깨 탈곡장치
KR101250937B1 (ko) 어류 선별장치
JPH0737478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部の揚送装置
JP2654939B2 (ja) コンバイン用脱穀装置の二番物還元装置
JPS60232282A (ja) 穀物粒径選別装置
EP0394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ding and/or sorting seed or g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