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853B1 -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853B1
KR100565853B1 KR1020040067125A KR20040067125A KR100565853B1 KR 100565853 B1 KR100565853 B1 KR 100565853B1 KR 1020040067125 A KR1020040067125 A KR 1020040067125A KR 20040067125 A KR20040067125 A KR 20040067125A KR 100565853 B1 KR100565853 B1 KR 10056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overturning
chain
plat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646A (ko
Inventor
유영석
Original Assignee
유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석 filed Critical 유영석
Priority to KR102004006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8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복 선별과정에서 이송체인의 장력 변화로 인한 처짐현상이 발생하여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전복 선별이 가능하여 상품의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기의 동작(작업시간)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선별오차를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고 선별오차를 발생하는 이송체인의 장력조정을 할 필요가 없음으로 선별작업이 원활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또한 기계손이 과다 발생치 않아 이상 소음 발생 및 모터 소손의 우려가 없으며, 무엇보다도 선별 등급이 정확하여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상거래 질서를 확립할 수 있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키 위한 본 발명은,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놓여진 상품의 무게에 따라 접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상품 분류가 가능토록 선별접시와 선별봉이 구비된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10)이 가이드레일판(40) 내부에 장착되어 이송동작되며 상기 가이드레일판 상/하면에 3점지지되어 이송체인의 이완여부에 관계없이 선별접시(20)가 수평이동 동작되도록 삼각형상으로 배치된 3개의 가이드롤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별기, 3점지지, 가이드롤러

Description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A CLASSIFIER USING FOR ABALONES}
도 1은 종래의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선별접시와 이송체인을 나타내는 일부 구조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측면도.
도 4은 종래 선별기에 있어 이송체인의 장력 변화에 따른 선별접시의 동착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있어 선별접시와 이송체인 및 가이드 롤러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구조도.
도 6은 도 5에서 측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있어 이송체인의 장력변화와 무관하게 동작되는 선별 접시의 동작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송체인 20: 선별접시
30: 선별봉 40: 가이드레일판
50: 가이드롤러
본 발명은 전복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복 선별과정에서 이송체인의 장력 변화로 인한 처짐현상이 발생하여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전복 선별이 가능하여 상품의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와 같은 과일 등은 그 중량에 따라 선별 분리하여 차별화된 가격으로 판매하여 왔으며, 이를 수작업으로 할 경우에는 인건비 및 선별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선별작업시의 오차로 인해 상거래상 신뢰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이를 해결키 위해 상품 분류를 자동적으로 선별하여 주는 기계가 고안되어 판매되고 있는 것을 보면, 구동모터의 동력을 받아 이송체인 및 선별접시가 회전되고 선별접시에 놓여진 상품의 중량에 따라 접힘동작을 함으로서 무게별 상품 분류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선별기는 최초 이송체인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정하였더라도 작업과정에서 이완되어 회전되는 선별접시가 수평으로 위치하지 못해 선별오차응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발생하여 왔다.
이를 위해, 이송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선별장치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장력조절을 위해 기계장치의 동작을 중단시켜야 하며 선별 작업을 진행해온 상품과 동일하게 이송체인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이 번거럽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선별오차를 줄이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 것도 사실이었다.
또한, 종래의 선별기는 선별오차를 줄이기 위해, 즉 선별접시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도록 이송체인의 장력을 높일 수 밖에 없었는데, 이 상태에서 선별기를 동작시키면 기계의 마찰손이 발생 동작 소음이 과다 발생함과 아울러 모터의 부하전류가 상승하여 모터의 소손이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선별기 작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송체인이 이완되면 선별접시의 수평이동이 불가하여 선별오차를 발생하고 이상 동작으로 인해 선별기 부품(예를 들면 베어링 등)의 편마모를 유발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더욱이나, 전복과 같이 고가의 상품은 그 등급에 따라 가격차가 크며, 따라서 정확한 선별작업이 요구됨에도 종래의 선별기로는 오차 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일수 없어 생산자는 등급 판매를 하면서 오해를 받거나 불이익을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기의 동작(작업시간)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선별오차를 근본적으로 없애고, 선별오차를 발생하는 이송체인의 장력조정을 할 필요가 없어 선별작업이 원활하고, 또한 기계손이 발생치 않아 소음 발생 및 모터 소손의 우려가 없으며, 무엇보다도 선별 등급이 정확하여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상거래 질서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놓여진 상품의 무게에 따라 접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상품 분류가 가능토록 선별접시와 선별봉이 구비된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10)이 가이드레일판(40) 내부에 장착되어 이송동작되며 상기 가이드레일판 상/하면에 3점지지되어 이송체인의 이완여부에 관계없이 선별접시(20)가 수평이동 동작되도록 삼각형상으로 배치된 3개의 가이드롤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키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있어 선별접시와 이송체인 및 가이드 롤러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이송체인의 장력변화와 무관하게 동작되는 선별접시의 동작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종래와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이송체인(10)이 구비되어 있고, 이송체인(10)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놓여진 상품의 무게에 따라 접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상품 분류가 가능케 하는 선별접시(2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별기 본체 상면 가장자리 부근에는 이송체인(10)에 의해 이동되는 선별접시(20)와 접촉에 의해 상품의 무게에 따라 접힘동작을 할 수 있도록 선별봉(30)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
즉, 선별봉(30)의 높이를 각각 다르게(순차적으로 높이를 다르게)하여 선별 접시에 놓여진 상품의 무게에 따라 선별접시의 접힘동작 여부를 결정 등급에 따른 선별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체인(10)은 가이드레일판(40) 내부에 장착되어 이송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판 상/하면에 3점지지되어 이송체인(10)의 이완여부에 관계없이 선별접시(20)가 수평이동 동작되도록 3개의 가이드롤러(50)가 삼각형상의 배치구조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전원을 투입 모터를 구동시키면 모터축과 연결된 이송체인(10)과 선별접시(20)가 이동동작되는데, 사용자가 선별하고자 하는 상품, 예를들면 전복을 선별접시에 얹어 놓으면 선별접시가 이동되면서 선별봉(30)과 접촉, 레버가 작동되어 각각 분리 선별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선별접시는 그 하부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전복의 무게에 따라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선별봉(30)과 접촉되면 레버가 작동 선별접시가 접힘동작을 하게되어 상품이 선별접시로 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분리 선별이 행해지는 것이다.
종래의 선별기는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작업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이송체인(10)의 장력이 변화하여 이완되고 이에 따라 선별접시(20)도 소정각 기울림 현상이 발생 선별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어 선별기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선별기는 이송체인의 장력과 무관하게 선별접시의 수평이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기는 이송체인(10)이 가이드레일판(40)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판 상/하면상에는 3점지지방식의 3개의 가이드롤러(50)를 형성시켜 이송체인이 작업과정에서 장력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선별접시의 수평이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이송체인(10)의 장력변화를 3개의 가이드 롤러(50)와 가이드레일판(40)이 완충시켜줌으로서 회전접시의 수평이동을 가능케 하여 선별 오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는 별도로, DC 구동모터에 입력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위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측에 스위칭 수단(예를들면, 일방향 도통 다이오드)을 구비하여 사용하면 전복 선별기의 선별접시가 역회전하여 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데, 즉 사용자가 전원측(직류전원)에 플러그를 끼워 선별기를 동작시킬 경우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이 반대로 되면 모터를 구동시킬 수 없도록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스위칭 수단이 모터에 인간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인가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주위로 전원 플러그의 오조작으로 인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기의 동작(작업시간)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선별오차를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고 선별오차를 발생하는 이송체인의 장 력조정을 할 필요가 없음으로 선별작업이 원활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또한 기계손이 과다 발생치 않아 이상 소음 발생 및 모터 소손의 우려가 없으며, 무엇보다도 선별 등급이 정확하여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상거래 질서를 확립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2)

  1. DC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놓여진 상품의 무게에 따라 접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상품 분류가 가능토록 선별접시와 선별봉이 구비된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10)이 가이드레일판(40) 내부에 장착되어 이송동작되며 상기 가이드레일판 상/하면에 3점지지되어 이송체인의 이완여부에 관계없이 선별접시(20)가 수평이동 동작되도록 삼각형상으로 배치된 3개의 가이드롤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DC 구동모터에 입력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위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측에 스위칭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KR1020040067125A 2004-08-25 2004-08-25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KR10056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125A KR100565853B1 (ko) 2004-08-25 2004-08-25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125A KR100565853B1 (ko) 2004-08-25 2004-08-25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646A KR20060018646A (ko) 2006-03-02
KR100565853B1 true KR100565853B1 (ko) 2006-03-30

Family

ID=3712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125A KR100565853B1 (ko) 2004-08-25 2004-08-25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686B1 (ko) 2011-07-25 2013-05-22 (주)명성 전복선별기
KR20150131553A (ko) * 2014-05-15 2015-11-25 오석용 중량식 과일 야채 선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221B1 (ko) * 2018-03-02 2018-05-15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전복 선별기의 전복 공급장치
KR102137268B1 (ko) 2018-09-18 2020-08-13 (주)스케일트론 전복 공급 및 선별장치
CN110250255B (zh) * 2019-07-23 2024-02-27 湖州弘鑫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智能化分鱼机
KR102654783B1 (ko) * 2023-03-15 2024-04-03 김노석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A (ja) * 1992-06-17 1994-01-11 Takayoshi Tsuji 活魚の重量選別装置
KR0162715B1 (ko) * 1995-12-29 1998-11-16 심강선 중량 및 형상에 따른 과일이나 농산물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KR20010091200A (ko) * 2000-03-14 2001-10-23 주환용 어류 자동선별장치
KR200329226Y1 (ko) * 2003-07-10 2003-10-08 유춘열 어패류 선별기
KR20040062800A (ko) * 2003-01-03 2004-07-09 이완재 중량감지식 자동 선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A (ja) * 1992-06-17 1994-01-11 Takayoshi Tsuji 活魚の重量選別装置
KR0162715B1 (ko) * 1995-12-29 1998-11-16 심강선 중량 및 형상에 따른 과일이나 농산물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KR20010091200A (ko) * 2000-03-14 2001-10-23 주환용 어류 자동선별장치
KR20040062800A (ko) * 2003-01-03 2004-07-09 이완재 중량감지식 자동 선과 장치
KR200329226Y1 (ko) * 2003-07-10 2003-10-08 유춘열 어패류 선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686B1 (ko) 2011-07-25 2013-05-22 (주)명성 전복선별기
KR20150131553A (ko) * 2014-05-15 2015-11-25 오석용 중량식 과일 야채 선별 장치
KR101678423B1 (ko) 2014-05-15 2016-11-23 오석용 중량식 과일 야채 선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646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853B1 (ko)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KR101166759B1 (ko) 농작물 선별장치
WO2023284096A1 (zh) 一种用于果蔬分选的滚轮式输送装置
KR101609707B1 (ko) 다목적 리프트 선별기
CN210449848U (zh) 一种茶叶梗叶分离装置
KR101991293B1 (ko)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KR101265686B1 (ko) 전복선별기
US3070210A (en) Parts elevator feeder and selector machine
US4832205A (en) Vibrator strips with increased spacing sorter
KR101836444B1 (ko) 과일선별기
CN116216188B (zh) 一种采矿用输送装置
KR101453504B1 (ko) 과일선별기
KR200265565Y1 (ko)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
JP4857990B2 (ja) 仕分け設備
KR101662619B1 (ko)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KR200401882Y1 (ko) 과일선별기
KR20100131581A (ko) 제품 분류이송장치
KR102415926B1 (ko) 선별롤러유닛과 이를 이용한 다목적 리프트 선별장치.
KR20070008750A (ko) 과일선별기 및 그 선별방법
KR0161065B1 (ko) 시이트고무의 샘플채취장치
KR200476357Y1 (ko) 선별기의 이송장치용 브라켓
KR101641886B1 (ko) 과일 선별기
CN220547308U (zh) 一种筛选机构
US4155456A (en) Independent produce sorter for installation on a produce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