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783B1 -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 - Google Patents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783B1
KR102654783B1 KR1020230033942A KR20230033942A KR102654783B1 KR 102654783 B1 KR102654783 B1 KR 102654783B1 KR 1020230033942 A KR1020230033942 A KR 1020230033942A KR 20230033942 A KR20230033942 A KR 20230033942A KR 102654783 B1 KR102654783 B1 KR 102654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support
dish
unit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석
Original Assignee
김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노석 filed Critical 김노석
Priority to KR102023003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6Linear sorting machines in which articles are removed from a stream at select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B07C3/082In which the objects are carried by transport holders and the transport holders form part of the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65G47/962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는 전복선별기의 순환궤도를 따라 순환되는 순환부재에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접시지지대와, 접시지지대에 장착되어 전복 선별기의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외측내일에 구속상태로 이동되는 가이드롤러와, 접시지지대에 제1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접시지지대를 가로질러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1링크와, 제1링크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지지대와, 몸체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복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접시몸체와, 제1링크보다 하부에서 몸체 지지대와 접시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와, 순환궤도의 호형구간에서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몸체지지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접시몸체의 기울림 회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접시몸체의 몸체지지대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접시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상의 상기 접시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접시몸체의 상기 접시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편중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abalone sorting dish unit and abalone sor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전복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순환되는 선별접시에 안착된 전복의 중량에 따라 배출 위치를 다르게 제어하여 중랑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또는 수산물은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분류하여 가격을 차별화하는 판매방식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전복의 경우에도 양식에 의한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전복을 크기 또는 중량에 의해 선별할 수 있는 전복 선별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전복을 중량에 따라 선별할 수 있도록 된 전복 선별장치로서, 접힘동작을 하는 선별접시를 적용한 장치가 다수 제안되어 있고, 그 예가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012266호에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전복 선별장치는 선별접시가 전복이 안착될 수 있으면서 통기 및 배수가 불가능한 막힌 그릇 구조로 되어 있어 실외에 설치상태로 사용시 바람에 의해 의도와는 다르게 접힘 동작이 이루지거나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복 선별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선별접시의 순환 속도를 높여야 하는데 이 경우 호형 선회구간에서 원심력에 의해 의도치 않은 접힘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미분류상태의 전복이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형 선회구간뿐만 아니라 선별접시가 직선상태로 이동하는 직선이동 구간에서도 선별접시에 전복이 접힙동작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편심되게 안착된 경우 의도치 않게 쉽게 접힘동작이 이루어져 목적하는 선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복 선별속도를 높이면서도 의도치 않는 선별접시의 접힘을 억제할 수 있는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는 전복선별기의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순환궤도를 따라 순환되는 순환부재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안착된 전복의 중량에 따라 눕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분류가 가능하게 지원하는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재에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접시지지대와; 상기 접시지지대가 상기 순환부재에 연동되어 순환회전되도록 상기 접시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외측내일에 구속상태로 이동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접시지지대에 제1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접시지지대를 가로질러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지지대와; 상기 몸체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복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접시몸체와; 상기 제1링크보다 하부에서 상기 몸체 지지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시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와; 상기 순환궤도의 호형구간에서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몸체지지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접시몸체의 기울림 회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접시몸체의 상기 몸체지지대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접시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상의 상기 접시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접시몸체의 상기 접시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편중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접시몸체는 바닥부분과, 상기 바닥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진행될 수록 내부공간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수용부분과, 상기 수용부분의 상단 일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포위벽부분을 갖으며 상기 수용부분에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몸체 지지대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메인 바디의 저면으로부터 상호 이격되게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결합홀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지지대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홀에 억지 끼움결합될 수 있게 돌출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바닥부분과 상기 수용부분의 내면에는 전복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접착억제 돌출띠가 다수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의 바닥부분에도 상기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바디의 바닥부분에는 이물질의 하부로의 낙하를 억제하도록 상기 통기홀의 일부를 차폐하게 판형상으로 형성된 이물질 낙하 억제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낙하 억제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상기 통기홀과 연통되는 배수홀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낙하 억제플레이트는 상기 중량체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몸체 지지대에는 상기 접시몸체의 회동허용 각도를 제한하도록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리브는 상기 접시몸체가 상기 몸체 지지대에 수평상태를 유지할 때는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상기 접시지지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추가 회동은 차단되고, 상기 접시몸체가 상기 몸체 지지대에 대해 설정된 최대 허용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추가 회동이 차단되게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는 상기 제1링크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1링크의 눌림지지를 지원하는 눌림지지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눌림지지핀은 상기 제1링크에 대해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의 간섭에 의한 후방으로의 탄성적 회동은 허용하되 진행방향을 따르는 정방향으로의 간섭에 의한 회동은 차단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기는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순환궤도를 따라 순환되는 순환부재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안착된 전복의 중량에 따라 눕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분류가 가능한 상기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를 갖는 전복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메인 모터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송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을 구비하는 메인 구동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기 전복 선별접시 유니트에 대해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 선별구간 및 복귀구간이 순환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순환 레일부와; 상기 순환 레일부의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로딩된 상기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와; 상기 순환레일부의 선별구간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무게에 따라 이동중인 상기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의 수평지지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여 상기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가 눕힘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수평해제 유니트와; 상기 메인 구동부를 제어하며, 이송되는 상기 상기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에 대해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정보에 따라 대응 되는 선별위치의 상기 수평해제 유니트에 도달하면 상기 수평해제 유니트가 수평지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에 의하면, 전복 선별속도를 높이면서도 의도치 않는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의 접힘을 억제할 수 있고, 전복의 분리가 용이하며 외풍에 의한 파손 및 이물질에 의한 작동에러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에서 선별접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가 접힘된 상태를 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가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가 적용된 전복 선별기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전복 선별기에 대해 제1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전복 선별기에 대해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전복 선별기의 일부 요소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로딩인식센서가 장착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로드셀이 장착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복귀구간과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6의 수평해제 유니트 장착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은 도 13의 수평해제 유니트의 사시도 이고,
도 15는 도 6의 전복공급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 선별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가 접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140)는 전복선별기(도 6참조, 100)의 메인 프레임(도 6참조, 110)에 형성된 순환궤도를 따라 순환되는 순환부재인 이송체인(126)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안착된 전복(미도시)의 중량에 따라 눕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분류가 가능하게 지원한다.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140)는 접시지지대(141), 가이드롤러(143), 접시몸체(142), 몸체지지대(144), 제1링크(145), 제2링크(146)를 구비한다.
접시지지대(141)는 후술되는 전복 선별기의 순환부재인 이송체인(126)에 장착된 결합브라켓(128)을 통해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접시지지대(141)는 사각몸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에 제1링크(145)가 수용된 상태에서 일정각도 제1힌지(145a)를 통해 회동될 수 있게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날개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이드롤러(143)는 접시지지대(141)가 이송체인(126)에 연동되어 순환회전되도록 접시지지대(141)에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110)에 형성된 외측내일(도 10참조, 163)에 구속상태로 이동되게 장착되어 있다.
제1링크(145)는 접시지지대(141)에 제1힌지(145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접시지지대(141)를 가로질러 양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은 몸체 지지대(143)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고정수평 내측내일(도 10참조, 162)의 저부에 진입되어 구속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제1링크(145)의 타단에는 제1링크(145)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제1링크(145)의 눌림지지를 지원하는 눌림지지핀(341)이 형성되어 있다. 눌림지지핀(341)은 제1링크(145)에 대해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의 간섭에 의한 후방으로의 탄성적 회동은 허용하되 진행방향을 따르는 정방향으로의 간섭에 의한 회동은 차단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눌림지지핀(341)은 제1링크(145)의 타단에 호형곡면을 갖는 일방향 회동가이드부분(351)을 통해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호형밀착부분(341a)과, 호형밀착부분(341a)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링크(145)에 대해 초기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퍼부분(341b) 및 호형밀착부분(341a)에서 돌출되게 연장된 핀부분(341c)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스토퍼부분(341b)에는 후술되는 스프링(358)의 제1아암(358a)이 진입되는 진입홀(342)이 형성되어 있다. 눌림지지핀(341)은 제1링크(145)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홀과 호형밀착부분(341a)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는 지지나사 및 지지나사와 나사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제1링크(145)에 지지되고, 스프링(358)의 제1지지아암(358a)은 스토퍼부분(341b)의 진입홀(342)을 통해 지지되고, 제2지지아암(358b)은 제1링크(145)의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턱에 걸림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눌림지지핀(341)은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동만 허용되고, 간섭력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참조부호 390은 제1링크(145)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 결합편을 가로질러 장착되어 너트의 이동에 의해 무게중심을 조정하기 위한 무게중심 조정나사이다.
몸체 지지대(144)는 접시몸체(142)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후술되는 제1 및 제2링크(145)(146)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몸체 지지대(144)에는 후술되는 접시몸체(142)의 제1 및 제2결합리브(142a)(142b)에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홀(142a1)(142b1)에 억지 끼움결합될 수 있게 돌출된 끼움돌기(144a)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 지지대(144)에는 접시몸체(142)의 회동허용 각도를 제한하도록 돌출된 스토퍼(144b)가 형성되어 있다.
접시몸체(142)는 상부가 개방되고 전복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영역을 갖게 형성된 부분이며 몸체지지대(14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접시몸체(142)는 구분하면 메인바디(142a)와 제1 및 제2결합리브(142b)(142c)를 구비한다.
메인 바디(142a)는 바닥부분(142a1)과, 바닥부분(142a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진행될 수록 내부공간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수용부분(142a2)과, 수용부분(142a2)의 상단 일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포위벽부분(142a3)을 갖으며 수용부분(142a2)과 바닥부분(142a1)에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다수의 통기홀(a)이 형성되어 있다. 포위벽 부분(142a3)은 수용부분(142a2)의 네면중 전복이 배출되는 한측 부분은 생략되고 나머지 세면에 수직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바디(142a1)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메인바디(142a)의 바닥부분(142a1)과 수용부분(142a2)의 내면에는 전복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접착억제 돌출띠(b)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억제 돌출띠(b)는 전복의 껍질 반대편의 몸체가 접촉되는 경우 접촉면적을 줄여 중량에 대응한 분리과정에서 접힘에 의한 분리 이탈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1 및 제2결합리브(142b)(142c)는 몸체 지지대(144)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메인 바디(142a)의 저면으로부터 상호 이격되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결합홀(142b1)(142c1)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결합리브(142b)(142c)에 의해 접시몸체(142)의 몸체 지지대(144)와의 억지 끼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파손에 대한 교체수리가 용이하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제1 및 제2결합리브(142b)(142c)는 접시몸체(142)가 몸체 지지대(144)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할 때는 스토퍼(144b)에 간섭되어 접시지지대(14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추가 회동은 차단되고, 접시몸체(142)가 접시지지대(141)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지지대(144)에 대해 설정된 최대 허용각도로 기울어지게 회동되면 스토퍼(144b)에 간섭되어 추가 회동이 차단되게 걸림턱(142d)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42d)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몸체 지지대(144)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1차단위치와 몸체 지지대(144)에 대해 설정된 최대 허용각도로 기울어지는 제2차단위치 사이에서는 스토퍼(144b)에 의해 회동이 제지되지 않으면서 제1차단위치와 제2차단위치에서는 스토퍼(144b)에 간섭되어 추가 회동이 차단되게 영문자 C자형 형태가 상호 연결된 물결 형태의 회동안내경로의 양단에서 스토퍼(144b)에 의해 추가 회동이 차단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물질 낙하 억제 플레이트(360)는 메인 바디(142a)의 바닥부분(142a1)에 장착되며 이물질의 하부로의 낙하를 억제하도록 통기홀(a)의 일부를 차폐하게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 낙하 억제 플레이트(360)는 안착된 전복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의 하부로의 낙하를 억제하여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접힘 및 복원에 대한 작동 에러 발생을 억제시킨다.
이물질 낙하 억제 플레이트(360)의 중앙에는 통기홀(a)과 연통되는 배수홀(36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물질 낙하 억제플레이트(360)는 후술되는 중량체를 통해 메인바디(142a)에 고정되도록 두 개의 고정홀(364)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물질 낙하 억제플레이트(360)는 중앙을 가로질러 접착억제 돌출띠(b)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61)이 배수홀(362)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중량체(370)는 순환궤도의 호형구간에서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몸체지지대(1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접시몸체(142)의 기울림 회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접시몸체(142)의 몸체지지대(144)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접시지지대(14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상의 접시몸체(142)에 장착되어 접시몸체(142)의 접시지지대(141)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편중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키며 도시된 예에서는 2개가 상호 이격되어 이물질 낙하 억제 플레이트(360)의 고정홀(364)과 통기홀(a)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된 볼트(371)와 볼트(37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371)로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중량체(370)는 접시몸체(142)에 전복이 몸체 지지대(144) 측으로 편심되게 안착되어도 접시몸체(142)의 접힘동작이 방지되도록 전복편심에 의한 접힘발생 억제기능을 한다.
중량체(370)는 도시된 구조와 다른 형태로 결합된 것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링크(146)는 제1링크(145)보다 하부에서 몸체 지지대(143)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1힌지(145a) 보다 하부에서 접시지지대(141)에 제2힌지(146a)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148은 몸체 지지대(143)의 하부에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미끄럼접촉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하부바퀴이다. 하부바퀴(148)는 몸체 지지대(14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복 선별접시 유니트(140)는 접시몸체(142)에 안착된 전복에 대해 제1링크(145)의 타단을 상방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유지하면 수평상으로 이동되고, 제1링크(145)의 타단의 간섭을 해제시키면 자중에 의해 제1링크(145)의 타단이 상승하면서 접시몸체(142)는 접시지지대(141)에 대해 눕는 형태로 경사지게 회동하면서 전복의 접시몸체(142)로부터의 낙하가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전복선별 유니트가 적용된 전복 선별기를 도 6 내지 도 1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선별기(100)는 메인 프레임(110), 메인 구동부(120), 전복 선별접시 유니트(140), 순환 레일부(160), 제1 및 제2무게측정부(170a)(170b), 수평해제 유니트(180), 제어부(190)를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110)은 전복선별 유니트(140)의 순환 회전을 지원하는 요소의 장착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인 구동부(120)는 전복선별 유니트(140)가 순환회전되게 결합되는 이송체인을 순환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인 구동부(120)는 메인모터(121), 구동스프라켓(123), 이송체인(126)을 구비한다.
메인 모터(121)는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접속된 구동스프라켓(123)을 회전시킨다. 종동스프라켓(125)은 구동스프라켓(123)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송체인(126)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스프라켓(123)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순환 레일부(160)는 메인 프레임(110)에 마련되어 있고, 전복선별 유니트(140)에 대해 순환회전되면서 무게측정 및 전복 공급, 중량에 따라 전복선별을 위한 눕힘 및 수평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이 순환 반복될 수 있도록 전복선별 유니트(140)를 간섭하여 수평 구속이동 또는 수평 구속 해제를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순환 레일부(160)는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 고정수평 내측내일(162), 외측내일(163), 로딩레일(164), 수평보조레일(165), 환형 경사레일(166), 기립가이드 레일(167)을 구비한다.
순환 레일부(160)의 각 요소에 대한 설명에 앞서 전복선별 유니트(140)의 순환경로에 따라 순환 레일부(130)를 구분하면,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S1), 선별구간(S2) 및 복귀구간(S3)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게 측정 및 공급구간(S1)은 복귀구간(S3)과 선별구간(S2) 사이의 구간으로서, 전복공급기(200)로부터 낙하에 의해 공급되는 전복을 받을 수 있는 공급영역과 공급영역의 전후에 각각 마련되어 선별접시의 로딩을 검출하고, 무게를 측정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선별구간(S2)은 전복선별 유니트(140)를 무게에 따라 눕힘동작을 허용하도록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부분 및 눕힘 허용부분이 전복선별 유니트(140)의 이송방향을 따라 교번으로 형성된 구간이다.
복귀구간(S3)은 선별구간(S2)을 거쳐 눕혀진 전복선별 유니트(140)를 초기상태로 수평하게 복귀시키는 구간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은 선별구간에 마련되어 전복선별 유니트(140)에 대해 제1링크(145)의 타단에 대한 간섭을 유지 또는 승강에 의해 해제하여 전복선별 유니트(140)의 중량에 대응한 전복 배출을 지원하도록 선별구간(S2)에서 중량별 선별 위치마다 배치되어 있고, 후술되는 수평해제 유니트(180)에 의해 승강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은 후술되는 고정수평 내측내일(162)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고정수평 내측 내일(162)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에 대해 제1링크(145)의 타단을 간섭하여 수평상태로 이동을 지원하게 연장된 부분으로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S1) 및 선별구간(S2)에서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이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구간에 설치되어 있다.
외측내일(163)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접시지지대(141)를 수평상태로 이송을 지원하도록 가이드롤러(143)가 구속상태로 이송을 지원하게 메인 프레임(110)에 순환궤도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로딩레일(164)은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 상에 하부 바퀴(148)가 안착상태로 이동되게 마련되되 도 1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 지지대(144)가 하부바퀴(148)을 통해 로딩된 상태에서 제1링크(145)의 타단은 고정수평 내측내일(162)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간섭이 해제되게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이동경로를 따라 부상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무게 측정을 전복이 공급되는 영역 전과 공급 이후에 하도도록 되어 있어 2개가 마련되어 있다.
수평보조레일(165)은 고정수평 내측레일(162)과 함께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수평상태 유지를 보조할 수 있도록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하부바퀴(148)가 접촉되어 이송될 수 있게 대응되는 경로상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되며 무게 측정레일 사이에 이격되게 마련된 수평보조레일이다. 수평보조레일(165)의 높이는 제1링크(145)의 타단이 고정수평 내측레일(162)에 대해 하방으로 약간 이격되는 높이로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수평보조레일(165)을 통해 이동되는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는 수평보조레일(165)의 높이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된다. 이경우 수평보조레일(165)이 적용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고정수평 내측레일(162)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르게는 수평보조레일(165)은 생략되고, 고정수평 내측레일(162)에 의해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가 가이드되어 이동되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환형 경사레일(166)은 선별구간(S2)의 종단으로부터 무게 측정 및 공급구간(S1)의 선단까지 복귀구간(S3)에 마련되어 있고, 환형궤적을 갖으며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연장되어 눕혀진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하부바퀴(148)가 상부에서 접촉하면서 이동에 대응하여 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기립가이드레일(167)은 환형 경사레일(168)보다 높은 위치에서 눕혀진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접시몸체(142)의 하부를 간섭하여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기립을 지원할 수 있도록 이동궤도를 따라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게 호형궤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제1 및 제2무게 측정부(170a)(170b)는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S1)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순환 레일부의 로딩레일(164)에 로딩된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무게를 측정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복공급기(200)의 전복공급구간 전에 마련되어 비어있는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무게 측정부(170a)와 전복공급기(200)로부터 공급된 전복이 안착된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2무게측정부(170b)로 구축되어 있다.
제1 및 제2무게 측정부(170a)(170b)는 메인 프레임(110)에 장착된 브라켓(173)을 통해 장착되어 로딩레일(164)을 통해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172)로 구축되어 있고, 측정된 무게를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제1 및 제2로딩인식센서(175a)(175b)는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S1) 상에서 제1무게측정부(170a) 전단 및 제2무게측정부(170b) 후단에 마련되어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도달에 대한 로딩을 검출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제1 및 제2로딩인식센서(175a)(175b)는 비접촉에 의해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를 인식하는 근접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수평해제유니트(180)는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을 제어부(190)에 제어되어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평해제 유니트(180)는 순환레일부(160)의 선별구간(S2)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무게에 따라 이동중인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의 수평지지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여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가 눕힘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평해제 유니트(180)를 구분하면, 승강지지바디(181), 시소바디(183), 연장바디(185), 실린더(186), 중량추(187)를 구비한다.
승강지지바디(181)는 메인 프레임(110)에 수직상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시소바디(183)는 승강지지바디(181)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며 종단 하부에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이 결합되어 있다.
연장바디(185)는 시소바디(183)로부터 시소바디(183)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부분이다.
실린더(186)는 메인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연장바디(185)를 로드의 진퇴에 의해 승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중량추(187)는 연장바디(185)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린더(186)의 로드의 승강압이 해제되면 초기위치로 복원되게 중량을 갖으며 원형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해제 유니트(18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실린더(186)의 로드가 상승하면 로드가 승하강 수평내측내일(161)이 상승하고, 실린더(186)에 공급된 승강압을 해제시키면 중량추(187)의 자중에 의해 초기 위치로 하강한다.
제어부(190)는 메인 구동부(120)를 제어하며, 이송되는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에 대해 제1 및 제2무게측정부(170a)(170b)에서 측정된 무게정보에 따라 대응 되는 선별위치의 수평해제 유니트(180)에 도달하면 수평해제 유니트(180)가 수평지지상태를 해제하도록 대응되는 실린더(186)를 제어한다. 참조부호 a, b, c는 메인 구동부(120), 수평해제 유니트(180) 및 전복공급기(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선을 나타낸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1 및 제2로딩인식센서(175a)(175b)에서 인식된 로딩정보를 이용하여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를 식별하면서 이송 현재위치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1로딩인식센서(175a)로부터 인식된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에 대해 내부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동에 의해 제1무게측정부(170a)에 도달하면 동일 내부 식별번호에 대해 측정된 빈 접시무게를 기록하고, 이후 후속 이동에 의해 제2무게측정부(170b)에서 측정된 전복안착 접시무게를 기록한 후 전복안착 접시무게에서 이전에 동일 내부 식별번호에 대해 측정된 빈 접시무게를 차감하여 순수 전복무게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2로딩인식센서(175a)로부터 동일 내부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가 인식되면 이후 해당 무게에 대응하는 선별 위치에 도달하는지를 메인 구동부(120)의 이송에 대응한 이동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해당 위치에 도달하면 수평해제 유니트(180)를 제어하여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로부터 전복이 이탈되게 처리한다.
한편, 전복공급기(200)는 전복 선별기(100)의 제1무게측정부(170a)를 거친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에 전복을 투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1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복공급기(200)는 공급 프레임(210), 이송컨베이어(220),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 중계 이송가이드유닛(235), 낙하안착 가이드부(250), 공급구동부(260), 투입가이드부(270), 전복 수용함체(280)를 구비한다.
공급 프레임(210)은 후술되는 이송컨베이어(220)가 순환회전될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공급 프레임(210)은 비사용시 메인 프레임(110)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시키고, 선별작업시에는 메인 프레임(110)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에 의해 배치시킬 수 있도록 메임프레임(110)에 힌지(212)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공급 프레임(210)을 구분하면, 메인 프레임(210)에 힌지(212)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회동지원베이스(211)와, 회동지원 베이스(211)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 지지바디(213)와, 수직 지지바디(213)들을 통해 결합된 부상 지지바디(215)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110a는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회동지원 베이스(211)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보조 지지프레임이다.
또한, 공급 프레임(210)의 회동지원베이스(211)에는 공급 프레임(210)이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공급프레임(210)을 메인프레임(11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고정부재(217)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부재(217)는 메임프레임(110)에 장착된 걸쇠(218)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회동지원베이스(211)에 장착된 토글 클램프가 적용되어 있다. 고정부재(217)는 도시된 예와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송컨베이어(220)는 공급 프레임(210)의 부상지지바디(215)에 순환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송컨베이어(220)의 표면은 전복의 흡착력을 약화시킬수 있도록 하방으로 관통된 홀이 메트릭스 형태로 종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망체구조로 된 것을 적용한다.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 중계 이송가이드유닛(235)은 이송가이드유닛으로 적용된 것으로서 배치 위치가 다르나 동일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 중계 이송가이드유닛(235)은 이송컨베이어(220)의 양측 가장자리에 이격되어 공급 프레임(210)으로부터 이송컨베이어(220) 보다 높이가 높게 상방으로 연장되게 이송컨베이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지지포스트(230a)와, 지지포스트(230a)에 일단이 결합되어 이송컨베이어(22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판형상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이송컨베이어(220)에 안착된 전복의 이송컨베이어(220) 중앙으로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230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230b)의 경사각도는 조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은 후술되는 투입가이드부(270)를 통해 낙하되어 이송컨베이어(220)에 안착된 전복을 이송컨베이어(220)의 중앙으로 가이드하도록 투입가이드부(270)를 기준으로 동거리로 이격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중계 이송가이드유닛(235)은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 유닛(231)(232)으로부터 낙하안착가이드부(25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송컨베이어(220)의 진행방향에 대해 가이드판(230b)이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게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 및 중계 이송 가이드 유닛(235)은 전복을 간섭하여 이송 컨베이어(220) 중앙으로 이송되게 안내한다.
낙하안착 가이드부(250)는 이송컨베이어(220)의 이송방향을 따르는 종단에 공급 프레임(22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전복의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로의 낙하를 가이드한다. 낙하 안착 가이드부(250)는 상하가 개방되되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전복의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로 낙하되게 가이드한다.
공급구동부(260)는 이송컨베이어(220)를 순환회전하는 제1 및 제2공급 구동스프라켓(261)(262) 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하는 모터(265)로 구축되어 있다.
공급구동부(260)의 모터(265)를 통한 이송컨베이어(220)의 주행속도는 전복선별기(100)의 이송체인(126)의 주행속도와 동일하게 동기되어 구동되게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낙하 안착 가이드부(250)에 전복의 낙하를 검출하는 낙하감지센서를 적용하고, 낙하감지센서에서 낙하가 감지되면 다음 준비 위치에 있는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를 낙하 안착가이드부로 이동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투입가이드부(270)는 이송컨베이어(220)의 종단 반대편의 선단 상부에 이송컨베이(220)에 대향되게 공급프레임(220)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220)로의 전복투입을 가이드한다. 투입가이드부(27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으면서 상하로 관통된 투입로를 갖는 호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복 수용함체(280)는 선별 대상 다수의 전복을 함께 수용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으며 투입가이드부(270)로 전복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으로부터 투입가이드부(27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진입로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복 수용함체(280)는 공급 프레임(220)에 대해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고, 수용공간을 구분하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수용공간(280a)과, 제1수용공간(280a)과 연통되되 투입가이드부(270)에 가까워질 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형성된 제2수용공간(280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전복 수용함체(280)는 제2수용공간(280b)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투입가이드부(27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수용공간(280b)을 분할하는 격벽(28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190a는 메인 구동부(120)와 전복공급기(200)의 모터(26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 제어보드가 내장된 제어함체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복 수용함체(280)에 수용된 전복을 격벽(282)으로 분리된 제2수용공간(280b) 상에 낱개로 분리하고, 분리된 전복을 투입가이드부(270)를 통해 공급하면, 이송컨베이어(220)를 통해 이송되고, 이 과정에서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231)(232) 및 중계 이송 가이드 유닛(235)에 의한 간섭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220) 중앙으로 전복이 이송되어 낙하 안착 가이드부(250)를 통해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로 투하되게 공급된다.
또한,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에 투입된 전복은 앞서 설명된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중량별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가 눕혀지도록 처리하여 전복을 중량별로 선별되게 처리한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전복공급기(200)는 생략되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전복을 낱개 단위로 전복선별 접시유니트(140)에 공급하면서 선별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에 의하면, 전복 선별속도를 높이면서도 의도치 않는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의 접힘을 억제할 수 있고, 전복의 분리가 용이하며 외풍에 의한 파손 및 이물질에 의한 작동에러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메인 프레임 120: 메인 구동부
140: 선별접시 160: 순환 레일부
170a, 170b: 제1 및 제2무게측정부 180: 수평해제 유니트
190: 제어부 200: 전복공급기
210: 공급 프레임 220: 이송컨베이어
231, 232: 제1 및 제2선단 이송가이드유닛
235: 중계 이송가이드유닛
250: 낙하안착 가이드부 260: 공급구동부
270: 투입가이드부 280: 전복 수용함

Claims (8)

  1. 삭제
  2. 전복선별기의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순환궤도를 따라 순환되는 순환부재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안착된 전복의 중량에 따라 눕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분류가 가능하게 지원하는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재에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접시지지대와;
    상기 접시지지대가 상기 순환부재에 연동되어 순환회전되도록 상기 접시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외측내일에 구속상태로 이동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접시지지대에 제1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접시지지대를 가로질러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지지대와;
    상기 몸체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복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접시몸체와;
    상기 제1링크보다 하부에서 상기 몸체 지지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시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와;
    상기 순환궤도의 호형구간에서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몸체지지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접시몸체의 기울림 회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접시몸체의 상기 몸체지지대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접시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상의 상기 접시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접시몸체의 상기 접시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편중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를 구비하고,
    상기 접시몸체는
    바닥부분과, 상기 바닥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방으로 진행될 수록 내부공간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수용부분과, 상기 수용부분의 상단 일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포위벽부분을 갖으며 상기 수용부분에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몸체 지지대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메인 바디의 저면으로부터 상호 이격되게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결합홀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지지대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홀에 억지 끼움결합될 수 있게 돌출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바닥부분과 상기 수용부분의 내면에는 전복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접착억제 돌출띠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바닥부분에도 상기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바디의 바닥부분에는 이물질의 하부로의 낙하를 억제하도록 상기 통기홀의 일부를 차폐하게 판형상으로 형성된 이물질 낙하 억제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낙하 억제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상기 통기홀과 연통되는 배수홀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낙하 억제플레이트는 상기 중량체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지지대에는 상기 접시몸체의 회동허용 각도를 제한하도록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리브는 상기 접시몸체가 상기 몸체 지지대에 수평상태를 유지할 때는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상기 접시지지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추가 회동은 차단되고, 상기 접시몸체가 상기 몸체 지지대에 대해 설정된 최대 허용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추가 회동이 차단되게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는 상기 제1링크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1링크의 눌림지지를 지원하는 눌림지지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눌림지지핀은 상기 제1링크에 대해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의 간섭에 의한 후방으로의 탄성적 회동은 허용하되 진행방향을 따르는 정방향으로의 간섭에 의한 회동은 차단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5.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순환궤도를 따라 순환되는 순환부재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안착된 전복의 중량에 따라 눕힘동작을 하여 등급별 분류가 가능한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를 갖는 전복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메인 모터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송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을 구비하는 메인 구동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기 전복 선별접시 유니트에 대해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 선별구간 및 복귀구간이 순환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순환 레일부와;
    상기 순환 레일부의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로딩된 상기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와;
    상기 순환레일부의 선별구간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무게에 따라 이동중인 상기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의 수평지지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여 상기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가 눕힘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수평해제 유니트와;
    상기 메인 구동부를 제어하며, 이송되는 상기 상기 전복 선별 접시 유니트에 대해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정보에 따라 대응 되는 선별위치의 상기 수평해제 유니트에 도달하면 상기 수평해제 유니트가 수평지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복 선별접시 유니트는
    상기 순환부재에 결합되며 수직상으로 연장된 접시지지대와;
    상기 접시지지대가 상기 순환부재에 연동되어 순환회전되도록 상기 접시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외측내일에 구속상태로 이동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접시지지대에 제1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접시지지대를 가로질러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지지대와;
    상기 몸체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복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접시몸체와;
    상기 제1링크보다 하부에서 상기 몸체 지지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시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와;
    상기 순환궤도의 호형구간에서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몸체지지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접시몸체의 기울림 회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접시몸체의 상기 몸체지지대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접시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상의 상기 접시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접시몸체의 상기 접시지지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편중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선별접시의 도달에 대한 로딩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딩인식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인식센서에서 인식된 로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접시의 이송 현재위치를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구간에는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을 상부에서 지지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고정수평 내측내일과, 상기 고정수평 내측내일 사이에 배치되되 승하강에 의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을 간섭 또는 간섭해제시키는 승하강 수평내측내일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해제유니트는 상기 승하강 수평내측내일을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무게측정 및 공급구간에는 상기 몸체 지지대가 로딩되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의 간섭이 해제되게 상기 선별접시의 이동경로를 따라 부상상태로 설치된 로딩레일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브라켓을 통해 상기 로딩레일을 통해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해제유니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직상으로 연장된 승강지지바디와;
    상기 승강지지바디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연장되며 종단에 상기 승하강 수평내측내일이 결합된 시소바디와;
    상기 시소바디로부터 상기 시소바디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연장바디와;
    상기 연장바디를 로드의 진퇴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연장바디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드의 승강압이 해제되면 초기위치로 복원되게 중량을 갖는 중량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KR1020230033942A 2023-03-15 2023-03-15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 KR102654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942A KR102654783B1 (ko) 2023-03-15 2023-03-15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942A KR102654783B1 (ko) 2023-03-15 2023-03-15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783B1 true KR102654783B1 (ko) 2024-04-03

Family

ID=9066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942A KR102654783B1 (ko) 2023-03-15 2023-03-15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7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646A (ko) * 2004-08-25 2006-03-02 유영석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KR200446419Y1 (ko) * 2008-09-09 2009-10-28 유영석 전복선별장치
KR20130012266A (ko) * 2011-07-25 2013-02-04 (주)명성 전복선별기
KR102044606B1 (ko) * 2017-11-22 2019-11-13 이용구 기계식 및 전자식 겸용 중량 선별기
KR20200032574A (ko) * 2018-09-18 2020-03-26 (주)스케일트론 전복 공급 및 선별장치
KR102387037B1 (ko) * 2021-05-20 2022-04-14 김미정 전복선별장치용 컵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646A (ko) * 2004-08-25 2006-03-02 유영석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KR200446419Y1 (ko) * 2008-09-09 2009-10-28 유영석 전복선별장치
KR20130012266A (ko) * 2011-07-25 2013-02-04 (주)명성 전복선별기
KR102044606B1 (ko) * 2017-11-22 2019-11-13 이용구 기계식 및 전자식 겸용 중량 선별기
KR20200032574A (ko) * 2018-09-18 2020-03-26 (주)스케일트론 전복 공급 및 선별장치
KR102387037B1 (ko) * 2021-05-20 2022-04-14 김미정 전복선별장치용 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92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вейер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родуктов, в частности фруктов, служащее для из сортировки по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заданным параметрам
US20080093554A1 (en) Dual band imager with visible or SWIR detectors combined with uncooled LWIR detectors
CA2485409C (en) Pallet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247859A1 (en) Streamlined Pallet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EP3286116B1 (en) Baggage handling system
KR102654782B1 (ko) 전복 선별기
CN210230675U (zh) 一种分选机导轨
KR102654783B1 (ko) 전복선별 접시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전복 선별기
CN113333322A (zh) 一种电脑内存条加工用具有分拣结构的接触片检测装置
CN113233152A (zh) 电动车控制器铜排可翻转输送装置
US6079939A (en) Pallet handling apparatus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KR102583719B1 (ko) 전복 선별기의 전복 공급장치
JP4515662B2 (ja) 給紙方法
CN217888755U (zh) 一种具有多种筛分条件的摆轮分拣机
KR20220081205A (ko) 공병 자동회수 처리장치
KR20060041430A (ko) 자동 분배장치
CN219898469U (zh) 一种矿石磨粉传输装置
JP2501710B2 (ja) 球状物の階級判別装置
KR200362958Y1 (ko) 이물질 배출장치
US2722313A (en) Weight responsive grading machine
US20020098075A1 (en) Separating conveyor for stacked objects
EP0098693A1 (en) A ramp
JP2010104908A (ja) 作物選別装置
KR100797962B1 (ko) 컨베이어 스커트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언로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