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444B1 - 과일선별기 - Google Patents

과일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444B1
KR101836444B1 KR1020150179452A KR20150179452A KR101836444B1 KR 101836444 B1 KR101836444 B1 KR 101836444B1 KR 1020150179452 A KR1020150179452 A KR 1020150179452A KR 20150179452 A KR20150179452 A KR 20150179452A KR 101836444 B1 KR101836444 B1 KR 101836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elevating
fixing roller
fru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280A (ko
Inventor
최병훈
Original Assignee
최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훈 filed Critical 최병훈
Priority to KR102015017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4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스프로킷들에 감겨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선별대상 과일을 지지 및 이송시키면서 크기별로 상기 과일을 선별하는 것으로서, 구동체인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롤러와, 상호 인접된 상기 고정롤러들 사이의 구동체인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승강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유닛과, 승강롤러가 구동체인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수록 고정롤러와의 간극이 점점 커지도록 승강롤러를 고정롤러로부터 이격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가이드부재와,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상기 과일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 및 고정롤러의 상단이 상기 구동체인의 진행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는 회전유도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초기 구간에서 승강롤러와 고정롤러가 회전되므로 상기 과일들이 선별이 용이하도록 정렬되고,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과일이 끼여 으깨지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과일선별기{Fruit sorting machine}
본 발명은 과일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선별대상 과일을 지지하는 지지바들 사이에 외피가 무른 과일이 끼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하고, 선별기로부터 과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과일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수확된 배, 사과, 대추와 같은 청과물은 다양한 품질과 크기의 것 등이 섞여 있기 때문에 수확한 다음 선별하여 출하 또는 저장한다. 과일의 선별방법으로는 사람이 직접선별하는 인력 선별법과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기계 선별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과일의 상태를 보고 선별하는 인력 선별법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농촌의 노동인구 감소, 소비자의 욕구충족, 물류비용의 증가등으로 기계 선별 방법의 사용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산지의 일부 저장업체와 대부분의 포장센터에서는 생상자로부터 청과물을 매입 또는 위탁받아 기계 선별을 통해 포장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과일선별기는 중량식 선별기, 광학식 선별기 및 형상식 선별기로 구분된다. 형상식 선별기는 크기와 형상에 따라 선별되며, 크기와 중량편차가 있고 손상이 비교적 적은 청과물로 양파, 감자, 마늘, 감귤 등과, 크기가 비교적 작아 대량처리가 요구되는 방울토마토, 피망 등의 선별에 사용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5565호에서는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양파, 감자와 같은 청과물을 선별하는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선별시 청과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청과물의 선별정밀도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다수의 청과물을 차례로 공급하는 청과물 공급부와, 상기 청과물 공급부에서 차례로 공급된 청과물을 이송하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는 다수개의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가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넓어진 간극 사이로 청과물이 통과하면서 크기별로 선별되는 청과물 선별부 및 상기 청과물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각각의 청과물을 수납하는 청과물 수납부를 포함하는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청과물 선별부의 롤러부는 쌍으로 설치되는 고정롤러부와 이동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내설된 다수개의 선별롤러로서, 원통형으로 양단에서 중간부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된 선별롤러 및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된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고정롤러부와 이동롤러부 사이의 간극이 커지기 전인 초기 구간에서 롤러들 사이의 간극에 외피가 무른 청과가 끼어 으깨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초기 구간에 과일이 롤러들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과일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스프로킷들에 감겨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선별대상 과일을 지지 및 이송시키면서 크기별로 상기 과일을 선별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체인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롤러와, 상호 인접된 상기 고정롤러들 사이의 상기 구동체인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승강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유닛과, 상기 승강롤러가 상기 구동체인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고정롤러와의 간극이 점점 커지도록 상기 승강롤러를 상기 고정롤러로부터 이격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가이드부재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상기 과일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 및 고정롤러의 상단이 상기 구동체인의 진행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유도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 및 고정롤러의 상단에 하단이 접촉하여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가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롤러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유도부재는 상기 승강롤러 및 고정롤러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롤러지지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마찰돌기가 형성된 마찰패드를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는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상기 초기 구간에서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상기 과일이 인입되어 으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로 상기 과일의 인입을 방지하는 인입방지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인입방지부는 상기 구동체인 하측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인입되도록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플렉시블한 다수의 간섭브러쉬를 구비한다.
상기 인입방지부는 상기 초기 구간에 해당되는 상기 구동체인 하측의 상기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들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는 회전유도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초기 구간에서 승강롤러와 고정롤러가 회전되므로 상기 과일들이 선별이 용이하도록 정렬되고,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과일이 끼여 으깨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선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과일선별기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과일선별기의 롤러유닛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과일선별기의 롤러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롤러유닛에 연결되는 체인을 지지하는 체인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6은 회전유도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회전유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유도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선별기의 인입방지부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선별기의 인입방지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일선별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선별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과일선별기(100)는 프레임(200), 구동유닛(300), 롤러유닛(400), 승강가이드부재(500)를 구비한다.
프레임(2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수직부재(210),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제1 연장부재(220)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제2 연장부재(미도시)에 의해 사각의 구조물을 이룬다.
이때, 프레임(200)의 상부 좌우측면에는 후술되는 롤러유닛(400)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과일이 프레임(200)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이탈방지판(250)이 설치되어 있다.
이탈방지판(25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이탈방지판(250)은 프레임(200)의 상단부로부터 후술되는 구동유닛(300)의 구동체인(330)의 상측 이송부분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200)의 후방에는 롤러유닛(400)에 의해 선별되지 못한 크기의 과일을 수집하는 보조수집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수집부(240)는 프레임(200)에 설치된 구동체인(330)의 상측 이송부분보다 하측의 프레임(200) 후방면에 설치되어 롤러유닛(400)을 통해 이송되되, 선별되지 못한 과일을 수집하는 보조호퍼(241)와, 보조호퍼(241)의 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보조호퍼(241)를 통해 수집된 과일을 수용하는 보조용기(242)를 구비한다.
보조용기(242)는 내부에 과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고, 상면은 보조호퍼(241)로부터 배출되는 과일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롤러유닛(400)에 지지된 과일 중 선별되지 못한 과일은 롤러유닛(400)이 스프로킷에 의해 하강시, 롤러유닛(400)으로부터 이탈하여 보조호퍼(241)로 유입되고, 보조호퍼(241)를 통해 과일은 보조용기(242) 내로 유입되어 수집된다.
구동유닛(300)은 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310) 및 피동스프로킷(320), 스프로킷에 연결된 구동체인(330) 및 상기 구동스프로킷(31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40)를 구비한다.
구동스프로킷(310)은 프레임(20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프레임(200)의 양측 측면판에 각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구동축(311)에 좌우로 이격되도록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310)이 설치되어 있다.
피동스프로킷(320)은 프레임(200)의 전방에 설치되는데, 구동축(311)과 마찬가지로 프레임의 전방 양측 측면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종동축(321)에 좌우로 이격되도록 두 개의 피동스프로킷(3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스프로킷(320)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구동스프로킷(310)들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구동체인(330)은 구동스프로킷(310) 및 피동스프로킷(320)에 연결되며,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구동체인(33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복수개가 프레임(2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구동스프로킷(310) 및 피동스프로킷(320)에 설치된다.
구동모터(340)는 구동스프로킷(310)의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력을 동력전달부(341)를 통해 구동스프로킷(310)에 전달한다.
동력전달부(341)는 구동모터(340)에 설치된 제1스프로킷(342)과, 구동스프로킷(310)의 구동축(311)에 체결된 제2스프로킷(343)과, 제1 및 제2 스프로킷(342, 343)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40)를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구동스프로킷(310)에 전달하는 전달체인(344)을 구비한다.
롤러유닛(400)은 선별대상 과일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구동체인(330)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롤러(410)와, 상기 고정롤러(410)들 사이의 상기 구동체인(33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방지부(42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다수의 승강롤러(420)를 구비한다.
고정롤러(410)는 프레임(20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양단은 2개의 구동체인(33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고정롤러(410)는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구동체인(330)에 회전되지 않도록 양단부가 고정될 수도 있다.
승강롤러(420)는 고정롤러(410)들의 사이에서 프레임(20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회전방지부(421)의 구속바(4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롤러(420)는 중심부에 구속바(4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승강롤러(420)의 관통구는 승강롤러(420)가 구속바(42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속바(423)의 단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롤러(410)들의 사이에서 프레임(20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단이 구동체인(330)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방지부(421)에 의해 회전은 제한되고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원통형으로 지지드럼을 구비한다.
회전방지부(421)는 상호 인접된 고정롤러(410)들 사이의 구동체인(330)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슬라이딩홈(424)이 형성된 구속부재(422)와, 승강롤러(420)의 양단면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슬라이딩홈(424)에 의해 구속되는 구속바(423)를 구비한다.
구속부재(422)는 고정롤러(410)들 사이의 구동체인(330)들에 연결되는데, 승강롤러(420)의 양측 단부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양측 구동체인(330)에 상호 마주보는 위치로 설치된다. 구속부재(422)는 구동체인(330)의 내측에 고정되는 플랜지부(425)과, 플랜지부(42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홈(424)이 형성되어 있는 구속부(426)를 구비한다.
플랜지부(425)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구동체인(330)의 내측에 고정된다. 플랜지부(425)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용접에 의해 구동체인(33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구속부(426)는 슬라이딩홈(424)을 중심으로 양측 단부가 구동체인(330)의 연장방향을 따라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랜지부(42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구동체인(330)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폭이 점점 커지는 제1 경사구간(427)과, 제1 경사구간(427)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양측 폭이 점점 작아지는 제2 경사구간(428)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속부(426)는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이렇게 구속부(426)의 양측 단부를 구동체인(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시킨 것은 승강롤러(420)가 고정롤러(410)로부터 벌어져 과일이 크기에 따라 선별될 때, 상기 승강롤러(420) 및 고정롤러(410)가 지지되는 양측 단부의 지지부를 통해 과일이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승강롤러(420)가 상술한 구동스프로킷(310)과 피동스프로킷(320)에 감겨 회전할 때 구속부(426)들 사이에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경사구간(428)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바(423)는 승강롤러(42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424)으로 삽입되어 승강롤러(420)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속한다. 특히, 구속바(423)는 슬라이딩홈(424)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회전되지 않도록 슬라이딩홈(424)의 내면과 소정길이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승강롤러(420)는 상승 또는 하강 구동시, 회전방지부(42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외피가 무른 과일이 고정롤러(410)와의 간극에 끼어 파손되거나 뭉게지면서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승강가이드부재(500)는 승강롤러(420)가 고정롤러(410)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속바(423)가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가 체인에 의해 진행하는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점점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의 간극이 점점 커지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과일은 크기가 작은것부터 롤러유닛(400)을 통과해 낙하하게 되므로 과일 선별이 크기 별로 이루어지게 된다.
롤러유닛(400)에서 크기에 따라 선별된 과일은 상부와 하부의 롤러유닛 사이에 설치된 이송호퍼(6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저장된다. 이송호퍼(601)는 고정롤러(410) 및 승강롤러(420) 간극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과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일단은 구동체인(330)의 상측 이송부분의 하측에 대응되는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타단은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200)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다.
이송호퍼(601)는 내부로 유입된 과일을 프레임(200)의 외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은 타단이 일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다수의 이송호퍼(601)는 고정롤러(410) 및 승강롤러(420)의 간극이 수집하고자하는 과일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위치의 프레임(200)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일선별기(100)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과일 선별이 이루어지는 상측 롤러유닛(400)의 구동체인(330)이 구동스프로킷(310)과 피동스프로킷(320)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인유동 방지수단으로서 체인가이드부재(700)가 더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인가이드부재(700)는 구동체인(3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체인(33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스프로킷(310)과 피동스프로킷(32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체인가이드부재(700)는 피동스프로킷(320)과 인접한 프레임(200)의 전방으로부터 구동스프로킷(310)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는 제1 연장부(710)와, 제1 연장부(710)로부터 구동스프로킷(310)과 인접하는 프레임(200)의 후방을 향해 연장디는 제2 연장부(720)를 포함하는데, 제1 연장부(710)는 프레임(20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 연장될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연장부(720)는 제1 연장부(710)와 연결되는 일측으로부터 프레임(20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양측 단부에 비해 중심측의 높이가 높은 체인가이드부재(700)에 의해 구동체인(330)은 적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행 과정에서 구동체인(330)이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체인(330)이 상하로 유동하게 되면 구동체인(330)에 지지되어 있는 고정롤러(410)가 상하로 유동하게 되면서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과일 선별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동체인(3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체인가이드부재(700)의 역할이 중요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측 구간의 롤러유닛(400)에서 승강롤러(420)가 고정롤러(410)로부터 이격되게 하기 위하여 하강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승강롤러(420)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하도록 가이드하여 고정롤러(410)와 승강롤러(42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100)는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를 지지하는 회전유도부재(800)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일선별기(100)는 승강롤러(420)가 승강가이드부재(500)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선별대상 과일이 통과하여 과일을 그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유도부재(800)는 승강가이드부재(500)에 의해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소정의 초기 구간에 마련된다. 상기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에는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가 동일 높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유닛(300)에 의해 프레임(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렇게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가 이동하는 동안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회전유도부재(800)는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420) 및 고정롤러(410)의 상단이 상기 구동체인의 진행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상기 회전유도부재(800)는 프레임고정부(810)와 롤러지지부(820)를 구비한다.
프레임고정부(810)는 프레임(2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롤러지지부(820)는 상기 프레임고정부(810)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롤러지지부(820)의 하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의 상단이 접촉하여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를 회전유도부재(800)를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선별대상 과일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가 회전하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선별대상 과일이 승강롤러(420)나 고정롤러(410)에 지지되어 사이 간극으로 낙하하지 않고 진행하게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별대상 과일이 적정위치에 낙하하지 못하여 선별 정확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회전유도부재(800)를 통해 상술한 것처럼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를 회전시켜줌으로써 간극이 형성되기 전에 선별대상 과일들을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의 사이에 위치시켜 선별의 정확성을 높인다.
그런데,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의 상단부가 구동체인(33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한다면, 과일에는 구동체인(420)의 이동력과 같은 방향으로 승강롤러(420) 또는 고정롤러(410)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즉, 과일은 구동체인(420)의 이동력에 승강롤러(420) 또는 고정롤러(410)의 회전력이 더해져 보다 빠르게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20) 사이로 진입하게 되고, 부피가 작거나 무른 과일의 경우는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20) 사이에서 쉽게 으깨진다.
그러나, 상기 회전유도부재(800)는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의 상단부가 구동체인(330)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유도하므로 과일에는 구동체인(420)의 이동력의 반대방향으로 승강롤러(420) 또는 고정롤러(410)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승강롤러(420) 또는 고정롤러(410)의 회전력이 구동체인(420)의 이동력에 의해 일부 상쇄되어 과일은 비교적 느리게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20) 사이로 진입하게 되고,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20) 사이에서 쉽게 으깨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유도부재(83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유도부재(830)는 상기 승강롤러(420) 및 고정롤러(41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롤러지지부(820)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마찰돌기가 형성된 마찰패드(831)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마찰패드(831)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패드(811)는 승강롤러(420) 및 고정롤러(410)와 롤러지지부(820)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승강롤러(420) 및 고정롤러(410)가 회전되게 한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일 선별기(8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과일 선별기(850)는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상기 초기 구간에서 상기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에 상기 과일이 인입되어 으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로 상기 과일의 인입을 방지하는 인입방지부(8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인입방지부(860)는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지지판(861)과, 지지판(861)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간섭브러쉬(862)를 구비한다.
지지판(861)은 상기 초기 구간에 해당하는 구동체인 하측의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지지판(861)은 승강롤러(420) 및 고정롤러(41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섭브러쉬(862)는 지지판(861)의 상면에 상방으로 연장되는데, 상단부가 상기 초기구간을 통과하는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에 인입되는 길이로 연장된다. 또한, 간섭브러쉬(862)는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의 외주면에 접촉 시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고,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섭브러쉬(862)는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에 상단부가 인입되므로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로 인입되는 과일을 간섭하여 상기 과일이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에서 으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입방지부(87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인입방지부(870)는 상기 초기 구간에 해당되는 상기 구동체인 하측의 상기 프레임(200)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871)과, 상기 분사노즐(871)들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871)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분사노즐(871)들은 상면에 에어가 분사되기 위한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공급부는 상기 분사노즐(871)들에 연결되는 연결관(873)과, 상기 연결관(873)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873)을 통해 분사노즐(871)들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874)를 구비한다.
상기 분사노즐(871)들을 통해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에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므로 과일이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로의 진입이 방지되어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에 의해 으깨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과일 선별기
200: 프레임
300: 구동유닛
310: 구동스프로킷
320: 피동스프로킷
330: 구동체인
340: 구동모터
400: 롤러유닛
410: 고정롤러
420: 승강롤러
421: 회전방지부
422: 구속부재
423: 구속바
424: 슬라이딩홈
500: 승강가이드부재
700: 체인가이드부재
800; 회전유도부재
810; 프레임고정부 820; 롤러지지부

Claims (6)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스프로킷들에 감겨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선별대상 과일을 지지 및 이송시키면서 크기별로 상기 과일을 선별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체인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롤러와, 상호 인접된 상기 고정롤러들 사이의 상기 구동체인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승강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유닛과;
    상기 승강롤러가 상기 구동체인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고정롤러와의 간극이 점점 커지도록 상기 승강롤러를 상기 고정롤러로부터 이격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가이드부재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상기 과일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 및 고정롤러의 상단이 상기 구동체인의 진행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부재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상기 초기 구간에서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상기 과일이 인입되어 으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로 상기 과일의 인입을 방지하는 인입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와,
    상기 프레임고정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전의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승강롤러 및 고정롤러의 상단에 하단이 접촉하여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가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롤러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재는 상기 승강롤러 및 고정롤러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롤러지지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마찰돌기가 형성된 마찰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방지부는 상기 구동체인 하측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인입되도록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플렉시블한 다수의 간섭브러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방지부는 상기 초기 구간에 해당되는 상기 구동체인 하측의 상기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들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KR1020150179452A 2015-12-15 2015-12-15 과일선별기 KR101836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452A KR101836444B1 (ko) 2015-12-15 2015-12-15 과일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452A KR101836444B1 (ko) 2015-12-15 2015-12-15 과일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280A KR20170071280A (ko) 2017-06-23
KR101836444B1 true KR101836444B1 (ko) 2018-04-19

Family

ID=5928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452A KR101836444B1 (ko) 2015-12-15 2015-12-15 과일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5110B2 (en) 2020-10-19 2023-12-19 Premier Tech Technologies Ltée Sort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20B1 (ko) * 2020-03-06 2020-12-31 최병훈 롤러 확장형 선별기
KR20240006841A (ko) 2022-07-07 2024-01-16 장재욱 농수산물 목표중량조합 자동선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5110B2 (en) 2020-10-19 2023-12-19 Premier Tech Technologies Ltée Sort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280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867B1 (ko) 과일 선별기
KR101836444B1 (ko) 과일선별기
KR102161553B1 (ko) 마늘줄기 절단 및 마늘통 선별 장치
KR101609707B1 (ko) 다목적 리프트 선별기
KR101166759B1 (ko) 농작물 선별장치
KR101069002B1 (ko) 과일선별장치의 이송정렬장치
US7980382B2 (en) Guiding, distributing and fill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CN108704855A (zh) 自转式渐变分选机及操作方法
KR101993808B1 (ko) 과일 선별 장치
KR101991293B1 (ko)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KR101453504B1 (ko) 과일선별기
KR20200031378A (ko) 구형 농작물용 선별포장기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US20170238594A1 (en) Automatic machine for cleaning up and cutting fruit, particularly strawberries or radishes
CN113060474B (zh) 一种圆环链生产上料装置
US4832205A (en) Vibrator strips with increased spacing sorter
KR102234563B1 (ko) 과일 적재 시스템
KR101310712B1 (ko) 다목적 멀티 선별기
KR100590595B1 (ko)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KR200265565Y1 (ko)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
KR200443334Y1 (ko) 세립 임산물 선별기
KR101208356B1 (ko) 브러쉬롤에 의한 구형 농산물의 이물질 제거 겸용 선별기
KR101635460B1 (ko) 과실 선별기
CN210585745U (zh) 一种用于棒状果蔬的分级装置
KR101448432B1 (ko) 선별기용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