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619B1 -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 Google Patents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619B1
KR101662619B1 KR1020140109702A KR20140109702A KR101662619B1 KR 101662619 B1 KR101662619 B1 KR 101662619B1 KR 1020140109702 A KR1020140109702 A KR 1020140109702A KR 20140109702 A KR20140109702 A KR 20140109702A KR 101662619 B1 KR101662619 B1 KR 101662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s
fixing
eleva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376A (ko
Inventor
고찬규
Original Assignee
고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찬규 filed Critical 고찬규
Priority to KR102014010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6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12Sorting according to size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o particula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연결된 구동체인과, 상기 스프로킷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마련된 구동유닛과, 선별대상 청과물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체인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들 사이의 상기 구동체인에 가이드유닛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제1 및 제2승강롤러와, 상기 청과물이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크기별로 선별되기 위해 상기 롤러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롤러와 제1 및 제2승강롤러의 간극이 점차 커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구동체인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롤러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승하강되는 제1 및 제2승강롤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가 상호 간격이 일정하게 곡선 및 직선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청과물의 선별범위가 보다 확장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The lift roller grader}
본 발명은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청과물에 따라 선별기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수확된 배, 사과, 대추와 같은 청과물은 다양한 품질과 크기의 것 등이 섞여 있기 때문에 수확한 다음 선별하여 출하 또는 저장한다. 청과물의 선별방법으로는 사람이 직적 선별하는 인력 선별법과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기계 선별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청과물의 상태를 보고 선별하는 인력 선별법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농촌의 노동인구 감소, 소비자의 욕구충족, 물류비용의 증가 등으로 기계 선별 방법의 사용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산지의 일부 저장업체와 대부분의 포장센터에서는 생산자로부터 청과물을 매입 또는 위탁받아 기계 선별을 통해 포장작업을 실히하고 있다.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중량식 선별기, 광학식 선별기 및 형상식 선별기로 구분된다. 형상식 선별기는 크기와 형상에 따라 선별되며, 크기와 중량 편차가 있고, 손상이 비교적 적은 청과물로 양파, 감자, 마늘, 감귤 등과, 크기가 비교적 작아 대챵처리가 요구되는 방울토마토, 피망 등의 선별에 사용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5565호에는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다수의 청과물을 차례로 공급하는 청과물 공급부와, 상기 청과물 공급부에서 차례로 공급된 청과물을 이송하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는 다수개의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가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넓어진 간극 사이로 청과물이 통과하면서 크기별로 선별되는 청과물 선별부 및 상기 청과물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각각의 청과물을 수납하는 청과물 수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청과물 선별부의 롤러부는 쌍으로 설치되는 고정롤러부와 이동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내설된 다수개의 선별롤러로서, 원통형으로 양단에서 중간부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된 선별롤러, 및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된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고정된 복수의 고정롤러부 사이에 단일한 이동롤러부가 상방으로 이동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청과물의 선별범위가 비교적 협소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롤러부와 이동롤러부 의 중심부 이격거리를 P1이라 하고, 고정롤러부 및 이동롤러부의 외경을 d1이라고 하면, 청과물의 최소선별거리는 고정롤러부와 이동롤러부의 중심부 이격거리에서 고정롤러부 및 이동롤러부의 외경을 뺀 길이(LMin=P1-d1)이 된다. 또한, 청과물의 최대선별거리는 고정롤러부와 이동롤러부 의 중심부 이격거리의 2배에서 고정롤러부 및 이동롤러부의 외경을 뺀 길이(LMax=2P1-d1)가 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의 청과물 선별범위는 최대선별거리에서 최소선별거리를 뺀 값으로서, 고정롤러부와 이동롤러부 의 중심부 이격거리와 동일하여 비교적 협소하다.(LRange=LMax-LMin=(2P1-d1)-(P1-d1)=P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구동체인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롤러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승하강되는 제1 및 제2승강롤러가 마련되어 청과물의 선별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는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연결된 구동체인과, 상기 스프로킷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마련된 구동유닛과, 선별대상 청과물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체인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들 사이의 상기 구동체인에 가이드유닛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제1 및 제2승강롤러와, 상기 청과물이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크기별로 선별되기 위해 상기 구동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롤러와 제1 및 제2승강롤러의 간극이 점차 커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고정롤러들 사이의 상기 구동체인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체인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딩홈과, 상기 구동체인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승강롤러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제1가이드핀과,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승강롤러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제2가이드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슬라이딩홈은 상기 고정롤러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된 제1만곡홈과, 상기 제1만곡홈의 상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홈은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고정롤러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된 제2만곡홈과, 상기 제2만곡홈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된 제2연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만곡홈은 상기 제1만곡홈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전방으로 인접된 상기 고정롤러의 중심까지의 제1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가상의 제1가상원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되되,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후방에 인접된 상기 고정롤러의 회전중심까지의 제2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가상의 제2가상원과 상기 제1가상원이 상호 교차하는 교차점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만곡홈은 상기 제2가상원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및 제2가상원이 상호 교차하는 교차점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홈은 상기 제1 및 제2이격거리가 상호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핀에 설치된 제1롤러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롤러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제1롤러가 상기 고정롤러의 이동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롤러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핀에 설치된 제2롤러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롤러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제2롤러가 상기 고정롤러의 이동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롤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이드 레일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조절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의 전단부를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의 후단부를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구동체인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롤러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승하강되는 제1 및 제2승강롤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가 상호 간격이 일정하게 곡선 및 직선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청과물의 선별범위가 보다 확장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별기의 선별범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의 제1 및 제2승강롤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의 제1 및 제2승강롤러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 및 6은 도 2의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2의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의 제1조절부재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의 제2조절부재에 대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100)는 프레임(200)과, 구동유닛(300), 다수의 고정롤러(400), 제1승강롤러(501), 제2승강롤러(502), 승강유닛(700) 및 청과물수납부(700)를 구비한다.
프레임(2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수직부재(201),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제1연장부재(202)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제2연장부재(미도시)에 의해 사각의 구조물을 이룬다.
구동유닛(300)은 다수의 스프로킷(310), 복수의 구동체인(320), 구동모터(330), 동력전달부(340)를 구비한다.
스프로킷(310)은 프레임(200)의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2개의 구동체인(3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200)의 전방부에 2개의 스프로킷(310)이 설치되고, 프레임(200)의 후방부에 2개의 스프로킷(3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로킷(310)은 구동체인(320)이 치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체인(320)은 전후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킷(310)에 각각 연결되며, 프레임(2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상기 구동체인(320)은 고정롤러(4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브라켓(321)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330)는 프레임(200)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력을 동력전달부(340)를 통해 스프로킷(310)에 전달한다.
동력전달부(340)는 구동모터(330)의 회전축에 체결된 제1전달스프로킷(341)과, 프레임(200)의 후방부에 설치된 스프로킷(310)의 회전축에 체결된 제2전달스프로킷(342)과, 제1 및 제2전달스프로킷(341,342)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30)를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스프로킷(310)에 전달하는 전달체인(343)을 구비한다.
고정롤러(400)는 선별대상 청과물을 지지하여 이송시키기 위해 다수개가 구동체인(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고정롤러(400)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지지브라켓(321)들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는 고정된 고정롤러(400)들 사이의 구동체인(320)에, 가이드유닛(6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는 고정롤러(400)와 나란하게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가이드유닛(6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롤러(400) 사이에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고정롤러(400)들 사이에 단일한 승강롤러가 설치된 것보다 청과물 선별범위가 광범위하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롤러(400)와 제1승강롤러(501)의 중심부 이격거리 및 제2승강롤러(502)와 고정롤러(400)의 중심부 이격거리를 P2이라 하고, 고정롤러, 제1 및 제2승강롤러의 외경을 d2이라고 하면, 청과물의 최소선별거리는 고정롤러(400)와 제1승강롤러(501)의 중심부 이격거리에서 고정롤러, 제1 및 제2승강롤러의 외경을 뺀 길이(LMin=P2-d2)가 된다. 또한, 청과물의 최대선별거리는 고정롤러들(400)의 중심부 이격거리에서 고정롤러, 제1 및 제2승강롤러의 외경을 뺀 길이(LMax=3P2-d2)이 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의 청과물 선별범위는 최대선별거리에서 최소선별거리를 뺀 값으로서, 고정롤러(400)와 제1승강롤러(501)의 중심부 이격거리의 2배가 되므로 종래의 선별기에 비해 보다 넓은 선별범위를 갖는다.(LRange=LMax-LMin=(3P2-d2)-(P2-d2)=2P2)
상기 가이드유닛(600)은 상기 고정롤러(400)들 사이의 상기 구동체인(320)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체인(320)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딩홈(611)과, 상기 구동체인(320)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홈(612)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610)와, 상기 제1슬라이딩홈(6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승강롤러(501)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제1가이드핀(620)과, 상기 제2슬라이딩홈(6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승강롤러(502)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제2가이드핀(630)을 구비한다.
가이드플레이트(610)는 다수개가 고정롤러(400)들 사이의 구동체인(320)에 각각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구동체인(320)들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플레이트(6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구동체인(32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딩홈(611)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제1만곡홈(613)과 제1연장홈(614)을 포함한다.
제1만곡홈(613)은 가이드플레이트(610)의 전방에 인접된 고정롤러(400)로부터 후방으로 제1이격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10)에 형성된다. 제1만곡홈(613)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10)에 인접된 복수의 상기 고정롤러(400)의 회전중심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의 메인중심선(641) 상에 하단부의 중심이 위치하며, 상기 메인중심선(641)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1만곡홈(613)은 후술되는 제2슬라이딩홈(612)의 제2만곡홈(615) 하단부를 중심으로 가이드플레이트(610)의 후방에 인접된 고정롤러(400)의 회전중심까지의 제2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가상의 제2가상원(643)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1만곡홈(613)은 상기 제2가상원(643)과 상기 제1만곡홈(613)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가상의 제1가상원(642)이 상호 교차하는 접점으로부터 메인중심선(641)까지 연장된다.
제1연장홈(614)은 제1만곡홈(613)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제1연장홈(614)은 메인중심선(6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슬라이딩홈(612)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제2만곡홈(615)과 제2연장홈(616)을 포함한다.
제2만곡홈(615)은 제1만곡홈(613)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가이드플레이트(610)에 형성된다. 제2만곡홈(615)은 하단부 중심이 가상의 메인중심선(641)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중심선(641)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2만곡홈(615)은 상기 제1가상원(642)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가상원(642,643)이 상호 교차하는 교차점으로부터 메인중심선(641)까지 연장된다.
제2연장홈(616)은 제2만곡홈(615)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이때, 제2연장홈(616)은 메인중심선(6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가 승강유닛(700)에 의해 이동시, 가이드플레이트(610)의 전방측 고정롤러(400)와 제1승강롤러(501)의 간극,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의 간극 및 제2승강롤러(502)와 가이드플레이트(610)의 후방측 고정롤러(400)의 간극이 상호 동일하도록 제1이격거리와 제2이격거리는 상호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가상원(642,643)이 동일하고, 제1 및 제2가상원(642,643)의 중심을 지나는 선분의 중앙지점을 z라 하며, 제2가상원(643)의 원주 상의 임의의 점을 b라고 하고, z점을 기준으로 b점에 대칭인 제1가상원(642)의 원주 상의 점을 d라고 할 때, 가이드플레이트(610)의 전방측 고정롤러(400)와 제1승강롤러(501)의 간극(선분ab),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의 간극(선분bd) 및 제2승강롤러(502)와 가이드플레이티의 후방측 고정롤러(400)의 간극(선분de)이 동일함을 증명하면 다음과 같다.
삼각형abd의 꼭지점 b에서 선분 ad의 중심으로 중선을 긋고, 꼭지점 d에서 선분ab의 중심에 중선을 그어 두 중선의 교차점을 삼각형abd의 무게중심 o라 하면, 무게중심 o는 중선 az상에 존재한다. 또한, 무게중심에서 선분을 2:1로 양분하므로 선분ao:선분oz=2:1인 지점인 제1가상원의 중심이 삼각형abd의 무게중심이 된다.
삼각형 ado를 고려하면, 변ao와 변 do는 제1가상원의 지름이 길이가 상호 동일하므로 삼각형 ado는 이등변 삼각형이다. 이때, 선분 oy는 이등변 삼각형 aod의 밑변 ad에 등분선을 그은 것이므로 삼각형 aoy와 삼각형 doy는 동일한 삼감형이다. 따라서, 각 aoy 와 각 doy는 같다.
삼각형 aby와 삼각형 dby를 고려하면, 변 ay와 변 dy는 같고, 변 by는 공통이므로 사이각 ayb와 사이각 dyb는 90°로 상호 동일하다. 즉, 삼각형 aby와 삼각형 dby은 두 변의 길이가 같고, 사이각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삼각형이므로 선분 ab와 선분 db는 동일하다.
삼각형 abz와 삼각형 edz에서 변 az와 변 ez는 상호 동일하고, 변 bz와 변 dz는 상호 동일하며, 사이각이 같으므로 선분 ab와 선분 ed는 동일하다. 따라서, 선분 ab, 선분 bd 및 선분 de는 상호 동일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610)의 전방측 고정롤러(400)와 제1승강롤러(501)의 간극,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의 간극 및 제2승강롤러(502)와 가이드플레이티의 후방측 고정롤러(400)의 간극이 상호 동일하므로 고정롤러(400)들 사이에 동일한 폭의 배출공간이 3개가 마련된다.
제1가이드핀(620)은 제1슬라이딩홈(611)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승강롤러(501)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가이드핀(620)은 제1슬라이딩홈(611)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상기 제1슬라이딩홈(611)의 폭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제1가이드판이 고정되고, 제1가이드판의 좌우측면에는 제1가이드판이 제1슬라이딩홈(6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가이드판의 외경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복수의 제1이탈방지판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1가이드핀(620)은 제1승강롤러(501)의 회전중심에 동축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이드핀(630)은 제2슬라이딩홈(612)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승강롤러(502)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가이드핀(630)은 제2슬라이딩홈(612)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상기 제2슬라이딩홈(612)의 폭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제2가이드판이 고정되고, 상기 제2가이드판의 좌우측면에는 제2가이드판이 제2슬라이딩홈(6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가이판의 외경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복수의 제2이탈방지판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2가이드핀(630)은 제2승강롤러(502)의 회전중심에 동축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유닛(700)은 상기 청과물이 상기 고정롤러(400)와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크기별로 선별되기 위해 상기 롤러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롤러(400)와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의 간극이 점차 커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를 승강시킨다. 승강유닛(700)은 상기 제1가이드핀(620)에 설치된 제1롤러(711)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롤러(711)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체인(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제1롤러(711)가 상기 고정롤러(400)의 이동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롤러(40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 레일(710)과, 상기 제2가이드핀(630)에 설치된 제2롤러(721)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롤러(721)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체인(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제2롤러(721)가 상기 고정롤러(400)의 이동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롤러(40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이드 레일(720)을 구비한다.
제1가이드 레일(710)은 구동체인(320)을 기준으로 외측의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전단부가 상기 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가이드 레일(710)은 후단부에 제1보조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제1보조레일은 구동체인(320)으로부터 이격된 제1승강롤러(501)를 구동체인(320) 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후방으로 갈수록 구동체인(320)에 인접되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 레일(720)은 구동체인(320)을 기준으로 내측의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전단부가 상기 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가이드 레일(720)은 후단부에 제2보조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제2보조레일은 구동체인(320)으로부터 인격된 제2승강롤러(502)를 구동체인(320) 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후방으로 갈수록 구동체인(320)에 인접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2가이드 레일(720)은 메인중심선(641)에 대한 제1가이드 레일(710)의 경사각에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승강유닛(700)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조절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의 전단부를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730)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의 후단부를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740)를 구비한다.
제1조절부재(730)는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의 전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스크류(731)와, 상기 제1스크류(731)에 나사결합되며, 제1고정암(737)에 의해 제1가이드 레일(710)에 연결되는 제1상측 브라켓(732)과, 상기 제1스크류(731)에 나사결합되며, 제2고정암(738)에 의해 제2가이드 레일(720)에 연결되는 제1하측 브라켓(733)을 구비한다.
제1스크류(731)는 프레임(200)에 고정된 제1지지브라켓(73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1스크류(731)는 상단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제1핸들(73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스크류(731)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1나사부(735)가 마련되고, 제1스크류(731)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제1나사부(735)와 반대방향의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나사부(735)가 마련되어 있다.
제1상측 브라켓(732)은 제1나사부(735)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1중공이 마련되어 있다. 제1고정암(737)은 일단부가 제1상측 브라켓(73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가이드 레일(710)의 회동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힌지결합된다.
제1하측 브라켓(733)은 제2나사부(735)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2중공이 마련되어 있다. 제2고정암(738)은 일단부가 제1하측 브라켓(73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가이드 레일(720)의 회동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힌지결합된다.
제2조절부재(740)는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의 후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스크류(741)와, 상기 제2스크류(741)에 나사결합되며, 제3고정암(747)에 의해 제1가이드 레일(710)에 연결되는 제2상측 브라켓(742)과, 상기 제2스크류(741)에 나사결합되며, 제4고정암(748)에 의해 제2가이드 레일(720)에 연결되는 제2하측 브라켓(743)을 구비한다.
제2스크류(741)는 프레임(200)에 고정된 제2지지브라켓(74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서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2스크류(741)는 상단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제2핸들(74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스크류(741)의 상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3나사부(745)가 마련되고, 제2스크류(741)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제3나사부(745)와 반대방향의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4나사부(746)가 마련되어 있다.
제2상측 브라켓(742)은 제3나사부(745)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3중공이 마련되어 있다. 제3고정암(747)은 일단부가 제2상측 브라켓(74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가이드 레일(710)의 후단부에 힌지결합된다.
제2하측 브라켓(743)은 제4나사부(746)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4중공이 마련되어 있다. 제4고정암(748)은 일단부가 제2하측 브라켓(74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가이드 레일(720)의 후단부에 힌지결합된다.
작업자는 제1 및 제2핸들(739,749)을 통해 제1 및 제2스크류(741)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을 상호 이격되거나 인접되게 조절하여 구동체인(320)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정롤러(400)와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 사이의 간극의 변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고정롤러(400)와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에 의해 선별된 청과물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이송호퍼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호퍼는 구동체인(320)의 상측 이송부분의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200)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호퍼들은 상면이 개방되며, 구동체인(32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이송호퍼들은 수집된 청과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부가 구동체인(3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로킷(310)에 연결되는 구동체인(320)은 구동유닛(300)에 의해 폐궤도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구동체인(320)에 설치된 고정롤러(400)의 상부로 선별대상 청과물이 공급되면, 고정롤러(400)와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들에 의해 청과물들이 지지되어 이송된다. 이때, 고정롤러(400)와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 사이의 간극보다 작은 크기의 청과물들은 고정롤러(400)들 사이를 통과하여 이송호퍼들로 배출된다. 이동호퍼들에 수납된 청과물들은 상기 이송호퍼를 통해 프레임(200)의 외부로 이송된다.
이때, 승강유닛(700)에 의해 고정롤러(400)와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들 사이 간극이 조절된다.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에 의해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는 각각 제1 및 제2슬라이딩홈(612)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플레이트(610)의 전방측 고정롤러(400)와 제1승강롤러(501)의 간극,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의 간극 및 제2승강롤러(502)와 가이드플레이티의 후방측 고정롤러(400)의 간극이 상호 동일하므로 고정롤러(400)들 사이에 동일한 폭의 배출공간이 3개가 마련되므로 청과물의 선별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작업자는 조절유닛을 통해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710,720)의 경사도를 제어하여 구동체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정롤러(400)와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 사이의 간극의 변화량을 조절하므로 청과물의 선별기준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구동체인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롤러(40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승하강되는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501,502)가 상호 간격이 일정하게 곡선 및 직선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청과물의 선별범위가 보다 확장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200: 프레임
300: 구동유닛
310: 스프로킷
320: 구동체인
340: 동력전달부
400: 고정롤러
501: 제1승강롤러
502: 제2승강롤러
600: 가이드유닛
700: 승강유닛
710: 제1가이드 레일
720: 제2가이드 레일
730: 제1조절부재
740: 제2조절부재

Claims (6)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연결된 구동체인과, 상기 스프로킷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마련된 구동유닛과;
    선별대상 청과물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체인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들 사이의 상기 구동체인에 가이드유닛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제1 및 제2승강롤러와;
    상기 청과물이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크기별로 선별되기 위해 상기 구동체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롤러와 제1 및 제2승강롤러의 간극이 점차 커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승강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고정롤러들 사이의 상기 구동체인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체인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딩홈과, 상기 구동체인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승강롤러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제1가이드핀과,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승강롤러의 측면에 돌출형성된 제2가이드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홈은 상기 고정롤러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된 제1만곡홈과, 상기 제1만곡홈의 상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홈은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고정롤러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된 제2만곡홈과, 상기 제2만곡홈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된 제2연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만곡홈은 상기 제1만곡홈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전방으로 인접된 상기 고정롤러의 중심까지의 제1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가상의 제1가상원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되되,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후방에 인접된 상기 고정롤러의 회전중심까지의 제2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가상의 제2가상원과 상기 제1가상원이 상호 교차하는 교차점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만곡홈은 상기 제2가상원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및 제2가상원이 상호 교차하는 교차점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홈은 상기 제1 및 제2이격거리가 상호 동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핀에 설치된 제1롤러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롤러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제1롤러가 상기 고정롤러의 이동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롤러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핀에 설치된 제2롤러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롤러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제2롤러가 상기 고정롤러의 이동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롤러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조절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의 전단부를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의 후단부를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KR1020140109702A 2014-08-22 2014-08-22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KR101662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702A KR101662619B1 (ko) 2014-08-22 2014-08-22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702A KR101662619B1 (ko) 2014-08-22 2014-08-22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376A KR20160023376A (ko) 2016-03-03
KR101662619B1 true KR101662619B1 (ko) 2016-10-05

Family

ID=5553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702A KR101662619B1 (ko) 2014-08-22 2014-08-22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926B1 (ko) 2021-12-09 2022-07-05 주식회사 신진하이테크 선별롤러유닛과 이를 이용한 다목적 리프트 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946B1 (ko) * 2018-07-09 2019-05-17 조현성 어류 선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867B1 (ko) * 2011-07-06 2012-08-17 최병훈 과일 선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212A (ja) * 1995-08-28 1997-03-04 Iseki & Co Ltd ロ−ラ式選別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867B1 (ko) * 2011-07-06 2012-08-17 최병훈 과일 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926B1 (ko) 2021-12-09 2022-07-05 주식회사 신진하이테크 선별롤러유닛과 이를 이용한 다목적 리프트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376A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97688B (zh) 一种土豆分选装置
CN103328116A (zh) 分级机
KR101609707B1 (ko) 다목적 리프트 선별기
KR101662619B1 (ko)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KR102148212B1 (ko) 과일류 중량 선별기
KR102181393B1 (ko) 밭작물 선별장치
US20060113224A1 (en) Adjustable size sorting apparatus for small produce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KR101302907B1 (ko) 농산물 선별장치
US5810175A (en) Adjustable size sorting apparatus for round produce
CN209829485U (zh) 一种可调节分选间隙的马铃薯分选机
KR101836444B1 (ko) 과일선별기
KR101310712B1 (ko) 다목적 멀티 선별기
US4979624A (en) Sizing apparatus and proportional spacing mechanism
KR101453504B1 (ko) 과일선별기
KR100460538B1 (ko) 농산물 선별기
GB2222787A (en) Roller grader
KR101414687B1 (ko) 감자 선별장치
JP2008285328A (ja) 果菜自動選別方法及び果菜自動選別装置
KR20160000843U (ko) 벨트형 농산물 선별기
KR102415926B1 (ko) 선별롤러유닛과 이를 이용한 다목적 리프트 선별장치.
CN208407711U (zh) 小番茄分级机
KR20060046880A (ko)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US5012688A (en) Sizing apparatus and proportional spacing mechanism
JP4520535B2 (ja) 果菜自動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