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907B1 - 농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907B1
KR101302907B1 KR1020130005377A KR20130005377A KR101302907B1 KR 101302907 B1 KR101302907 B1 KR 101302907B1 KR 1020130005377 A KR1020130005377 A KR 1020130005377A KR 20130005377 A KR20130005377 A KR 20130005377A KR 101302907 B1 KR101302907 B1 KR 101302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s
input plate
moving panel
roller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식
배효정
Original Assignee
배효정
김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효정, 김창식 filed Critical 배효정
Priority to KR102013000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농산물 선별장치는 분류된 농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집하구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본체 패널 상부에 위치하면서 농산물이 상기 집하구에 낙하할 수 있도록 틀을 이루는 베드와, 상기 베드에 쌍을 이루면서 다수 설치됨과 아울러 그 외주면에 강선 스프링이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농산물의 크기에 따라 하부로 낙하시키는 회전 롤러와,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단부에 각각 스프로킷이 설치됨과 아울러 스프로킷과 체인을 매개로 연결된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을 통해 회전 롤러의 스프로킷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롤러 구동수단 및, 상기 베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농산물을 상기 회전 롤러에 투입할 수 있도록 된 투입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장치의 기능이 개선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농산물을 선별할 수 있고, 농산물 크기에 따른 회전 롤러의 폭을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인 농산물 선별작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농산물을 그 크기별로 간편하게 분류함으로써 작업시 작업성을 높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선별장치{A sorting apparatus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크기의 농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선별함과 아울러 효율적인 농산물 선별작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확된 농산물은 출하되기 전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크기 또는 무게별로 선별되는데, 이런 선별과정에서 객관적인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육안으로 농산물을 분류하여 선별과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수의 인원을 확보한 상태에서 인력에 의한 선별작업으로 인해 인건비와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근래에는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비용과 시간을 줄이며 선별하고 있다.
이러한 선별장치로는 무게식, 광학식, 형상식이 있는데 특히, 형상식은 농산물의 외형에 따라 구분하는 것으로 크기가 구분 기준이 된다.
농산물 특히, 과일이나 야채 등은 산지에서 수확한 후, 크기별 또는 중량별로 선별하여 규격별로 포장하여 출하하게 된다. 이처럼 크기별 또는 중량별로 선별하는 것을 자동으로 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농산물 선별장치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선별장치는 선별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선별 대상물을 분류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 롤러를 배치하여 선별 대상물이 크기별로 분류한다. 반면, 선별 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선별 대상물을 분류하는 종래의 선별장치는 중량감지부를 마련하여 기 설정된 중량을 갖는 선별 대상물을 각각의 중량에 따라 분류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산물 선별장치는 농산물 투입시 투입된 농산물이 골고루 투입되지 않고 한 곳에 몰리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작업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농산물의 크기에 따라 회전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하나 그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농산물 선별장치를 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농산물 선별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농산물을 장치에 효과적으로 투입함과 아울러 농산물 크기에 따른 회전 롤러의 폭을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인 농산물 선별작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농산물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류된 농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집하구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본체 패널 상부에 위치하면서 농산물이 상기 집하구에 낙하할 수 있도록 틀을 이루는 베드와, 상기 베드에 쌍을 이루면서 다수 설치됨과 아울러 그 외주면에 강선 스프링이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농산물의 크기에 따라 하부로 낙하시키는 회전 롤러와,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단부에 각각 스프로킷이 설치됨과 아울러 스프로킷과 체인을 매개로 연결된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을 통해 회전 롤러의 스프로킷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롤러 구동수단 및, 상기 베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농산물을 상기 회전 롤러에 투입할 수 있도록 된 투입판을 포함하여 농산물 선별장치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스프로킷이 설치된 부분에 각 회전 롤러와 회전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폭 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한 쌍의 회전 롤러 중 일측 회전 롤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 패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제1 이동패널과, 한 쌍의 회전 롤러 중 타측 회전 롤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 이동패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제2 이동패널 및, 상기 제1 이동패널과 제2 이동패널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레버의 회전을 통해 제1 이동패널과 제2 이동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송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폭 조절수단의 이송나사는 일정구간이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이루어져 그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이동패널과 제2 이동패널을 동시에 오므리거나 펼쳐줌으로써 상기 회전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투입판은 그 전방부에 각각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투입되는 농산물을 상기 회전 롤러와 회전 롤러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투입판은 그 배면부에 연결설치되어 동력전달용 스프로킷의 회전을 통해 투입판을 승하강시켜 투입판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된 진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투입판의 배면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승하강을 통해 투입판에 진동을 가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링크에 진동을 가하는 캠과, 상기 동력전달용 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스프로킷의 회전력으로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캠축 및, 상기 캠과 캠축을 상기 링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 패널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에 의하면, 장치의 기능이 개선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농산물을 선별할 수 있고, 농산물 크기에 따른 회전 롤러의 폭을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인 농산물 선별작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농산물을 그 크기별로 간편하게 분류함으로써 작업시 작업성을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측면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정면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롤러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롤러의 폭 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롤러의 폭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투입판에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판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수단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판 진동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이 농산물 선별장치(1)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10)과 베드(20)와 회전 롤러(30)와 롤러 구동수단(40) 및 투입판(50)으로 구성되어 크기가 다른 농산물을 크기별로 나누어 줄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농산물 선별장치(1)의 베이스 프레임(10)은 분류된 농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집하구(11)가 설치되고, 상기 베드(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본체 패널(21) 상부에 위치하면서 농산물이 상기 집하구(11)에 낙하할 수 있도록 틀을 이루는 것이며, 상기 회전 롤러(30)는 상기 베드(20)에 쌍을 이루면서 다수 설치됨과 아울러 그 외주면에 강선 스프링이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농산물의 크기에 따라 하부로 낙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 구동수단(40)은 상기 회전 롤러(30)의 일측 단부에 각각 스프로킷(41)이 설치됨과 아울러 스프로킷(41)과 체인(42)을 매개로 연결된 구동 스프로킷(43)의 회전을 통해 회전 롤러(30)의 스프로킷(4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고, 상기 투입판(50)은 상기 베드(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농산물을 상기 회전 롤러(30)에 투입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농산물을 상기 투입판(50)에 투입하여 상기 회전 롤러(30)에 공급하게 되면,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 롤러(30)의 회전에 의해 농산물이 전진하면서 그 크기에 따라 하부로 낙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집하구(11)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 롤러(30)의 경우 쌍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상기 투입판(50)쪽은 좁고 투입판(50)과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구조로서, 작은 크기의 농산물은 상기 투입판(50)과 가까운 곳에서 낙하되고, 크기가 클수록 상기 투입판(50)과 먼 곳에서 낙하됨으로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농산물 선별장치(1)에 설치된 상기 회전 롤러(30)는 선별할 농산물이 투입되면 회전 롤러(30)의 회전에 의해 농산물이 이동되며 이동중 회전 롤러(30)의 간격차에 의해 크기별로 분류되고, 상기 회전 롤러(30)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농산물을 이동시키면서도 농산물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판(50)은 선별할 농산물을 투입하는 곳으로 그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농산물 선별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투입판(50)을 상기 베드(20)에 접어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농산물 선별장치(1)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회전 롤러(30)는 상기 스프로킷(41)이 설치된 부분에 각 회전 롤러(30)와 회전 롤러(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폭 조절수단(60)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폭 조절수단(60)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61)를 회전시켜 쌍을 이루는 상기 회전 롤러(30)와 회전 롤러(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농산물 선별장치(1)의 폭 조절수단(60)을 통해 상기 회전 롤러(30)의 폭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 4와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폭 조절수단(60)은 선별할 농산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회전 롤러(3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폭 조절수단(60)은 한 쌍의 회전 롤러(30) 중 일측 회전 롤러(30b)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 패널(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제1 이동패널(62)과, 한 쌍의 회전 롤러(30) 중 타측 회전 롤러(30a)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 이동패널(6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제2 이동패널(63) 및, 상기 제1 이동패널(62)과 제2 이동패널(63)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레버(61)의 회전을 통해 제1 이동패널(62)과 제2 이동패널(63)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송나사(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폭 조절수단(60)은 레버(61)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이동패널(62)과 제2 이동패널(63)을 이동시킴으로써 이와 연결된 상기 회전 롤러(30)를 이동시키도록 된 것으로, 상기 레버(6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이동패널(62)의 절곡부와 제2 이동패널(63)의 절곡부 사이 간격을 넓혀주거나 좁혀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이동패널(62)과 제2 이동패널(63)에 각각 연결된 상기 회전 롤러(30)를 이동시켜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패널(62)과 제2 이동패널(63)에는 각각 슬롯(65)이 형성되어 이동되는 상기 회전 롤러(30)의 단부와 제1 이동패널(62) 및 제2 이동패널(63)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 조절수단(60)의 이송나사(64)는 일정구간이 각각 왼나사(64a)와 오른나사(64b)로 이루어져 그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이동패널(62)과 제2 이동패널(63)을 동시에 오므리거나 펼쳐줌으로써 상기 회전 롤러(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이송나사(64)의 왼나사(64a) 또는 오른나사(64b)의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1 이동패널(62)의 절곡부에 왼나사 너트(66)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이동패널(63)의 절곡부에 오른나사 너트(67)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송나사(64)를 통해 상기 레버(61)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1 이동패널(62)과 제2 이동패널(63)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농산물 선별장치(1)의 투입판(50) 구조를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투입판(50)은 그 전방부에 각각 가이드부재(51)가 설치되어 투입되는 농산물을 상기 회전 롤러(30)와 회전 롤러(30)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51)가 삼각뿔 형상을 이루면서 투입되는 농산물을 모아 상기 회전 롤러(30)와 회전 롤러(30) 사이 공간에 효과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농산물 선별장치(1)의 투입판(50)에 설치된 진동수단의 구조를 도 7과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투입판(50)은 그 배면부에 연결설치되어 동력전달용 스프로킷(71)의 회전을 통해 투입판(50)을 승하강시켜 투입판(5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된 진동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진동수단(70)의 작동을 통해 상기 투입판(50)에 상하방향으로 진동을 가함으로써 투입판(50)에 담겨진 농산물이 효과적으로 상기 회전 롤러(30) 사이에 투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수단(70)은 상기 투입판(50)의 배면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승하강을 통해 투입판(50)에 진동을 가하는 링크(72)와, 상기 링크(72)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링크(72)에 진동을 가하는 캠(73)과, 상기 동력전달용 스프로킷(71)과 체인(74)을 통해 연결되는 스프로킷(75)의 회전력으로 상기 캠(73)을 회전시키는 캠축(76) 및, 상기 캠(73)과 캠축(76)을 상기 링크(72)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 패널(21)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브라켓(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판(50)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상기 링크(72)가 설치되고, 상기 링크(72)의 하단부에는 링크(72)를 작동시키는 상기 캠(73)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캠(73)의 후방에는 상기 캠축(76)을 매개로 스프로킷(75)이 설치되어 이 스프로킷(75)을 상기 동력전달용 스프로킷(71)이 회전시킴으로써 캠(73)이 작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캠(73)의 회전을 통해 상기 링크(72)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링크(72)의 움직임에 따라 이와 연결된 상기 투입판(5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수단(70)을 통해 상기 투입판(50)에 진동이 가해짐으로써 투입판(50)에 투입된 농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농산물 선별장치(1)의 기능이 향상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농산물을 선별할 수 있고, 농산물의 원활한 투입과 선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농산물 선별작업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치의 효율적인 운용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농산물 선별장치 10 : 베이스 프레임
11 : 집하구 20 : 베드
21 : 본체 패널 30 : 회전 롤러
30a : 타측 회전 롤러 30b : 일측 회전 롤러
40 : 롤러 구동수단 41 : 스프로킷
42 : 체인 43 : 구동 스프로킷
50 : 투입판 51 : 가이드부재
60 : 폭 조절수단 61 : 레버
62 : 제1 이동패널 63 : 제2 이동패널
64 : 이송나사 64a : 왼나사
64b : 오른나사 65 : 슬롯
66 : 왼나사 너트 67 : 오른나사 너트
70 : 진동수단 71 : 동력전달용 스프로킷
72 : 링크 73 : 캠
74 : 체인 75 : 스프로킷
76 : 캠축 77 : 브라켓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분류된 농산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집하구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본체 패널 상부에 위치하면서 농산물이 상기 집하구에 낙하할 수 있도록 틀을 이루는 베드와, 상기 베드에 쌍을 이루면서 다수 설치됨과 아울러 그 외주면에 강선 스프링이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농산물을 이송시키면서 농산물의 크기에 따라 하부로 낙하시키는 회전 롤러와,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단부에 각각 스프로킷이 설치됨과 아울러 스프로킷과 체인을 매개로 연결된 구동 스프로킷의 회전을 통해 회전 롤러의 스프로킷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롤러 구동수단과, 상기 스프로킷이 설치된 부분에 구비되어 각 회전 롤러와 회전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폭 조절수단 및, 상기 베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농산물을 상기 회전 롤러에 투입할 수 있도록 된 투입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농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한 쌍의 회전 롤러 중 일측 회전 롤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 패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제1 이동패널과, 한 쌍의 회전 롤러 중 타측 회전 롤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 이동패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제2 이동패널 및, 상기 제1 이동패널과 제2 이동패널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레버의 회전을 통해 제1 이동패널과 제2 이동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송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수단의 이송나사는 일정구간이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이루어져 그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이동패널과 제2 이동패널을 동시에 오므리거나 펼쳐줌으로써 상기 회전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판은 그 배면부에 연결설치되어 동력전달용 스프로킷의 회전을 통해 투입판을 승하강시켜 투입판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된 진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투입판의 배면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승하강을 통해 투입판에 진동을 가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링크에 진동을 가하는 캠과, 상기 동력전달용 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스프로킷의 회전력으로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캠축 및, 상기 캠과 캠축을 상기 링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 패널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KR1020130005377A 2013-01-17 2013-01-17 농산물 선별장치 KR101302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377A KR101302907B1 (ko) 2013-01-17 2013-01-17 농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377A KR101302907B1 (ko) 2013-01-17 2013-01-17 농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907B1 true KR101302907B1 (ko) 2013-09-06

Family

ID=4945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377A KR101302907B1 (ko) 2013-01-17 2013-01-17 농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9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46B1 (ko) 2014-02-07 2014-08-18 삼부강업(주) 과일 선별기
KR101878387B1 (ko) * 2018-03-13 2018-07-13 전종호 선별력이 우수한 굼벵이 선별기
CN113385403A (zh) * 2021-05-07 2021-09-14 万林卫 一种农业用油菜种子筛选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517U (ko) * 2007-02-21 2008-08-26 염규철 세립 임산물 선별기
KR20120133728A (ko) * 2011-05-30 2012-12-11 조승제 다용도 자동선별기.
KR20130001658A (ko) * 2011-06-27 2013-01-04 조승제 다용도 자동선별기에서 스크류 로울러의 간격조정장치.
KR20130005816A (ko) * 2011-07-06 2013-01-16 조승제 다용도 자동선별기에서 스크류 로울러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탈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517U (ko) * 2007-02-21 2008-08-26 염규철 세립 임산물 선별기
KR20120133728A (ko) * 2011-05-30 2012-12-11 조승제 다용도 자동선별기.
KR20130001658A (ko) * 2011-06-27 2013-01-04 조승제 다용도 자동선별기에서 스크류 로울러의 간격조정장치.
KR20130005816A (ko) * 2011-07-06 2013-01-16 조승제 다용도 자동선별기에서 스크류 로울러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탈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46B1 (ko) 2014-02-07 2014-08-18 삼부강업(주) 과일 선별기
KR101878387B1 (ko) * 2018-03-13 2018-07-13 전종호 선별력이 우수한 굼벵이 선별기
CN113385403A (zh) * 2021-05-07 2021-09-14 万林卫 一种农业用油菜种子筛选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64649A1 (en) Method for separating the shell from seeds or fruit, sifting device, and selection device
US9120130B2 (en) Sorting apparatus
KR101302907B1 (ko) 농산물 선별장치
DK3031537T3 (en) SORTING APPLIANCE FOR POTATOES OR SIMILAR HARVESTED CROPS
ITPN20120041A1 (it) Impianto perfezionato per la regolazione della separazione di prodotti agricoli
KR101365839B1 (ko) 농산물 선별 장치
CN203737572U (zh) 茶叶分级机
US2335164A (en) Fruit and vegetable sizing machine
KR200480081Y1 (ko) 농산물 선별기
KR102084456B1 (ko) 연질 캡슐 자동 선별기
KR101662619B1 (ko)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KR101448432B1 (ko) 선별기용 공급장치
KR100460538B1 (ko) 농산물 선별기
AT510448A1 (de) Maschine zur sortierung und reinigung von erntegut wie weintrauben (traubenbeeren), früchte und gemüse
CN202377175U (zh) 一种可调分级间隙的干果分级机
US3698552A (en) Sorting machine
KR101414687B1 (ko) 감자 선별장치
CN110022996B (zh) 用于分级系统的调节机构
CN208482767U (zh) 一种用于蔬菜加工滚动筛选装置
CN203791220U (zh) 一种坡式分离去杂机
CN206383398U (zh) 一种灯杯自动送料装置
KR101448430B1 (ko) 농산물 선별장치에 적용되는 선별판가이드
CN205771535U (zh) 输送设备
KR101844671B1 (ko) 콩 정선기의 복각조절장치
KR101448431B1 (ko)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