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431B1 -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431B1
KR101448431B1 KR1020140058536A KR20140058536A KR101448431B1 KR 101448431 B1 KR101448431 B1 KR 101448431B1 KR 1020140058536 A KR1020140058536 A KR 1020140058536A KR 20140058536 A KR20140058536 A KR 20140058536A KR 101448431 B1 KR101448431 B1 KR 101448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onveying
garlic
body frame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계훈
Original Assignee
노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계훈 filed Critical 노계훈
Priority to KR102014005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5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using material mover cooperating with retainer, deflector or dischar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0Screens in the form of endless mov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 없이 기존의 동력수단을 그대로 이용하여, 선별을 위한 공급 대상물이 선별기의 선별부재에 서로 겹치지 않고 일렬로 동일 평면상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공급호퍼의 높이 및 각도 조정을 통해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기존 선별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선별기에 공급하는 대상물의 다양한 형상 및 크기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범용성을 강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Description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BOTTOM-UP SUPPLY GRADER}
본 발명은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별도로 동력수단을 구비하는 일 없이 기존의 동력수단을 그대로 이용하여 공급 대상물을 선별기의 이송수단에 한줄씩 겹치쳐 쌓이지 않고 동일 평면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작업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공급부의 높이 조정을 통해 작업자의 작업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기존 선별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별하고자 하는 대상물(이하 선별대상물이라 칭함)을 선별기에 공급하는 선별기 공급장치는 선별대상물의 형상 및 크기 등을 고려한 전용선별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선별기에 부착 내지는 일체화시켜 필요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선별기의 일례로서 농가에서 사용하는 농산물 선별기가 있는데, 본원에서는 이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수확된 농산물은 크기나 무게에 따라 선별하여 그 등급을 정하는 선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종래 통상적인 농산물의 크기를 선별하는 선별작업은 여러 작업자의 수작업에서 이루어지거나 기계화된 선별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농산물이라 함은 통상의 과일, 채소 및 뿌리작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서, 본원에서는 더 구체적으로 농산물 중 통마늘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인 종래의 통마늘 선별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253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별하고자 하는 마늘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면서 복수의 칸막이가 설치되어 칸칸으로 나뉘어져 있는 선별판 사이를 통과하면서 마늘을 선별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고정되어 있는 선별판의 폭에 따라 작은 폭을 가지는 전방으로 크기가 큰 마늘이 유입될 경우,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681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통마늘에 진동을 주어 고르게 펴주면서 통마늘의 진행방향으로 칸칸이 나누어진 진동판을 통하여 이송되는 통마늘을 촬영과 함께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통마늘을 선별하는 선별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선별장치의 구조가 상당히 복작함은 물론 제작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됨과 아울러 제어부에서 약간의 이상이 발생할 경우 선별 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911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스프링 상에서 통마늘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선별스프링의 설정된 간격에 따라 선별하는 기술 또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선별스프링의 셋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와, 선별스프링의 셋팅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선별스프링의 간격 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선별작업이 정확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투자의 결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5158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이라 칭함)의 발명을 완성하여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선행특허문헌 1의 경우 상기 선별장치가 통마늘을 선별할수 있도록 통마늘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호퍼 또는 컨베이어벨트를 이탈방지가이드(12) 일측에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공급된 마늘이 선별판에 일시에 공급됨으로써 마늘이 선별판 위에 수북히 쌓인 상태에서 이송되게 되어, 수북히 쌓인 최상단의 마늘은 그 직경에 맞는 배출통로(26)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다음 직경의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콘베이어 상에 수북히 쌓인 마늘을 동일 평면상으로 펼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5590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라 칭함)에서는 이송돌기(101a)가 형성된 이송콘베이어(101)를 통해 마늘을 이송하고 있으나, 이 역시 상기 등간격으로 형성된 이송돌기에 마늘이 일렬로 걸리도록 하는 별도의 수작업이 병행되야하는 공통적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2180호(이하 선행특허문헌 3이라 칭함)에서는 컨베이어(31)에 걸림부재(36)를 일정 간격으로 부착한 이송바(35)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걸려지는 참외를 이송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나, 이 역시 상기 걸림부재에 참외가 일렬로 걸리도록 하는 별도의 수작업이 병행되야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742호(이하 선행특허문헌 4라 칭함)에서는 종동풀리(30) 측면에 각 변이 내측으로 곡면을 이루는 돌출된 삼각형상의 걸림턱(34)형성하여, 받침판(52)과 종동풀리(30) 사이에 삽입되어 요동하는 과일을 상기 걸림턱(34) 부분이 밀어내면서 배출시키도록 한 것이나, 이는 상기 컬림턱의 형상에 따라 최대 3개의 과일만 공급이되므로 그 효율성에 한계가 있고, 특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선별대상물에만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의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선행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5158호 선행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5590호 선행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759호 선행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7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 없이 기존의 동력수단을 그대로 이용하여, 선별을 위한 공급 대상물이 선별기의 선별부재에 서로 겹치지 않고 일렬로 동일 평면상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공급호퍼의 높이 및 각도 조정을 통해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기존 선별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선별기에 공급하는 대상물의 다양한 형상 및 크기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범용성을 강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는 본체프레임 및 선별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통상의 선별기에 선별대상물을 상향공급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공급부재; 상기 공급부재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재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는 정렬부재의 회전방향은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는 가이드측판; 상기 가이드측판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롤러 및 타단에 형성된 하부롤러; 상기 상하부롤러를 매개로 회전하는 이송콘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콘베이어에는 선별대상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이송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이송돌기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측판 일단에는 브라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에 힌지연결되되,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접촉부위 형상에 부합되게 절곡되어 있어 상기 본체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또한 상기 공급부재는 호퍼 또는 트레이 구조로서, 상기 이송부재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좌우틀; 및 상기 좌우틀을 연결하는 저면받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부는 상기 좌우틀에 다수 형성된 연결공 중 어느 하나에 힌지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저면받이부 저부에는 신축식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단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선별부와 접촉되게 위치하는 안내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선별부의 선별작업시 선별부와 접촉하면서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첫째, 상향식 공급장치는 선별대상물이 선별기의 아래 위치에서 선별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을 의미하는 바, 이러한 특성상 공급부재, 즉 호퍼 또는 트레이의 위치가 작업자의 허리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써 작업자가 공급부재에 선별대상물을 공급하여 적재하기가 매우 용이해져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 없이 기존의 동력수단을 그대로 이용하므로써 구조가 간단해짐에 따라 제작비용이 감소하고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전자식 제어가 아닌 선별기의 자체 동력을 이용한 기계식 작동에 의해, 선별대상물이 선별기의 선별부재에 서로 겹치지 않고 일렬로 동일 평면상에 공급되므로써, 인력에 의한 수작업이 필요 없어져 작업효율 증대 및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공급부재의 높이 및 각도조정을 통해 작업자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작업자 맞춤형 공급부재 높이 설정이 가능해져 편의성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 상기 공급부재를 타고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선별대상물의 낙하속도의 조절이 가능해져 이송부재에 적재되는 적재량을 조절할수 있게 되어 이송부재의 부하조절이 가능해짐에 따라 선별대상물의 공급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일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를 선별에 부착하여 농산물에 사용할 경우 농산물의 특성상 일년 중 수확기에만 사용하게 되는 바, 이에 따른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기존 선별기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다양한 폭을 갖는 이송돌기가 형성된 이송콘베이어를 교체함으로써선별대상물의 다양한 형상 및 크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단순히 상기 이송돌기와 접촉하는 정렬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 만으로도 선별대상물의 다양한 형상 및 크기에도 적용 가능하게 되어 범용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의 공급부재, 정렬부재, 안내부재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의 공급부재 및 이송부재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의 본체 보관 안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의 이송부재 구동 실시예에 따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의 정렬부재 및 이송부재 이송 매카니즘 안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의 안내부재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가 부착되는 선별기는 그 선별방식에 특별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좀더 쉬운 이해를 돕고자 상기 선별기에 대하여 본 출원인이 선행특허문헌 1을 통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뿌리작물 선별장치를 일례로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를 상기 선행특허문헌 1에 부착하는 것을 일례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시 한번 언급하지만 본원에서 선행특허문헌 1을 토대로 설명하는 것은 좀더 쉬운 이해를 돕고자 함이므로 선별기가 선행특허문헌 1에 국한되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선행특허문헌 1은 본체 프레임(1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0);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동일한 간격으로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선별판(25);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되는 선별판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통로의 폭을 가변시키는 선별판 폭 조절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판 폭 조절부재는 선별판이 이송되는 방향의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선별판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작물 선별장치이다.
그런데 선행특허문헌 1의 경우 상기 선별장치가 통마늘을 선별할수 있도록 통마늘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호퍼 또는 컨베이어벨트를 이탈방지가이드(12) 일측에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공급된 마늘이 선별판에 일시에 공급됨으로써 마늘이 선별판 위에 수북히 쌓인 상태에서 이송되게 되어, 수북히 쌓인 최상단의 마늘은 그 직경에 맞는 배출통로(26)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즉 밑에 깔린 마늘이 먼저 배출되기 때문에 최하단 마늘 위에 겹쳐져 있는 상단 마늘들은 적정 직경의 배출통로로 배출되지 못하고, 다음 직경의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콘베이어 상에 수북히 쌓인 마늘을 동일 평면상으로 펼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했다.
따라서 본원은 상기 선별기의 선별부, 즉 선별판(25)에 마늘이 일렬로 동일평면상에, 즉 선별판에 마늘이 한줄씩만 놓이되 서로 겹쳐서 쌓이지 않으면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급부재(100), 정렬부재(200), 이송부재(300), 안내부재(400)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본체프레임(10)에 일단이 연결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부재(300), 상기 이송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공급부재(100), 상기 공급부재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는 정렬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재(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투하한 마늘이 하기할 이송부재 측으로 자유낙하하여 적재되도록 이송부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호퍼 또는 트레이 구조로서,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재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좌우틀(110) 및 상기 좌우틀을 연결하는 저면받이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틀에 다수의 연결공(111)을 형성하여 상기 정렬부재(200)가 상기 다수의 연결공(111) 중 어느 하나에 힌지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저면받이부는 다수의 타공(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어 있어 마늘의 껍질이 상기 타공을 통해 자유낙하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저면받이부 저부에는 신축식 지지부(130)를 형성하여 상기 신축식 지지부의 신축을 통해 작업자가 마늘을 상기 공급부재에 투하시 작업자가 자신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작업자 맞춤형 공급부재 높이 설정을 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 향상 및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부재를 타고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선별대상물의 낙하속도의 조절이 가능해져 이송부재에 적재되는 적재량을 조절할수 있게 되어 이송부재의 부하조절이 가능해짐에 따라 선별대상물의 공급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신축식 지지부의 신축량 조절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할 수 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자식 자동 신축량 조절도 가능하다.
즉, 작업자가 마늘을 상기 공급부재에 투하하게 되면, 마늘은 상기 신축식 지지부가 형성된 공급부재 타단으로부터 상기 이송부재와 연결되는 공급부재 일단으로 자중에 의해 상기 저면받이부를 타고 자유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농산물의 특성상 일년에 수확기에만 사용하게 되는 바, 이에 따른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기존 선별기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부재의 일단은 상기 이송부재와 힌지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우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이송부재의 폭보다 다소 크고, 상기 공급부재이 길이도 상기 이송부재의 길이보다 커서 상기 힌지를 통해 공급부재를 회전할 경우 상기 공급부재가 상기 이송부재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신축식 지지부(130) 역시 상기 저면받이부에 절첩이 되도록 하여 보관의 용이성을 극대화 한다.
상기 이송부재(300)는,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공급부재에 의해 적재된 마늘을 상기 선별기로 이송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는 가이드측판(310); 상기 가이드측판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롤러(320) 및 타단에 형성된 하부롤러(330); 상기 상하부롤러를 매개로 회전하는 이송콘베이어(340)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부는 상기 이송돌기(341)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측판의 타단에는 하부지지부(350)를 형성하여 지면과 맞닿으면서 상기 가이드측판을 지지하도록 한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공급부재만 상기 이송부재에 절첩하여 보관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측판에는 브라켓(360)을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에 힌지연결시키되,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접촉부위 형상에 부합되게 "ㄱ"자형으로 절곡시켜 상기 힌지 연결을 위한 결합핀(361)을 탈거한 후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상기 공급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가 일체로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엊혀지게 하여 보관 및 이동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마늘의 이송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마늘을 상기 공급부재에 투하하면, 마늘은 상기 신축식 지지부가 형성된 공급부재 타단으로부터 상기 이송부재와 연결되는 공급부재 일단으로 자중에 의해 상기 저면받이부를 타고 자유낙하한다. 이어서 상기 공급부재 일단에 적재된 마늘은 상기 이송콘베이어의 이송돌기에 얹혀져 선별판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재의 구동은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할 필요 없이 선별기의 선별판을 이송하는 동력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일례로서 상기 상부롤러(320)의 롤러축(321)을 베어링(322)을 매개로 상기 가이드측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한 후 상기 롤러축(321)에 롤러축 스프로켓(323)을 형성하여 엔드리스체인(324)으로 동력원에 연결하므로서 가능해진다.
상기 정렬부재(200)는, 다시 도 2를 찹조하면, 상기 이송콘베이어의 이송돌기(341)에 얹혀지는 마늘이 상기 이송돌기에 한줄씩 정확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정렬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공급부재의 좌우틀에 다수 형성된 연결공(111)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돌기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정렬부재의 회전방향은 상기 이송콘베이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가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을 참조하면, 정렬부재는 상기 이송돌기와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이송콘베이어(시계방향은 이송콘베이어의 설치방향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기준으로 설정한 방향임)는 일정길이(c) 만큼 돌출되는 이송돌기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때 이송돌기는 이송콘베이어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가 상기 정렬부재와 접촉하게 되면, 일정길이(a)를 갖는 정렬부재와 중첩길이(b) 만큼 중첩되면서 상기 정렬부재를 밀어 올리리고 시계반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정렬부재는 상기 이송돌기의 회전에 의해 밀어올려져 상기 중첩길이를 줄여가면서(b에서 b`로) 힌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공급부재에서 부터 상기 정렬부재에 까지 이어져 오는 경사로 인해, 마늘들(s)은 상기 정렬부재와 이송콘베이어에 중첩되게 적재되어 있다가 상기 이송돌기를 만나면 한줄(s1)은 이송돌기에 얹혀지고 나머지 마늘(s2)은 상기 이송돌기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반시계반향으로 젓혀지면서 회전하는 정렬부재에 의해 다시 공급부재 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정렬부재를 지나간 이송돌기에는 항상 마늘이 일렬로 한줄씩, 동일평면상에 존재하게 된다. 즉, 선별판에 마늘이 한줄씩만 놓이되 서로 겹쳐서 쌓이지 않게 되도록 하는 기초과정을 제공한다.
이렇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늘(S2)를 상기 공급부재로 반송했던 정렬부재는 상기 이송돌기가 지나가고 나면 자중에 의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자리를 유지하고 있다가 다시 돌아오는 이송돌기를 맞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 지면서 마늘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이송돌기 길이(c)에서 중첩길이(b)를 뺀 나머지, 즉 한줄의 마늘이 얹혀지는 길이는 마늘 폭의 50%~80%(통상 마늘이 40mm 정도이므로 20mm~32mm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50% 미만일 경우 마늘이 상기 이송돌기에 제대로 안착되지 못하고 다시 상기 정렬부재에 의해 공급부재로 반송되게 되고, 만일 80% 이상될 경우 상기 이송돌기에 마늘이 한줄이 아닌 두줄씩 얹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통상의 기술자가 선별대상(마늘 뿐만 아니라 과일 등)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상기 이송돌기(c) 및 정렬부재 길이(a)뿐만 아니라 이송돌기의 갯수 등을 적절히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렬부재이 길이(a), 이송돌기의 길이(c) 및 중첩길이(b)는 선별대상물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상기 정렬부재를 좌우틀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공에 선택적으로 힌지연결하므로서 상기 중첩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즉 정렬부재를 선별부 측에 가까운 연결공에 연결하면 중첩길이는 많아지고, 선별부 측과 먼쪽의 연결공에 연결하면 중첩길이는 작아짐), 선별대상에 따라 상기 정렬부재 및 이송콘베이어를 교체하지 않고도 일정범위 내에서는 다종의 선별대상을 선별기에 한줄로 쌓이지 않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급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마늘을 상기 공급부재에 투하하면, 마늘은 상기 신축식 지지부가 형성된 공급부재 타단으로부터 상기 이송부재와 연결되는 공급부재 일단으로 자중에 의해 상기 저면받이부를 타고 자유낙하한다. 이어서 상기 공급부재 일단에 연결된 정렬부재에 적재된 마늘은 상기 이송콘베이어의 이송돌기에 얹혀져 선별판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콘베이어의 이송돌기(341)에 한줄씩만 얹혀지고 나머지는 정렬부재의 회전에 의해 다시 공급부재 측으로 반송되게 되어 결국 선별판에는 한줄씩만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400)는,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콘베이어의 이송돌기(341)에 얹혀져 선별판으로 이송되는 마늘이 상기 선별판에 정확하게 안착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단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선별부와 접촉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를 본체프레임에 설치해도 되지만 이송부재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서 상기 이송콘베이어의 이송돌기에 얹혀져 낙하하는 마늘을 상기 안내부재가 선별판으로 정확하게 안내함은 물론 일측이 힌지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해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안내판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 타단이 상기 정렬부재와 동일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낙하하는 마늘을 탄성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안내부재는 선별판(이 경우 t1으로 표기함)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들린 상태에서 상기 이송돌기로부터 상기 마늘(s1)이 낙하하게 되고, 곧 선별판이 상기 안내부재를 지나가자 마자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안내부재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들어줬던 선별판(t1)에 상기 마늘(s1)을 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이 과정은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선별판의 회전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오르락 내리락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마늘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선별부의 선별작업시 선별판과 접촉하면서 회전운동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안내부재는 힌지연결하는 안내핀(410)을 제거함으로써 탈부착할 수 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선별대상물을 특성을 고려하여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보관 및 이동시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공급부재
110: 좌우틀 120: 저면받이부 130: 신축식 지지부
200: 정렬부재
300: 이송부재
310: 가이드측판 320: 상부롤러 330: 하부롤러
340: 이송콘베이어 350: 하부지지부 360: 브라켓
400: 안내부재 410: 안내핀

Claims (7)

  1. 본체프레임 및 선별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통상의 선별기에 선별대상물을 상향공급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공급부재;
    상기 공급부재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재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는 정렬부재의 회전방향은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는 가이드측판;
    상기 가이드측판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롤러 및 타단에 형성된 하부롤러;
    상기 상하부롤러를 매개로 회전하는 이송콘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콘베이어에는 선별대상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이송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이송돌기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측판 일단에는 브라켓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에 힌지연결되되,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접촉부위 형상에 부합되게 절곡되어 있어 상기 본체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는 호퍼 또는 트레이 구조로서, 상기 이송부재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좌우틀; 및 상기 좌우틀을 연결하는 저면받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렬부는 상기 좌우틀에 다수 형성된 연결공 중 어느 하나에 힌지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면받이부 저부에는 신축식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단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선별부와 접촉되게 위치하는 안내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7. 삭제
KR1020140058536A 2014-05-15 2014-05-15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KR101448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36A KR101448431B1 (ko) 2014-05-15 2014-05-15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36A KR101448431B1 (ko) 2014-05-15 2014-05-15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431B1 true KR101448431B1 (ko) 2014-10-07

Family

ID=5199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536A KR101448431B1 (ko) 2014-05-15 2014-05-15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4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080U (ja) * 1991-12-05 1993-06-29 有限会社武藤選果機製作所 農産物の選別装置
JP2005058853A (ja) 2003-08-08 2005-03-10 Kanebo Ltd 選別装置、選別方法および整列装置
JP2009061424A (ja) * 2007-09-07 2009-03-26 Circle Iron Work Co Ltd 農産物分別装置
KR101182180B1 (ko) * 2012-04-06 2012-09-17 백영자 참외 선별 및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080U (ja) * 1991-12-05 1993-06-29 有限会社武藤選果機製作所 農産物の選別装置
JP2005058853A (ja) 2003-08-08 2005-03-10 Kanebo Ltd 選別装置、選別方法および整列装置
JP2009061424A (ja) * 2007-09-07 2009-03-26 Circle Iron Work Co Ltd 農産物分別装置
KR101182180B1 (ko) * 2012-04-06 2012-09-17 백영자 참외 선별 및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7647A1 (en) Piler Conveyor System
KR101365158B1 (ko) 뿌리작물 선별장치
GB2535696A (en) Planter
KR101448432B1 (ko) 선별기용 공급장치
US4666140A (en) Self-contained serially arranged plural section conveyor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KR101448431B1 (ko)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US1868356A (en) Fruit sizing machine
KR20160041406A (ko)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절기
JP5593020B2 (ja) 選別装置
US20220411203A1 (en) Insert feed unit as well as a method for its operation
NL2012909B1 (nl) Verdeelsysteem voor het aan een verenkelaar aanvoeren van onregelmatig gevormde producten, zoals peren, en transportsysteem en werkwijze daarvoor.
US3326351A (en) Pre-orienter aligner
KR100590595B1 (ko)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US20090090255A1 (en) Agricultural product peeling apparatus
KR100816784B1 (ko) 고추 선별기
JPH0450872B2 (ko)
US460202A (en) Apparatus for handling cotton
KR101921185B1 (ko) 과일 선별기용 트레이 자동 공급 장치
JP5439829B2 (ja) 整列搬送装置
US2625255A (en) Distributing and feeding mechanism
KR101797159B1 (ko) 박스재배 농작물 수확장치
JPS6012629Y2 (ja) 果物等の選別コンベヤ用被選別物供給装置
KR102652341B1 (ko) 호두 중량 선별용 호두 이송공급기
US6176366B1 (en) Apparatus for the supply of ba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