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372A - 과일 선별기 - Google Patents

과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372A
KR20170036372A KR1020150135452A KR20150135452A KR20170036372A KR 20170036372 A KR20170036372 A KR 20170036372A KR 1020150135452 A KR1020150135452 A KR 1020150135452A KR 20150135452 A KR20150135452 A KR 20150135452A KR 20170036372 A KR20170036372 A KR 20170036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orting
fruit
sorting device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열
Original Assignee
유춘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열 filed Critical 유춘열
Priority to KR102015013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6372A/ko
Publication of KR2017003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기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되는 과일을 선별장치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다수의 계량트레이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수납하여 선별하도록 된 선별장치를 포함하는 과일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의 선별장치 프레임에 지지되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수단; 및 상기 공급장치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시킴으로써 공급장치를 선별장치와 연결하도록 하는 홀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선별장치와 공급장치의 연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지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정확하고 균일한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과일 등의 선별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일 선별기{FRUIT SORTER}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과일이나 농수산물 등을 자동으로 선별하는 과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을 공급하는 과일공급장치와 과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으면서 장소에 관계없이 정확하고 안정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과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이나 구형(求刑)의 채소 및 어패류 등(이하 '과일'이라 함)은 크기와 중량에 따라 구분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일의 선별 작업에는 중량에 따라 자동으로 선별 분류하는 과일 선별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 많이 사용되는 과일 선별기의 선별장치는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서,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계량 컵에 하나 씩의 과일이 담겨져서 중량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과일을 떨어뜨리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별장치에는 과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함께 사용되는데, 적정량의 과일을 공급장치에 한꺼번에 투입하면 다수의 로울러로 이루어지는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 과일들이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과일들이 이송 컨베이어에 설치된 이송 트레이에 하나씩 담겨져서 이송되어 상기 선별장치의 계량 컵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선별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선별장치(100)와 공급장치(200)의 연결 상태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선별장치(100)와 공급장치(20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제작되는데, 선별장치(100)만 하더라도 상당히 길게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고, 공급장치(200)와 연결하게 되면 상당한 길이가 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선별장치(100)는 체인(102)에 의한 컨베이어 방식으로서, 무한궤도로 이동하면서 이송되는 계량 컵(110)에 하나 씩의 과일이 담겨져서 중량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과일을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선별장치(100)의 일측으로 공급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장치(200)는 다시 투입부(210)와 이송부(220)로 구분될 수 있는데, 투입부(210)에는 과일을 다량으로 투입할 수 있는 호퍼(도면에 도시안됨)와 롤러컨베이어(211)가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송부(220)는 체인에 의해 연속 회전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데, 그 진행 방향이 투입부(210)로 투입되는 방향과 직각 또는 직각에 근접한 방향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이송부(220)에는 연속 반복적으로 이송트레이(221)가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210)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선별장치(100)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선별장치(100)와 공급장치(200)의 연결은 별도의 연결대(300)를 이용하게 되는데, 연결대(300)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볼트(310)를 구성하여 선별장치 프레임(130)과 공급장치 프레임(230)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브라켓(311)에 끼워서 나사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과일 선별기는 농ㆍ어촌의 노지에서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노지는 지면이 평탄하지 못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선별장치(100)와 공급장치(200)의 연결에 정확한 수평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 3에서와 같이 선별장치(100)와 공급장치(200)는 연결체인(101)과 기어(201) 등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연계적인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정확한 연결이 필수적임에도, 서로의 수평이 일치되기 어려워서 높낮이와 수평의 조절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숙련된 전문가가 아니면 연결 설치가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과일 선별기는 사용 후 이동 시에도 선별장치(100)와 공급장치(200)를 서로 분리하여 이동하여야 하고, 이동된 장소에서 다시 서로 조립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분리 및 조립 시마다 전문가의 작업이 요구되기 일쑤였고, 일반 사용자가 조작을 하다가 오히려 기계의 손상이나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과일 선별기의 제조업체에서는 기계의 제작, 납품 후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해 농촌 및 어촌의 각 지방으로 수시로 A/S를 다녀야 하므로, 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극심하여, 선별장치와 공급장치의 연결이 보다 용이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과일 선별기가 요구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선별장치와 공급장치를 분리 구성하는 과일 선별기에 있어서 선별장치와 공급장치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면서 정확하고 안정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과일 선별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는, 투입되는 과일을 선별장치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다수의 계량트레이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수납하여 선별하도록 된 선별장치를 포함하는 과일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의 선별장치 프레임에 지지되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수단; 및 상기 공급장치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시킴으로써 공급장치를 선별장치와 연결하도록 하는 홀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수단은 길게 형성된 금속관으로서, 상기 선별장치 프레임에 지지되어 인출 및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된 한 쌍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받침대를 지지하게 되는 지지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받침대에 대응하여 공급장치 프레임의 하측에서 다수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향 개구된 요부를 구비하고, 홀더의 하측에는 받침대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를 길게 인출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이 한쌍의 받침대에 공급장치를 올려놓고, 홀더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간편하고 안정적인 선별장치와 공급장치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기 지지수단은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금속판으로서, 상기 선별장치 프레임에 지지되어 인출 및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받침대를 지지하게 되는 지지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공급장치 프레임의 하측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금속판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금속판과 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공급장치 프레임의 선단부에는 선별장치의 선단부를 향해 돌출 설치되는 간격조절나사가 더 설치되어 미세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는 선별장치의 프레임에 지지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공급장치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되는 홀더를 설치함으로써, 지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선별장치와 공급장치를 연결 설치할 수 있고, 정확하고 안정된 동력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과일 선별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과일 선별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반대쪽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공급장치와 선별장치가 연결된 상태의 일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공급장치와 선별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일부 측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면에서 동일명칭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공급장치와 선별장치가 연결된 상태의 일부 측면도로서 이와 같이 과일 등의 선별장치(100)는 체인(102)에 의한 컨베이어 방식으로서, 무한궤도로 이동하면서 이송되는 계량 컵(110)에 하나 씩의 과일이 담겨져서 중량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과일을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선별장치(100)의 일측으로 공급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장치(200)는 다시 투입부(210)와 이송부(220)로 구분될 수 있는데, 투입부(210)에는 과일을 다량으로 투입할 수 있는 호퍼(도면에 도시안됨)와 롤러컨베이어가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송부(220)는 체인에 의해 연속 회전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데, 그 진행 방향이 투입부(210)로 투입되는 방향과 직각 또는 직각에 근접한 방향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이송부(220)에는 연속 반복적으로 이송트레이(221)가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210)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선별장치(100)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별장치(100)와 공급장치(200)로 구분되어 있는 선별기에서, 상기 선별장치(100)의 선별장치 프레임(130)에는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지지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장치(200)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시키도록 된 홀더(24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길게 형성된 금속관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받침대(400)로서, 상기 선별장치 프레임(130)에서 가이드브라켓(131)에 의해 지지되어 인출 및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 받침대(400)의 선단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볼트(41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받침대(400)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홀더(240)는 상기 받침대(400)에 대응하여 공급장치 프레임(230)의 하측에서 다수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4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향 개구된 요부(凹部;241)를 구비하고, 홀더의 하측에는 받침대(400)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볼트구멍(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별장치(100)에 공급장치(200)를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선별장치 프레임(130)으로부터 한 쌍의 받침대(400)를 길게 인출하여 지지볼트(410)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수평을 유지하도록 고정하고, 공급장치(200)를 받침대(400)에 올려놓게 되는데, 공급장치 프레임(230)의 하측으로 형성된 홀더(240)의 요부(241)에 받침대(400)가 끼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체인(101) 및 기어(201) 등을 연결 설치하며, 지지볼트(410)를 조절하여 정확한 수평 상태를 맞추게 된다.
그리고 공급장치(200)의 연결측 선단부에는 공급장치 프레임(230) 상에 간격조절나사(231)가 선별장치(100) 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공급장치(200)가 받침대(400)에 얹혀진 상태에서 연결체인(101)을 연결한 다음, 상기 간격조절나사(231)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게 되면, 간격조절나사(231)의 선단부가 선별장치(100)를 밀면서 공급장치(200)를 후퇴시켜서 연결체인(101)의 장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정확한 조절이 완료되면 고정볼트(243)를 홀더(240)의 볼트구멍(242)에 끼워서 조립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선별기의 분리시에는, 도 6에서와 같이 고정볼트(243)를 풀고 연결체인(101)의 연결을 해제한 다음, 공급장치(200)를 받침대(400)로부터 들어내면 분리가 완료되는 것이며, 받침대(400)는 선별장치 프레임(130) 쪽으로 인입시켜서 보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으로서의 받침대(400)는 도 7에서와 같이 관 형태가 아닌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선별장치 프레임(130)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경우에는 공급장치(200)의 홀더(240)가 금속판의 윗면 또는 측면에 접촉되는 형상으로 되면서 역시 고정볼트(243)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예를 들어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볼트는 받침대의 중간에도 설치될 수 있을 것이고, 받침대와 홀더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선별장치 101 : 연결체인
102 : 체인 110 : 계량 컵
130 : 선별장치 프레임 131 : 가이드브라켓
200 : 공급장치 201 : 기어
210 : 투입부 220 : 이송부
221 : 이송트레이 230 : 공급장치 프레임
231 : 간격조절나사 240 : 홀더
241 : 요부 242 : 볼트구멍
243 : 고정볼트 300 : 연결대
310 : 연결볼트 311 : 연결브라켓
400 : 받침대 410 : 지지볼트

Claims (4)

  1. 투입되는 과일을 선별장치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다수의 계량트레이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수납하여 선별하도록 된 선별장치를 포함하는 과일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의 선별장치 프레임에 지지되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수단; 및
    상기 공급장치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시킴으로써 공급장치를 선별장치와 연결하도록 하는 홀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길게 형성된 금속관으로서, 상기 선별장치 프레임에 지지되어 인출 및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된 한 쌍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받침대를 지지하게 되는 지지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받침대에 대응하여 공급장치 프레임의 하측에서 다수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향 개구된 요부를 구비하고, 홀더의 하측에는 받침대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지지수단은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금속판으로서, 상기 선별장치 프레임에 지지되어 인출 및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받침대를 지지하게 되는 지지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공급장치 프레임의 하측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금속판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금속판과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 프레임의 선단부에는 선별장치의 선단부를 향해 돌출 설치되는 간격조절나사가 더 설치되어 미세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KR1020150135452A 2015-09-24 2015-09-24 과일 선별기 KR20170036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52A KR20170036372A (ko) 2015-09-24 2015-09-24 과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52A KR20170036372A (ko) 2015-09-24 2015-09-24 과일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372A true KR20170036372A (ko) 2017-04-03

Family

ID=5858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452A KR20170036372A (ko) 2015-09-24 2015-09-24 과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63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528A (ko) * 2021-08-10 2023-02-17 권익삼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CN116379976A (zh) * 2023-05-31 2023-07-04 山东欧普科贸有限公司 一种家具加工用木板表面平整检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528A (ko) * 2021-08-10 2023-02-17 권익삼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CN116379976A (zh) * 2023-05-31 2023-07-04 山东欧普科贸有限公司 一种家具加工用木板表面平整检测装置
CN116379976B (zh) * 2023-05-31 2023-08-15 山东欧普科贸有限公司 一种家具加工用木板表面平整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2834A1 (en) Applied to a continuous egg grader machine
CN105775681B (zh) 一种停歇式自动供料机
KR20170036372A (ko) 과일 선별기
JP2016195971A (ja) 枝豆選別装置
CN105857724A (zh) 一种棒状食品自动装托供料线
CN209931218U (zh) 一种多排禽蛋电子秤重分级装置
CN204660635U (zh) 一种链板式称重机
CN110907213A (zh) 一种新型马铃薯料斗机试验台
KR100590595B1 (ko)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CN209143096U (zh) 一种喷码机用成品接料盒
CN109804948B (zh) 鸡蛋自动分类收捡系统
KR20180121195A (ko) 어류 정렬 장치
CN208853272U (zh) 一种用于试剂盒成型检测的平板式制托机
CN109733788A (zh) 一种称量筛分一体机
CN206088257U (zh) 一种吸塑Tray盘自动上料机构
CN210235408U (zh) 一种烟支装盘机落料斗自动填装装置
CN109016466A (zh) 一种吹瓶机械瓶胚传送系统
JP3675568B2 (ja) 養土供給装置
JP6930724B2 (ja) 整列供給装置
US2526161A (en) Olive grading machine
KR101578748B1 (ko) 선별기의 공급장치
CN213223279U (zh) 一种自动物品分拣设备
JP5988441B2 (ja) 食肉のスライス装置
CN220744397U (zh) 一种制砖原料进料装置
EP1923147A1 (en) Gauge for sorting fruit with a divergent bi-cone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