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748B1 - 선별기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선별기의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8748B1 KR101578748B1 KR1020140079081A KR20140079081A KR101578748B1 KR 101578748 B1 KR101578748 B1 KR 101578748B1 KR 1020140079081 A KR1020140079081 A KR 1020140079081A KR 20140079081 A KR20140079081 A KR 20140079081A KR 101578748 B1 KR101578748 B1 KR 1015787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member
- conveying
- feeding
- tray
- side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기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부와, 다수의 이송트레이가 컨베이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각 이송트레이에 의해 이송시켜서 선별기의 계량 컵에 공급토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기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트레이 상측으로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개방 폭을 제한하는 폭 제한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투입되는 과일들이 일렬로 정렬되어 선별기에 공급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과일이나 농수산물 등을 자동으로 선별하는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기에 과일 등의 농수산물을 공급함에 있어서 하나의 트레이에 하나의 과일만이 담겨져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별기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이나 구형(求刑)의 채소 및 어패류 등(이하 '과일'이라 함)은 크기와 중량에 따라 구분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일의 선별 작업에는 중량에 따라 자동으로 선별 분류하는 선별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 많이 사용되는 선별기는 체인 컨베이어 방식으로서,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계량 컵에 하나 씩의 과일이 담겨져서 중량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과일을 떨어뜨리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별기에는 과일을 공급하는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함께 사용되는데, 적정량의 과일을 공급장치에 한꺼번에 투입하면 다수의 로울러로 이루어지는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 과일들이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과일들이 이송 컨베이어에 설치된 이송 트레이에 하나씩 담겨져서 이송되어 상기 선별기의 계량 컵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선별기의 계량 컵이나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트레이 등은 사과나 배 등과 같은 크기의 과일에 적합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보다 작은 감자, 자두, 살구, 방울토마토 등의 선별 시에는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이 하나의 이송 트레이에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이 담겨져서 이송되는 문제가 있어서 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정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 중 하나로서 이를 참조하면, 공급컨베이어의 상측으로 지지대(7)를 설치하고 이 지지대(7)에 낱개로 과일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폭으로 2개 이상의 정렬간(8)을 설치함으로써 과일이 이송컨베이어에서 정렬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정렬간(8)을 통과한 과일들이 다시 뒤섞여서 이송컨베이어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송컨베이어가 도면에서와 같이 벨트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로서 구형(求刑)으로 이루어진 과일들이 안정적으로 이송되기 어려우며 최종적으로 접시형태의 트레이에는 한꺼번에 여러 개의 과일이 얹혀질 수 있는 구성이다.
특허문헌 2를 살펴보면, 이송롤러(11)의 상측으로 폭제한아암(22) 및 높이제한아암(23)이 회전축(20)에 의해 설치됨으로써 공급되는 과일 등의 통과높이와 폭을 제한하여 과일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2에서의 제한아암이라는 것은 수차 형식으로 이루어져서 이송되는 과일을 한 개씩 통과시키도록 하는 것이나, 실제로 크기가 작은 감자, 자두, 방울토마토 등은 적용하기 어려운 내용인 것으로서, 작은 크기의 과일인 경우에는 제한아암이 회전축에 매우 많이 설치되어야 하며, 이와 같이 공급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제한아암을 별도로 제작,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3을 살펴보면, 과일이 이송되는 벨트컨베이어(12)의 상부에 회전축(24)이 횡설되고, 이 회전축(24)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브러시(26)가 설치되며, 이 제1브러시(26)의 사이에 보다 작은 제2브러시(27)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에 따라 이송되는 과일 등의 과일들이 제1브러시(26)에 의해 폭이 정렬되고, 제2브러시(27)에 의해 높이가 정리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3 역시 제1브러시(26)의 간격 내에서는 작은 과일의 경우 여러 개가 한꺼번에 통과될 수 있어서 여전히 문제점을 안고 있는 기술이다.
이송되는 과일 등의 농수산물은 이송방향으로 겹쳐지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질 않는데, 이는 오목한 형상의 이송 트레이를 사용할 경우 이송 방향으로 두 개 이상이 담겨지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한 개씩만 넘어가게 되며, 겹쳐진 다른 과일은 트레이의 경계 부분을 한꺼번에 넘어가지 못한다.
하지만, 이송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나란하게 두 개 이상이 한꺼번에 트레이에 담겨지는 경우에는 그대로 이송이 되기 때문에 과일의 폭 방향의 정리만 제대로 이루어지면 과일들은 한 개씩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서는 모두 폭 방향의 정리가 획일적으로 되어 있어서 크기가 작은 과일들의 경우에는 효과를 보기 어려운 기술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선별기에 공급되는 과일들이 한 개의 이송트레이에 한 개씩 수납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선별기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는 투입부와, 다수의 이송트레이가 컨베이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각 이송트레이에 의해 이송시켜서 선별기의 계량 컵에 공급토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기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트레이 상측으로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개방 폭을 제한하는 폭 제한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선별기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폭 제한수단은 상기 투입부의 전방으로 위치하는 이송부 측벽에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절곡된 하단부가 이송트레이의 윗면 일부를 더 넓게 커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이송부 측벽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착탈을 위해서는 밸크로테이프나 나사 및 핀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부재는 그 상단부가 상기 이송부 측벽에서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가이드부재의 상단부에 걸고리가 구비되어 이 걸고리를 상기 이송부 측벽의 상단에 걸어서 설치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송부 측벽에는 나사축이 더 설치되어 이 나사축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부를 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부가 이송트레이의 윗면을 커버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표면 일부 또는 전부는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탄성표면을 갖는 것이다.
이렇게 가이드부재가 탄성표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투입되는 과일들이 가이드부재에 부딪히더라도 과일이 손상되거나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단에 회동축이 구비되어 이 회동축이 이송부 측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의 일측 단부에 래칫휠이 설치되며, 이 래칫휠에 접촉 연동되는 래칫이 상기 이송부 측벽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재가 전방으로 회동될 때 회동된 상태가 래칫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를 간편하게 회동시킬 수 있으며, 래칫에 의해 가이드부재의 고정상태가 쉽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단에 회동축이 마련되면 이 회동축에 기어를 설치하여 감속기능을 부여한 뒤 직접 회전시켜서 가이드부재를 회동시키거나, 모터를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재의 뒷면에는 상기 이송부 측벽을 관통하는 밀대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 측벽의 외측에는 상기 밀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나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측의 밀대를 밀어서 가이드부재를 임의대로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으며, 정해진 위치에서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대는 수동식으로 밀어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설치하여 전기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폭 제한수단이,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에 받침판이 설치되고, 이 받침판의 선단부가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되고, 상기 받침판은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폭 제한수단이, 상기 투입부의 전방으로 위치하는 이송부 측벽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된 가이드부재;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와 마주하여 이송트레이의 윗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되는 받침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의 공급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과일들의 선별에 있어서, 다량으로 공급되는 과일들이 이송트레이에 한 개씩 수납 정렬되어 이송됨으로써 선별기의 계량 컵에 한 개의 과일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정확한 과일의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불량을 예방하여 효율적인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과일 선별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작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8은 상기 도 7의 요부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작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8은 상기 도 7의 요부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면에서 동일명칭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과일 선별기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과일 등의 선별기(100)는 체인(101)에 의한 컨베이어 방식으로서, 무한궤도로 이동하면서 이송되는 계량 컵(110)에 하나 씩의 과일이 담겨져서 중량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과일을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선별기(100)의 일측으로 공급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장치(200)는 다시 투입부(210)와 이송부(220)로 구분될 수 있는데, 투입부(210)에는 과일을 다량으로 투입할 수 있는 호퍼(도면에 도시안됨)와, 이 호퍼로 투입되는 과일을 이송부(220)로 밀어주는 롤러컨베이어(211)가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송부(220)는 체인에 의해 연속 회전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데, 그 진행 방향이 투입부(210)로 투입되는 방향과 직각 또는 직각에 근접한 방향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이송부(220)에는 연속 반복적으로 이송트레이(221)가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210)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선별기(100)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송트레이(221)는 오목한 접시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체인에 설치되어 회동되기 쉽도록 중간이 분리된 형태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분리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작용상태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투입부(210)의 바닥면에는 받침판(230)이 설치되는데 이 받침판(230)은 충격 흡수가 용이한 스폰지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서 투입부(210)의 윗면을 구르게 되는 과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토록 되어 있으며, 다르게는 적어도 받침판(230)의 윗면에 탄성체가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판(230)은 투입부(210)의 바닥면에 고정 부착될 수도 있으나 벨크로테이프(V)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받침판(230)은 그 선단부가 상기 이송트레이(221)의 윗면으로 더 연장되도록 설치하여 이송트레이(221)의 윗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이송트레이(221)의 폭 방향의 개구면을 줄이도록 되어 있다.
한편, 투입부(210)의 전방으로 이송트레이(221)의 건너편과 측방에는 이송부 가이드부재(24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이송부 가이드부재(240)에는 가이드부재(240)가 설치되어 이 가이드부재(240)의 하단부가 상기 이송트레이(221)의 윗면 일부를 역시 커버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40) 역시 충격 흡수가 용이한 탄성재질로 되어 있는데, 마찬가지로 다르게는 적어도 과일이 접촉되는 표면에 탄성체가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벨크로테이프(V)나 나사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40)의 하단부는 이송트레이(221)의 윗면을 효과적으로 커버하기 위하여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투입부(210)와 근접한 이송트레이(221)들에는 윗면에 망(網;223)이 쒸워져 있는데, 이렇게 망(223)이 쒸워지게 되면 이송트레이(221)에 얹혀지는 과일들이 이동하는 이송트레이(221)와 정지된 망(223) 사이에서 미끄럼 작용이 발생하여 한 개씩 넘어가게 되며, 단지 이송트레이(221)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두 개 이상의 과일이 담겨지게 되면 망(223)의 작용에 관계없이 한꺼번에 이송될 수 있다.
여기에 받침판(230)의 선단부와 가이드부재(240)의 하단부가 이송트레이(221)의 윗면을 폭 방향에서 커버함으로써 이송트레이(221)는 좁은 폭의 상측 개구를 형성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비교적 작은 과일이나 농산물 등을 투입하게 되면, 과일(F)은 투입부(210)의 받침판(230) 윗면을 굴러서 이송부의 이송트레이(221)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씩 수납된다.
수납되는 과일(F)은 받침판(230)의 선단부와 가이드부재(240)의 하단부에 의해 좁아진 개구 폭으로 인해 이송트레이(221)에 한 개씩 수납되며, 두 개 이상이 수납되더라도 진행 방향에 대하여 일렬로 정렬되어 결국 하나의 이송트레이(221)에 한 개씩의 과일(F)이 수납 정리된 상태로 이송되어 선별기에 공급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이송부(220)의 가이드부재(240)에 가이드부재(240)가 힌지(24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부재(240)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송트레이(221)의 윗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4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과일이 접촉되는 표면에는 탄성체가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40)의 후방으로 가이드부재(240)에는 조절축(242)이 나사 조립되어 있는데, 이 조절축(242)의 선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재(240)의 뒷면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축(242)을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축(242)이 가이드부재(240)를 향하여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240)는 힌지(241)를 중심으로 하단부가 밀려서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자중에 의해 후퇴하게 되어 이송트레이(221)의 윗면을 커버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240)를 조작하여 이송트레이(221)의 윗면 개구 폭을 조절하게 되면, 크기가 다른 다양한 농수산물, 예를 들면 사과, 자두, 방울토마토, 감자, 전복 등의 다양한 농수산물에 따라 이송트레이(221)의 윗면 개구의 폭을 적절히 설정하여 투입되는 과일들이 하나의 이송트레이(221)에 한 개씩 정렬되어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240)는 별도의 경첩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힌지가 아닌 걸고리 형식으로 되어서 가이드부재(240)의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240)의 상단에 회동축(243)이 구비되어 이 회동축(243)이 이송부(220)의 가이드부재(240)에 설치됨으로써 가이드부재(240)가 회동축(243)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축(243)의 일단에는 래칫휠(244)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40)의 일단에는 상기 래칫휠(244)과 접촉 연동하는 래칫(2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은 가이드부재(24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으나 측벽에 지지브라켓(도면에 도시안됨) 등이 돌출되도록 구비하여 이 브라켓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회동축(243)을 중심으로 가이드부재(240)를 임의대로 회동시키면, 래칫(245)과 래칫휠(244)의 맞물림에 의해 회동된 상태가 그대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작업 후에 래칫(245)과 래칫휠(244)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면 가이드부재(240)는 원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래칫휠(244)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손잡이(246)를 설치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가이드부재(240)의 상단에 회동축(243)이 구비되고, 이 회동축(243)이 이송부(220)의 가이드부재(240)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동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243)에는 모터(M)의 회전을 감속시키기 위한 기어(24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240)의 뒷면에는 이송부(220)의 가이드부재(240)을 관통하는 밀대(248)가 연장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부재(240)의 외측에는 상기 밀대(248)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나사(24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밀대(248)를 이용하여 가이드부재(240)를 임의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위치에서 상기 고정나사(249)를 이용하여 밀대(248)를 고정시킨 후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240)를 직선적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는 도 11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S)를 전기적으로 설치하여 자동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모든 가이드부재(240)는 자체적으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과일이 접촉되는 표면에는 탄성체가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선별기 101 : 체인
110 : 계량 컵 200 : 공급장치
210 : 투입부 211 : 롤러컨베이어
220 : 이송부 221 : 이송트레이
222 : 측벽 223 : 망
240 : 가이드부재 241 : 힌지
242 : 조절축 243 : 회동축
244 : 래칫휠 245 : 래칫
246 : 손잡이 247 : 기어
248 : 밀대 249 : 고정나사
F : 과일 S : 솔레노이드밸브
V : 벨크로테이프
110 : 계량 컵 200 : 공급장치
210 : 투입부 211 : 롤러컨베이어
220 : 이송부 221 : 이송트레이
222 : 측벽 223 : 망
240 : 가이드부재 241 : 힌지
242 : 조절축 243 : 회동축
244 : 래칫휠 245 : 래칫
246 : 손잡이 247 : 기어
248 : 밀대 249 : 고정나사
F : 과일 S : 솔레노이드밸브
V : 벨크로테이프
Claims (14)
- 투입부와, 다수의 이송트레이가 컨베이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각 이송트레이에 의해 이송시켜서 선별기의 계량 컵에 공급토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기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트레이 상측으로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개방 폭을 제한하는 폭 제한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되, 상기 폭 제한수단은 상기 투입부의 전방으로 위치하는 이송부 측벽에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부는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절곡된 하단부가 이송트레이의 윗면 일부를 더 넓게 커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이송부 측벽에 대하여 나사 또는 벨크로테이프 등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그 상단부가 상기 이송부 측벽에서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그 상단부에 걸고리가 구비되어 이 걸고리를 상기 이송부 측벽의 상단에 걸어서 설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제 1 항, 제 5 항 및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측벽에는 나사축이 더 설치되어 이 나사축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부를 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부가 이송트레이의 윗면을 커버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단에 회동축이 구비되어 이 회동축이 이송부 측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의 일측 단부에 래칫휠이 설치되며, 이 래칫휠에 접촉 연동되는 래칫이 상기 이송부 측벽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재가 전방으로 회동될 때 회동된 상태가 래칫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단에 회동축이 구비되어 이 회동축이 이송부 측벽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뒷면에는 상기 이송부 측벽을 관통하는 밀대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 측벽의 외측에는 상기 밀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나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내지 제 10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표면 일부 또는 전부는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탄성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에는 망이 더 쒸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투입부와, 다수의 이송트레이가 컨베이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각 이송트레이에 의해 이송시켜서 선별기의 계량 컵에 공급토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기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트레이 상측으로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개방 폭을 제한하는 폭 제한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되, 상기 폭 제한수단은,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에 받침판이 설치되고, 이 받침판의 선단부가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되고, 상기 받침판은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 투입부와, 다수의 이송트레이가 컨베이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각 이송트레이에 의해 이송시켜서 선별기의 계량 컵에 공급토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기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이송트레이 상측으로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개방 폭을 제한하는 폭 제한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되, 상기 폭 제한수단은, 상기 투입부의 전방으로 위치하는 이송부 측벽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이송트레이의 윗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된 가이드부재;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가이드부재와 마주하여 이송트레이의 윗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되는 받침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9081A KR101578748B1 (ko) | 2014-06-26 | 2014-06-26 | 선별기의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9081A KR101578748B1 (ko) | 2014-06-26 | 2014-06-26 | 선별기의 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8748B1 true KR101578748B1 (ko) | 2015-12-24 |
Family
ID=5508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9081A KR101578748B1 (ko) | 2014-06-26 | 2014-06-26 | 선별기의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8748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156A (ko) | 1997-06-27 | 1999-01-15 | 구자홍 | 비디오 포맷 변환장치 |
KR0135362Y1 (ko) * | 1996-03-18 | 1999-03-20 | 한상욱 | 과일 선별기용 과일 투입장치 |
KR100256095B1 (ko) | 1997-11-27 | 2000-05-01 | 김영호 |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
US6262377B1 (en) * | 1993-07-06 | 2001-07-17 | Scanvagt A/S | Method and a system for building up weighed-out portions of object |
KR200292283Y1 (ko) * | 2002-07-24 | 2002-10-18 | 유춘열 | 과일 선별기 |
KR101069002B1 (ko) | 2010-12-17 | 2011-09-29 | 신경출 | 과일선별장치의 이송정렬장치 |
-
2014
- 2014-06-26 KR KR1020140079081A patent/KR1015787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62377B1 (en) * | 1993-07-06 | 2001-07-17 | Scanvagt A/S | Method and a system for building up weighed-out portions of object |
KR0135362Y1 (ko) * | 1996-03-18 | 1999-03-20 | 한상욱 | 과일 선별기용 과일 투입장치 |
KR19990004156A (ko) | 1997-06-27 | 1999-01-15 | 구자홍 | 비디오 포맷 변환장치 |
KR100256095B1 (ko) | 1997-11-27 | 2000-05-01 | 김영호 |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
KR200292283Y1 (ko) * | 2002-07-24 | 2002-10-18 | 유춘열 | 과일 선별기 |
KR101069002B1 (ko) | 2010-12-17 | 2011-09-29 | 신경출 | 과일선별장치의 이송정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76403B2 (ja) | 果菜搬送方法及び果菜搬送装置 | |
EP0706479B1 (en) | A method and a system for building up weighed-out portions of objects | |
KR20150085933A (ko) | 농산물 선별기 | |
US20090101478A1 (en) | Inline conveyor scale | |
US4411366A (en) | Device for grading products | |
US2428103A (en) | Bullet handling apparatus | |
JP6867006B2 (ja) |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 | |
KR101578748B1 (ko) | 선별기의 공급장치 | |
US3139176A (en) | Article reservoir and transfer system and device | |
KR101448432B1 (ko) | 선별기용 공급장치 | |
JPH0551124A (ja) | 選別装置の供給装置 | |
JP5046082B2 (ja) | 選別装置 | |
JPH1029721A (ja) | 果菜物供給装置 | |
JP2012240190A (ja) | 食肉スライサー | |
GB210976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sorting/grading fish | |
JP5373409B2 (ja) | 選別装置 | |
JP2542354Y2 (ja) | 選別装置の供給装置 | |
JP3655346B2 (ja) | 作物選別装置における搬送装置 | |
JP4605515B2 (ja) | 選別コンベア | |
JP2528347Y2 (ja) | 農産物の選別装置 | |
JP2014213311A (ja) | 果菜自動選別箱詰め装置 | |
JPH0532313A (ja) | 選別装置の供給装置 | |
JPH0734016Y2 (ja) | 農産物の選別装置 | |
KR101448431B1 (ko) | 선별기용 상향식 공급장치 | |
JP7094645B2 (ja) | 物品整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