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195A - 어류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어류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195A
KR20180121195A KR1020170055601A KR20170055601A KR20180121195A KR 20180121195 A KR20180121195 A KR 20180121195A KR 1020170055601 A KR1020170055601 A KR 1020170055601A KR 20170055601 A KR20170055601 A KR 20170055601A KR 20180121195 A KR20180121195 A KR 20180121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orting
box
load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현
전철웅
김지욱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1195A/ko
Publication of KR2018012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2Arranging fish, e.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ead and t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으로 포획된 어류를 일렬로 정렬하는 어류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자동 정렬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컨베이어벨트에서 이송된 다수의 어류가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적재함(10); 상기 적재함(10)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선별함(20); 및 상기 선별함(20)의 상면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선별격벽(31)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선별격벽(31) 사이에 각각 상기 적재함(10)에서 이송된 다수의 어류가 각각 개별적으로 진입되어 정렬되는 다수의 진입통로(32)가 형성되는 선별슬라이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류 정렬 장치{Fish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다량으로 포획된 어류를 일렬로 정렬하는 어류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자동 정렬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크기에 관계없이 그물망 등의 포획수단에 의해 다량으로 포획된 어류들은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상품화되는 과정에서 수익성 및 상품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크기별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 작업은 통상 어민들의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수작업으로 어류들을 정렬할 경우,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분류기준이 정확하지 않아 분류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어 인건비 등에 따른 수익성이 악화되고 상품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양식장 등에서도 양식어류를 사육하는 동안에 수차례 실행되고 있는 양식어의 대소의 정렬작업은 대부분 정렬자의 수작업, 또는 반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작업 또는 반수작업으로는 방대한 양의 양식어를 정렬하는 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395901호는 박스를 이동시키는 박스투입컨베이어와; 박스투입컨베이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지주의 상측에 설치되며 정렬된 어류를 박스에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어류 정렬기와; 상기 어류 정렬기의 상측에 위치되며 공급되는 어류를 부피 계량하도록 계량호퍼의 하단에 회동식 계폐구를 설치한 계량기와; 상기 계량기의 지지체에 설치되는 스토퍼용 실린더 및 스토퍼용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며 일단이 지지체에 핀으로 결합되는 스토퍼와; 어류가 투입되는 어류저장호퍼 및 어류저장호퍼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어류를 계량기에 연속 공급하는 어류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박스투입컨베이어의 측방에 설치되어 박스에 담긴 어류를 이송하면서 계량하는 로드 셀 컨베이어와; 로드 셀 컨베이어의 측방에 설치되어 박스를 배출하는 박스배출컨베이어와; 상기 박스배출컨베이어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박스에 어류를 소량 공급하는 중량 보충 컨베이어 및 중량 보충 컨베이어에 어류를 공급하는 중량 측정 컨베이어와; 상기 로드 셀 컨베이어의 중량을 제공받아 중량 보충 컨베이어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지지체 상단에 설치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정량 계량 및 정렬장치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어류가 박스에서 어류 정렬기로 낙하됨으로써, 어류가 어류 정렬기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어류의 자세가 일렬로 정렬되지 못하거나 어류 정렬기의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395901호(2014.05.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류가 평면상에 이송 및 정렬됨으로써, 어류의 자세가 일렬로 정렬되지 못하거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류 정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정렬 장치는, 컨베이어벨트에서 이송된 다수의 어류가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적재함(10); 상기 적재함(10)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선별함(20); 및 상기 선별함(20)의 상면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선별격벽(31)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선별격벽(31) 사이에 각각 상기 적재함(10)에서 이송된 다수의 어류가 각각 개별적으로 진입되어 정렬되는 다수의 진입통로(32)가 형성되는 선별슬라이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별슬라이드(30)는 상기 다수의 선별격벽(31)의 상기 진입통로(32)의 하단은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지지판(33)과, 상기 다수의 선별격벽(31)의 일단에 상기 적재함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다수의 안내격벽(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33)은,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별슬라이드(30)는, 상기 안내격벽(34)의 좌우 측면에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안내판(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판(35)은, 상기 진입통로(32)로 어류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게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정렬 장치는 어류가 평면상에 이송 및 정렬됨으로써, 어류의 자세가 일렬로 정렬되지 못하거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류 정렬 장치를 활용하면 어류 선별시 에러 발생율이 현저히 낮아지므로 생산성 향상을 꽤할 수 있고, 어체의 손상을 줄일 수 있고,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정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정렬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정렬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기존 어류 정렬 장치와 본 발명에 의한 어류 정렬 장치를 이용한 어류 선별시의 에러발생율을 비교 시험한 그래프.
도 5는 기존 어류 정렬 장치와 본 발명에 의한 어류 정렬 장치를 이용한 선별시의 에러 평균을 구한 비교표.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정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정렬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정렬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정렬 장치는 적재함(10), 선별함(20), 선별슬라이드(30)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함(10)은 평판 구조로 형성되며, 상면 양단에 어류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벽이 형성되며, 컨베이어벨트(미도시)에서 이송된 다수의 어류가 일시적으로 적재된다.
상기 선별함(20)은 평판 구조로 형성되며, 상면 양단에 어류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10)에 수평하게 결합된다.
상기 선별슬라이드(30)는 상기 선별함(20)의 상면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선별격벽(31)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선별격벽(31) 사이에 각각 상기 적재함(10)에서 이송된 다수의 어류가 각각 개별적으로 진입되어 정렬되는 다수의 진입통로(3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정렬 장치는 어류가 평면상에 이송 및 정렬됨으로써, 어류의 자세가 일렬로 정렬되지 못하거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적재함(10)으로 진입되는 어류들은 편평한 적재함(10) 위에 고르게 펼쳐지면서 고르게 분포될 수 있고, 어류들은 선별함(20) 위에 마련된 선별슬라이드(30)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선별격벽(31)에 의해 구분 형성되는 각각의 진입통로(32)로 한 마리씩의 어류가 진입되면서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슬라이드에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면서 복수의 선별격벽이 구비되며, 이웃하는 선별격벽 사이 사이 공간이 진입통로로 활용된다.
즉, 진입통로(32)는 오목한 홈과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되고, 선별격벽(31)의 높이나 상호간 이격거리 및 진입통로(32)의 깊이 등은 선별하고자 하는 어류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별슬라이드(30)에서 상기 다수의 선별격벽(31)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진입통로(32)의 하단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지지판(33)이 마련되며, 좌우 지지판(33) 사이의 간격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이 적합하다.
그리고 선별격벽(31)의 일단에는 상기 적재함(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안내격벽(34)이 마련될 수 있다.
안내격벽(34)은 선별격벽(3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는 낮아지며, 두께도 얇아지는 뾰족한 사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많은 어류들이 동시에 선별슬라이드(30)로 진입될 때 안내격벽(34)에 어류가 부딪히면서 좌측 또는 우측 진입통로(32)로 한 마리씩 진입되도록 유도된다.
진입통로(32)로 진입되는 어류는 오목한 형상의 상기 지지판(33)에 의해 어체가 넘어지지 않고 똑바로 세워지게 유도할 수 있도록 어류의 하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안내격벽(34)은 상기 선별격벽(31)에서 상기 적재함(1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서 상기 적재함(10)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진입통로(32)로 한 마리씩 순차적으로 어류가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33)은 어류의 하체에 대응하는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구조로 형성되어 어류가 넘어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슬라이드(30)의 안내격벽(34)에는 안내판(3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안내판(35)은 각각의 안내격벽(34)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선별함(20)의 바닥면까지 닿게 된다.
각 안내격벽(34)의 좌우로 대칭을 이루면서 안내판(35)들이 형성되며, 인접한 안내격벽(34)으로부터 분기되는 좌우측 안내판(35)들에 의해 도 3과 같이 오목한 v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각각 진입통로(32)와 연결되는 안내판(35)들은 도 3과 같이 v 자 형상을 이룸으로써 어류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게 되고, 따라서 어류가 진입통로를 향해 들어올수록 똑바로 세워지면서 진입통로(32)의 중앙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유도된다.
한편, 상기 적재함(10), 선별함(20), 선별슬라이드(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재함(10), 선별함(20) 및 선별슬라이드(30)는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선별슬라이드(30)의 경우 그 형상이 반복적이고 복잡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한 사출 성형을 통해 대량 생산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재함(10), 선별함(20), 선별슬라이드(30)는 각자의 상면에 비닐류와 같은 코팅비닐(미도시)이 부착되어 어류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상기 적재함(10), 선별함(20), 선별슬라이드(30)의 상면에 부착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슬라이드(30)는 상기 진입통로(32) 하측에 다수의 천공홀(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로워에서 이송된 공기가 상기 다수의 천공홀을 통과하면서 상기 진입통로(32)로 진입되는 어류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어류가 좀 더 신속하게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천공홀이 수직 상방이 아닌 어류가 이동되는 방향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다 원활하게 어류를 밀어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기존 어류 정렬 장치와 본 발명에 의한 어류 정렬 장치를 이용한 어류 선별시의 에러발생율을 비교 시험한 그래프이며, 도 5는 기존 어류 정렬 장치와 본 발명에 의한 어류 정렬 장치를 이용한 선별시의 에러 평균을 구한 비교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어류 정렬 장치는 U , V 로 표시하며, 본 발명의 어류 정렬 장치는 NEW 로 표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어류 정렬 장치를 이용한 어류 선별시 에러 발생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기존 U ,V 타입은 각각 에러 발생율이 0.88, 1.06 이었으나 본 발명의 NEW 어류 정렬 장치는 에러 발생율이 0.29로 매우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고등어 등과 같은 어류를 선별 판매하기 위한 선별기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기술이다.
10 : 적재함
20 : 선별함
30 : 선별슬라이드
31 : 선별격벽
32 : 진입통로
33 : 지지판
34 : 안내격벽
35 : 안내판

Claims (5)

  1. 컨베이어벨트에서 이송된 다수의 어류가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적재함(10);
    상기 적재함(10)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선별함(20); 및
    상기 선별함(20)의 상면에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선별격벽(31)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선별격벽(31) 사이에 각각 상기 적재함(10)에서 이송된 다수의 어류가 각각 개별적으로 진입되어 정렬되는 다수의 진입통로(32)가 형성되는 선별슬라이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정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슬라이드(30)는
    상기 다수의 선별격벽(31)의 상기 진입통로(32)의 하단은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지지판(33)과, 상기 다수의 선별격벽(31)의 일단에 상기 적재함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다수의 안내격벽(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정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3)은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정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슬라이드(30)는
    상기 안내격벽(34)의 좌우 측면에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안내판(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정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35)은
    상기 진입통로(32)로 어류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게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정렬 장치.




KR1020170055601A 2017-04-28 2017-04-28 어류 정렬 장치 KR20180121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601A KR20180121195A (ko) 2017-04-28 2017-04-28 어류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601A KR20180121195A (ko) 2017-04-28 2017-04-28 어류 정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95A true KR20180121195A (ko) 2018-11-07

Family

ID=6436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601A KR20180121195A (ko) 2017-04-28 2017-04-28 어류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11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239A (ko) * 2018-09-10 2020-03-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KR102490175B1 (ko) * 2022-08-04 2023-01-19 금호마린테크 (주) 어류 선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239A (ko) * 2018-09-10 2020-03-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KR102490175B1 (ko) * 2022-08-04 2023-01-19 금호마린테크 (주) 어류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492B2 (en) Depositor apparatus
KR20180121195A (ko) 어류 정렬 장치
KR20170126574A (ko) 어체 투입장치
DE10200405603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sammenstellen von Gegenständen zu einer Gesamtheit mit vorgegebenem Gesamtgewicht
WO2020129853A1 (ja) 組合せ計量装置
WO2020129851A1 (ja) 直進フィーダ及びこれを備えた組合せ計量装置
CN112955718B (zh) 组合计量装置
US20210016976A1 (en) Combination weighing device
CN112955720B (zh) 组合计量装置
CN108584340A (zh) 粮食清理及自动分类入仓一体化系统
US9968969B2 (en) Method and mechanism to automate mail sweeping
JP2579006Y2 (ja) 作物選別装置
KR200485429Y1 (ko) 방울토마토용 선별장치
US4473180A (en) Automatic feeding apparatus
KR20170036372A (ko) 과일 선별기
KR102280479B1 (ko)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JP7332259B2 (ja) 直進フィーダ用のトラフ及びこれを備えた組合せ秤
CN219277910U (zh) 一种送料机构
JP6971928B2 (ja) 組合せ計量装置
CN218531855U (zh) 一种具有分拣功能的插壳机
JPH0515849A (ja) 枝豆選別装置
CN208292300U (zh) 粮食清理及分类入仓一体化系统
CN108672291B (zh) 空壳胶囊剔除机构
CN207103182U (zh) 一种自动分选机构
JP6734530B2 (ja) 物品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