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175B1 - 어류 선별기 - Google Patents
어류 선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0175B1 KR102490175B1 KR1020220097552A KR20220097552A KR102490175B1 KR 102490175 B1 KR102490175 B1 KR 102490175B1 KR 1020220097552 A KR1020220097552 A KR 1020220097552A KR 20220097552 A KR20220097552 A KR 20220097552A KR 102490175 B1 KR102490175 B1 KR 102490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 hopper
- seawater
- sorting means
- pump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1000269978 Pleuronectiforme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1582957 Sebastes schlegelii Species 0.000 abstract 2
- 241001529596 Pontinus kuhlii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2816 gi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에서 양식하는 어류를 크기 별로 선별하는 어류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어류 선별기에서 제대로 선별되지 못하던 조피볼락과 플랫피쉬 형태의 어류까지 제대로 선별될 수 있는 어류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어류 선별기에서 제대로 선별되지 못하던 조피볼락과 플랫피쉬 형태의 어류까지 제대로 선별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어류 선별기에 비하여 선별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어류 선별기에서 제대로 선별되지 못하던 조피볼락과 플랫피쉬 형태의 어류까지 제대로 선별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어류 선별기에 비하여 선별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식장에서 양식하는 어류를 크기 별로 선별하는 어류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어류 선별기에서 제대로 선별되지 못하던 조피볼락과 플랫피쉬 형태의 어류까지 제대로 선별될 수 있는 어류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장에서 어류를 양식하게 되면 양식 초기에는 동일한 크기의 치어이나 양식기간이 지날수록 사료를 먹는 양의 차이로 인해 서로 비슷하게 성장하지 않고 크기의 차이가 갈수록 커지게 되므로서 사료의 공급을 조절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크기가 큰 어류는 사료를 많이 먹게 됨에 따라 크기가 적은 어류는 사료를 충분하게 먹을 수 없어 성장이 매우 늦어지고 사료의 소모량이 많아지는 등매우 비경제적 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어류를 선별하는 어류 선별기가 등록실용신안 제20-0184668호, 제20-0169159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어류 선별기에 의하면 조피볼락(우럭)과 플랫피쉬(가자미목 어류)가 제대로 선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조피볼락의 경우 해수(m)가 없는 환경에서 아가미를 벌리거나 지느러미를 펼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기존의 어류 선별기에는 해수(m)가 호퍼로 공급되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선별과정에서 조피볼락이 아가미를 벌리거나 지느러미를 펼쳐서 호퍼의 배수망에 걸리거나 컨베이어 집입시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플랫피쉬의 경우 넙적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는데, 기존의 어류 선별기의 컨베이어는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사이로 진입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어류 선별기의 호퍼로 해수(m)가 공급되도록 함은 물론, 컨베이어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조피볼락과 플랫피쉬 형태의 어류까지 제대로 선별될 수 있는 어류 선별기를 연구·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어류 선별기에서 제대로 선별되지 못하던 조피볼락과 플랫피쉬 형태의 어류까지 정확히 선별될 수 있는 어류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선별을 위한 어류가 유입되는 호퍼(100); 상기 호퍼(100)의 전측(100f)에 연통되어, 호퍼(100)로부터 공급받은 어류가 이송되면서 크기 별로 선별되고, 평행되게 복수개로 구비되는 선별수단(200); 해수(m)가 수용되는 탱크(300); 상기 탱크(300)에 수용된 해수(m)를 호퍼(100)로 공급하는 펌프(400); 상기 호퍼(100)로 공급된 해수(m)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해수(m)의 수위에 기초하여 펌프(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100)는 바닥면(100b)이 전방(F)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인접한 선별수단(20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어류가 인접한 선별수단(200) 중 어느 하나의 선별수단(200)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인입가이드(110)와, 내부 바닥면(100b)에 형성되는 바닥범프(120)를 포함하여, 펌프(400)로부터 공급된 해수(m)가 상기 바닥면(100b)과 바닥범프(120) 사이의 공간에 소정량 고이도록 하고, 상기 인입가이드(110)는 후방(R)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되, 그 측부에 관통형성되어, 펌프(400)로부터 해수(m)가 공급되는 관통공(111)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수단(200)은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제1,2컨베이어(210,220)와, 상기 제1,2컨베이어(210,220)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용핸들(2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컨베이어(210,220)는 그 사이의 폭이 전방(F)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배치되되, 각각의 단부에는 회전축(211,221)이 형성되고, 각각의 회전축(211,221)은 체인과 스프라켓 또는 벨트와 풀리 또는 기어 치합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회전용핸들(230)의 회전력이 각각의 회전축(211,221)에 동시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어류 선별기에서 제대로 선별되지 못하던 조피볼락과 플랫피쉬 형태의 어류까지 제대로 선별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어류 선별기에 비하여 선별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호퍼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선별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K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제1,2컨베이어가 수직으로 세워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K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제1,2컨베이어가 기울어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절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호퍼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선별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K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제1,2컨베이어가 수직으로 세워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K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제1,2컨베이어가 기울어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전방", "후방"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 여기서, "전방" 이란 호퍼(100)에서 선별수단(200)으로 향하는 방향(F, 도 1)으로 정의하고, "후방" 이란 선별수단(200)에서 호퍼(100)로 향하는 방향(R, 도 1)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양식장에서 양식하는 어류를 크기 별로 선별하는 어류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어류 선별기에서 제대로 선별되지 못하던 조피볼락과 플랫피쉬 형태의 어류까지 제대로 선별될 수 있는 어류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호퍼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선별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K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제1,2컨베이어가 수직으로 세워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K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제1,2컨베이어가 비스듬이 기울어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기는 호퍼(100)와, 상기 호퍼(100)의 전측(100f)에 연통되는 선별수단(200)과, 해수(m)가 수용되는 탱크(300)와, 상기 탱크(300)에 수용된 해수(m)를 호퍼(100)로 공급하는 펌프(400)와, 상기 호퍼(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위센서(미도시)와, 상기 펌프(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퍼(100)에 대해 설명한다. 호퍼(100)는 선별을 위한 어류가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그 바닥면(100b)을 전방(F)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여, 선별수단(200)으로 향하는 방향 즉 전방(F)으로 어류가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100)의 후측에서 해수(m)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호퍼(100)로 유입된 조피볼락이 아가미를 벌리거나 지느러미를 펼치는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여 호퍼(100)의 배수망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100)는 인입가이드(110)와, 범프(120), 어류유입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입가이드(110)에 대해 설명한다. 인입가이드(110)는 인접한 선별수단(20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선별수단(200) 중 어느 하나의 선별수단(200)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상기 인입가이드(110)는 후방(R)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어류가 어느 하나의 선별수단(200)으로 부드럽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입가이드(110)는 그 측부에 관통형성되어, 펌프(400)로부터 해수(m)가 공급되는 관통공(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선별수단(200)으로 유입되기 직전에 어류(특히, 조피볼락)가 해수(m)에 젖어서 아가미를 벌리거나 지느러미를 펼치지 못하는 것이다.
바닥범프(120)에 대해 설명한다. 바닥범프(120)는 호퍼(100)의 내부 바닥면(100b)에 형성되어, 펌프(400)로부터 유입된 해수(m)가 상기 바닥면(100b)과 바닥범프(120) 사이의 공간에 소정량 고이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르면, 어류(특히, 조피볼락)가 호퍼(100)에 수용된 상태로 선별되기까지 기다리는 동안에도 해수(m)에 잠겨서 스트레스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인 호퍼의 측단면도로서, 조피볼락(1)이 해수(m)에 잠겨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바닥범프(120)가 인입가이드(11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입가이드(110)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바닥범프(120)가 과속 방지턱과 같이 원호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면이 평평(flat)하게 구현되거나, 다각형 형태로 구현되는 등 모든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어류유입부(130)는 선별을 위한 어류가 유입되는 통로로서, 도면과 같이 호퍼(100)의 후측(100r)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별수단(200)에 대해 설명한다. 선별수단(200)은 상기 호퍼(100)의 전측(100f)에 연통되어, 호퍼(100)로부터 공급받은 어류가 이송되면서 크기 별로 선별되는 부분으로서,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제1,2컨베이어(210,220)를 포함하되, 제1,2컨베이어(210,220) 사이의 폭은 전방(F)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호퍼(100)에 가까운 제1,2컨베이어(210,220)의 일단부 사이의 폭(L1)보다 호퍼(100)에서 멀리 떨어진 제1,2컨베이어(210,220)의 타단부 사이의 폭(L2)이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컨베이어(210,220)는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선별수단(200)은 제1,2컨베이어(210,220)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용핸들(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컨베이어(210,220)는 각각의 단부에 회전축(211,221)이 형성되고, 각각의 회전축(211,221)은 체인과 스프라켓 또는 벨트와 풀리 또는 기어 치합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회전용핸들(230)의 회전력이 각각의 회전축(211,221)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피볼락(1)을 선별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컨베이어(210,220)를 수직으로 세워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자미와 같이 넙적한 플랫피쉬(2)를 선별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컨베이어(210,220)를 회전시켜 제1,2컨베이어(210,220) 사이에 플랫피쉬(2)가 진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2컨베이어(210,2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제1,2컨베이어(210,220)가 수평면(h)에 대하여 소정각도(θ)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하여 플랫피쉬(2)가 제1,2컨베이어(210,220) 중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를 타고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
상기 선별수단(200)은 평행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호퍼(100)에는 어류가 인접한 선별수단(200) 중 어느 하나의 선별수단(200)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인입가이드(11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수위센서(미도시)는 상기 호퍼(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호퍼(100)로 공급된 해수(m)의 수위를 측정하는 부분이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해수(m)의 수위에 기초하여 펌프(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호퍼(100) 내부에 해수(m)가 부족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펌프(4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호퍼(100) 내부로 해수(m)가 채워지도록 하고,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의해 호퍼(100) 내부에 해수(m)가 소정의 높이까지 채워진 경우 상기 제어부는 펌프(400)가 작동정지되도록 제어하여 해수(m)가 호퍼(100) 밖으로 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어류 선별기에서 제대로 선별되지 못하던 조피볼락과 플랫피쉬 형태의 어류까지 제대로 선별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어류 선별기에 비하여 선별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호퍼
110 : 인입가이드
111 : 관통공
120 : 바닥범프
130 : 어류유입부
200 : 선별수단
210 : 제1컨베이어
211 : 회전축
220 : 제2컨베이어
221 : 회전축
230 : 회전용핸들
300 : 탱크
400 : 펌프
1 : 조피볼락
2 : 플랫피쉬
110 : 인입가이드
111 : 관통공
120 : 바닥범프
130 : 어류유입부
200 : 선별수단
210 : 제1컨베이어
211 : 회전축
220 : 제2컨베이어
221 : 회전축
230 : 회전용핸들
300 : 탱크
400 : 펌프
1 : 조피볼락
2 : 플랫피쉬
Claims (6)
- 선별을 위한 어류가 유입되는 호퍼(100);
상기 호퍼(100)의 전측(100f)에 연통되어, 호퍼(100)로부터 공급받은 어류가 이송되면서 크기 별로 선별되되, 평행되게 복수개로 구비되는 선별수단(200);
해수(m)가 수용되는 탱크(300);
상기 탱크(300)에 수용된 해수(m)를 호퍼(100)로 공급하는 펌프(400);
상기 호퍼(100)로 공급된 해수(m)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해수(m)의 수위에 기초하여 펌프(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100)는
바닥면(100b)이 전방(F)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인접한 선별수단(20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어류가 인접한 선별수단(200) 중 어느 하나의 선별수단(200)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인입가이드(110)와,
내부 바닥면(100b)에 형성되는 바닥범프(120)를 포함하여,
펌프(400)로부터 공급된 해수(m)가 상기 바닥면(100b)과 바닥범프(120) 사이의 공간에 소정량 고이도록 하고,
상기 인입가이드(110)는
후방(R)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되, 그 측부에 관통형성되어, 펌프(400)로부터 해수(m)가 공급되는 관통공(111)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수단(200)은
상호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제1,2컨베이어(210,220)와,
상기 제1,2컨베이어(210,220)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용핸들(2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컨베이어(210,220)는
그 사이의 폭이 전방(F)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배치되되, 각각의 단부에는 회전축(211,221)이 형성되고, 각각의 회전축(211,221)은 체인과 스프라켓 또는 벨트와 풀리 또는 기어 치합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회전용핸들(230)의 회전력이 각각의 회전축(211,221)에 동시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호퍼(100) 내부에 해수(m)가 부족할 경우 펌프(4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의해 호퍼(100) 내부에 해수(m)가 소정의 높이까지 채워진 경우 펌프(400)가 작동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7552A KR102490175B1 (ko) | 2022-08-04 | 2022-08-04 | 어류 선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7552A KR102490175B1 (ko) | 2022-08-04 | 2022-08-04 | 어류 선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0175B1 true KR102490175B1 (ko) | 2023-01-19 |
Family
ID=8507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7552A KR102490175B1 (ko) | 2022-08-04 | 2022-08-04 | 어류 선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0175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2403A (ko) * | 1995-12-07 | 1997-07-22 | 김상봉 | 어류 선별기 |
KR200169159Y1 (ko) | 1999-07-05 | 2000-02-15 | 주식회사진양기공 | 활어선별기 |
KR200184668Y1 (ko) * | 1999-12-24 | 2000-06-01 | 송유천 | 활어선별기 |
KR200343414Y1 (ko) * | 2003-12-12 | 2004-02-27 | 박순 | 어류 선별기의 선별판 간격조절구조 |
KR100777970B1 (ko) * | 2007-02-05 | 2007-11-28 | 김윤호 | 어류 선별기 |
KR20180121195A (ko) * | 2017-04-28 | 2018-11-07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어류 정렬 장치 |
-
2022
- 2022-08-04 KR KR1020220097552A patent/KR1024901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2403A (ko) * | 1995-12-07 | 1997-07-22 | 김상봉 | 어류 선별기 |
KR200169159Y1 (ko) | 1999-07-05 | 2000-02-15 | 주식회사진양기공 | 활어선별기 |
KR200184668Y1 (ko) * | 1999-12-24 | 2000-06-01 | 송유천 | 활어선별기 |
KR200343414Y1 (ko) * | 2003-12-12 | 2004-02-27 | 박순 | 어류 선별기의 선별판 간격조절구조 |
KR100777970B1 (ko) * | 2007-02-05 | 2007-11-28 | 김윤호 | 어류 선별기 |
KR20180121195A (ko) * | 2017-04-28 | 2018-11-07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어류 정렬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42077B1 (ko) | 회전롤러 선별장치 | |
KR101891654B1 (ko) | 치패 계수장치 | |
KR102490175B1 (ko) | 어류 선별기 | |
KR101830356B1 (ko) |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 |
KR101968263B1 (ko) | 멸치를 멸치발에 공급하는 자동화 장치 | |
KR100330319B1 (ko) | 어류 자동선별장치 | |
RU152547U1 (ru) |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механизм подачи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материала на сетчатый транспортёр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привод сетчатого транспортёра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привод диаметрального вентилятора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рассекатель потока материала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осадочная камера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 |
KR20140037330A (ko) | 종묘 자동 끼움장치 | |
JP6666833B2 (ja) | 播種機 | |
KR100639257B1 (ko) | 생새우의 선별장치 | |
KR20100046613A (ko) | 치패 선별기 | |
CN106922553A (zh) | 一种自动化兔子笼 | |
JP5853422B2 (ja) | 重量選別装置 | |
CN112317122A (zh) | 一种用于谷物种子选种装置及其使用方法 | |
CN207220023U (zh) | 一种带有筛选装置的自动上鱼线 | |
CN104145582A (zh) | 一种机动式多功能变速播种机 | |
CN205213770U (zh) | 一种獭兔自动喂料器 | |
KR102652341B1 (ko) | 호두 중량 선별용 호두 이송공급기 | |
KR20060091089A (ko) | 새우선별기 | |
KR200184668Y1 (ko) | 활어선별기 | |
KR101250937B1 (ko) | 어류 선별장치 | |
CN213719332U (zh) | 一种应用于自动投喂机的出料装置 | |
KR200169159Y1 (ko) | 활어선별기 | |
JP2020120645A (ja) | 麺取り装置 | |
CN209609570U (zh) | 软颗粒投饵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