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330A - 종묘 자동 끼움장치 - Google Patents

종묘 자동 끼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330A
KR20140037330A KR1020120102594A KR20120102594A KR20140037330A KR 20140037330 A KR20140037330 A KR 20140037330A KR 1020120102594 A KR1020120102594 A KR 1020120102594A KR 20120102594 A KR20120102594 A KR 20120102594A KR 20140037330 A KR20140037330 A KR 20140037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fixed
seaweed
holder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고
Original Assignee
이종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고 filed Critical 이종고
Priority to KR102012010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7330A/ko
Publication of KR20140037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2Tapes, band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oi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묘 자동 끼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 종묘를 연승줄에 자동으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캠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바늘 모양의 핀을 동작시켜서 인입되는 연승줄을 벌린 후, 벌려진 연승줄의 틈 사이에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의 종묘를 자동으로 끼울 수 있도록 발명한 종묘 자동끼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세로바(10)와 가로바(12)들이 종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가로바(12)의 상부에는 상판(14)이 형성되며, 전부에는 안내판(28)이 고정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전부 양측부에 장공(18)이 형성된 지지판(16)이 고정되고 상기 장공(18)에 유도롤러(20)가 결합되어 상기 장공(18)을 타고 이동하도록 설치된 인입부(104)와; 상기 인입부(104)를 지나 인입된 연승줄을 잡아주도록 상기 몸체부(102)의 상부면에 설치된 홀딩부(106)와; 상기 홀딩부(106)에 의해 고정된 연승줄을 상기 몸체부(102)의 상판(14) 하부에서 승하강하며, 인입된 연승줄을 꽂고 당기면서 벌려주기 위한 고정핀(40) 및 이송핀(42)을 구비한 로프벌림장치(108)와; 상기 홀딩부(106)의 홀더(36)를 이동시키고, 상기 로프벌림장치(108)의 고정핀(40) 및 이송핀(42)을 승강시키며, 상기 이송핀(42)을 이동시켜서 연승줄을 벌려주도록 동작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캠(46)을 구비하고 상기 캠(46)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4)가 설치되는 캠구동부(110)와; 상기 캠구동부(110)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진 후, 상기 연승줄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102)의 중간부에 구동모터(48)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48)에 의해 연결 동작되도록 설치되는 톱니(52)가 형성된 이송롤러(50)를 구비한 로프이송장치(1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종묘 자동 끼움장치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의 종묘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끼울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량이 많아지므로 작업효율이 매우 향상되고 많은 수의 작업인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인력부족을 개선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서 생산성이 우수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묘 자동 끼움장치{AN APPARATUS FOR AUTO INSERTING A SEAWEED}
본 발명은 종묘 자동 끼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 종묘를 연승줄에 자동으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캠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바늘 모양의 핀을 동작시켜서 인입되는 연승줄을 벌린 후, 벌려진 연승줄의 틈 사이에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의 종묘를 자동으로 끼울 수 있도록 발명한 종묘 자동끼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바다에 서식하는 생물은 총 30여만종으로 알려져 있고, 지구 동식물의 80%가 바다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바다에서의 해조류는 1차 생산자로서 무척추동물, 어류 및 원생동물 등 다양한 동물들의 산란장, 쉼터 등 서식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는 총 735종에 이르고 그 중 식용 또는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종류는 약 20여종으로서 대량 양식이 가능한 것은 김, 미역, 다시마, 톳, 쇠미역 등의 몇 종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해조자원의 이용 및 해조류 양식 산업의 품종 다변화를 위하여 다양한 양식 대상종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해안 가운데 동해와 남해는 남쪽에서 북상하는 난류와 북쪽에서 하강하는 한류 세력이 교차하는 등 해양 환경의 변화가 심하고, 또한, 봄철에 나타나는 냉수대 등의 영향으로 해조의 형태 변이가 심하고, 태풍 등의 기상의 변화에 따른 바다 환경의 변화가 매우 다양하여 해조류의 종묘를 연승줄에 끼워 넣었다 하더라도 쉽게 빠져서 효율적으로 종묘를 끼우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해조류중 미역, 다시마 등을 양식하기 위해서는 미역, 다시마 등의 종묘를 2-4줄의 나선형으로 꼬여있고 길게 이어져서 매듭이 형성된 로프(이하, 연승줄이라 함)에 끼우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연승줄에 미역, 다시마 등의 종묘를 끼우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종묘를 손으로 쥐고 꼬여있는 연승줄을 벌린 후, 벌려진 부위에 종묘를 끼워넣어야 했고, 연승줄이 매듭으로 연결되어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혼자서는 불가능했고, 20여명이 한조가 되어 종묘를 준비하고 연승줄을 풀고 종묘를 끼우는 등의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수행해야 했으므로 매우 번거롭고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묘를 끼우기 위한 연승줄이 강하게 꼬여있는 상태이거나 연승줄의 탄력 정도가 너무 다를 경우 연승줄을 벌리기가 배우 어려우므로 작업이 매우 어려웠고, 작업시간도 오래 걸렸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 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해조류를 양식하는 사람들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해조류의 종묘를 자동으로 끼울 수 있는 종묘 자동 끼움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 종묘를 연승줄에 자동으로 끼울 수 있도록 캠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연승줄을 벌려주는 종묘 자동 끼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캠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바늘 모양의 핀을 동작시켜서 신속하게 벌려줌으로써 종묘를 끼울 수 있는 종묘 자동 끼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핀을 이용하여 연승줄을 벌려서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 종묘를 끼울 때, 연승줄이 이동하지 않도록 잡아줌으로써 연승줄을 정확하게 벌려줄 수 있는 종묘 자동 끼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세로바(10)와 가로바(12)들이 종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가로바(12)의 상부에는 상판(14)이 형성되며, 전부에는 안내판(28)이 고정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전부 양측부에 장공(18)이 형성된 지지판(16)이 고정되고 상기 장공(18)에 유도롤러(20)가 결합되어 상기 장공(18)을 타고 이동하도록 설치된 인입부(104)와; 상기 인입부(104)를 지나 인입된 연승줄을 잡아주도록 상기 몸체부(102)의 상부면에 설치된 홀딩부(106)와; 상기 홀딩부(106)에 의해 고정된 연승줄을 상기 몸체부(102)의 상판(14) 하부에서 승하강하며, 인입된 연승줄을 꽂고 당기면서 벌려주기 위한 고정핀(40) 및 이송핀(42)을 구비한 로프벌림장치(108)와; 상기 홀딩부(106)의 홀더(36)를 이동시키고, 상기 로프벌림장치(108)의 고정핀(40) 및 이송핀(42)을 승강시키며, 상기 이송핀(42)을 이동시켜서 연승줄을 벌려주도록 동작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캠(46)을 구비하고 상기 캠(46)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4)가 설치되는 캠구동부(110)와; 상기 캠구동부(110)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진 후, 상기 연승줄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102)의 중간부에 구동모터(48)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48)에 의해 연결 동작되도록 설치되는 톱니(52)가 형성된 이송롤러(50)를 구비한 로프이송장치(1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종묘 자동 끼움장치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의 종묘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끼울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량이 많아지므로 작업효율이 매우 향상되고 많은 수의 작업인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인력부족을 개선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서 생산성이 우수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묘자동끼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종묘자동끼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종묘끼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종묘끼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세로바(10)와 가로바(12)들이 종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가로바(12)의 상부에는 상판(14)이 형성되며, 전부에는 안내판(28)이 고정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전부 양측부에 장공(18)이 형성된 지지판(16)이 고정되고 상기 장공(18)에 유도롤러(20)가 결합되어 상기 장공(18)을 타고 이동하도록 설치된 인입부(104)와; 상기 인입부(104)를 지나 인입된 연승줄을 잡아주도록 상기 몸체부(102)의 상부면에 설치된 홀딩부(106)와; 상기 홀딩부(106)에 의해 고정된 연승줄을 상기 몸체부(102)의 상판(14) 하부에서 승하강하며, 인입된 연승줄을 꽂고 당기면서 벌려주기 위한 고정핀(40) 및 이송핀(42)을 구비한 로프벌림장치(108)와; 상기 홀딩부(106)의 홀더(36)를 이동시키고, 상기 로프벌림장치(108)의 고정핀(40) 및 이송핀(42)을 승강시키며, 상기 이송핀(42)을 이동시켜서 연승줄을 벌려주도록 동작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캠(46)을 구비하고 상기 캠(46)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4)가 설치되는 캠구동부(110)와; 상기 캠구동부(110)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진 후, 상기 연승줄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102)의 중간부에 구동모터(48)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48)에 의해 연결 동작되도록 설치되는 톱니(52)가 형성된 이송롤러(50)를 구비한 로프이송장치(1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입부(104)의 유도롤러(20)는 가운데가 오목하게 형성된 유도롤러몸체(22)와 상기 좌우측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6)의 장공(18)에 끼워져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롤러축(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홀딩부(106)는 상기 몸체부(102)의 상면부에 고정된 레일(32)과, 상기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는 홀더(36)와, 상기 홀더(36)의 맞은 편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36)를 받쳐주도록 고정 설치되는 홀더 고정부(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묘자동끼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종묘자동끼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종묘끼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종묘끼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의 종묘 자동 끼움장치(100)는 먼저, 복수 개의 세로바(10) 및 가로바(12)에 의해 설치되는 몸체부(102)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102)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줄로 꼬여서 형성된 연승줄을 인입 안내하는 인입부(10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입부(104)에 의해 안내되어 인입되는 연승줄을 잡아주기 위한 홀딩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승줄이 공급되어 홀딩부(106)에 의해 멈춰지게 되면 상기 홀딩부의 하부에서 상기 인입된 연승줄을 벌려주기 위한 로프벌림장치(10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프벌림장치(108)는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동작하는 캠구동부(110)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캠 구동부(110)는 구동모터(32)에 의해 동작되는 복수 개의 캠(34)에 의해 로프를 잡아주고, 고정핀 및 이송핀을 승하강 동작 및 이동시켜서 로프를 벌려주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프벌림장치(108)에 의해 연승줄이 벌려지면 벌려진 틈 사이로 종묘를 끼워넣게 된다.
상기 연승줄에 종묘가 끼워지면 연승줄은 이송부(112)에 의해 다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부(112)에는 상기 몸체부(10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48)와 상기 구동모터(48)에 의해 회전 동작되어 연승줄을 이동시키는 이송롤러(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부(112)에 의해 상기 연승줄이 이동하면 상기 몸체부(102)의 후부에 고정 설치된 안내판(30)을 따라 연승줄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종묘끼움장치(10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몸체부(102)는 복수 개의 세로바(10)가 종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세로바(10)들 사이에 각각의 가로바(12)가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로바(10)들과 가로바(12)에 의해 고정 형성된 상부에는 상판(14)이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판(14)은 그 중간부분이 횡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갭(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02)의 전면부, 즉 도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우측부에는 인입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부(104)는 상기 이송부(112)에 의해 이동되는 연승줄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02)의 갭(G)에는 안내판(28)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내판(28)이 고정된 몸체부(102)의 전후측면부에는 마주보도록 한 쌍의 지지판(16)이 종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16)에는 유도롤러(20)가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6)에는 대각선 방향, 즉 좌측부에서 우측부로 경사지게 장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도롤러(20)는 가운데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연승줄이 이동하도록 형성된 유도롤러 몸체(22)와, 상기 유도롤러 몸체(22)의 좌우측면부에 돌출 형성된 롤러축(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유도롤러(20)의 롤러축(24)이 전술된 상기 지지판(16)의 장공(18)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유도롤러(20)의 전부에는 아이들 롤러(26)가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 아이들 롤러(26)는 상기 몸체부(102)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어 연승줄의 이동시 연승줄이 원할하게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연승줄, 즉 로프는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아이들 롤러(26)와 상기 유도롤러(20)를 따라 이동하는바, 상기 연승줄은 상기 유도롤러(20)와 상기 안내판(28)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동된다.
상기 안내판(28)과 유도롤러(20)의 사이를 통과하는 연승줄은 상기 연승줄의 매듭이 통과하는 경우, 상기 유도롤러(20)가 상기 장공(18)을 따라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들어 올려지고 상기 연승줄의 매듭이 인입되더라도 원할하고 신속하게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2)의 후부에는 안내판(3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안내판(30)은 상기 이송부(112)에 의해 이송되는 연승줄을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계속해서, 상기 몸체부(102)의 상부측,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인입부(104)의 후부에는 이송되는 연승줄을 잡아주기 위한 홀딩부(106)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홀딩부(106)는 상기 몸체부(102)의 갭(G)을 가로지르도록 평판형상의 레일(3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일(32)에는 인입되는 연승줄을 잡아주기 위한 홀더(36)가 상기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도록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일(32)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34)의 하부에는 로프벌림장치(10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공(34)의 일측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홀더 고정부(38)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홀더(36)와 상기 홀더 고정부(38)가 서로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프벌림장치(108)는 고정핀(40)과 이송핀(42)이 연승줄에 끼워지고 좌우로 벌려줌으로서 연승줄, 즉 로프의 꼬임이 벌려지게 된다.
상기 로프벌림장치(108)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연승줄 즉, 로프가 좌우로 벌려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로서 로프를 상하로 벌려주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2)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홀딩부(106)와 상기 로프벌림장치(108)를 동작시키기 위한 캠구동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구동부(110)는 복수 개의 캠(46)과 캠(46)들과 연결 동작되는 링크(도면부호도시안함)로 구성되어 있고,상기 홀딩부(106)를 동작시키기 위한 캠(46) 및 상기 로프벌림장치(108)를 동작시키기 위한 캠(46)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캠(46)들은 모터축을 구비한 구동모터(44)에 의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한다.
한편, 상기 홀딩부(106)는 인입되는 연승줄이 움직이지 않도록 정확하게 잡아주기 위해 상기 몸체부(102)의 상판(1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홀딩부(106)는 평판형상의 레일(32)이 상기 상판(14)에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일(32)의 좌측부에는 홀더 고정부(38)가 종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우측부에는 연승줄을 잡아주는 홀더(36)가 상기 레일(32)을 타고 이동하여 상기 홀더 고정부(38)와 접촉하여 연승줄을 잡아주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레일(32)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34)은 상기 로프벌림장치(108)의 고정핀(40)과 이송핀(42 )이 상하로 승하강 동작하면서 연승줄을 꽂은 후 벌려주도록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프벌림장치(108)의 고정핀(40)과 이송핀(42)의 동작은 상기 캠구동부(110)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고정핀(40)은 연승줄, 즉 꼬인 로프의 일부를 꽂아서 잡아주고 상기 이송핀(42)은 꼬인 로프의 타측일부를 꽂아서 이동하면서 로프를 벌려준다.
상기 캠구동부(110)를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상기 홀딩부(106)의 홀더(36)를 전후 이동시키고, 상기 로프벌림장치(108)의 고정핀(40)과 이송핀(42)을 승하강 동작시키며, 상기 이송핀(42)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캠(46)들이 설치되고, 상기 캠(46)들을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44)가 상기 몸체부(102)의 일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로프벌림장치(108)에 의해 로프의 꼬인부분이 벌려지면 종묘를 넣고 이동시키게 되는바, 로프를 이송시키는 로프이송장치(112)는 상기 몸체부(102)의 후부 중간에 형성된 가로바(1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진다.
상기 로프이송장치(112)는 연승줄, 즉 로프를 당겨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48)가 상기 몸체부(10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48)에 구비된 연결벨트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롤러(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송롤러(50)에는 톱니(52)가 형성되어 상기 연승줄, 즉, 로프를 찍어서 회전시킴과 동시에 몸체부(102)의 후부에 있는 안내판(30)을 통해 후부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종묘자동끼움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미도시된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로프이송장치(112)의 구동모터(48)가 회전동작하고, 상기 구동모터(48)에 연결 설치된 이송롤러(50)가 회전하면서 연승줄, 즉 로프를 끌어당긴다.
상기 연승줄이 당겨지면 상기 몸체부(102)의 전부에 형성된 아이들 롤러(26)거치고 상기 인입부(104)의 유도롤러(20)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연승줄이 이동된다.
이후, 연승줄은 상기 홀딩부(106)에 설치된 홀더(36)에 의해 정지되고 상기 홀더(36)에 의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홀딩부(106)의 하부에 설치된 로프벌림장치(108)의 고정핀(40)과 이송핀(42)이 상기 로프에 꽂힌다.
상기 고정핀(40)과 이송핀(42)이 로프에 꽂히면 상기 캠구동부(110)의 캠(46)이 동작하여 상기 이송핀(42)을 후퇴시켜서 상기 로프를 벌려준다.
이때, 벌려진 로프의 틈 사이로 미역, 다시마 등의 종묘를 끼워준다.
상기와 같이 연승줄, 즉 로프에 미역, 다시마 등의 종묘가 끼워지면 상기 로프이송장치(112)가 다시 회전동작하여 상기 연승줄, 즉 로프를 당겨서 몸체부(102)의 후부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종묘가 끼워진 연승줄, 즉 로프는 상기 로프이송장치(112)에 의해 상기 몸체부(102)의 후부에 설치된 안내판(30)을 따라 후부로 배출되어 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원발명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 본원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세로바 12 : 가로바
14 : 상판 16 : 지지판
18 : 장공 20 : 유도롤러
22 : 유도롤러 몸체 24 : 롤러축
26 : 아이들 롤러 28,30 : 안내판
32 : 레일 34 : 통공
36 : 홀더 38 : 홀더 고정부
40 : 고정핀 42 : 이송핀
44 : 구동모터 46 : 캠
48 : 구동모터 50 : 이송롤러
100 : 종묘자동끼움장치 102 : 몸체부
104 : 인입부 106 : 홀딩부
108 : 로프벌림장치 110 : 캠구동부
112 : 로프이송장치

Claims (3)

  1. 복수 개의 세로바(10)와 가로바(12)들이 종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가로바(12)의 상부에는 상판(14)이 형성되며, 전부에는 안내판(28)이 고정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전부 양측부에 장공(18)이 형성된 지지판(16)이 고정되고 상기 장공(18)에 유도롤러(20)가 결합되어 상기 장공(18)을 타고 이동하도록 설치된 인입부(104)와;
    상기 인입부(104)를 지나 인입된 연승줄을 잡아주도록 상기 몸체부(102)의 상부면에 설치된 홀딩부(106)와;
    상기 홀딩부(106)에 의해 고정된 연승줄을 상기 몸체부(102)의 상판(14) 하부에서 승하강하며, 인입된 연승줄을 꽂고 당기면서 벌려주기 위한 고정핀(40) 및 이송핀(42)을 구비한 로프벌림장치(108)와;
    상기 홀딩부(106)의 홀더(36)를 이동시키고, 상기 로프벌림장치(108)의 고정핀(40) 및 이송핀(42)을 승강시키며, 상기 이송핀(42)을 이동시켜서 연승줄을 벌려주도록 동작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캠(46)을 구비하고 상기 캠(46)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4)가 설치되는 캠구동부(110)와;
    상기 캠구동부(110)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진 후, 상기 연승줄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102)의 중간부에 구동모터(48)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48)에 의해 연결 동작되도록 설치되는 톱니(52)가 형성된 이송롤러(50)를 구비한 로프이송장치(1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묘자동끼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104)의 유도롤러(20)는 가운데가 오목하게 형성된 유도롤러몸체(22)와 상기 좌우측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6)의 장공(18)에 끼워져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롤러축(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묘자동끼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106)는 상기 몸체부(102)의 상면부에 고정된 레일(32)과, 상기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는 홀더(36)와, 상기 홀더(36)의 맞은 편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36)를 받쳐주도록 고정 설치되는 홀더 고정부(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묘자동끼움장치.




KR1020120102594A 2012-09-17 2012-09-17 종묘 자동 끼움장치 KR20140037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594A KR20140037330A (ko) 2012-09-17 2012-09-17 종묘 자동 끼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594A KR20140037330A (ko) 2012-09-17 2012-09-17 종묘 자동 끼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330A true KR20140037330A (ko) 2014-03-27

Family

ID=5064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594A KR20140037330A (ko) 2012-09-17 2012-09-17 종묘 자동 끼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73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520A1 (ko) * 2015-04-13 2016-10-20 주식회사 이엠티 패류 수하 자동공급장치
CN106069714A (zh) * 2016-06-04 2016-11-09 莆田市海扬食品有限公司 一种自动化紫菜养殖系统
KR20170088564A (ko) * 2016-01-25 2017-08-02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CN107343472A (zh) * 2017-09-01 2017-11-14 烟台大学 一种海带夹苗用辅助送苗机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520A1 (ko) * 2015-04-13 2016-10-20 주식회사 이엠티 패류 수하 자동공급장치
KR20170088564A (ko) * 2016-01-25 2017-08-02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KR101851991B1 (ko) * 2016-01-25 2018-06-11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CN106069714A (zh) * 2016-06-04 2016-11-09 莆田市海扬食品有限公司 一种自动化紫菜养殖系统
CN107343472A (zh) * 2017-09-01 2017-11-14 烟台大学 一种海带夹苗用辅助送苗机构
CN107343472B (zh) * 2017-09-01 2022-10-28 烟台大学 一种海带夹苗用辅助送苗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7330A (ko) 종묘 자동 끼움장치
KR101862565B1 (ko) 해초류 종묘 자동 꽂이 장치
CN202374880U (zh) 一种鱼虾混养的养殖池
DE1454092A1 (de) Beschickautomat fuer Fischbearbeitungsmaschinen
KR101432921B1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CN105325330A (zh) 一种自动包裹贻贝苗种机
CN104170766A (zh) 一种产蛋箱可升降的饲养设备
CN213486319U (zh) 一种省时省力的生猪养殖用猪舍
CN204401589U (zh) 水电站的水面杂物清理装置
DE60013318T2 (de) Verfahren und Gerät zum Entfernen von Geräten
CN104221979B (zh) 一种淡水鱼塘喂鱼装置
KR20140001644U (ko) 종묘끼움장치용 로프 벌림 지그
KR100796809B1 (ko) 갈치 채낚 장치
JP2012024015A (ja) 養殖貝の洗浄装置
CN211970676U (zh) 一种水环境处理时水藻清理船用输送装置
CN111328753B (zh) 一种卡口式分鱼机
CN201299086Y (zh) 肉串自动插签装置
CN205284683U (zh) 一种流水养殖池用打样网具
KR20230169260A (ko) 급사용 트로프 구조 및 급사용 보조구
CN211569246U (zh) 一种畜牧养殖送料装置
CN208047754U (zh) 一种弹射型草料投放装置
KR102147144B1 (ko) 김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CN205567416U (zh) 一种自动喂羊装置
CN207678641U (zh) 一种降低出粪口开启的自动清粪输送带
KR20140002020U (ko) 종묘끼움장치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