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260A - 급사용 트로프 구조 및 급사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급사용 트로프 구조 및 급사용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260A
KR20230169260A KR1020237038664A KR20237038664A KR20230169260A KR 20230169260 A KR20230169260 A KR 20230169260A KR 1020237038664 A KR1020237038664 A KR 1020237038664A KR 20237038664 A KR20237038664 A KR 20237038664A KR 20230169260 A KR20230169260 A KR 20230169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trough
wing
quick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히코 야스다
요시히토 오사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이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이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이템
Publication of KR2023016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2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훅부(10)과 날개부(20)와을 구비하는 급사용 보조구(1)에 있어서, 훅부(10)를, 평판모양의 바닥면부(11), 바닥면부(11)와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는 평판모양의 천장면부(12), 바닥면부(11) 및 천장면부(12)를 동일한 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측면부(13) 및 천장면부(12)에 있어서의 측면부(13)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하고 있는 폴부(15)을 구비하는 구성과 하고 또한, 날개부(20)를, 측면부(13)부터 좌우방향에 각각 V자형으로 연장하고 있어, V자형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압축되었을 때에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을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사용 트로프 구조 및 급사용 보조구
본 발명은, 양계시설(養鷄施設)에 있어서 케이지열(cage列)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트로프(trough)내에서, 체인피드장치(chain feed 裝置)를 사용하여 모이를 반송하는 경우의 급사용 트로프 구조(給飼用 trough 構造) 및 이 구조에 사용되는 급사용 보조구(給飼用 補助具)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케이지에서 복수의 날개를 갖는 조류를 사육하는 시설에서는, 복수의 케이지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케이지열이 복수단으로 적층되어 있다. 각 케이지열을 따라 긴 트로프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있고, 그 내부에 새의 모이가 공급된다. 일반적으로는, 긴 트로프가 있는 부분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모이가, 피드장치(feed 裝置)에 의하여 트로프내에서 반송된다. 이러한 피드장치로서, 트로프의 바닥부에 배치된 체인과, 이 체인을 트로프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체인피드장치(체인피더)가 있다. 체인의 이동에 따라, 모이가 교반(攪拌)되면서 트로프내에서 반송됨으로써, 각 케이지에서 사육되고 있는 조류가 모이를 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체인피드장치를 사용한 급사의 경우에, 체인에 접촉하지 않은 모이가 트로프내에서 체류(滯留)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체류에 의하여 선도(鮮度)가 저하한 모이를 조류가 섭취하면, 새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체류하고 있는 모이가 새의 타액(唾液)에 의하여 습기가 차서 트로프에 고착(固着)되면, 그 부분에서 트로프가 부식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체인피드장치를 사용하여 모이를 트로프내에서 반송하는 경우에, 모이의 체류나 트로프에 대한 모이의 고착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요청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체인피드장치를 사용하여 모이를 트로프내에서 반송하는 데에 있어서, 모이의 체류나 트로프에 대한 모이의 고착을 억제할 수 있는 급사용 트로프 구조 및 상기 구조에 사용되는 급사용 보조구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급사용 트로프 구조는,
「조류사육용의 복수의 케이지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케이지열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트로프의 내부에, 체인피드장치의 체인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체인의 일부에 급사용 보조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급사용 보조구는,
상기 체인을 구성하는 링의 연결부분에 걸려 있는 훅부와,
상기 링이 연속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향으로 상기 훅부로부터 연장하고 있는 V자형 또는 U자형의 날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날개부는, V자형의 각도 또는 U자형의 개도가 작아지도록 압축된 상태에서,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에 의하여 단부가 상기 트로프에 압접되어 있는」 것이다.
본 구성은, 체인피드장치에 의하여 급사하는 타입의 트로프에 있어서, 트로프의 내부에 배치된 체인에 급사용 보조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체인피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트로프의 길이방향으로 체인을 이동시킴으로써, 트로프내에 공급된 모이가 반송되어, 케이지열을 구성하는 케이지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조류에 모이를 줄 수 있다.
급사용 보조구는, 그 훅부가 체인을 구성하는 링의 연결부분에 걸려 있어, 훅부에서는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향으로 날개부가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 때문에 체인의 이동에 따라 모이가 좌우방향에 밀려져, 후속의 체인에 접촉하기 어려워져서 체류한다고 하더라도, 체인과 함께 이동하는 급사용 보조구의 날개부에 의하여 모이가 전방으로 밀려서 반송된다.
또한 날개부는, V자형의 각도 또는 U자형의 개도가 작아지도록 압축된 상태에서,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에 의하여 단부가 트로프에 압접되어 있다. 즉, 날개부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이 작용에 의하여 새의 타액에 의하여 습해진 모이가 트로프에 고착되기 시작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트로프에 압접되면서 이동하는 날개부의 단부가 “스크레이퍼(scraper)”와 같이 작용하여 모이를 긁어모을 수 있기 때문에, 트로프에 대한 모이의 고착이 유효하게 억제된다.
본 발명에 관한 급사용 트로프 구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평판모양의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와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는 평판모양의 천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천장면부를 동일한 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측면부와,
상기 천장면부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하고 있는 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훅부가 이러한 구성인 것에 의하여 어떤 공구도 필요로 하지 않아, 용이한 작업으로 훅부를 체인의 연결부분에 걸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급사용 보조구는,
「훅부와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을 구비하는 급사용 보조구로서,
상기 훅부는, 평판모양의 바닥면부, 상기 바닥면부와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는 평판모양의 천장면부,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천장면부를 동일한 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측면부 및 상기 천장면부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하고 있는 폴부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고 있는 좌우방향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연장하고 있고, V자형의 각도 또는 U자형의 개도가 작아지도록 압축되었을 때에,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한 급사용 트로프 구조에 사용되는 급사용 보조구 중에서 훅부의 구성을 특정했을 경우의 급사용 보조구의 구성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급사용 보조구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날개부의 단부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잔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날개부에 있어서,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를 스크레이퍼와 같이 트로프에 압접시키는 데에 있어서 넓은 면적에서 모이를 긁어모을 수 있다. 또한 날개부는, 단부를 제외하고 가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가늘기의 설정에 의하여 스프링의 작용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체인피드장치를 사용하여 모이를 트로프내에서 반송하는 데에 있어서, 모이의 체류나 트로프에 대한 모이의 고착을 억제할 수 있는 급사용 트로프 구조 및 상기 구조에 사용되는 급사용 보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1]도1은 본 실시형태의 급사용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도2]도2는 도1의 급사용 보조구가 체인에 부착되어 있는 급사용 트로프 구조를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도3(a) 및 도3(b)는, 급사용 보조구의 체인에 대한 부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4]도4는 급사용 보조구가 부착되어 있는 체인을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인 급사용 트로프 구조 및 이 구조에 사용되는 급사용 보조구(1)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급사용의 트로프(50)는, 조류사육용의 복수의 케이지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케이지열에 따라 설치되고 있다.
트로프(50)는, 가늘고 긴 직4각형의 바닥부(51)와, 바닥부(51)의 1쌍의 장변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측벽부(52)를 구비하고 있다. 1쌍의 측벽부(52)는, 상방을 향할수록 서로 이격하도록 경사져 있다.
트로프(50)의 바닥부(51)에는, 체인피드장치(체인피더)의 체인(30)이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체인은, 구성하는 다수의 링에 있어서, 인접하는 링의 일방이 타방의 링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공간을 관통함으로써 인접하는 링 각각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이 교차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체인피드장치의 체인(30)은, 인접하는 링(31) 각각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이 동일평면상이 될 수 있도록, 링(31)과 링(31)이 연결구(3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떤 케이지열(90a)을 따라 배치된 트로프(50)의 바닥부(51)와, 그 케이지열(90a)과 등을 맞대은 케이지열(90b)을 따라 배치된 트로프(50)의 바닥부(51)를, 무한(無限)의 체인(30)이 순환해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개의 트로프(50)의 동일한 측의 단부 상호간이 연결로(60)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로(60)는, 가늘고 긴 직4각형의 바닥부(61)와, 바닥부(61)의 1쌍의 장변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측벽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트로프(50)의 양단에는, 풀리의 회전에 의하여 체인(30)의 주행방향을 직각으로 전환하는 코너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지열(90a)을 따른 트로프(50)의 바닥부(51)를 이동한 체인(30)은, 코너부(70)에서 방향전환해서 연결로(60)를 이동한 후에, 코너부(70)에서 방향전환해서 케이지열(90b)을 따른 트로프(50)의 바닥부(51)를 이동하고, 또한 코너부(70)에서 방향전환해서 연결로(60)를 이동하고, 코너부(70)에서 방향전환 함으로써 원래의 트로프(50)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체인(30)은 케이지열을 주회하는 환상의 체인 주행로(80)를 따라 순환한다.
체인 주행로(80)의 도중에는, 체인(30)을 구동하는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기구는, 모터(71)와, 모터(71)의 출력축의 회전을 체인(30)에 전달하는 전달장치(7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체인 주행로(80) 및 구동기구는, 케이지가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 그 단마다 설치된다.
급사용 보조구(1)는, 무한의 체인(30) 1개당 1개 이상이 체인(30)에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급사용 보조구(1)는, 훅부(10)와, 두개의 날개부(20)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10)는, 평판모양의 바닥면부(11)와, 바닥면부(11)와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는 평판모양의 천장면부(12)와, 바닥면부(11) 및 천장면부(12)를 동일한 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측면부(13)와, 천장면부(12)에 있어서 측면부(13)와는 반대측의 단부(20e)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하고 있는 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폴부(15)는 두개로서, 두개의 폴부(15)의 사이에는, 체인(30)의 연결구(32)의 폭보다 약간 큰 거리로 간격이 벌어져 있다.
날개부(20)는, 훅부(10)의 측면부(13)에 있어서,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V자형으로 연장하고 있다. 날개부(20)는 단부(20e) 만이 상하방향의 길이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날개부(20)는, 단부(20e)를 제외하고 가늘고 길다.
상기와 같은 훅부(10) 및 날개부(20)를 구비하는 급사용 보조구(1)는, 금속제의 평판을 자르고 절곡하여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날개부(20)는, 금속제의 평판을 가늘고 길게 절단한 부분을 V자형으로 접어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V자형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압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압축된 상태로부터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날개부(20)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날개부(20)의 두께 및 단부(20e)를 제외하는 날개부(20)의 상하방향의 길이에 의하여 이 스프링의 작용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급사용 보조구(1)를 체인(30)에 부착할 때는, 트로프(50)의 바닥부(51)에 배치된 체인(30)의 밑에 급사용 보조구(1)를 놓고, 훅부(10)를 체인(30)의 연결부분에 건다. 훅부(10)에서는, 두개의 폴부(15)가 체인(30)의 연결구(32)의 폭보다 약간 널리 이격하고 있기 때문에, 폴부(15)로 연결구(32)를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훅부(10)가 체인(30)의 연결부분에 걸린다. 이와 같이 공구를 요하지 않고, 급사용 보조구(1)를 용이하게 체인(3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급사용 보조구(1)는, 훅부(10)에 있어서 측면부(13)가 체인(30)의 진행방향을 향함과 아울러 동시에, 날개부(20)에 있어서 V자형의 정상부가 체인(30)의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체인(3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급사용 보조구(1)가 체인(30)에 부착된 상태에서, 날개부(20)가 조금 압축되어, 날개부(20)의 단부(20e)가 트로프(50)의 측벽부(52)에 압접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트로프(50)에 있어서 1쌍의 측벽부(52) 사이의 거리와의 관계에서 날개부(20)의 연장 길이가 설정된다.
케이지에서 사육되고 있는 조류에 급사할 때는, 트로프(50)의 단부 근방에서 호퍼(도시를 생략)를 통하여 트로프(50)내에 모이를 공급하고, 구동기구에 의하여 체인(30)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체인(30)의 이동에 따라, 모이는 체인(30)에 의하여 교반되면서 체인(30)의 이동방향으로 반송 되기 때문에 케이지열을 구성하는 모든 케이지에 있는 조류에 모이를 줄 수 있다.
이 때에, 이동하는 체인(30)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밀려진 모이는, 후속의 체인(30)에는 접촉하기 어려워, 트로프(50)의 바닥부(51)와 측벽부(52)의 경계(53) 부근에 체류하기 쉽다. 또 체류한 모이가 새의 타액에 의하여 습해지면 트로프(50)에 고착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체인(30)의 도중에 급사용 보조구(1)가 부착되어 있고, 급사용 보조구(1)에서는 훅부(10)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날개부(20)가 연장하고 있다. 그 때문에 체인(30)에 접촉하기 어려운 위치에서 체류하고 있는 모이는, 체인(30)의 이동에 따라 날개부(20)에 밀려서 반송된다.
또한 날개부(20)는, V자형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압축된 상태에서,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에 의하여 단부(20e)가 트로프(50)에 압접되어 있다. 날개부(20)의 단부(20e)가 압접되어 있는 위치는, 트로프(50)에 있어서 바닥부(51)와의 경계(53) 부근의 측벽부(52)이다. 그 때문에 이 부근에서 모이가 고착하기 시작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측벽부(52)에 압접되면서 이동하는 날개부(20)의 단부(20e)가 “스크레이퍼”와 같이 작용해서 모이를 긁어모을 수 있기 때문에, 트로프(50)에 대한 고착이 유효하게 억제된다.
또한 날개부(20)는, 단부(20e)만이 상하방향으로 길고, 잔부(殘部)가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V자형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압축됨으로써 스프링의 작용을 발휘하기 쉬운 한편, 상하방향으로 긴 단부(20e)에 의하여 트로프(50)의 측벽부(52)를 넓은 면적에서 긁어모을 수 있다.
트로프(50)는, 케이지열의 길이를 따라 매우 긴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부분을 이어서 형성되어 있다. 트로프(50)의 이음매에서는, 연결용의 플레이트가 닿아 있으므로, 1쌍의 측벽부(52) 사이의 거리가 작아져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코너부(70)에서는, 만곡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트로프(50)에 있어서의 1쌍의 측벽부(52) 사이의 거리보다 폭길이가 작아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급사용 보조구(1)는, 날개부(20)가 V자형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압축되고 또한 압축된 상태에서는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트로프(50)에 있어서 1쌍의 측벽부(52) 사이의 거리가 다른 부분보다 작아져 있는 부분이나, 코너부(70)에서 폭길이가 작아져 있는 부분을 문제 없이 빠져나갈 수 있다. 거기에다, 좁은 부분을 빠져나간 후에는 다시 날개부(20)가 좌우방향으로 넓어지고, 트로프(50)의 1쌍의 측벽부(52) 또는 연결로(60)의 1쌍의 측벽부(62)에 압접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매우 간이한 구성인 급사용 보조구(1)를 체인(30)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트로프(50)내에 모이가 체류할 우려나 트로프(50)에 모이가 고착할 우려를 유효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급사용 보조구(1)는, 원래 체인피드장치를 도입하고 있는 양계시설이 구비하고 있는 구동기구에 의하여 구동되고 트로프(50)내에 있어서의 모이의 체류나 트로프(50)에 대한 모이의 고착을 방지하기 때문에, 새로운 동력원(動力源)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이점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적합한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날개부(20)가 훅부(10)로부터 좌우의 쌍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급사용 보조구(1)를 예시했지만, 날개부(20)를 1개밖에 구비하지 않는 급사용 보조구로 할 수 있다. 케이지에서 사육되고 있는 조류는, 트로프(50)내의 모이 중에서 케이지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측의 측벽부(52)에 가까운 부분에 있는 모이를 먹는 경향이 있고, 모이의 부착도 케이지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측의 측벽부(52)와 바닥부(51)의 경계(53) 부근에서 발생하기 쉬운 것이 경험상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날개부(20)를 1개밖에 구비하지 않는 급사용 보조구에서는, 케이지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측의 측벽부(52)를 향해서 날개부(20)를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날개부(20)를 1개밖에 구비하지 않는 급사용 보조구의 경우에, 날개부(20)가 없는 측에는, 날개부(20)와 균형을 잡기 위한 부재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날개부(20)가 V자형을 나타내고 있을 경우를 예시했지만 U자형으로 할 수도 있다. U자형의 날개부이더라도 U자형의 개도가 작아지도록 압축됨으로써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날개부의 단부가 항상 트로프에 압접된다고 하는 동일한 작용을 발휘한다.

Claims (4)

  1. 조류사육용의 복수의 케이지(cage)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케이지열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트로프(trough)의 내부에, 체인피드장치(chain feed 裝置)의 체인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체인의 일부에 급사용 보조구(給飼用 補助具)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급사용 보조구는,
    상기 체인을 구성하는 링의 연결부분에 걸려 있는 훅부와,
    상기 링이 연속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향으로 상기 훅부로부터 연장하고 있는 V자형 또는 U자형의 날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날개부는, V자형의 각도(角度) 또는 U자형의 개도(開度)가 작아지도록 압축된 상태에서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에 의하여 단부(端部)가 상기 트로프에 압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용 트로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평판모양의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와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는 평판모양의 천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천장면부를 동일한 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측면부와,
    상기 천장면부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하고 있는 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용 트로프 구조.
  3. 훅부와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을 구비하는 급사용 보조구로서,
    상기 훅부는, 평판모양의 바닥면부, 상기 바닥면부와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는 평판모양의 천장면부,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천장면부를 동일한 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측면부 및 상기 천장면부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하고 있는 폴부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고 있는 좌우방향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연장하고 있고, V자형의 각도 또는 U자형의 개도가 작아지도록 압축되었을 때에,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용 보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단부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잔부(殘部)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용 보조구.
KR1020237038664A 2021-06-22 2021-06-22 급사용 트로프 구조 및 급사용 보조구 KR202301692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3492 WO2022269728A1 (ja) 2021-06-22 2021-06-22 給餌用トラフ構造及び給餌用補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260A true KR20230169260A (ko) 2023-12-15

Family

ID=8454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8664A KR20230169260A (ko) 2021-06-22 2021-06-22 급사용 트로프 구조 및 급사용 보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60453A1 (ko)
JP (1) JPWO2022269728A1 (ko)
KR (1) KR20230169260A (ko)
CN (1) CN115715148A (ko)
WO (1) WO2022269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3213B1 (nl) * 2022-10-03 2024-04-16 A H Jansen Beheer B V Voedersysteem voor pluimvee en pluimveestal voorzien van een dergelijk voedersyste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430Y1 (ko) * 1970-04-24 1974-01-28
JP2005304402A (ja) * 2004-04-22 2005-11-04 Fujii Shokai:Kk 養鶏用飼料供給装置
JP5554355B2 (ja) * 2012-03-05 2014-07-23 株式会社ハイテム 飼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69728A1 (ko) 2022-12-29
WO2022269728A1 (ja) 2022-12-29
EP4360453A1 (en) 2024-05-01
CN115715148A (zh)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63321A (en) Feeding apparatus
US20070072660A1 (en) Conveyor feeder house chain slat
NL2012824B1 (en) Poultry trough feeding system having its conveying element and/or inner trough segment walls at least partly provided with an abrasive surface structure.
US11013217B2 (en) Poult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ransporting eggs in a poultry management system
KR20230169260A (ko) 급사용 트로프 구조 및 급사용 보조구
JP5554355B2 (ja) 飼料供給装置
US5784996A (en) Feed conveyor
US2934199A (en) Feeding apparatus
US4395973A (en) Cable hold-down apparatus
US3199493A (en) Poultry feeder
US3498267A (en) Apparatus for conveying food to birds
US2822569A (en) Fish filleting machine
CN211631339U (zh) 一种综合家禽养殖设备
JPWO2022269728A5 (ko)
US2672970A (en) Barn gutter cleaner
US2907445A (en) Conveyor
US3055485A (en) Conveyor system for animal husbandry
WO2023152875A1 (ja) トラフユニットの接続方法及びトラフユニット
CN211631340U (zh) 一种家禽养殖笼自动喂料装置
JP3935243B2 (ja) 養鶏ケージ
KR101183711B1 (ko) 사료 콘베이어의 탈락 사료 되돌림 장치
KR101626815B1 (ko)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 공급장치
CN214071217U (zh) 一种自动清理鸡粪的鸡舍
JPH047172B2 (ko)
NL2033213B1 (nl) Voedersysteem voor pluimvee en pluimveestal voorzien van een dergelijk voedersy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