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937B1 - 어류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어류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937B1
KR101250937B1 KR1020100007438A KR20100007438A KR101250937B1 KR 101250937 B1 KR101250937 B1 KR 101250937B1 KR 1020100007438 A KR1020100007438 A KR 1020100007438A KR 20100007438 A KR20100007438 A KR 20100007438A KR 101250937 B1 KR101250937 B1 KR 101250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orting
roller
roller tabl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824A (ko
Inventor
안흥수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102010000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9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6Work-tables; Fish-holding and auxiliary devices in connection with work-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2Apparatus having only parallel elements
    • B07B1/14Roller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류를 선별하는 선별조와, 상기 선별조의 일측에 설치된 어류 투입용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선별조의 타측에 설치된 어류 배출가이드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조 내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단 적층되는 다수의 롤러테이블과; 상부측 롤러테이블에서 하부측 롤러테이블로 갈수록 점점 작은 간격을 갖도록 각 단의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선별조의 최하단에 수평하게 설치된 선별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회전 방식에 의해 다종류의 어류를 이송시키면서 선별하기 때문에 선별시간이 단축되고, 선별효율이 향상되며, 롤러 자체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가능하므로 어류의 걸림 현상이 없고, 롤러 사이의 간격조절이 용이하여 선별 어류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어류 선별장치{FISH SORTER}
본 발명은 어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다수의 롤러를 동시 구동시킬 수 있어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설비의 규모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롤러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선별 어류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선별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개선된 어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기에 관계없이 그물망 등의 포획수단에 의해 다량으로 포획된 어류들은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상품화되는 과정에서 수익성 및 상품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크기별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 작업은 통상 어민들의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수작업으로 어류들을 분류할 경우,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분류기준이 정확하지 않아 분류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어 인건비 등에 따른 수익성이 악화되고 상품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양식장 등에서도 양식어류를 사육하는 동안에 수차례 실행되고 있는 양식어의 대소의 선별작업은 대부분 선별자가 하나씩 육안으로 확인하는 수작업, 또는 반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작업 또는 반수작업으로는 방대한 양의 양식어를 선별하는 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선별자의 선별능력 차이에 따른 선별의 정확도가 미비할 뿐 아니라, 피선별 어류에 외상을 입히는 폐단이 있는 등, 선별작업이 비능률적일 뿐 아니라 선별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등으로 인해 양식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어류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한 장치(예. 등록특허 제0636689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개시된 종래 자동 어류 선별장치는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복수의 선별판을 구비하되, 복수의 선별판은 선별판 별로 구멍의 크기가 다른 메시(Mesh)의 형태로 제작되며, 이 선별판에 공급된 어류들이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면서 선별판에 형성된 구멍 크기별로 분류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메시 형태의 선별판은 그 구멍보다 큰 어류들이 구멍에 끼여 구멍을 막게 될 경우 후속적으로 공급되는 어류의 이송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선별판을 빠져나가야 할 작은 어류들이 선별판을 통과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선별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더욱 심한 경우 어류의 선별을 할 수 없는 경우까지 발생하게 된다.
다른 예로, 롤러를 이용한 자동 어류 선별장치(예. 등록특허 제0330319호)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활어 취급시 활어가 최대한 상처를 받지 않도록 하는 장치 구성에 촛점을 두고 있어 그것을 실현시킬 일환으로 요동방식을 통한 선별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선별효율이 떨어지고, 요동 구조를 갖추기 위해 캠 방식을 채택하고 해당 롤러들도 요동 구조를 갖추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한 라인에 설치된 전체 롤러가 동시 회전되는 구조를 취하여 요동방식이 아닌 롤러 회전 구동방식에 의해 다종류의 어류가 이동하면서 자동 선별되도록 함으로써 선별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하게 대량처리가 가능하고, 롤러 사이 간격 조절을 통해 선별 어류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어류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어류를 선별하는 선별조와, 상기 선별조의 일측에 설치된 어류 투입용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선별조의 타측에 설치된 어류 배출가이드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조 내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단 적층되는 다수의 롤러테이블과; 어류의 진행방향과 롤러의 회전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열됨과 동시에 상부측 롤러테이블에서 하부측 롤러테이블로 갈수록 점점 작은 간격을 갖도록 각 단의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선별조의 최하단에 수평하게 설치된 선별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된 다수의 롤러는 하나의 구동수단과, 다수의 체인에 의해 동일 속도로 동기되어 회전 구동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된 다수의 롤러는 인접 상측 또는 인접 하측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된 롤러들의 간격 중앙에 배치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된 다수의 롤러는, 롤러테이블의 외형을 이루는 지지프레임 상에 형성된 타원형 유동홀, 상기 유동홀에 설치되는 롤러 회전축, 상기 롤러 회전축을 탄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에 의해 어류 낙하시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회전 방식에 의해 다종류의 어류를 이송시키면서 선별하기 때문에 선별시간이 단축되고, 선별효율이 향상되며, 롤러 자체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가능하므로 어류의 걸림 현상이 없고, 롤러 사이의 간격조절이 용이하여 선별 어류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장치를 구성하는 롤러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장치의 선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장치를 구성하는 롤러의 설치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선별장치는 선별조(100)를 포함한다.
선별조(100)는 일종의 처리공간으로서, 건어의 경우에는 물을 채울 필요가 없지만 활어인 경우 필요에 따라 물을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조(100)의 일측에는 선별대상 어류를 상기 선별조(100)로 투입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20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는 공지된 구조로서, 경사 배치되며, 두 개의 회전롤러(210,220)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며, 그 표면에는 선별대상 어류를 퍼 올릴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고정된 지지판(230)이 다수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230)은 고무로 형성되도록 하여 선별대상 어류의 몸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선별조(100)에는 다수의 롤러테이블(300)이 상하로 다단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 경우, 각 롤러테이블(300)에는 어류의 진행방향과 롤러의 회전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열됨과 동시에 일직선을 유지하는 다수의 롤러(310)가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는데, 각 단마다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하여 선별대상 어류가 반송될 때 어류의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에 배치된 상단 롤러테이블(T) 상의 롤러(310) 간격이 D1으로 가장 넓고, 중단 롤러테이블(M) 상의 롤러(310) 간격은 D2, 하단 롤러테이블(B) 상의 롤러(310) 간격은 D3와 같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배열된다.
따라서, 가장 큰 어류는 상단 롤러테이블(T)을 따라 이동되면서 선별되고, 중간 크기의 어류는 간격 D1 사이로 빠져나와 중단 롤러테이블(M)을 따라 이동되면서 선별되며, 그보다 작은 크기의 어류는 간격 D2 사이로 빠져나와 하단 롤러테이블(B)을 따라 이동되면서 선별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테이블(300)은 도시와 같이 상단ㆍ중단ㆍ하단 롤러테이블(T,M,B)과 같이 3의 단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더 세밀한 선별이 필요할 경우 더 많은 단을 갖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롤러테이블(300)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310)들은 그 회전축(330)이 스프라켓 형태로 이루어지고 체인(320)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해 전체 롤러(310)를 동시에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는 모든 롤러(310)가 동일한 속도로 동기됨으로써 선별대상 어류 선별시 균일성과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단(상단, 중단, 하단)별 롤러테이블상의 롤러(310)들은 또다른 체인에 의해 상하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렇게 구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단별로 별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선별조(100)의 최하단에는 선별컨베이어(400)가 설치된다.
상기 선별컨베이어(400)도 앞서 설명한 이송컨베이어(200)와 동일한 구동형식을 갖지만 지지판(230)이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하여, 하단 롤러테이블(B)을 통과하고 남은 가장 작은 크기의 어류를 받아 최종 선별하게 된다.
선별작업은 선별조(100)의 배출측에 구비된 배출가이드(500)를 통해 어류의 크기별(①,②,③,④)로 선별 수납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롤러(310) 회전방식을 통해 어류가 회전되는 롤러(310)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크기별로 자연스럽게 회전낙하되면서 분류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분류가 자연스럽고, 원활하며, 무엇보다도 어류의 몸체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선별작업의 원활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의 롤러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롤러(310)들은 간격(D)의 센터 하방에 인접 하측단 롤러테이블의 롤러가 위치하도록 하여 낙하되는 어류가 큰 충격없이 곧바로 하측단 롤러테이블 상의 롤러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어류 선별시 통과되는 어류의 손상을 극소화하기 위해 각 단의 롤러테이블 상에 설치된 롤러(310)들을 좌우방향 혹은 상하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좌우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구조로는 각 단 롤러테이블의 외형을 구성하는 지지프레임(F) 상에 타원형상의 유동홀(H)을 형성하고, 이 유동홀(H)에 각 롤러(310)의 회전축(330)을 설치한 다음 스프링(S)에 의해 회전축(330)을 탄지하도록 하며, 장력조절구(A)에 의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러(310) 사이의 공간(간격)으로 어류가 빠져나갈 때 간격을 약간 벌어지게 하여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어류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S)은 어느 한쪽 혹은 양쪽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구동수단으로 다수의 롤러를 동시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축(330)에 제1기어(G1)(혹은 스프라켓)를 형성하고, 롤러(310)의 몸체 일단에 제2기어(G2)를 형성하거나 혹은 회전축(330) 자체에 반경이 다른 제1,2기어를 함께 형성하여 각각에 체인(320, 도 1 참조)이 연결되게 함으로써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에서와 같이, 상부측 롤러는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구성하고, 하부측 롤러는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구성하여 낙하되는 어류는 상하 완충시킴으로써 더욱 더 고효율적으로 어류를 선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롤러가 상하로 유동하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좌우로 유동하는 구조를 90°회전시킨 것으로서 대동소이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선별대상 어류를 투입한 후 상하로 다수단이 적층되는 형태로 설치된 롤러테이블(300)을 통해 간편 용이하면서도 손상없이 원활하게 어류를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게 된다.
100 : 선별조 200 : 이송컨베이어
230 : 지지판 300 : 롤러테이블
310 : 롤러 320 : 체인
330 : 회전축 400 : 선별컨베이어
500 : 배출가이드

Claims (4)

  1. 어류를 선별하는 선별조와, 상기 선별조의 일측에 설치된 어류 투입용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선별조의 타측에 설치된 어류 배출가이드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조 내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단 적층되는 다수의 롤러테이블과;
    어류의 진행방향과 롤러의 회전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열됨과 동시에, 상부측 롤러테이블에서 하부측 롤러테이블로 갈수록 점점 작은 간격을 갖도록 각 단의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선별조의 최하단에 수평하게 설치된 선별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된 다수의 롤러는 하나의 구동수단과, 다수의 체인에 의해 동일 속도로 동기되어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된 다수의 롤러는 인접 상측 또는 인접 하측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된 롤러들의 간격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테이블 상에 구비된 다수의 롤러는, 롤러테이블의 외형을 이루는 지지프레임 상에 형성된 타원형 유동홀, 상기 유동홀에 설치되는 롤러 회전축, 상기 롤러 회전축을 탄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에 의해 어류 낙하시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장치.
KR1020100007438A 2010-01-27 2010-01-27 어류 선별장치 KR10125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38A KR101250937B1 (ko) 2010-01-27 2010-01-27 어류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38A KR101250937B1 (ko) 2010-01-27 2010-01-27 어류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824A KR20110087824A (ko) 2011-08-03
KR101250937B1 true KR101250937B1 (ko) 2013-04-04

Family

ID=4492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438A KR101250937B1 (ko) 2010-01-27 2010-01-27 어류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946B1 (ko) * 2018-07-09 2019-05-17 조현성 어류 선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12940A1 (en) 2000-10-26 2002-06-12 Giuseppe Pighin Adjustable size selection device for ichthyological products
KR100642077B1 (ko) 2006-01-06 2006-11-13 김윤호 회전롤러 선별장치
KR100777970B1 (ko) 2007-02-05 2007-11-28 김윤호 어류 선별기
KR100879609B1 (ko) 2007-07-27 2009-01-21 박경만 장어 선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12940A1 (en) 2000-10-26 2002-06-12 Giuseppe Pighin Adjustable size selection device for ichthyological products
KR100642077B1 (ko) 2006-01-06 2006-11-13 김윤호 회전롤러 선별장치
KR100777970B1 (ko) 2007-02-05 2007-11-28 김윤호 어류 선별기
KR100879609B1 (ko) 2007-07-27 2009-01-21 박경만 장어 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946B1 (ko) * 2018-07-09 2019-05-17 조현성 어류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824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93855B (zh) 筛分装置
CN108991568B (zh) 一种大蒜根须切除系统
CN103434830A (zh) 适用于小型农产品智能分选机的多通道输送装置及方法
CN103071617A (zh) 一种摇摆筛式分级设备
KR20130057565A (ko) 크기별 조개선별장치
KR20130068214A (ko) 조갯살분리장치
CN206763408U (zh) 一种水果分类设备
US5887729A (en) Automatic sorting apparatus
KR20150078718A (ko) 농산물 선별기
CN113210249A (zh) 一种多层循环式柔性网筛茶鲜叶分选机及其分选方法
KR20130004418A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멍게 선별기
KR101250937B1 (ko) 어류 선별장치
KR100330319B1 (ko) 어류 자동선별장치
CN102189081A (zh) 用于带叶水果自动分选的排列定距输送装置
CN108968120B (zh) 大蒜加工系统
KR101638058B1 (ko) 집란 시스템용 집란장치
CN203402665U (zh) 一种根茎类物料单列排序机
CN102205319A (zh) 贝类水产品与条茎状蔬果长度分级方法与分级装置
KR101220937B1 (ko) 생선선별기
KR101448432B1 (ko) 선별기용 공급장치
CN109526878B (zh) 一种全自动定量分盒机
KR100639257B1 (ko) 생새우의 선별장치
CN112655631A (zh) 一种贻贝分级装置及分级方法
CN108771273B (zh) 一种大蒜切须根的方法
CN106622974B (zh) 茶鲜叶风选喂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