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937B1 - 생선선별기 - Google Patents

생선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937B1
KR101220937B1 KR1020120096934A KR20120096934A KR101220937B1 KR 101220937 B1 KR101220937 B1 KR 101220937B1 KR 1020120096934 A KR1020120096934 A KR 1020120096934A KR 20120096934 A KR20120096934 A KR 20120096934A KR 101220937 B1 KR101220937 B1 KR 101220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onveyor belt
horizontal
ba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남화
한남천
Original Assignee
(주)동남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남이엔지 filed Critical (주)동남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09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생선들을 콘베이어 벨트 위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크기 및 종류별로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선을 선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를 달리하는 수개의 회전하는 봉과 콘베이어 벨트 사이에서 크기별로 선별되되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생선이 낙하하여 선별되며 상기 수개의 봉들은 높낮이 조절 및 자체 회전할 수 있어서 매우 효율적으로 생선 분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생선선별기{Fish sorting machine}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생선들을 콘베이어벨트 위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크기 및 종류별로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선을 선별, 분리하기 위한 장치 기술분야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선별기라 함은 생선이나 과일과 같이 크기를 달리하는 수개의 제품을 크기 또는 종류별로 선별하여 배출함으로써 제품화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생선 기타 해산물를 선별할 경우, 여러 종류의 생선들을 콘베이어 벨트위에 올려두고 이송하면서 선별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보고 판단하여 생선을 선별하는 것은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자동적으로 선별할 필요가 대두된다.
그런데, 생선이나 해산물(문어, 낙지 등 포함)는 몸체가 매우 유연하여 선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지금까지 이러한 선별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장치 기술이 소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여러 종류의 생산 및 해산물들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횡봉을 콘베이어벨트 진행방향에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하되, 이러한 횡봉을 회전하도록 하여 선별의 속도를 높임과 동시에, 수개의 횡봉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선별해야 하는 생선들의 종류가 달라지더라도 그때그때 대응하여 선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선별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생선들을 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200);
상기 콘베이어벨트를 구동하는 모터(210);
상기 콘베이어 상측부에 다수 설치되고 생선들을 일측 방향으로 안내하여 낙하시키도록 하는 횡봉(350,351,352,353);
상기 횡봉 단부 하측에 다수 구비되는 적재함(301,302,303,304);
그리고, 상기 횡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및 상기 횡봉을 상하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들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기타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과 기능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서술토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횡봉을 콘베이어벨트 진행방향에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하되, 이러한 횡봉을 회전하도록 하여 선별의 속도를 높임과 동시에, 수개의 횡봉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선별해야 하는 생선들의 종류가 달라지더라도 그때그때 대응하여 선별이 용이하여 제품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별기의 사시도,
도 2는 상방향에서 도 1의 선별기를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구동축 하우징 내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림범위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업자 수준에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발명으로 파악되는 모든 발명이 본 권리의 범주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별기의 사시도, 도 2는 상방향에서 도 1의 선별기를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구동축 하우징 내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생선들을 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200)와 상기 콘베이어벨트를 구동하는 모터(210)와, 상기 콘베이어 상측부에 다수 설치되고 생선들을 일측 방향으로 안내하여 낙하시키도록 하는 횡봉 (350,351, 352,353), 상기 횡봉 단부 하측에 다수 구비되는 적재함 (301,302,303,304) 그리고, 상기 횡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와 상기 횡봉들을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우선 생선들은 도 1의 우측 하부의 콘베이어벨트(200) 위(S 영역)에 한꺼번에 적재된 후, 콘베이어를 따라 좌측으로 이송된다.
콘베이어벨트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횡봉(350,351,352,353)들은 콘베이어벨트 상면으로부터 각각 다른 높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면부호 350의 횡봉은 H1, 그다음의 횡봉들의 높이는 각각 H2, H3, H4 등이다. 바람직하게는 H1 높이를 가장 높게 형성하고, 그 다음으로 갈수록 높이를 낮게 형성하도록 한다. H1 높이의 횡봉(350)의 역할은 H1 높이보다 높게 적재되어 이송되어져 오는 생선들을 H1 이하로 평활화 시킨 후, 도면부호 351의 횡봉 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도면부호 350의 횡봉은 콘베이어벨트(200) 진행방향에 수직이지만, 도면부호 351,352,353 의 횡봉들은 콘베이어벨트 진행방향과 90도 각도가 아닌 예각(銳角)을 이룬다. 그 이유는 생선들이 횡봉의 단부쪽으로 모이도록 유도한 뒤, 적재함(301,302,303) 쪽으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T1 위치에서 T2위치로 생선들이 모인 후 낙하하게 된다.
적재함으로의 생선 낙하는 도 1의 굵은 화살표로 도시되어져 있다.
H2> H3> H4 의 관계로 형성된 상태에서는 도면부호 301의 적재함에 낙하하는 생선의 크기가, 도면부호 302의 적재함에 낙하하는 생선의 크기보다 더 크며, 이렇게 크기별로 적재함에 생선이 선별되므로 종류별로 생선 선별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콘베이어벨트 상에서, 횡봉에 의하여 생선들을 적재함(301)이 위치한 쪽으로 보다 용이하게 모이도록 하기 위하여 횡봉들은 도 1과 같이, R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은 모터 동력을 전달받아 횡봉이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생선이 아래 위로 포개져 있고, 콘베이어벨트 위에 놓이 생선이 진행하여 횡봉 351을 만나는 순간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F1 의 몸통 높이를 가진 생선(H2 > F1)이라면 H2 높이의 횡봉(351) 아래로 통과하게 되며, 그 위에 쌓인 F2 몸통 높이를 가진 생선은 F2 > H1 의 조건이라면, 횡봉 아래를 통과하지 못하여 적재함 (301)으로 낙하하게 될 것이며, F2 < H1 조건이라면, 횡봉 아래로 통과될 것이다.
생선이 포개진 상태로 횡봉 아래를 통과하려 할 때, 포개진 생선 중, 상부의 생선들을 콘베이어 진행방향에 반대되는 방향(도 5의 우측방향)으로 생선을 튕겨낼 필요가 있는데, 횡봉이 R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러한 튕겨내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그 이후의 횡봉들도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마지막 횡봉(353)을 통과하는 해물류로는 몸체 높이가 매우 낮은 생선 혹은 문어, 낙지와 같이 바닥에 착 달라붙는 해물류들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횡봉들은 콘베이어벨트 면으로부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S 영역에 적재되는 생선들이 달라질 때마다 그에 대응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은 모터 동력 혹은 수동(手動)식으로 상하 작동이 가능하다. 도 1에서는 수동식 핸들(410 등) 조작에 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횡봉의 상하작동 방향은 도 1의 K1,K2,K3,K4 에 해당한다.
도 3과 도 4에서는 횡봉의 상하작동 및 회전을 담당하는 구조물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도 1에서의 구동축 하우징(401) 내부 구조에 해당한다. 도 3은 도 1의 A방향에서 관찰한 구동축 하우징 내부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횡봉(350)의 단부인 횡봉축(361)은 스크류하우징 (450)에 물려 있으며, 핸들(410)의 회전에 따라서 횡봉은 아래위로 움직임으로써 H1의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다. 핀(442)은 스크류 단부가 스크류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핸들의 반대편 측에도 핸들(414)을 포함한 이송장치가 형성된다.
핸들하단에는 스크류(440) 구조물이 연결되어져 있다. 스크류하우징(450) 내부로는 횡봉축(361) 및 스크류(440) 단부가 관통되어져 핸들 작동에 의하여 횡봉 및 스크류하우징이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 작동은 통상의 상하이송 구조물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핸들과 같은 수동조작 이외에 리모트콘트롤러(미도시)를 사용한 자동식 상하이송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횡봉이 회전하게 하는 구동력은 모터(6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모터 구동축(603) 단부에는 스프로켓(607)이 구비되고, 이는 종동축 부분(620)의 스프로켓(621)과 체인(미도시) 등에 의하여 연결된다. 횡봉축(361) 단부의 스프로켓(373)은 모터 구동축(603)과 종동축(620)을 이어주는 중단 일측(도 4의 D 부분)에서 기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도 4는 도 3을 D방향(상방향에서 내려다본 방향)에서 관찰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횡봉의 표면을 스파이럴(spiral) 형태의 골과 산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T1 영역에서 T2 영역으로 보다 신속히 생선들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횡봉 사이사이에 토수관(700,701,70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토수관은 콘베이어벨트(200) 쪽을 향하여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한꺼번에 적재된 생선 몸체 표면의 마찰저항을 줄여 상호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세척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토수관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횡봉을 콘베이어벨트 진행방향에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하되, 이러한 횡봉을 회전하도록 하여 선별의 속도를 높임과 동시에, 수개의 횡봉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선별해야 하는 생선들의 종류가 달라지더라도 그때그때 대응하여 선별이 용이하여 제품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 C :동력전달연결부
K1,K2,K3,K4:횡봉 상하이동방향
R:횡봉 회전방향
100: 선별기
200:콘베이어벨트 210: 모터
301,302,303,304: 적재함
350,351,352,353:횡봉
361,362,363,364:횡봉 축
373:스프로켓
401,402,403,404:구동축 하우징
420,421,422,423:핸들하우징
440:스크류 442: 핀 450:스크류하우징
410,411,412,413,414,415,416,417 :핸들
600 모터 603:구동축
607:스프로켓
620:종동축 부분
621:스프로켓
700,701,702:토수관

Claims (4)

  1. 생선들을 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200);
    상기 콘베이어벨트를 구동하는 모터(210);
    상기 콘베이어 상측부에 다수 설치되고 생선들을 일측 방향으로 안내하여 낙하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횡봉;
    상기 횡봉 단부 하측에 다수 구비되는 생선 적재함;
    상기 횡봉을 상하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를 포함하되,
    콘베이어벨트 상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횡봉들의 설치높이는, 콘베이어벨트 상면으로부터 각각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높이로 형성되며,
    횡봉들은 콘베이어벨트 진행방향과 예각(銳角)을 이룸으로써, 횡봉의 일측방향으로 생선들이 모이도록 유도한 후 콘베이어벨트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선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봉들이 횡봉이 회전되도록 하는 횡봉 회전장치가 더 구비됨으로써,
    생선이 포개진 상태로 횡봉 아래를 통과하려 할 때, 콘베이어벨트 진행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생선을 튕겨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선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횡봉 회전장치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동력전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 장치의 구조는,
    상기 모터의 구동축(603) 단부에 스프로켓(607)이 구비되고, 이는 종동축 부분(620)의 스프로켓(621)과 체인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며며, 횡봉축(361) 단부의 스프로켓(373)은 모터 구동축(603)과 종동축(620)을 이어주는 중단 일측에서 기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선별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봉의 표면에는 스파이럴 형태로 골과 산이 형성되어져 횡봉의 일측에서 타측 단부로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선별기.
KR1020120096934A 2012-09-03 2012-09-03 생선선별기 KR10122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934A KR101220937B1 (ko) 2012-09-03 2012-09-03 생선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934A KR101220937B1 (ko) 2012-09-03 2012-09-03 생선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937B1 true KR101220937B1 (ko) 2013-01-15

Family

ID=4784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934A KR101220937B1 (ko) 2012-09-03 2012-09-03 생선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9253A (zh) * 2017-08-22 2017-10-24 聊城大学 一种基于重量的鱼类三级分拣装置及工作方法
US11001455B2 (en) 2018-09-27 2021-05-11 Nordischer Maschinenbau Rud. Baader Gmbh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rticles of the fish and meat processing industry to a predetermined end posi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371B1 (ko) 1993-06-22 1999-06-15 고바야시 요시카즈 선별기
KR200411481Y1 (ko) 2005-12-26 2006-03-15 김부용 멸치 선별장치
KR20060091089A (ko) * 2005-02-14 2006-08-18 김윤호 새우선별기
KR100639257B1 (ko) 2005-02-14 2006-10-26 김윤호 생새우의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371B1 (ko) 1993-06-22 1999-06-15 고바야시 요시카즈 선별기
KR20060091089A (ko) * 2005-02-14 2006-08-18 김윤호 새우선별기
KR100639257B1 (ko) 2005-02-14 2006-10-26 김윤호 생새우의 선별장치
KR200411481Y1 (ko) 2005-12-26 2006-03-15 김부용 멸치 선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9253A (zh) * 2017-08-22 2017-10-24 聊城大学 一种基于重量的鱼类三级分拣装置及工作方法
US11001455B2 (en) 2018-09-27 2021-05-11 Nordischer Maschinenbau Rud. Baader Gmbh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rticles of the fish and meat processing industry to a predetermined end 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58317U (zh) 一种理瓶机
KR101238176B1 (ko)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CN203698715U (zh) 饮料下落式装箱线
CN105129389B (zh) 筷子分头装置
CN105619489B (zh) 一种全自动大蒜切根机
US4630725A (en) Apparatus for arrang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5600490B (zh) 炸药装车装配方法及装置
KR20170046843A (ko) 농산물 선별기
KR101220937B1 (ko) 생선선별기
CN212018575U (zh) 一种圆形果蔬分拣机
CN210901188U (zh) 鱼体序列上料装置
CN111085460B (zh) 一种生产线自动化包装箱分拣装置
CN105668253A (zh) 一种层叠物分离机构
CN106966175A (zh) 自动叠板机
CN201678288U (zh) 塑料杯推叠机
CN103754683A (zh) 一种集冷却及堆垛于一身的人造板处理装置
CN108584405A (zh) 一种间歇式杆件收集装置
CN102189081A (zh) 用于带叶水果自动分选的排列定距输送装置
CN201132160Y (zh) 多层式果蔬分选机
CN204503600U (zh) 一种自动喂料机
US4789055A (en) Apparatus for arrang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2205319A (zh) 贝类水产品与条茎状蔬果长度分级方法与分级装置
CN103692276A (zh) 一种制作水表铜接头用送料机构的排序装置
US34554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objects to gauging slots
CN207129623U (zh) 筷子分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