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481Y1 - 멸치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멸치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481Y1
KR200411481Y1 KR2020050036305U KR20050036305U KR200411481Y1 KR 200411481 Y1 KR200411481 Y1 KR 200411481Y1 KR 2020050036305 U KR2020050036305 U KR 2020050036305U KR 20050036305 U KR20050036305 U KR 20050036305U KR 200411481 Y1 KR200411481 Y1 KR 200411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vy
conveyor
sorting
anchovies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용
천재룡
Original Assignee
김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용 filed Critical 김부용
Priority to KR2020050036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4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4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멸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실에서 출고된 멸치에 섞인 각종 이물질을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선별하여 양호한 멸치만을 포장할 수 있도록, 멸치가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선별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각의 선별대에서 작업자가 동시에 멸치를 각종 이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선별하여 양호한 멸치만을 포장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 멸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벨트 상부에 멸치를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의 시작점 상부에 설치되어 적량의 멸치를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펼쳐주는 분배호퍼와,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선별대와, 상기 선별대의 하측에 선별된 멸치를 이송하는 집하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멸치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멸치 선별장치, 선별대, 이송컨베이어, 집하컨베이어

Description

멸치 선별장치{A sorter for anchovy}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승컨베이어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투입호퍼의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의 선별대의 상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송컨베이어 2 : 분배호퍼
3 : 선별대 4 : 집하컨베이어
5 : 선별판 6 : 선별채
7 : 멸치투입공간부 8 : 이물질집하호퍼
9 : 토출구 10 : 멸치이송경사로
11 : 상승컨베이어 12 : 투입호퍼
13 : 받침대 14 : 로프
15 : 권취기 16 : 자동계량기
17 : 자석 18 : 집하망
본 고안은 멸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실에서 출고된 멸치에 섞인 각종 이물질을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선별하여 양호한 멸치만을 포장할 수 있도록, 멸치가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선별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각의 선별대에서 작업자가 동시에 멸치를 각종 이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선별하여 양호한 멸치만을 포장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 멸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멸치는 포획된 부 바로 찌거나 삶은 후 건조실에서 건조시키고, 이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을 제거하여 양질의 멸치만을 선별하여 포장하여야 한다.
멸치는 다른 생선과 달리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이에 혼합된 이물질을 분류해 내기는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대부분의 작업이 이와 같은 선별에 소요되고 있다. 그리고 지리멸과 같이 매우 작은 경우는 더욱 더 그러한 문제점이 있고, 큰 멸치라고 하더라도 멸치 자체의 비늘에 의한 상품성의 저하 등이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멸치와 함께 혼합된 각종 이물질이나, 멸치 자체로부터 떨어져 나간 비늘 등의 이물질을 멸치로부터 선별하여 제거하여야 멸치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조된 멸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과 멸치 자체로부터 이탈되어 생성된 비늘 등을 제거하여 양질의 깨끗한 멸치만을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선별대와, 선별대로부터 선별된 멸치를 이송하는 집하컨베이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멸치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벨트 상부에 멸치를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와, 이송컨베이어(1)의 시작점 상부에 설치되어 적량의 멸치를 이송컨베이어(1)의 상부에 펼쳐주는 분배호퍼(2)와, 이송컨베이어(1)를 따라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선별대(3)와, 상기 선별대(3)의 하측에 선별된 멸치를 이송하는 집하컨베이어(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별대(3)는 다양한 크기의 멸치를 선별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함체로서 상부면에는 선별판(5)과 선별채(6) 및 멸치투입공간부(7)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채(6)의 아래에는 이물질집하호퍼(8)가 설치되며, 상기 멸치투입공간부(7)는 집하컨베이어(4)의 상부로 개구된 토출구(9)와 연결된 멸치이송 경사로(10)와 연통되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의 선별채(6)는 멸치의 크기에 따라 채의 크기가 다른 것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고, 크기가 매우 작은 지리멸의 경우는 선별채(6)의 구성 없이 넓은 선별판(5) 하나 만으로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이송컨베이어(1)의 시작부에 설치된 분배호퍼(2)로 멸치를 자동으로 담을 수 있는 상승컨베이어(11)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상승컨베이어(11)는 높이가 조절되고, 저부에는 투입호퍼(12)가 설치된다. 즉, 상승컨베이어(11)는 하측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받침대(13)의 상단에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3)는 로프(14)에 체결되며, 상기 로프(14)는 권취기(15)에 권취되어, 로프(14)의 당김에 의해 상승컨베이어(11)의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집하컨베이어(4)의 후부에는 자동계량기(16)가 설치되어 적량의 멸치를 자동으로 상자에 담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1)의 상부 다수곳에는 자석(17)이 설치되어 철을 포함한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은 건조실에서 출고된 멸치발에 담긴 멸치를 부어서 이송시키면서, 작업자가 일정 분량씩 가져가 이물질을 제외한 양호한 멸치만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고, 작업의 능력 및 작업자의 수 등에 따라 적절히 이송컨베이어(1)의 속도가 조절된다.
우선 본 고안은 분배호퍼(2)로 멸치발에 담기 멸치를 바로 투입할 수도 있으 나, 이송컨베이어(1)의 높이가 높아서 멸치발을 들어 올리기가 어려울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의 편이를 위하여 하부에 멸치를 부어서 상부로 이송하는 구조가 필요한데, 이의 역할을 상승컨베이어(11)가 담당하게 된다.
상승컨베이어(11)는 이송컨베이어(1)의 높이에 맞출 수 있도록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권취기(15)를 작동시켜 로프(14)을 당기면 받침대(13)의 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받침대(13)의 상부에 거치된 상승컨베이어(11)의 설치 각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적절히 조절되면 권취기(15)의 작동을 멈추고 고정시킨다.
상승컨베이어(11)의 설치를 마치면, 바로 멸치를 투입할 수 있는데, 상승컨베이어(11)의 하부에는 투입호퍼(12)가 설치되어 멸치발로부터 멸치를 담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멸치발로부터 멸치를 투입호퍼(12)에 담으면, 상승컨베이어(11)가 이를 이송하여 이송컨베이어(1)의 분배호퍼(2)에 다시 적재하게 된다. 물론 상기의 투입호퍼(12)는 착탈식으로 되어 필요시 그 사용여부를 결정하면 된다. 투입호퍼(12)의 착탈구조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투입호퍼(12)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의 상하부가 계합되는 구조로 실시하면 된다.
분배호퍼(2)는 이송컨베이어(1)의 시작 부위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이송컨베이어(1)의 벨트면에 멸치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멸치를 이송컨베이어(1)에 직접 적재하게 되면 무더기로 이송되어 작업자가 이를 처리하기 어렵게 되나, 분배호퍼(2)의 출구를 적절한 높이와 넓이로 하면 항상 동일한 양의 멸치가 동일한 넓이로 분포되어 나가게 된다. 따라서 분배호퍼(2)에 넣어 이송컨베이어 (1)를 작동시키면,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리하도록 멸치가 분산되어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멸치에는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되는데, 특히 철을 포함한 금속재의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분배호퍼(2)의 출구 상부에 자석(1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멸치에 포함된 철 등의 이물질이 걸러진다. 물론 자석(17)은 이송컨베이어(1)의 상부에 다수개 설치될 수 있고 설치 장소는 자유롭지만, 작업자의 선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작업자로 가기 전 구간과, 작업자의 작업이 끝난 후 구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는 멸치는 이송컨베이어(1)의 양측에 설치된 선별대(3)에 위치한 작업자가 일정 분량의 멸치를 손으로 가져가 선별작업을 하게 된다.
선별대(3)의 상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부분으로 대별되는데, 작업자가 일정량의 멸치를 가져와 올려두는 선별판(5), 멸치의 크기에 따라 선택되어 설치된 선별채(6), 이물질이 걸러진 양질의 멸치만이 투입되는 멸치투입공간부(7)로 구성된다.
우선 선별채(6)는 다수개의 막대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막대의 설치 간격은 멸치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선별하고자 하는 멸치의 크기가 결정되면 이에 알맞는 선별채(6)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선별채(6)는 선별대(3)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크기가 매우 작은 지리멸의 경우는 선별채(6)를 사용하지 않고 전체가 선별판(5)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멸치 크기에 의해 선택되어 선별채(6)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일정 량의 멸치를 이송컨베이어(1)로 부터 선별판(5)으로 가져온다. 눈이 띄는 큰 이물질 등은 선별판(5)에서 작업자의 육안으로 선별되고, 멸치를 선별채(6)로 밀어주게 되면, 멸치보다 작은 이물질은 선별채(6)의 공간부를 통해 아래도 낙하하게 된다.
선별채(6)의 아래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집하호퍼(8)가 설치되어 있어, 낙하된 이물질은 이를 통해 외부로 이동되어 처리된다.
선별채(6)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선별된 멸치만이 멸치투입공간부(7)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멸치투입공간부(7)의 내부는 멸치이송경사로(10)와 연통되고, 상기 멸치이송경사로(10)는 선별대(3)의 측면 하측에 형성된 토출구(9)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작업자에 의해 선별된 멸치는 상기 토출구(9)로 나오게 된다.
선별대(3)의 토출구(9)로 토출되는 선별된 멸치는 집하컨베이어(4)에 얹혀 이송된다. 즉, 도 1과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9)의 하방에는 집하컨베이어(4)가 설치되어 있어, 선별된 멸치는 집하컨베이어(4)에 적재되어 이송된다.
집하컨베이어(4)를 따라 이송된 선별 멸치는 자동계량기(16)에 의해 적정량씩 계량되어 포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물론 계량은 자동화 또는 수작업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선별대(3)를 거쳐도 선별되지 않은 멸치는 이송컨베이어(1)의 마지막 단부에서 떨어져 집하망(18)에 쌓이게 된다. 즉 집하망(18)이 이송컨베이어(1)의 끝단에 설치되어, 선별되지 않은 멸치를 담은 후 다시 선별을 위해 재 이송 된다.
집하망(18)은 스크린과 같은 채로 되어 있어 멸치의 비늘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의 이송컨베이어(1)와 집하컨베이어(4)는 작업의 능률과 작업자의 수 등에 따라 그 속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이송컨베이어(1)와, 이송컨베이어(1)의 양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선별대(3)와, 선별대(3)로부터 선별된 멸치를 이송하는 집하컨베이어(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멸치 선별장치가 제공됨으로써, 건조된 멸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과 멸치 자체로부터 이탈되어 생성된 비늘 등의 제거가 용이하여 양질의 깨끗한 멸치만을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벨트 상부에 멸치를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와, 이송컨베이어(1)의 시작점 상부에 설치되어 적량의 멸치를 이송컨베이어(1)의 상부에 펼쳐주는 분배호퍼(2)와, 이송컨베이어(1)를 따라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선별대(3)와, 상기 선별대(3)의 하측에 선별된 멸치를 이송하는 집하컨베이어(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선별대(3)는 함체이고, 상부면에는 선별판(5)과 선별채(6) 및 멸치투입공간부(7)가 형성되며, 상기 선별채(6)의 아래에는 이물질집하호퍼(8)가 설치되고, 상기 멸치투입공간부(7)는 집하컨베이어(4)의 상부로 개구된 토출구(9)와 연결된 멸치이송경사로(10)와 연통되게 구성된 멸치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분배호퍼(2)의 상부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상승컨베이어(11)의 상단부가 위치된 멸치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집하컨베이어(4)의 후부에는 자동계량기(16)가 설치되어 적량의 멸치를 상자에 담는 멸치 선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이송컨베이어(1)의 상부 다수곳에는 자석(17)이 설치되어 철을 포함한 이물질을 선별하는 멸치 선별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승컨베이어(11)는 하측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받침대(13)의 상단에 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3)는 로프(14)에 체결되며, 상기 로프(14)는 권취기(15)에 권취되어, 로프(14) 및 권취기(15)에 의해 상승컨베이어(11)의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멸치 선별장치.
KR2020050036305U 2005-12-26 2005-12-26 멸치 선별장치 KR200411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05U KR200411481Y1 (ko) 2005-12-26 2005-12-26 멸치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05U KR200411481Y1 (ko) 2005-12-26 2005-12-26 멸치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481Y1 true KR200411481Y1 (ko) 2006-03-15

Family

ID=4176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305U KR200411481Y1 (ko) 2005-12-26 2005-12-26 멸치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48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37B1 (ko) 2012-09-03 2013-01-15 (주)동남이엔지 생선선별기
KR101457048B1 (ko) * 2013-04-23 2014-10-31 남양씨푸드주식회사 건포류 이물질 선별 장치
KR101836814B1 (ko) * 2017-11-27 2018-03-12 대한민국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KR20220009205A (ko) * 2020-07-15 2022-01-24 박성우 젓갈용 수산물 원료의 이물질 선별 및 멸균 시스템
KR102385593B1 (ko) * 2021-12-03 2022-04-11 이진석 보냉 기능을 갖춘 생선 투입용 호퍼 컨베이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37B1 (ko) 2012-09-03 2013-01-15 (주)동남이엔지 생선선별기
KR101457048B1 (ko) * 2013-04-23 2014-10-31 남양씨푸드주식회사 건포류 이물질 선별 장치
KR101836814B1 (ko) * 2017-11-27 2018-03-12 대한민국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KR20220009205A (ko) * 2020-07-15 2022-01-24 박성우 젓갈용 수산물 원료의 이물질 선별 및 멸균 시스템
KR102465187B1 (ko) * 2020-07-15 2022-11-09 박성우 젓갈용 수산물 원료의 이물질 선별 및 멸균 시스템
KR102385593B1 (ko) * 2021-12-03 2022-04-11 이진석 보냉 기능을 갖춘 생선 투입용 호퍼 컨베이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1481Y1 (ko) 멸치 선별장치
KR100974879B1 (ko) 양파 선별 계량포장장치
KR102156426B1 (ko) 구형 농작물용 선별포장기
CN106475326B (zh) 一种果实筛分分装装置
US9932180B2 (en) Tray stack dispenser
US2868245A (en) Sacking device
KR101239374B1 (ko) 과일이나 농산물 선별기의 박스포장을 위한 정량 공급장치
KR102345742B1 (ko) 균등한 분산과 분포가 이루어져 선별력이 향상되는 농산물용 선별기
CN211491801U (zh) 便捷电动切菜机
KR100816784B1 (ko) 고추 선별기
KR200360367Y1 (ko) 자동선과설비
EP0708020A1 (en) Device for the distribution of bulk articles and use of such a device
US3135387A (en) Coconut classifier
KR200419276Y1 (ko) 고추 선별기
KR20160050646A (ko) 구근 농산물 후처리 시스템
CN211515250U (zh) 种子色选系统
CN219097181U (zh) 一种数粒机构及集自动送料和数粒包装一体化设备
GB2124571A (en) Fruit-grading apparatus
US46117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ing fruit
CN213468652U (zh) 一种干菇分选设备
CN210682028U (zh) 一种苹果的人工运送滑道
KR102414413B1 (ko) 중량 불량 발생 방지 효율과 위생을 향상시킨 고수분 고점착성 식품 부재료 자동 조합 계량기
KR20210078709A (ko) 구형농산물 선별기의 구형농산물 포대망 지지장치
US884743A (en) Apparatus for filling packing-drawers with pins, nails, and the like.
JP2002128019A (ja) ネギ類の自動計量結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