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814B1 -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814B1
KR101836814B1 KR1020170159284A KR20170159284A KR101836814B1 KR 101836814 B1 KR101836814 B1 KR 101836814B1 KR 1020170159284 A KR1020170159284 A KR 1020170159284A KR 20170159284 A KR20170159284 A KR 20170159284A KR 101836814 B1 KR101836814 B1 KR 10183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manual
belt
discharg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길
양용수
박미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59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814B1/ko
Priority to JP2017235006A priority patent/JP6370466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시스템을 이용하여 단일멍게의 외관 특징을 측정 및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로 단일멍게의 무게를 산출하여 이를 등급별로 자동 분류시키는 자동선별기를 통하여 멍게수확물로부터 분리된 단일멍게를 세척 및 정렬 투입시키기 위한 전처리 개념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멍게수확물의 1차 처리를 위한 수작업컨베이어의 측면에 수작업컨베이어와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는 단일멍게의 투입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의 출구측에 세척수의 분사노즐이 배치된 낙하챔버를 설치하며, 상기 낙하챔버를 투입구로 하는 스크류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를 일련의 컨베이어라인으로 하여 수작업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시키되,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는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이송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것을 사용함으로서, 투입컨베이어로부터 낙하챔버를 거쳐 투입된 단일멍게가 스크류컨베이어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이송되는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정렬된 다음 배출컨베이어측으로 하나씩 순차 배출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자동선별기의 비전시스템에 의한 단일멍게의 선별 및 분류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며, 단일멍게의 세척 및 정렬작업을 자동화시키는 동시에 해당 작업에 필요한 기구들을 하나의 테이블에 집약시켜 인건비와 설치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Washing and arrangement apparatus for an automatic sorting of sea-squirt}
본 발명은 개별 분리된 단일멍게와, 개별 분리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멍게덩이와, 홍합이나 미더덕 또는 불가사리 등의 부산물이 혼입되어 있는 상태의 멍게수확물로부터 개별 분리가 이루어진 단일멍게만을 비전시스템으로 인식하여 그 외관을 측정하고 무게를 산출한 다음, 비전시스템의 후방측에 배치된 선별분류기로 단일멍게를 무게별 등급에 맞추어 선별 및 분리시키도록 한 자동선별기로 멍게를 투입시키기 이전에, 멍게덩이와 부산물이 혼입되어 있는 상태의 멍게수확물로부터 인력에 의한 단일멍게로의 분리작업 후, 단일멍게의 세척과 자동선별기로의 개별 투입을 위한 정렬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전처리 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멍게는 개체분리, 세척, 선별, 출하의 과정을 거쳐 수확되고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바, 멍게의 수확작업에 필요한 인력은 멍게 양식장의 규모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국내의 경우 10~14명 정도의 인력이 동원되며, 이들 중 약 50% 이상은 작업량이 많고 작업강도가 높은 선별작업에 투입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멍게 선별작업은 홍합이나 미더덕 또는 불가사리 등과 같은 부산물을 걸러내는 동시에, 작업자의 경험적인 판단에 의존한 육안검사를 통하여 상품성이 있다고 판단된 멍게를 그 크기별(대,중,소)로 나누는 작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방식은 개인의 선별경험에 따라 선별기준이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멍게의 등급별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와 부가가치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멍게의 수확량이 많은 시기에는 인력에 의존한 작업으로 말미암아 원활한 생산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멍게 양식현장에서 멍게 선별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양식어민들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멍게의 경우 주로 한국과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만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기술개발의 수요가 매우 적고, 개별 분리된 단일멍게로부터 멍게덩이와 부산물을 걸러내는 동시에 단일멍게를 등급별로 선별 및 분리해야 하는 기술적 한계에 부딪혀 최근까지 개발되지 못하고 있던 실정이었다.
위와 같은 상황에 입각하여, 컨베이어벨트로 투입된 멍게수확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측에 배치된 비전시스템의 CCD카메라로 멍게의 평면 영상을 촬영하여 그 외관치수와 면적을 측정하는 한편, 비전시스템의 컨트롤러에 내장된 HSV 색상 모델을 이용하여 멍게의 색상면적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멍게의 외관비율과 면적비율을 산출하여 개별 분리된 단일멍게만을 인식토록 하는 동시에, 단일멍게의 투영면적을 이용하여 그 무게를 산출한 후, 비전시스템의 후방측에 배치된 선별분류기로 단일멍게를 무게별 등급에 맞추어 분리 수납토록 한 멍게의 특징 측정과 HSV 색상 모델을 이용한 멍게 자동 선별방법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16년 특허출원 제 0161710호로 선출원 및 특허등록(제 10-1703542호) 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따르면, 비전시스템으로 인식된 단일멍게만을 후방측의 선별분류기를 이용하여 무게별로 신속.정확하게 선별 및 분리할 수 있고, 단일멍게로 인식되지 아니한 멍게덩이와 부산물은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외부로 배출시켜 재분리 작업에 투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멍게의 선별 및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키고, 멍게 등급기준의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표준화를 달성하여 멍게의 생산량과 등급별 상품가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선출원의 경우에 있어서도, 비전시스템과 선별분류기가 포함된 자동선별기를 이용하여 개별 분리가 이루어진 단일멍게를 등급별로 일차 분리 수납시킨 이후, 상품화 및 출하를 위하여 수납통에 저장된 단일멍게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번거로운 추가공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자동선별기의 컨베이어벨트로 멍게덩이와 부산물이 혼입된 상태의 멍게수확물을 직접 투입시킬 경우, 단일멍게만의 선별 및 분류작업에 상당한 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전체적인 처리시간 역시 불필요하게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비전시스템에 의하여 단일멍게로 판단되지 아니한 멍게덩이나 부산물 또는 선별분류기에 의하여 수납통으로 배출되지 못한 단일멍게가 컨베이어벨트의 출구를 거쳐 한데 모이게 되고 그 수집량 또한 비교적 많은 량이 되므로, 이를 자동선별기로 재투입시키기 이전에 별도의 작업테이블에서 멍게덩이를 단일멍게로 분리시키고 부산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이러한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결하는 한편, 멍게 자동 선별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추가방안이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035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멍게수확물의 1차 처리를 위한 수작업컨베이어의 측면에 수작업컨베이어와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는 단일멍게의 투입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의 출구측에 세척수의 분사노즐이 배치된 낙하챔버를 설치하며, 상기 낙하챔버를 투입구로 하는 스크류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를 일련의 컨베이어라인으로 하여 수작업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시키되,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는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이송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것을 사용함으로서, 투입컨베이어로부터 낙하챔버를 거쳐 투입된 단일멍게가 스크류컨베이어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이송되는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정렬된 다음 배출컨베이어측으로 하나씩 순차 배출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자동선별기의 비전시스템에 의한 단일멍게의 선별 및 분류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며, 단일멍게의 세척 및 정렬작업을 자동화시키는 동시에 해당 작업에 필요한 기구들을 하나의 테이블에 집약시켜 인건비와 설치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는, 멍게덩이와 부산물이 포함된 멍게수확물로부터 개별 분리가 이루어진 단일멍게를 골라 내는 한편, 상기 멍게덩이를 단일멍게로 재차 분리시키기 위한 수작업컨베이어와, 상기 수작업컨베이어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단일멍게의 투입컨베이어와, 상기 투입컨베이어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낙하챔버와, 상기 낙하챔버를 거쳐 투입된 단일멍게를 출구측으로 순차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로부터 순차 배출된 단일멍게를 자동선별기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낙하챔버의 하부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세척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수작업컨베이어와 투입컨베이어는 프레임식 테이블이 되는 장치베이스의 상단측에서 장치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편,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는 장치베이스의 내측 바닥공간에서 장치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련의 컨베이어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출구측은 수작업컨베이어의 출구측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장치베이스의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가 되며, 상기 수작업컨베이어와 투입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는 컨베이어벨트와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과 컨베이어모터가 포함된 벨트컨베이어가 되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는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이송실린더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수작업컨베이어와 투입컨베이어의 컨베이어벨트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고, 상기 수작업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의 컨베이어벨트 및 스크류컨베이어의 이송스크류는 동일 방향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투입컨베이어는 수작업컨베이어의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씩 설치되고, 상기 낙하챔버는 각각의 투입컨베이어 출구측에 1개씩 배치되며, 상기 세척수의 분사노즐은 세척수밸브를 구비한 상태로 각각의 낙하챔버마다 1개씩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는 각각의 낙하챔버를 단일멍게의 투입수단으로 하여 수작업컨베이어의 하부에서 2열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치베이스의 하측부에는 스크류컨베이어를 이루는 2열의 이송실린더를 장치베이스의 폭 방향에 걸쳐 에워싸는 형태의 모터브라켓과 실린더브라켓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모터브라켓의 상부면 중앙측에 1개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는 구동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이송실린더 외주면에는 구동스프라켓과 체인벨트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브라켓의 내측에는 이송실린더 1개당 최소 2개 이상의 지지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이송실린더 외주면에는 지지롤러와 맞물린 상태로 이송실린더의 축방향 회전을 보조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이루는 2열의 컨베이어벨트 출구측 부분은 장치베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의 벨트드럼상에 좌,우로 나뉘어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한편, 해당 벨트드럼이 하나의 컨베이어모터와 연결된 상태로 컨베이어프레임상에서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분사노즐은 분배관을 거쳐 하나의 세척수공급관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2열의 배출컨베이어 중 하나의 배출컨베이어는 해당 컨베이어의 출구측에 연결 설치되는 보조컨베이어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배출컨베이어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컨베이어는 컨베이어벨트와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이 포함된 벨트컨베이어가 되고, 상기 보조컨베이어의 입구측 벨트드럼의 벨트축 단부에는 종동스프라켓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출구측 벨트드럼 중앙부에는 구동스프라켓이 연결 설치되고, 해당 구동스프라켓이 보조컨베이어의 종동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수작업컨베이어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에는 해당 컨베이어벨트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커버프레임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의 컨베이어벨트는 수작업컨베이어의 컨베이어벨트보다 5~10cm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컨베이어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에는 해당 컨베이어벨트와 함께 "∪"자형 단면의 이송통로를 제공하는 커버판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커버판의 상단측이 수작업컨베이어의 커버프레임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투입컨베이어의 컨베이어벨트 표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벨트판이 컨베이어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작업컨베이어와 스크류컨베이어의 출구측에는 부산물의 배출판과 단일멍게의 배출판이 하향 경사지게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스크류컨베이어의 배출판 하부측에 입구 부분이 놓여진 상태로 소정의 각도만큼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에는 해당 컨베이어벨트와 함께 "∪"자형 단면의 이송통로를 제공하는 커버판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컨베이어벨트 표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벨트판이 컨베이어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컨베이어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에는 소정 높이의 커버판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컨베이어의 출구 전방측에는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을 토대로 하여 "ㄷ"자 형태의 거치대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작업컨베이어의 출구측에는 단일멍게 또는 멍게덩이의 포착시 수작업컨베이어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포토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수작업컨베이어의 일측 컨베이어프레임에는 수작업컨베이어와 투입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의 이송속도 및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이송실린더 몸통에는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세척수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멍게수확물에 포함된 멍게덩이의 분리작업과 부산물의 제거작업을 수작업컨베이어상에서 집중적으로 1차 수행한 이후, 수작업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단일멍게의 세척과 자동선별기로의 개별 투입을 위한 정렬작업에 이르기까지의 전처리 과정을 모두 자동화시킴으로서, 최소의 인력, 예를 들어 4~5명 정도의 작업자를 투입시키는 것만으로도 기존보다 많은 량의 멍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등급별로 분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수작업컨베이어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 과정에서는 인력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여 부주의한 취급에 따른 단일멍게의 외관손상을 최소화시킴으로서 그 상품성 역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멍게와 같은 부정형(不定形) 대상물의 정렬식 이송 측면에 최적화된 타입의 스크류컨베이어를 사용함으로서, 투입컨베이어로부터 낙하챔버를 거쳐 투입된 단일멍게가 스크류컨베이어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이송되는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정렬된 다음 배출컨베이어측으로 하나씩 순차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자동선별기의 비전시스템에 의한 단일멍게의 선별 및 분류작업이 한층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수작업컨베이어와 투입컨베이어와 스크류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를 하나의 프레임 테이블식 장치베이스상에 모두 집약시킨 콤펙트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멍게 세척 및 정렬장치의 부피와 치수를 크게 줄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수작업컨베이어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 상단측에 컨베이어벨트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레일식 커버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는 수작업컨베이어의 커버프레임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자형 단면의 채널(Channel: 이송통로) 형태로 설치함으로서, 수작업컨베이어에서 분리된 단일멍게를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투입컨베이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며, 부산물이 아닌 멍게덩이나 단일멍게가 수작업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될 경우 포토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수작업컨베이어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함으로서, 멍게수확물로부터 단일멍게를 분리하는 수작업의 편의성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투입컨베이어와 스크류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를 하나의 장치베이스상에 2열(列)로 배치하는 한편, 2열의 스크류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가 하나의 구동모터 및 컨베이어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2개의 낙하챔버를 통한 세척수의 공급 역시 하나의 세척수공급관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한층 더 콤펙트하고 경제적이며 멍게의 전처리 성능이 매우 우수한 세척 및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2열의 배출컨베이어 중 하나의 배출컨베이어를 보조컨베이어에 의하여 다소 길게 연장시킴에 따라, 배출컨베이어의 출구와 자동선별기의 입구를 또 다른 2열 이송식 컨베이어라인을 이용하여 일직선이 아닌 "ㄷ"자 형태로 꺽여지는 방식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교적 협소한 실내공간에도 멍게 세척 및 정렬장치를 자동선별기와 함께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수작업컨베이어와 스크류컨베이어의 진행 및 이송속도보다 투입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의 진행 및 이송속도를 빠르게 하는 등, 각 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투입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에서의 단일멍게 누적 현상 및 이에 따른 전처리 작업의 지연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도 "∪"자형 단면의 채널 형태로 하여 스크류컨베이어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하고, 투입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의 컨베이어벨트 표면에 벨트판을 형성시킴으로서, 단일멍게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한층 더 정확한 이송작업이 가능토록 하는 동시에, 배출컨베이어의 출구와 자동선별기의 입구를 연계시키는 방식 또한 배출컨베이어의 출구 높이를 활용하여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멍게 세척 및 정렬장치의 배면측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방향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수작업컨베이어의 배출판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1에서 수작업컨베이어를 제거한 상태의 배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방향 평면도.
도 8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발췌 외관사시도.
도 11은 스크류컨베이어의 구동부 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2는 배출컨베이어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배출컨베이어의 출구측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 세척 및 정렬장치(10)는 도 1 내지 도 13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멍게덩이와 부산물이 포함된 멍게수확물로부터 개별 분리가 이루어진 단일멍게를 골라 내는 한편, 상기 멍게덩이를 단일멍게로 재차 분리시키기 위한 수작업컨베이어(1)와,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단일멍게의 투입컨베이어(2)와, 상기 투입컨베이어(2)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낙하챔버(3)와, 상기 낙하챔버(3)를 거쳐 투입된 단일멍게를 출구측으로 순차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컨베이어(4)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로부터 순차 배출된 단일멍게를 자동선별기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5)와, 상기 낙하챔버(3)의 하부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세척수의 분사노즐(63)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와 투입컨베이어(2)는 프레임식 테이블이 되는 장치베이스(9)의 상단측에서 장치베이스(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편,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는 낙하챔버(3)를 투입구로 하여 장치베이스(9)의 내측 바닥공간에서 장치베이스(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련(一連)의 컨베이어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와 투입컨베이어(2)의 컨베이어벨트(11)(2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고,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와 배출컨베이어(5)의 컨베이어벨트(11)(51) 및 스크류컨베이어(4)의 이송스크류(45)는 서로 동일 방향으로 진행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와 투입컨베이어(2)와 배출컨베이어(5)는 컨베이어벨트(11)(21)(51)와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12)(22)(52)과 컨베이어모터(13)(23)(53)가 포함된 벨트컨베이어가 되며, 해당 컨베이어벨트(11)(21) (51)가 컨베이어프레임(12)(22)(52)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각각 설치된 벨트드럼(18)(29)(58)상에 감겨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벨트드럼(18)(29)(58) 중 하나의 벨트드럼, 통상 출구측에 위치하는 벨트드럼의 벨트축이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벨트축지지대(14)(24)(54)를 거쳐 컨베이어모터(13)(23)(53)와 연결 설치되는 것이며, 도 9에서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1)(21)(5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컨베이어프레임(12)(22)(52)상에 아이들롤러(Idle roller)(19)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사항은 벨트컨베이어에 널리 적용되는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수작업컨베이어(1)와 투입컨베이어(2)와 배출컨베이어(5)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벨트컨베이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을 포괄적으로 기재한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장치베이스(9)의 측면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투입컨베이어(2)용 받침대(26)가 경사지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장치베이스(9)의 바닥면에는 멍게 세척 및 정렬장치(10)의 이동을 위한 이동바퀴(9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낙하챔버(3)는 도 6과 도 9 및 도 10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컨베이어(2)의 출구 하측에 배치되는 도입부(개구부)(31)와, 상기 도입부(31)에서 장치베이스(9)의 바닥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대(32)와, 상기 경사대(32) 하단의 배출구(33)와 연결 설치되는 투입호퍼(3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투입호퍼(34)의 하단 출구가 스크류컨베이어(4)의 이송실린더(41) 입구 내측에 놓이는 것이며, 상기 세척수의 분사노즐(63)은 투입호퍼(34)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낙하챔버(3)의 벽체상에 형성된 삽입구멍(35)을 통하여 하향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는 도 9와 도 10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와 출구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이송실린더(41) 내주면을 따라 단일멍게의 회전 이송 및 정렬을 위한 나선형의 이송스크류(45)가 설치된 것이고, 상기 이송실린더(41)는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상태에서 구동모터(44)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것이며, 상기 이송실린더(41)의 경사각도는 단일멍게의 안전한 이송과 세척수의 용이한 배출을 위하여 10~20도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원활한 세척수의 배출을 위하여 이송실린더(41)의 몸통에는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세척수의 배수공(4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의 컨베이어벨트(11)는 멍게수확물의 투입과 처리를 위하여 60cm 정도의 폭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2)의 컨베이어벨트(21)는 단일멍게의 이송에 적합하도록 10~12cm 정도의 폭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투입컨베이어(2)의 길이는 수작업컨베이어(1) 전체 길이의 3/4 내지 4/5 정도로 하여 수작업컨베이어(1)의 입구와 출구가 투입컨베이어(2)보다 일정 길이만큼 전,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멍게수확물의 처리작업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의 길이는 투입컨베이어(2) 길이의 1/3과 2/3 정도로 하거나, 각각 투입컨베이어(2) 길이의 1/2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크류컨베이어(4)의 이송실린더(41) 직경은 단일멍게의 회전 이송 및 정렬 작업에 적합하도록 15~22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송실린더(4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송스크류(45)가 돌출되는 높이는 5~8c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출컨베이어(5)의 컨베이어벨트(51) 폭은 투입컨베이어(2)와 마찬가지로 10~12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배치방식에 의하여, 배출컨베이어(5)의 출구측은 수작업컨베이어(1)의 출구측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장치베이스(9)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는 바, 이를 통하여 단일멍게 또는 멍게덩이와 분리된 상태로 수작업컨베이어(1)에서 배출되는 각종 부산물이 배출컨베이어(5)로부터 자동선별기측으로 배출되는 단일멍게와 불필요하게 혼입(混入)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배출컨베이어(5)의 출구를 자동선별기의 입구와 연결시키는 또 다른 컨베이어라인의 배치를 위하여 배출컨베이어(5)의 출구는 수작업컨베이어(1)의 출구보다 50~150cm의 길이만큼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의 출구측에는 단일멍게 또는 멍게덩이의 포착시 수작업컨베이어(1)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포토센서(1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포토센서(17)는 수작업컨베이어(1)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12) 상부면에 각각 1개씩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작업컨베이어(1)의 일측 컨베이어프레임(12)에는 수작업컨베이어(1)와 투입컨베이어(2)와 배출컨베이어(5)의 진행(이송)속도 및 스크류컨베이어(4)의 회전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모니터(71)와 스위치(72)가 구비된 컨트롤러(7)를 케이블파이프(73)에 의하여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케이블파이프(73)를 거쳐 컨트롤러(7)와 접속되는 컨베이어모터(13)(23)(53)와 구동모터(44)는 감속기 일체형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실시예로서는, 상기 투입컨베이어(2)를 수작업컨베이어(1)의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씩 설치하고, 상기 낙하챔버(3)는 각각의 투입컨베이어(2) 출구측에 1개씩 배치하며, 상기 세척수의 분사노즐(63)은 세척수밸브(66)가 구비된 상태로 하여 각각의 낙하챔버(3)마다 1개씩 배치하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는 각각의 낙하챔버(3)를 단일멍게의 투입수단으로 하여 수작업컨베이어(1)의 하부에 2열(列)로 평행하게 배치하며, 상기 2열의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가 하나의 구동모터(44) 및 컨베이어모터(53)로 작동되게 하는 한편, 상기 2개의 낙하챔버(3) 역시 하나의 세척유닛(6)을 공유토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장치베이스(9)의 하측부에는 스크류컨베이어(4)를 이루는 2열의 이송실린더(41)를 장치베이스(9)의 폭 방향에 걸쳐 에워싸는 형태의 모터브라켓(42)과 실린더브라켓(4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브라켓(42)은 이송실린더(41)의 중앙측에 1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브라켓(43)은 이송실린더(41)의 입,출구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44)는 모터브라켓(42)의 상부면 중앙측에 1개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44)의 구동축이 전동유닛(48)에 의하여 각각의 이송실린더(41)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유닛(48)은 구동모터(44)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48a)과, 각각의 이송실린더(41) 외주면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48b)과, 상기 구동스프라켓(48a)을 2개의 종동스프라켓(48b)과 동시에 연결시키는 체인벨트(48c)로 이루어져 있고, 이외에도 벨트-풀리식 전동유닛이나 기어식 전동유닛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실린더브라켓(43) 내측에는 이송실린더(41) 1개당 최소 2개 이상(도면상 4개)의 지지롤러(4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이송실린더(41) 외주면에는 지지롤러(46)와 맞물린 상태로 이송실린더(41)의 축방향 회전을 보조하는 가이드레일(41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컨베이어(5)를 이루는 2열의 컨베이어벨트(51) 출구측 부분은 장치베이스(9)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의 벨트드럼(58)상에 좌,우로 나뉘어 감겨지도록 설치되고, 해당 벨트드럼(58)이 하나의 컨베이어모터(53)와 연결된 상태로 컨베이어프레임(52)상에서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어 있으며, 상기 세척유닛(6)은 도 6과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각각의 분사노즐(63)을 연결시키는 분배관(62)과, 상기 분배관(62)의 중앙부에 연결 설치되는 하나의 세척수공급관(61)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배관(62)의 단부측이 수작업컨베이어(1)의 컨베이어프레임(12) 또는 장치베이스(9)와 연결된 행거브라켓(Hanger bracket)(64)의 장착고리(65)에 매달리는 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도 3과 도 7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2열의 배출컨베이어(5) 중 하나의 배출컨베이어(5)는 그 출구측에 연결 설치되는 보조컨베이어(8)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배출컨베이어(5)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바, 이러한 보조컨베이어(8)의 적용에 따라 2열의 배출컨베이어(5) 출구와 자동선별기의 입구를 또 다른 2열 이송식 컨베이어라인을 이용하여 일직선이 아닌 "ㄷ"자 형태로 꺽여지는 방식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비교적 협소한 실내공간에도 멍게 세척 및 정렬장치(10)를 자동선별기와 함께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보조컨베이어(8)의 길이는 40~50cm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컨베이어(8) 역시 컨베이어벨트(81)와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82)이 포함된 벨트컨베이어가 되며,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컨베이어(8)를 배출컨베이어(5)의 컨베이어모터(53)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보조컨베이어(8)의 입구측 벨트드럼의 벨트축 단부에는 종동스프라켓(83)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컨베이어(5)의 출구측 벨트드럼(58) 중앙부에는 구동스프라켓(57)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구동스프라켓(57)이 보조컨베이어(8)의 종동스프라켓(83)과 체인(87)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컨베이어(8)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82)에는 단일멍게가 외부로 탈락되지 않도록 소정의 높이, 바람직하게는 5~10cm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커버판(85)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컨베이어(8)의 출구 전방측에는 배출컨베이어(5)의 출구와 자동선별기의 입구를 연결하는 또 다른 컨베이어라인상에 보조컨베이어(8)를 안전하게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82) 선단부의 벨트축지지대(84)를 토대로 하여 "ㄷ"자 형태의 거치대(86)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12)에는 해당 컨베이어벨트(11)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레일식 커버프레임(15)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2)의 컨베이어벨트(21)는 수작업컨베이어(1)의 컨베이어벨트(11)보다 5~10cm 정도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컨베이어(2)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22)에는 해당 컨베이어벨트(21)와 함께 "∪"자형 단면의 이송통로를 제공하는 커버판(25)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커버판(25)의 상단측이 수작업컨베이어(1)의 커버프레임(15)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수작업컨베이어(1)의 컨베이어프레임(12)과 밀착되는 커버판(25)의 단부측에는 투입컨베이어(2)용 장착브라켓(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투입컨베이어(2)를 "∪"자형 단면의 채널(Channel) 형태로 하여 수작업컨베이어(1)의 커버프레임(15)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설치하게 되면, 수작업컨베이어(1)에서 분리된 단일멍게를 작업자가 손으로 쓸어 담아 투입컨베이어(2)의 "∪"자형 채널로 밀어 넣는 간단한 방식으로 단일멍게의 투입작업을 손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 투입컨베이어(2)의 컨베이어벨트(21) 표면상에는 1~3cm의 높이를 가지는 벨트판(28)을 컨베이어벨트(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5~10c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시킴으로서, 채널 형태의 통로를 거쳐 단일멍게를 투입시키는 작업이 벨트판(28)에 의하여 보다 확실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와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수작업컨베이어(1)와 스크류컨베이어(4)의 출구측에 부산물의 배출판(16)과 단일멍게의 배출판(47)을 하향 경사지게 각각 연결 설치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5)는 스크류컨베이어(4)의 배출판(47) 하측에 입구 부분이 놓여진 상태로 하여 10~20도의 각도만큼 상향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서, 수작업컨베이어(1)를 거친 부산물의 배출작업과 스크류컨베이어(4)를 거친 단일멍게의 정렬식 배출작업이 한층 더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동시에, 배출컨베이어(5)의 길이와 출구 높이 역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배출컨베이어(5)를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우, 도 12와 도 13에서와 같이 배출컨베이어(5)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52)에도 해당 컨베이어벨트(51)와 함께 "∪"자형 단면의 이송통로를 제공하는 커버판(55)을 연결 설치하는 한편, 배출컨베이어(5)의 컨베이어벨트(51) 표면에도 1~3cm의 높이를 가지는 벨트판(56)을 컨베이어벨트(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5~10c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시킴으로서, 단일멍게가 외부로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자동선별기측으로의 단일멍게 이송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2열의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가 하나의 구동모터(44)와 컨베이어모터(53)를 공유하는 방식 대신에, 각각의 컨베이어마다 모터를 하나씩 할당시키는 개별 구동 방식도 적용이 가능하고, 상기 보조컨베이어(8)의 경우도 배출컨베이어(5)의 컨베이어모터(53)가 아닌 별도의 전용 모터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투입컨베이어(2)와 낙하챔버(3)는 수작업컨베이어(1)의 좌,우측에 각각 1개씩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는 2개의 낙하챔버(2)를 투입구로 공유하는 1열의 컨베이어라인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도면에 도시된 최적 실시예를 기초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멍게수확물에 포함된 멍게덩이의 분리작업과 부산물의 제거작업을 수작업컨베이어(1)상에서 집중적으로 1차 수행한 이후, 수작업컨베이어(1)로부터 배출되는 단일멍게의 세척과 자동선별기로의 개별 투입을 위한 정렬작업에 이르기까지의 전처리 과정을 모두 자동화시킴으로서, 최소의 인력, 예를 들어 4~5명 정도의 작업자를 투입시키는 것만으로도 기존보다 많은 량의 멍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등급별로 분류시킬 수 있으며, 수작업컨베이어(1)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 과정에서는 인력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여 부주의한 취급에 따른 단일멍게의 외관손상을 최소화시킴으로서 그 상품성 역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멍게와 같은 부정형(不定形) 대상물의 정렬식 이송 측면에 최적화된 타입의 스크류컨베이어(4)를 사용함으로서, 투입컨베이어(2)로부터 낙하챔버(3)를 거쳐 투입된 단일멍게가 스크류컨베이어(4)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이송되는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정렬된 다음 배출컨베이어(5)측으로 하나씩 순차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자동선별기의 비전시스템에 의한 단일멍게의 선별 및 분류작업이 한층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작업컨베이어(1)와 투입컨베이어(2)와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를 하나의 프레임 테이블식 장치베이스(9)상에 모두 집약시킨 콤펙트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멍게 세척 및 정렬장치(10)의 부피와 치수를 크게 줄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작업컨베이어(1)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12) 상단측에 컨베이어벨트(11)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레일식 커버프레임(15)을 설치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2)는 수작업컨베이어(1)의 커버프레임(15)과 동일 선상에 놓이는 "∪"자형 단면의 채널 형태로 설치함으로서, 수작업컨베이어(1)에서 분리된 단일멍게를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투입컨베이어(2)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며, 부산물이 아닌 멍게덩이나 단일멍게가 수작업컨베이어(1)로부터 배출될 경우 포토센서(17)가 이를 감지하여 수작업컨베이어(1)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서, 멍게수확물로부터 단일멍게를 분리하는 수작업의 편의성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투입컨베이어(2)와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를 하나의 장치베이스(9)상에 2열(列)로 배치하는 한편, 2열의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가 하나의 구동모터(44) 및 컨베이어모터(53)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2개의 낙하챔버(3)를 통한 세척수의 공급 역시 하나의 세척수공급관(61)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한층 더 콤펙트하고 경제적이며 멍게의 전처리 성능이 매우 우수한 세척 및 정렬장치(10)를 제공할 수 있으며, 2열의 배출컨베이어(5) 중 하나의 배출컨베이어(5)를 보조컨베이어(8)에 의하여 다소 길게 연장시킴에 따라, 배출컨베이어(5)의 출구와 자동선별기의 입구를 또 다른 2열 이송식 컨베이어라인을 이용하여 일직선이 아닌 "ㄷ"자 형태로 꺽여지는 방식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교적 협소한 실내공간에도 멍게 세척 및 정렬장치(10)를 자동선별기와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수작업컨베이어(1)와 스크류컨베이어(4)의 진행 및 이송속도보다 투입컨베이어(2)와 배출컨베이어(5)의 진행 및 이송속도를 빠르게 하는 등, 각 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컨트롤러(7)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투입컨베이어(2)와 배출컨베이어(5)에서의 단일멍게 누적 현상 및 이에 따른 전처리 작업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컨베이어(5)도 "∪"자형 단면의 채널 형태로 하여 스크류컨베이어(4)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하고, 투입컨베이어(2)와 배출컨베이어(5)의 컨베이어벨트(21)(51) 표면에 벨트판(28)(56)을 형성시킴으로서, 단일멍게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한층 더 정확한 이송작업이 가능토록 하는 동시에, 배출컨베이어(5)의 출구와 자동선별기의 입구를 연계시키는 방식 또한 배출컨베이어(5)의 출구 높이를 활용하여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 : 수작업컨베이어 2 : 투입컨베이어 3 : 낙하챔버
4 : 스크류컨베이어 5 : 배출컨베이어 6 : 세척유닛
7 : 컨트롤러 8 : 보조컨베이어 9 : 장치베이스
10 : 멍게 세척 및 정렬장치 11,21,51,81 : 컨베이어벨트
12,22,52,82 : 컨베이어프레임 13,23,53 : 컨베이어모터
14,24,54,84 : 벨트축지지대 15 : 커버프레임
16,47 : 배출판 17 : 포토센서 18,29,58 : 벨트드럼
19 : 아이들롤러 25,55,85 : 커버판 26 : 받침대
27 : 장착브라켓 28,56 : 벨트판 31 : 도입부
32 : 경사대 33 : 배출구 34 : 투입호퍼
35 : 삽입구멍 41 : 이송실린더 41a : 배수공
41b : 가이드레일 42 : 모터브라켓 43 : 실린더브라켓
44 : 구동모터 45 : 이송스크류 46 : 지지롤러
48 : 전동유닛 48a,57 : 구동스프라켓 48b,83 : 종동스프라켓
48c : 체인벨트 61 : 세척수공급관 62 : 분배관
63 : 분사노즐 64 : 행거브라켓 65 : 장착고리
66 : 세척수밸브 71 : 모니터 72 : 스위치
73 : 케이블파이프 86 : 거치대 87 : 체인
91 : 이동바퀴

Claims (11)

  1. 개별 분리가 이루어진 단일멍게를 비전시스템을 이용하여 등급별로 자동 분류시키기 위한 자동선별기측으로 세척이 완료된 단일멍게를 순차적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멍게 세척 및 정렬장치에 있어서,
    멍게덩이와 부산물이 포함된 멍게수확물로부터 개별 분리가 이루어진 단일멍게를 골라 내는 한편, 상기 멍게덩이를 단일멍게로 재차 분리시키기 위한 수작업컨베이어(1)와,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단일멍게의 투입컨베이어(2)와, 상기 투입컨베이어(2)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낙하챔버(3)와, 상기 낙하챔버(3)를 거쳐 투입된 단일멍게를 출구측으로 순차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컨베이어(4)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로부터 순차 배출된 단일멍게를 자동선별기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5)와, 상기 낙하챔버(3)의 하부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세척수의 분사노즐(63)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와 투입컨베이어(2)는 프레임식 테이블이 되는 장치베이스(9)의 상단측에서 장치베이스(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편,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는 장치베이스(9)의 내측 바닥공간에서 장치베이스(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련(一連)의 컨베이어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5)의 출구측은 수작업컨베이어(1)의 출구측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장치베이스(9)의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가 되며,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와 투입컨베이어(2)와 배출컨베이어(5)는 컨베이어벨트(11)(21)(51)와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12)(22)(52)과 컨베이어모터(13)(23) (53)가 포함된 벨트컨베이어가 되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는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상태에서 구동모터(44)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이송실린더(41)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이송스크류(45)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와 투입컨베이어(2)의 컨베이어벨트(11)(21)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고,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와 배출컨베이어(5)의 컨베이어벨트(11)(51) 및 스크류컨베이어(4)의 이송스크류(45)는 동일 방향으로 진행되며,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12)에는 해당 컨베이어벨트(11)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커버프레임(15)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투입컨베이어(2)의 컨베이어벨트(21)는 수작업컨베이어(1)의 컨베이어벨트(11)보다 5~10cm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컨베이어(2)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22)에는 해당 컨베이어벨트(21)와 함께 "∪"자형 단면의 이송통로를 제공하는 커버판(25)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커버판(25)의 상단측이 수작업컨베이어(1)의 커버프레임(15)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투입컨베이어(2)의 컨베이어벨트(21) 표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벨트판(28)이 컨베이어벨트(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컨베이어(2)는 수작업컨베이어(1)의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씩 설치되고, 상기 낙하챔버(3)는 각각의 투입컨베이어(2) 출구측에 1개씩 배치되며, 상기 세척수의 분사노즐(63)은 세척수밸브(66)를 구비한 상태로 각각의 낙하챔버(3)마다 1개씩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와 배출컨베이어(5)는 각각의 낙하챔버(3)를 단일멍게의 투입수단으로 하여 수작업컨베이어(1)의 하부에서 2열(列)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베이스(9)의 하측부에는 스크류컨베이어(4)를 이루는 2열의 이송실린더(41)를 장치베이스(9)의 폭 방향에 걸쳐 에워싸는 형태의 모터브라켓(42)과 실린더브라켓(4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44)는 모터브라켓(42)의 상부면 중앙측에 1개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44)의 구동축에는 구동스프라켓(48a)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이송실린더(41) 외주면에는 구동스프라켓(48a)과 체인벨트(48c)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48b)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브라켓(43)의 내측에는 이송실린더(41) 1개당 최소 2개 이상의 지지롤러(4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이송실린더(41) 외주면에는 지지롤러(46)와 맞물린 상태로 이송실린더(41)의 축방향 회전을 보조하는 가이드레일(41b)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5)를 이루는 2열의 컨베이어벨트(51) 출구측 부분은 장치베이스(9)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의 벨트드럼(58)상에 좌,우로 나뉘어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한편, 해당 벨트드럼(58)이 하나의 컨베이어모터(53)와 연결된 상태로 컨베이어프레임(52)상에서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분사노즐(63)은 분배관(62)을 거쳐 하나의 세척수공급관(61)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열의 배출컨베이어(5) 중 하나의 배출컨베이어(5)는 해당 컨베이어의 출구측에 연결 설치되는 보조컨베이어(8)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배출컨베이어(5)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컨베이어(8)는 컨베이어벨트(81)와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82)이 포함된 벨트컨베이어가 되고, 상기 보조컨베이어(8)의 입구측 벨트드럼의 벨트축 단부에는 종동스프라켓(83)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5)의 출구측 벨트드럼(58) 중앙부에는 구동스프라켓(57)이 연결 설치되고, 해당 구동스프라켓(57)이 보조컨베이어(8)의 종동스프라켓(83)과 체인(87)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컨베이어(8)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82)에는 소정 높이의 커버판(85)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컨베이어(8)의 출구 전방측에는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82)을 토대로 하여 "ㄷ"자 형태의 거치대(86)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7. 삭제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와 스크류컨베이어(4)의 출구측에는 부산물의 배출판(16)과 단일멍게의 배출판(47)이 하향 경사지게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5)는 스크류컨베이어(4)의 배출판(47) 하부측에 입구 부분이 놓여진 상태로 소정의 각도만큼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5)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52)에는 해당 컨베이어벨트(51)와 함께 "∪"자형 단면의 이송통로를 제공하는 커버판(55)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5)의 컨베이어벨트(51) 표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벨트판(56)이 컨베이어벨트(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의 출구측에는 단일멍게 또는 멍게덩이의 포착시 수작업컨베이어(1)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포토센서(17)가 설치되고, 상기 포토센서(17)는 수작업컨베이어(1)의 좌,우측 컨베이어프레임(12) 상부면에 각각 1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작업컨베이어(1)의 일측 컨베이어프레임(12)에는 수작업컨베이어(1)와 투입컨베이어(2)와 배출컨베이어(5)의 이송속도 및 스크류컨베이어(4)의 회전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의 이송실린더(41) 몸통에는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세척수의 배수공(41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KR1020170159284A 2017-11-27 2017-11-27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KR10183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284A KR101836814B1 (ko) 2017-11-27 2017-11-27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JP2017235006A JP6370466B1 (ja) 2017-11-27 2017-12-07 ホヤ自動選別用洗浄及び整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284A KR101836814B1 (ko) 2017-11-27 2017-11-27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814B1 true KR101836814B1 (ko) 2018-03-12

Family

ID=6172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284A KR101836814B1 (ko) 2017-11-27 2017-11-27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70466B1 (ko)
KR (1) KR101836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7842A (zh) * 2020-12-31 2021-05-25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中型十字轴尺寸和表面缺陷检测的自动化产线系统及方法
CN113145483A (zh) * 2021-02-24 2021-07-23 陕西蒲城好邦食品有限公司 一种鸡肉生产用肉块血渍监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334A (ja) * 1999-08-31 2001-03-13 Noguchi Suisan:Kk 選別洗浄装置
KR200411481Y1 (ko) * 2005-12-26 2006-03-15 김부용 멸치 선별장치
KR20140102411A (ko) * 2013-02-14 2014-08-22 김정명 굴 분리기
KR20170114328A (ko) * 2016-04-04 2017-10-16 김정명 멍게선별기
KR101800252B1 (ko) * 2017-08-03 2017-11-24 대한민국 멍게 자동 선별 및 분류를 위한 멍게수확물 전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682A (en) * 1993-06-18 1995-08-22 Fisheries Resource Development (1988) Limited Securing objects such as scallops to a backing material
JPH115608A (ja) * 1997-06-16 1999-01-12 Nippon Soken Inc スライダ式コンベア
JP3862086B2 (ja) * 2004-04-15 2006-12-27 株式会社東京共栄商会 土砂の搬送装置
JP2008285295A (ja) * 2007-05-18 2008-11-27 Ito Denki Kk コンベア用ガイド、並びに、伸縮コンベア
JP5607987B2 (ja) * 2010-04-27 2014-10-15 株式会社むつ家電特機 貝類取外し装置と貝類取外し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334A (ja) * 1999-08-31 2001-03-13 Noguchi Suisan:Kk 選別洗浄装置
KR200411481Y1 (ko) * 2005-12-26 2006-03-15 김부용 멸치 선별장치
KR20140102411A (ko) * 2013-02-14 2014-08-22 김정명 굴 분리기
KR20170114328A (ko) * 2016-04-04 2017-10-16 김정명 멍게선별기
KR101800252B1 (ko) * 2017-08-03 2017-11-24 대한민국 멍게 자동 선별 및 분류를 위한 멍게수확물 전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7842A (zh) * 2020-12-31 2021-05-25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中型十字轴尺寸和表面缺陷检测的自动化产线系统及方法
CN113145483A (zh) * 2021-02-24 2021-07-23 陕西蒲城好邦食品有限公司 一种鸡肉生产用肉块血渍监测装置
CN113145483B (zh) * 2021-02-24 2023-06-23 陕西蒲城好邦食品有限公司 一种鸡肉生产用肉块血渍监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92489A (ja) 2019-06-20
JP6370466B1 (ja)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13678B (zh) 一种红枣智能精选设备
CN109953355A (zh) 收获后农产品的异物剔除与分选装备
KR101836814B1 (ko)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KR101761875B1 (ko) 패류 채취장치
CN210411542U (zh) 一种能够对谷物进行预处理的谷物色选机
CN104150206A (zh) 采血管贴标与组装自动连线装置
KR101993808B1 (ko) 과일 선별 장치
KR101381473B1 (ko) 콩 탈곡장치
KR101238561B1 (ko) 콩 탈곡기용 선별장치
CN210146462U (zh) 一种海参筛选装置
KR100808219B1 (ko) 당근의 세척 및 자동분류장치
CN108934337A (zh) 一种全自动穴盘苗移栽机的幼苗监测剔除及补苗装置
KR20180057058A (ko) 과실채소류 선별장치
CN102189081A (zh) 用于带叶水果自动分选的排列定距输送装置
KR101800252B1 (ko) 멍게 자동 선별 및 분류를 위한 멍게수확물 전처리장치
CN109516097B (zh) 一种鬃刷生产用鬃毛分选装置
KR101800254B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멍게의 자동 선별 및 분류장치
CN203959289U (zh) 采血管贴标与组装自动连线装置
CN110813796A (zh) 苹果清洗分选系统及工艺
KR100590595B1 (ko)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CZ894A3 (en) Cabbage harvesting machine
CN208555033U (zh) 一种高效分级净选机
CN110270505A (zh) 翻转式浙贝母分选机
KR101763565B1 (ko) 저품질 마늘 선별 장치
KR200447168Y1 (ko) 마늘 줄기 절단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