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479B1 -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479B1
KR102280479B1 KR1020200179491A KR20200179491A KR102280479B1 KR 102280479 B1 KR102280479 B1 KR 102280479B1 KR 1020200179491 A KR1020200179491 A KR 1020200179491A KR 20200179491 A KR20200179491 A KR 20200179491A KR 102280479 B1 KR102280479 B1 KR 102280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hellfish
seafood
inpu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
Priority to KR102020017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6Work-tables; Fish-holding and auxiliary devices in connection with work-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3Conveying, feeding or aligning shell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패류를 중량에 따라 선별하되 투입부에서 어패류가 중첩되지 않고 한마리씩 차례로 측정부에 안정적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어패류가 방향 전환없이 이송트레이에 유입되어 어패류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어패류의 중량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패류의 중량을 측정하여 여러 단계의 중량별로 자동 선별하여 분류하는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에 있어서, 선별 전의 어패류가 차례로 투입되어 이송되는 투입부; 어패류를 이송하면서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어패류의 이송을 위한 측정컨베이어와 이송중인 어패류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측정부; 중량 측정이 완료된 어패류를 한마리씩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투입부에서 배출된 어패류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측정부로 공급하는 연결부; 및 이송부의 이송트레이를 작동시켜 중량에 따라 어패류를 자동으로 분류 배출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Grading Apparatus by Weight for Fish and Shellfishe}
본 발명은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패류를 중량에 따라 선별하되 투입부에서 어패류가 중첩되지 않고 한마리씩 차례로 측정부에 안정적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어패류가 방향 전환없이 이송트레이에 유입되어 어패류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어패류의 중량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는 치어에서부터 성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어류가 취급되고, 크기나 중량기에 따라 그 가치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어류를 크기별 또는 중량별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장치가 요구된다. 이는 조개 등의 패류는 물론 꽃게 등의 갑각류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어류와 패류 및 갑각류를 통칭하여 '어패류'라 칭하기로 한다.
어패류의 선별을 위한 장치는 보통 어패류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와, 중량 또는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 및 측정결과에 따라 어류를 선별하여 배출하기 위한 선별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측정수단에 어패류가 겹치지 않은 상태로 공급되도록 컨베이어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의 어패류가 측정수단에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컨베이어와 측정수단 사이에는 일정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어패류 선별 장치는 컨베이어에서 어패류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측정수단에 공급됨에 따라 정확한 중량 측정을 위해서는 어패류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컨베이어와 측정수단 사이의 단차로 인해 낙하한 어패류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갑각류의 경우에는 낙하로 인해 집게 등이 떨어짐으로써 가치가 대폭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709752호로 어류 중량 선별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어류 중량 선별장치는 어류를 투입컨베이어를 통해 측정컨베이어로 시간차를 두고 공급함으로써 어류의 중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여러 단계의 중량별로 자동 선별하여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중량선별기는 투입컨베이어와 측정컨베이어, 이송컨베이어가 중첩되게 배열되어 컨베이어와 컨베이어 사이에 어류가 걸리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컨베이어와 컨베이어가 중첩되다보니 어류가 낙하하는 높이가 크게 발생되어 낙하지점이 달라지는 현상이 나타나 가끔씩 측정값에 오류가 생기기도 하였다. 또한, 측정이 완료된 어류를 이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어류가 길이방향으로 세로로 이동하다보니 이송시간도 오래 걸리고 무엇보다도 스크래퍼로 어류의 진행방향을 바꾸어 배출하는 과정에서 어류가 스크래퍼에 끼이거나 걸려서 어류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16-0068485호는 생선을 계량하여 포장상자에 담기 위한 생선 계량투입장치로 생선을 공급하되, 물과 함께 수조부에 담긴 생선이 컨베이어를 타고 상측으로 이송될 때, 넘침방지부에 의해 생선이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의 외측으로 낙하되지 않고, 생선과 함께 따라 올라가는 물기가 통형태로 형성된 경사홈통부와 상부수평홈통부에서 하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구성된 생선 계량투입장치의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고,
등록특허 제10-2011-0123707호는 선별 대상물의 이송, 정렬 및 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스크류 브러쉬부, 상기 스크류 브러쉬부를 거쳐 열을 지어 이송된 선별 대상물의 각각의 등급을 판별하는 등급 판별부 및 판별된 등급에 따라 선별 대상물의 각각을 소정의 배출구로 내보내는 선별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선별 대상물들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세척 및 정렬되어 등급 판별되고 선별 배출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장치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0975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8485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11-012370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어패류를 중량에 따라 선별하되 투입부에서 어패류가 중첩되지 않고 한마리씩 차례로 측정부에 안정적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어패류가 방향 전환없이 이송트레이에 유입되어 어패류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어패류의 중량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투입컨베이어에서 배출된 어패류가 측정컨베이어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낙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는,어패류의 중량을 측정하여 여러 단계의 중량별로 자동 선별하여 분류하는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에 있어서, 선별 전의 어패류가 차례로 투입되어 투입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투입부; 어패류를 이송하면서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어패류의 이송을 위한 측정컨베이어와 이송중인 어패류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측정부; 중량 측정이 완료된 어패류를 한마리씩 이송하는 이송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투입부에서 배출된 어패류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측정부로 공급하는 연결부; 및 이송부의 이송트레이를 작동시켜 중량에 따라 어패류를 자동으로 분류 배출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투입부는 투입된 어패류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게 배치되도록 투입컨베이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투입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고, 연결부는 투입부와 측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어패류가 측정컨베이어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어패류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 및 투입부의 투입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어패류가 미끌어져 측정부의 측정컨베이어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롤러의 전방에서 투입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라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한편, 슬라이드판은 투입컨베이어에 구비된 격벽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단부에 격벽과 엇갈리게 형성되는 톱니 형태의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투입부는 투입된 어패류를 연결부 방향으로 이송하는 투입컨베이어와, 투입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며 투입컨베이어가 설치되는 투입프레임과,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투입컨베이어를 작동시키도록 투입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서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에서, 이송부는 이송프레임에 설치된 체인스프로킷에 결합되어 서보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체인과, 어패류가 수용되며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게 배치되도록 이송체인에 설치되는 이송트레이와, 이송프레임의 측부에 설치되며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된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인가된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배출위치에 도달한 이송트레이의 어패류를 배출하는 복수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는, 어패류를 투입컨베이어를 통해 측정컨베이어로 시간차를 두고 공급하되, 투입컨베이어와 측정컨베이어 사이에 연결부가 구비됨에 따라 낙차 공간이 최소화되어 어패류의 손상이 방지되고 일정한 측정 위치가 확보되어 측정 정밀도와 선별 정확도가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컨베이어에 폭방향의 격벽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어패류가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송되어 일정한 측정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 상태에서 중량 측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측정시간이 단축되어 선별 속도가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컨베이어와 측정컨베이어 사이에 롤러와 경사진 슬라이드판을 포함하는 연결부가 구비됨에 따라 투입컨베이어에서 배출된 어패류가 연결부를 통해 측정컨베이어로 공급되는 동안 어패류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판에 요철부가 구비됨에 따라 투입컨베이어의 격벽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슬라이드판을 투입컨베이어에 근접 배치하여 낙하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부에서 이송트레이를 통해 어패류를 이송 및 배출함에 따라 어패류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신선도가 유지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에서 투입부와 측정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에서 격벽과 슬라이드판의 교합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의 투입부 및 측정부를 나타낸 평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에서 투입부 및 측정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확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는 어패류의 중량을 측정하여 여러 단계의 중량별로 자동 선별하여 분류하는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전의 어패류가 차례로 투입되어 이송되는 투입부(10)와; 어패류를 이송하면서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어패류의 이송을 위한 측정컨베이어(21)와 이송중인 어패류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22)을 포함하는 측정부(20)와; 중량 측정이 완료된 어패류를 한마리씩 이송하는 이송부(30)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투입부(10)에서 배출된 어패류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측정부(20)로 공급하는 연결부(40); 및 이송부(30)의 이송트레이(32)를 작동시켜 중량에 따라 어패류를 자동으로 분류 배출시키는 컨트롤러(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투입부(10)에 투입된 어패류가 연결부(40)를 통해 측정부(20)로 공급되고, 측정부(20)에서 중량 측정을 마친 어패류가 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되면서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중량별로 분류되어 선별 배출된다.
상기 투입부(10)는 투입된 어패류를 연결부(40) 방향으로 이송하는 투입컨베이어(11)와, 투입브래킷(14)에 의해 지지되며 투입컨베이어(11)가 설치되는 투입프레임(13)과,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투입컨베이어(11)를 작동시키도록 투입프레임(13)의 일측에 설치되는 서보모터(15)와, 이송부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투입브래킷(14)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브래킷(16)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서보모터(15)에 의해 작동되는 투입컨베이어(11)를 이용하여 투입된 어패류를 이송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서보모터(15)가 작동함에 따라 투입컨베이어(11)가 간헐적으로 작동되어 측정부(20)로의 어패류 공급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투입컨베이어(11)에는 투입된 어패류가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게 배치되도록 투입컨베이어(11)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격벽(12)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2)은 투입컨베이어(11)의 길이방향으로도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격벽(12) 사이에 어패류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인해, 투입컨베이어(11)에 다수의 격벽(12)이 형성됨에 따라 격벽 사이에 어패류가 투입되어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음은 물론 투입된 어패류가 서로 겹치지 않고 한마리씩 측정부(20)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격벽(12)은 투입컨베이어(11)의 진행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컨베이어(11)의 끝단 부분에서 상기 연결부(40)를 구성하는 슬라이드판(42)의 끝단부와 교합하는 지점을 지나게 된다, 그리고 투입컨베이어(11)에 얹혀진 어패류는 격벽(12)과 슬라이드판(42)이 교합하는 지점을 지나는 순간부터 슬라이드판(42)으로 전달되어 슬라이드판(42)의 경사면을 따라 미끌러지면서 하강하게 되며, 슬라이드판(42)의 하단에 위치한 롤러(41)를 거쳐 측정부(20)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격벽(12)는 투입컨베이어(11)의 어패류가 슬라이드판(42)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과 격벽(12)의 앞쪽에 위치한 어패류를 밀어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10)와 측정부(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컨베이어(11)에서 배출되는 어패류가 측정컨베이어(21)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어패류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41)와, 투입부(10)의 투입컨베이어(11)에서 배출되는 어패류가 미끌어져 측정부(20)의 측정컨베이어(21)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롤러(41)의 전방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라이드판(42)을 포함한다.
이때, 슬라이드판(42)은 투입컨베이어(11)에 구비된 격벽(12)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단부에 격벽(12)과 엇갈리게 형성되는 톱니 형태의 요철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컨베이어(11)에서 배출되는 어패류가 슬라이드판(42)을 타고 미끌어져 측정컨베이어(21)에 안정적으로 공급되어 어패류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슬라이드판(42)에 구비된 요철부(43)로 인해 투입컨베이어(11)의 격벽(12)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슬라이드판(42)이 투입컨베이어(11)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되어 낙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30)는 이송프레임(33)에 설치된 체인스프로킷(31')에 결합되어 서보모터(35)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체인(31)과, 어패류가 수용되며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게 배치되도록 이송체인(31)에 설치되는 이송트레이(32)와, 이송프레임(33)의 측부에 설치되며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된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인가된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배출위치에 도달한 이송트레이(32)의 어패류를 배출하는 복수의 유압실린더(34)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트레이(32)는 상부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어패류가 길이 방향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송체인(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송프레임(33)의 하부에는 이동바퀴(36)가 구비됨으로써 이송부(3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송프레임(33)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서보모터(35)는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이송체인(31)을 진행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즉, 측정컨베이어(21)에서 중량이 측정된 어패류가 이송트레이(32)로 공급된 후, 이송체인(31)에 의해 이동된 이송트레이(32)가 해당 중량에 대응하는 배출구에 도달하면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되어 유압실린더(34)에 유압을 인가하게 되고, 유압실린더(34)에 의해 이송트레이(32)를 통해 이송중인 어패류가 배출된다. 따라서, 어패류를 중량별로 선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컨베이어(11)는 측정컨베이어(21)로 공급되는 어패류가 겹쳐지지 않도록 시간차를 두고 간헐적으로 구동되고, 측정컨베이어(21)는 연속적으로 회전 구동되어, 이송트레이(32)에서 어패류가 일정한 시간 간격을 유지한 채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어패류를 선별하는 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투입부(10)의 투입컨베이어(11)에 어패류를 투입하면, 투입컨베이어(11)의 격벽(12)에 의해 어패류가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한마리씩 이송된다.
투입컨베이어(11)의 끝부분으로 이송된 어패류는 연결부(40)의 슬라이드판(42)과 롤러(41)를 거쳐 측정부(20)의 측정컨베이어(21)로 공급되고, 측정컨베이어(21)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에 로드셀(22)에 의해 중량이 측정됨과 아울러 그 결과가 컨트롤러에 전송된다.
중량 측정을 마친 어패류는 측정컨베이어(21)의 끝단에서 배출되어 이송부(30)의 이송트레이(32)에 수용되며, 이송트레이(32)가 이송체인(31)에 의해 이동되는 도중 해당 중량에 대응하는 배출구에 도달하면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인가된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34)가 작동함에 따라 이송트레이(32)로부터 배출구로 선별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투입부 11 : 투입컨베이어
12 : 격벽 13 : 투입프레임
14 : 투입브래킷 15 : 서보모터
16 : 고정브래킷 20 : 측정부
21 : 측정컨베이어 22 : 로드셀
30 : 이송부 31 : 이송체인
31' : 체인스프로킷 32 : 트레이
33 : 이송프레임 34 : 유압실린더
35 : 서보모터 36 : 이동바퀴
40 : 연결부 41 : 롤러
42 : 슬라이드판 43 : 요철부

Claims (7)

  1. 어패류의 중량을 측정하여 여러 단계의 중량별로 자동 선별하여 분류하는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에 있어서,
    선별 전의 어패류가 차례로 투입되어 투입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투입부;
    어패류를 이송하면서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어패류의 이송을 위한 측정컨베이어와 이송중인 어패류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측정부;
    중량 측정이 완료된 어패류를 한마리씩 이송하는 이송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투입부에서 배출된 어패류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측정부로 공급하는 연결부; 및
    이송부의 이송트레이를 작동시켜 중량에 따라 어패류를 자동으로 분류 배출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투입부는 투입된 어패류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게 배치되도록 투입컨베이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투입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고,
    연결부는 투입부와 측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어패류가 측정컨베이어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어패류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 및 투입부의 투입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어패류가 미끌어져 측정부의 측정컨베이어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롤러의 전방에서 투입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라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한편,
    슬라이드판은 투입컨베이어에 구비된 격벽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단부에 격벽과 엇갈리게 형성되는 톱니 형태의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입부는 투입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며 투입컨베이어가 설치되는 투입프레임과,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투입컨베이어를 작동시키도록 투입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부는 이송프레임에 설치된 체인스프로킷에 결합되어 서보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체인과, 어패류가 수용되며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게 배치되도록 이송체인에 설치되는 이송트레이와, 이송프레임의 측부에 설치되며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된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인가된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배출위치에 도달한 이송트레이의 어패류를 배출하는 복수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79491A 2020-12-21 2020-12-21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KR102280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491A KR102280479B1 (ko) 2020-12-21 2020-12-21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491A KR102280479B1 (ko) 2020-12-21 2020-12-21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479B1 true KR102280479B1 (ko) 2021-07-22

Family

ID=7715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491A KR102280479B1 (ko) 2020-12-21 2020-12-21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47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946A (ja) * 2000-04-21 2001-10-31 Boso Shatai Kk 重量計測装置と魚類自動選別装置
KR20070103537A (ko) * 2006-04-19 2007-10-24 (주)트인텍 연승채낚기용 미끼세절장치
KR20110123707A (ko) 2011-09-28 2011-11-15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KR20130001886U (ko) * 2013-02-27 2013-03-19 김윤호 수산물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식 중량선별의 반자동 투입장치
KR20150067103A (ko) * 2015-05-28 2015-06-17 김윤호 센서 컨베이어가 생략된 전자 중량선별장치
KR20150134711A (ko) * 2014-05-22 2015-12-02 이재향 꽃게 분류장치
KR20160068485A (ko) 2014-12-05 2016-06-15 김평호 생선 계량투입장치의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KR101709752B1 (ko) 2016-12-08 2017-02-24 주식회사 씨앤 어류 중량 선별장치
KR20200029239A (ko) * 2018-09-10 2020-03-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946A (ja) * 2000-04-21 2001-10-31 Boso Shatai Kk 重量計測装置と魚類自動選別装置
KR20070103537A (ko) * 2006-04-19 2007-10-24 (주)트인텍 연승채낚기용 미끼세절장치
KR20110123707A (ko) 2011-09-28 2011-11-15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벨트식 중량 측정기를 이용한 농산물 선별 장치
KR20130001886U (ko) * 2013-02-27 2013-03-19 김윤호 수산물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식 중량선별의 반자동 투입장치
KR20150134711A (ko) * 2014-05-22 2015-12-02 이재향 꽃게 분류장치
KR20160068485A (ko) 2014-12-05 2016-06-15 김평호 생선 계량투입장치의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KR20150067103A (ko) * 2015-05-28 2015-06-17 김윤호 센서 컨베이어가 생략된 전자 중량선별장치
KR101709752B1 (ko) 2016-12-08 2017-02-24 주식회사 씨앤 어류 중량 선별장치
KR20200029239A (ko) * 2018-09-10 2020-03-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2036B2 (en) Combinational weigher with a recycle conveyor configured to allow products to be recirculated in a dispersed manner
KR101709752B1 (ko) 어류 중량 선별장치
KR20170126574A (ko) 어체 투입장치
EP0076108B1 (en) Combinator weighing apparatus
JP6858628B2 (ja) 物品振分け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供給装置
KR102280479B1 (ko)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US20110108329A1 (en) Inline conveyor scale
US4933074A (en) Article sing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1239374B1 (ko) 과일이나 농산물 선별기의 박스포장을 위한 정량 공급장치
CN111279163B (zh) 物品供给装置及组合计量装置
KR20180125351A (ko) 정량 계량 컨베이어
JP2001002003A (ja) 定量充填装置
JP2579006Y2 (ja) 作物選別装置
KR20180121195A (ko) 어류 정렬 장치
JPH10328626A (ja) 長物農産物の選別装置
EP0074827B1 (en) Combinatorial weighing apparatus
US20190283084A1 (en) Statically weighed gra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38520A (ko)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JP4163280B2 (ja) 物品供給装置及び物品供給装置を備える組合せ秤
JP3392537B2 (ja) 組合せ計量方法及び組合せ計量装置
KR102275169B1 (ko) 수산물 정량계량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43233B2 (en) System for transporting and delivering piece goods
CN110509460B (zh) 树脂材料供给机构以及树脂材料供给方法
JP7366498B2 (ja) 物品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システム
JP5743583B2 (ja) 組合せ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