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520A -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520A
KR20190038520A KR1020190036320A KR20190036320A KR20190038520A KR 20190038520 A KR20190038520 A KR 20190038520A KR 1020190036320 A KR1020190036320 A KR 1020190036320A KR 20190036320 A KR20190036320 A KR 20190036320A KR 20190038520 A KR20190038520 A KR 20190038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scharge
agricultural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36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8520A/ko
Publication of KR2019003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65B25/046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in crate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은, 설정된 이송라인을 따라 순차로 이송하는 개별 농산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부; 상기 중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개별 농산물의 중량정보와, 상기 중량정보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배출라인 정보를 매칭하여 순차로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배출라인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개별 농산물을 상기 설정된 이송라인으로부터 이탈시켜 설정된 배출라인으로 공급하는 배출 동작부; 상기 배출라인 말단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개별 농산물을 수용하는 포장상자; 및 상기 배출 동작부로부터 배출 동작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설정된 배출라인으로 공급되는 상기 개별 농산물의 상기 중량정보를 순차로 합산하며, 그 합산된 값이 설정된 총중량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배출라인으로부터 상기 포장상자로 상기 개별 농산물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package weight of agricultural products sorting apparatus}
본 발명(Disclosure)은,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농산물 선별장치에 의해 선별된 농산물을 설정된 중량으로 포장하여 배출시키는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중량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농산물 선별장치는, 농산물을 포장 출하 전에 크기, 중량, 색깔 등 정해 진 규격에 따라 선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농산물의 무게, 크기는 물론 색깔, 내부 품질까지 감지하여 선별하는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이를 위해, 농산물 선별 장치는, 선별대상인 농산물의 공급, 중량 등 품질 검사, 배출, 포장의 공정을 포함하며, 이에 더해, 세척, 건조 등의 농산물 처리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공급된 농산물은 이송체인(101a)에 구비된 이송 버킷에 적재되어 이송되면서 위 공정들을 순차로 지나게 된다.
한편, 농산물 선별장치는, 선별한 농산물을 배출 및 포장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종래, 배출 및 포장 공정에서 농산물은, 개별 중량 범위별로 분류되어 배출되어, 포장상자로 공급되며, 포장상자에 설정된 중량만큼의 농산물이 담기게 되면, 공급이 중단되고, 포장상자는 외부로 배출되어 적재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포장상자에 담긴 농산물의 총 중량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종래에는 포장상자의 하부에 로드 셀을 배치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개별 농산물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로드 셀과 중복되는 구성으로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60397호
본 발명(Disclosure)은, 개별 농산물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로드 셀에 의해 감지된 중량 정보를 이용하여, 포장상자에 담긴 농산물의 총 중량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은, 설정된 이송라인을 따라 순차로 이송하는 개별 농산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부; 상기 중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개별 농산물의 중량정보와, 상기 중량정보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배출라인 정보를 매칭하여 순차로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배출라인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개별 농산물을 상기 설정된 이송라인으로부터 이탈시켜 설정된 배출라인으로 공급하는 배출 동작부; 상기 배출라인 말단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개별 농산물을 수용하는 포장상자; 및 상기 배출 동작부로부터 배출 동작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설정된 배출라인으로 공급되는 상기 개별 농산물의 상기 중량정보를 순차로 합산하며, 그 합산된 값이 설정된 총중량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배출라인으로부터 상기 포장상자로 상기 개별 농산물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배출라인은, 상기 포장상자에 대응하는 말단에서 상기 개별 농산물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재; 및 상기 포장상자로 상기 개별 농산물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배출센서;를 가지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배출 동작 신호는, 상기 배출센서에 의해 상기 개별 농산물의 배출이 감지된 경우 발생 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배출 동작부는, 상기 배출라인의 차폐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개별 농산물의 배출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설정된 배출라인으로 배출되는 상기 개별 농산물의 상기 중량정보를 순차로 합산하며, 그 합산된 값이 상기 설정된 총중량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포장상자를 배출시키고, 빈 상자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폐부재에 의해 상기 배출라인이 차폐되는 경우 상기 포장상자를 배출시키고, 빈 상자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배출라인마다 정해진 최소 중량 및 최대 중량으로 정해지는 개별중량범위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중량 정보가 속하는 상기 개별중량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배출라인 정보를 매칭시키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총중량범위는, 상기 포장상자에 대응하는 설정된 총중량을 하한으로 하고, 상기 설정된 총중량에서 상기 최대 중량을 더한 값을 상한으로 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농산물의 중량 정보만으로, 포장상자에 수용된 총 중량을 설정된 범위 내로 제어하게 되므로, 포장상자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중량 감지 장치가 불필요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상자의 크기 및 형태(망, 비닐, 박스 등)에 관계없이 포장 중량의 제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배출라인을 구체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배출라인을 구체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100)은, 중량 감지부(110), 메모리(120), 배출 동작부(130), 포장상자(105a,105b),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중량 감지부(110)는, 설정된 이송라인(101)을 따라 순차로 이송하는 개별 농산물(10)의 중량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설정된 이송라인(101)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순환회전하는 체인(101a)의 이동경로로 정해지며, 개별 농산물(10)은 체인(101a)에 체결되어 구비되는 이송 캐리어(101c)(도 2 및 도 3 참조)에 적재되어 이송된다.
메모리(120)는, 중량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개별 농산물(10)의 중량정보와, 중량정보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배출라인 정보를 매칭하여 순차로 저장하는 구성이다.
통상, 농산물 선별장치는, 개별 농산물(10)이 그 중량에 따라 분류되어 배출되는 배출라인(102a,102b)이 복수로 구비된다.
따라서, 중량범위에 따른 배출라인 정보는 미리 정해진 상태이므로, 배출라인 정보는, 중량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중량정보에 따라 연산되어 메모리(120)에 저장된다.
배출 동작부(130)는, 배출라인 정보를 기준으로 개별 농산물(10)을 설정된 이송라인(101)으로부터 이탈시켜 설정된 배출라인(102a,102b)으로 공급하는 동작을 하는 구성이다.
배출 동작부(130)의 동작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된다.
포장상자(105a,105b)는, 배출라인(102a,102b) 말단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개별 농산물(10)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제어부(140)는, 배출 동작부(130)로부터 배출 동작 신호를 전송받아, 설정된 배출라인(102a)으로 공급되는 개별 농산물(10)의 중량정보를 순차로 합산하며, 그 합산된 값이 설정된 총중량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배출라인(102a)으로부터 포장상자(105a)로 개별 농산물(10)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개별 농산물(10)의 중량을 감지하는 것 외에, 포장상자(105a)의 중량을 별도로 감지하는 구성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과 같이 포장상자(105a)에 개별 농산물(10)이 공급될 때마다 중량을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포장상자(105a)에 개별 농산물(10)의 만재(滿載)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박스 또는 망과 같이 포장상자의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 이들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해 중량감지 수단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배출라인(102a,102b)은, 차폐부재(103a,103b)와 배출센서(104a,104b)를 가진다.
차폐부재(103a,103b)는, 포장상자(105a,105b)에 대응하는 말단에서 개별 농산물(10)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구성이다.
배출센서(104a,104b)는, 포장상자(105a,105b)로 개별 농산물(10)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배출라인(102a,102b)에서 개별 농산물(10)이 이동되는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발광부와 수광부를 배치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배출센서(104a,104b)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배출라인(102a,102b)에서 개별 농산물(10)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차폐부재(103a,103b)의 하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경우, 배출센서(104a)가 차폐부재(103a)에 직접 구비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차폐부재(103a)에 의한 차폐가 해제된 후에 배출센서(104a)에 의한 배출감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차폐부재(103a,103b)는 개별 농산물(10)의 배출을 차단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다만, 차폐부재(103a,103b)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배출라인(102a,102b)을 구성하는 바닥면이 세워지면서 개별 농산물(10)의 배출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개별 농산물(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이 세워지는 구성을 위해, 차폐부재(103a,103b)의 일단이 상기 배출라인(102a,102b)의 말단과 힌지결합되어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배출 동작 신호는, 배출센서(104a,104b)에 의해 개별 농산물(10)의 배출이 감지된 경우 발생 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 동작부(130)는, 배출라인(102a,102b)의 차폐여부에 무관하게 개별 농산물(10)의 배출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별 농산물(10)은, 차폐부재(103a,103b)에 의해 배출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배출라인(102a,102b)에 적재되어 있을 수 있으며, 포장상자(105a,105b)가 교체된 후 배출이 재개되면, 배출센서(104a,104b)에 의해 발생되는 배출 동작 신호를 바탕으로 메모리(120)에 저장된 개별 농산물(10)의 중량정보를 합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배출라인(102a,102b)마다 정해진 최소 중량 및 최대 중량으로 정해지는 개별중량범위를 가지며, 메모리(120)는, 중량정보가 속하는 개별중량범위에 대응하는 배출라인 정보를 매칭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총중량범위는, 포장상자(105a,105b)에 대응하는 설정된 총중량을 하한으로 하고, 설정된 총중량에서 최대 중량을 더한 값을 상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설정된 배출라인(102a,102b)으로 배출되는 개별 농산물(10)의 중량정보를 순차로 합산하며, 그 합산된 값이 설정된 총중량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포장상자(105a,105b)를 배출시키고, 빈 상자가 공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어부(140)는, 차폐부재(103a,103b)에 의해 배출라인(102a,102b)이 차폐되는 경우 포장상자(105a,105b)를 배출시키고, 빈 상자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

  1. 설정된 이송라인을 따라 순차로 이송하는 개별 농산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부;
    상기 중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개별 농산물의 중량정보와, 상기 중량정보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배출라인 정보를 매칭하여 순차로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배출라인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개별 농산물을 상기 설정된 이송라인으로부터 이탈시켜 설정된 배출라인으로 공급하는 배출 동작부;
    상기 배출라인 말단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개별 농산물을 수용하는 포장상자; 및
    상기 배출 동작부로부터 배출 동작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설정된 배출라인으로 공급되는 상기 개별 농산물의 상기 중량정보를 순차로 합산하며, 그 합산된 값이 설정된 총중량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배출라인으로부터 상기 포장상자로 상기 개별 농산물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KR1020190036320A 2019-03-28 2019-03-28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KR20190038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320A KR20190038520A (ko) 2019-03-28 2019-03-28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320A KR20190038520A (ko) 2019-03-28 2019-03-28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181A Division KR101985728B1 (ko) 2016-12-09 2016-12-09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520A true KR20190038520A (ko) 2019-04-08

Family

ID=6616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320A KR20190038520A (ko) 2019-03-28 2019-03-28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85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9631A (zh) * 2020-02-26 2020-06-05 芜湖市智行天下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套装包装盒分拣待包装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397A (ko) 2009-05-08 2009-06-12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397A (ko) 2009-05-08 2009-06-12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9631A (zh) * 2020-02-26 2020-06-05 芜湖市智行天下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套装包装盒分拣待包装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560B1 (ko) 동적 갭 최적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85728B1 (ko)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KR101251462B1 (ko) 농산물 선별 장치
KR200448886Y1 (ko) 중량선별장치
JP7225702B2 (ja) 仕分け装置
JP6332143B2 (ja) ピッキング設備
JP6606588B2 (ja) 仕分設備および仕分方法
JP5288735B2 (ja) 重量選別機
KR20190038520A (ko)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KR102596873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967257B1 (ko) 제품의 불량선별장치
JP4932599B2 (ja) 組合せ計量装置
JP6396184B2 (ja) 仕分設備および仕分方法
JP6217166B2 (ja) 集出荷システム
US11613435B2 (en) Article supplying apparatus and combinatorial weighing device
JP6062209B2 (ja) 計量システム
KR102427602B1 (ko) 중량선별 배제장치
US20210347511A1 (en) Shock-absorbing material supply apparatus used for article packaging device
JP2007061696A (ja) 選別装置
NL2032984B1 (en) Product sorting and packaging system
KR102469531B1 (ko) 자동 종이상자 포장장치
JP2000128124A (ja) 卵の自動選別包装装置
US202400255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ely-loading objects into packages
KR20170021049A (ko) 과일 적재용 트레이 이송장치
CN118043262A (zh) 托盘供给装置和蛋的筛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