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239A -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239A
KR20200029239A KR1020180107835A KR20180107835A KR20200029239A KR 20200029239 A KR20200029239 A KR 20200029239A KR 1020180107835 A KR1020180107835 A KR 1020180107835A KR 20180107835 A KR20180107835 A KR 20180107835A KR 20200029239 A KR20200029239 A KR 20200029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flatfish
transporter
fl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519B1 (ko
Inventor
김영복
김태완
이동훈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7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5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2Arranging fish, e.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ead and t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넙치, 가자미와 같은 편평어가 투입되면, 자동으로 편평어를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편평어의 크기나 중량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분류하는 자동 분류장치로서, 일단부에 투입된 편평어를 타단부까지 이송하는 이송기와, 이송기의 선단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편평어 중 상하 방향으로 겹친 편평어를 분리하고 이송기 상의 편평어를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시키는 정렬기와, 이송기의 후단에 결합되어 이송기 상의 편평어의 크기와 중량을 계측한 후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편평어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출하는 선별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Automatic Sorting Device for Flat Fish}
본 발명은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넙치, 가자미와 같은 편평어가 투입되면 자동으로 편평어를 정렬하여 이송하고, 편평어의 크기나 중량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분류하는 자동 분류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크기에 관계없이 그물망 등의 포획수단에 의해 다량으로 포획된 어류들은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상품화되는 과정에서 수익성 및 상품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크기별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 작업은 통상 어민들의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수작업으로 어류들을 분류할 경우,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분류기준이 정확하지 않아 분류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어 인건비 등에 따른 수익성이 악화되고 상품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양식장 등에서도 양식어류를 사육하는 동안에 수차례 실행되고 있는 양식어의 대소의 선별작업은 대부분 선별자가 하나씩 육안으로 확인하는 수작업, 또는 반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작업 또는 반수작업으로는 방대한 양의 양식어를 선별하는 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선별자의 선별능력차이에 따른 선별의 정확도가 미비할 뿐 아니라, 피선별 어류에 외상을 입히는 폐단이 있는 등, 선별작업이 비능률적일 뿐 아니라 선별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 등으로 인해 양식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어류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10-0636689와 같은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개시된 종래 자동 어류 선별장치는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복수의 선별판을 구비하되, 복수의 선별판은 선별판 별로 구멍의 크기가 다른 메시(Mesh)의 형태로 제작되며, 이 선별판에 공급된 어류들이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면서 선별판에 형성된 구멍 크기별로 분류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메시 형태의 선별판은 그 구멍보다 큰 어류들이 구멍에 끼여 구멍을 막게 될 경우 후속적으로 공급되는 어류의 이송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선별판을 빠져나가야 할 작은 어류들이 선별판을 통과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선별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더욱 심한 경우 어류의 선별을 할 수 없는 경우까지 발생하게 된다.
다른 예로, 한국등록특허공보 10-0330319와 같이 롤러를 이용한 자동 어류 선별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활어 취급 시 활어가 최대한 상처를 받지 않도록 하는 장치 구성에 초점을 두고 있어 그것을 실현시킬 일환으로 요동방식을 통한 선별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선별효율이 떨어지고, 요동 구조를 갖추기 위해 캠 방식을 채택하고 해당 롤러들도 요동 구조를 갖추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636689 한국등록특허공보 10-033031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넙치, 가자미와 같은 편평어가 투입되면 자동으로 편평어를 정렬하여 이송하고, 편평어의 크기나 중량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분류하는 자동 분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는, 일단부에 투입된 편평어를 타단부까지 이송하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의 선단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편평어 중 상하 방향으로 겹친 편평어를 분리하고, 상기 이송기 상의 편평어를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시키는 정렬기와; 상기 이송기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기 상의 편평어의 크기와 중량을 계측한 후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편평어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출하는 선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기는 컨베이어벨트이고, 상기 정렬기는 상기 이송기에서 이송되는 편평어 중 상하 방향으로 겹친 편평어를 분리하기 위해 편평어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기 이송기 위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분리부와, 편평어를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기 위에 배치된 편평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배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의 하부에는 편평어의 이송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송기와 이격된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기 중 상기 분리부가 마련된 부위는 편평어가 상승 이동될 수 있게 상방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기에는 상기 이송기와 접촉된 편평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기는 상기 경사가 형성된 부위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기는, 상기 이송기의 상부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마주보는 방향의 편평어를 촬영하는 형상계측부와; 상기 이송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기 위에 위치한 편평어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측부와; 상기 형상계측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된 편평어의 크기를 판단하고, 편평어의 크기 및 중량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편평어를 분류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송기의 타단부까지 이송된 편평어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분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출하는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기는 상기 정렬기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구동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선별기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계측부 및 상기 중량계측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의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보다 고속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에 따르면, 종래 상하방향으로 겹쳐짐에 의해 자동 분류가 곤란했었던 편평어를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한 마리씩 분리 및 나열하여 정확한 분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이 실시예의 제1 컨베이어벨트의 끝단과 제2 컨베이어벨트, 형상계측부 및 중량계측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4는 이 실시예의 분류부가 편평어의 배출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선회 구동되는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는 일단부에 투입된 편평어를 타단부까지 이송하는 이송기(122)와, 상기 이송기(122)의 선단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편평어 중 상하 방향으로 겹친 편평어를 분리하고, 상기 이송기(122) 상의 편평어를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시키는 정렬기와, 상기 이송기(122)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기(122) 상의 편평어의 크기와 중량을 계측한 후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편평어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출하는 선별기를 포함한다.
편평어(Flat fish)는 넙치, 가자미 등 비교적 납작한 형태를 가지는 어종이 포함된다.
이송기(122)에는 후술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1221), 제2 컨베이어벨트(1222), 미끄럼방지부(123) 및 진동발생부(12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렬기에는 후술되는 분리부(144), 배열부(14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선별기에는 후술되는 제어부(162), 형상계측부(164), 중량계측부(165), 분류부(16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기(122)는 일 방향으로 이송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벨트로 실시되었다. 또한, 이송기(122)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송기(122)에 포함된 구성(공지된 컨베이어벨트의 구성 등)들을 지지하고, 이송기(122)에서 이송되는 편평어가 외부로 낙하되지 않게 가이드하는 하우징(110)이 포함된다.
또한, 편평어는 살아있는 상태로 이 실시예에 투입될 수 있는데, 이때 활어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하우징(110)에는 이송기(122)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공급부(도시되지 않음)가 이송기(122)를 따라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정렬기는 이송기(122)에서 이송되는 편평어 중 상하 방향으로 겹친 편평어를 분리하기 위해 편평어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이송기(122) 위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분리부(144)를 포함한다. 분리부(144)는 하우징(11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하방으로 겹친 상태의 편평어들이 이송기(122)를 따라 이송되던 중 분리부(144)를 마주하게 되면 상부에 있는 편평어만 분리부(144)에 의해 진로가 차단되어 더 이상 이송되지 못하고, 하부에 있는 편평어만 계속 이동하게 된다.
분리부(144)는 이송기(122)와 이격된 거리가 가변되게 설치될 수 있다. 편평어는 어종이나 포획된 시기에 따라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평어를 이 실시예에 투입하기 전에 분리부(144)를 적정한 높이에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분리부(144)는 인접해오는 편평어의 두께를 먼저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계측한 후 적정한 높이로 자동 승하강되는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분리부(144)의 하부에는 편평어의 이송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148)가 설치될 수 있다. 편평어의 한 마리 두께만큼 이송기(122)와 이격된 분리부(144)에서 이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의 편평어들 중 상부에 위치한 편평어가 분사된 물에 맞게 된다. 물분사부(148)의 물을 맞은 편평어는 분리부(144)와 물리적으로 닿기 전에 수압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물분사부(148)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은 편평어가 손상되지 않는 적정한 수준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분사된 물의 수압에 의해 상부의 편평어가 하부의 편평어와 분리되지 않더라도 분사된 물이 상부의 편평어와 하부의 편평어 사이에 침투되어 윤활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상부의 편평어가 분리부(144)와 접촉되었을 때 하부의 편평어와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다른 실시예로써, 분리부(144)는 편평어의 2-3마리 두께 정도로 이송기(122)와 이격되고, 물분사부(148)의 수압만으로 상하방향으로 겹쳐진 편평어를 분리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겹쳐진 편평어가 더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게, 이송기(122) 중 분리부(144)가 마련된 부위는 편평어가 상승 이동될 수 있게 상방으로, 즉 올라가는 경사가 형성되고, 이송기(122)에는 이송기(122)와 접촉된 편평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123)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는 미끄럼방지부(123)가 이송기(122)가 연장된 방향으로 따라 2열로 나란하게 형성된 것으로 실시되었다. 미끄럼방지부(123)는 거친 표면을 갖거나 다수의 점이 돌출 배열되는 등 종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기법이 적용되어 경사가 형성된 이송기(122)에서 편평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어류는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편평어가 이송기(122)의 경사를 따라 올라가게 되면 상하방향으로 겹쳐진 편평어 중 상부의 편평어는 미끄러져 분리된다. 미끄러지지 않은 편평어들도 이송기(122)의 경사를 따라 이송되던 중 분리부(144)에 도달되었을 때 분리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이송기(122)는 편평어가 더욱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게 경사가 형성된 부위에 설치되어 이송기(122)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126)를 포함한다. 이송기(122)의 경사에 진동이 가해지면 이송기(122)에 올려진 편평어는 미끄럼방지부(123)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이송기(122)를 따라 이동되지만, 편평어 위에 겹쳐진 상부 편평어는 들썩이게 되면서 하부 편평어와 분리되고, 경사에 의해 점차 경사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실시예의 진동발생부(126)는 이송기(122)의 벨트 아래에 설치된 요철 패널인 것으로 실시되었다.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발생부(126)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이송기(122)의 경사 부위에 구성된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정렬기는 편평어를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이송기(122) 위에 배치된 편평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열부(146)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편평어가 이송기(122)에 2열로 나란히 정렬될 수 있게 이송기(122)의 중간에 배열부(146)가 배치된 것으로 실시되었다. 이송기(122)의 중간 부위에 위치해 있는 편평어가 이 실시예의 배열부(146)의 위치에 도달되면 배열부(146)에 의해 진로가 방해되어 편평어가 이송기(12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실시예의 배열부(146)는 상부가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것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는 편평어가 원활히 좌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미끄럼방지부(123)가 이송기(122)의 중간부위에 형성되지 않고 가장자리와 중간부위의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실시되었다.
다른 실시예로서, 만약 편평어가 이송기(122)의 중간부위에 1열로 정렬된다면, 배열부(146)는 이송기(122)의 좌우측에서 중간부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별기는 이송기(122)의 상부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마주보는 방향의 편평어를 촬영하는 형상계측부(164)와, 이송기(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기(122) 위에 위치한 편평어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측부(165)와, 형상계측부(164)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된 편평어의 크기를 판단하고 편평어의 크기 및 중량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편평어를 분류하는 제어부(162)와, 이송기(122)의 타단부까지 이송된 편평어를 제어부(162)가 판단한 분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출하는 분류부(166)를 포함한다.
형상계측부(164)는 이송기(122) 위의 편평어를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가 될 수 있다. 형상계측부(164)는 고정된 위치에서 편평어의 영상을 취득하고, 제어부(162)가 취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편평어의 크기를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162)에는 영상으로부터 편평어를 식별하고, 편평어의 크기(너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이 포함된다.
중량계측부(165)는 컨베이어벨트 위의 편평어의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이 될 수 있다.
이때, 이송기(122)는 정렬기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구동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1221)와, 선별기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1222)로 구성되고, 형상계측부(164) 및 중량계측부(165)는 제2 컨베이어벨트(1222)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벨트(1222)의 첨단은 제1 컨베이어벨트(1221)의 끝단 하부에 배치되어, 편평어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중량계측부(165)는 제2 컨베이어벨트(1222) 위에 위치한 편평어의 무게만을 검출하면 되기 때문에 편평어의 무게를 더 정확히 계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컨베이어벨트(1222)는 제1 컨베이어벨트(1221)보다 고속으로 구동된다. 제1 컨베이어벨트(1221)에서 편평어들이 밀집된 상태이더라도, 제2 컨베이어벨트(1222)로 이동되면 편평어가 서로 이격되어 형상계측부(164) 및 중량계측부(165)를 이용하여 더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예와 같이, 배열부(146)에 의해 편평어가 이송기(122) 상에서 2열로 정렬된 경우, 제2 컨베이어벨트(1222)는 좌측 컨베이어벨트와 우측 컨베이어벨트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중량계측부(165) 역시 좌측 컨베이어벨트 아래에 설치되는 좌측 중량계측부와, 우측 컨베이어벨트 아래에 설치되는 우측 중량계측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2)는 편평어를 크기 및 중량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 기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분류 기준은 20cmㅂ 미만 또는 4kg 미만의 편평어는 제1분류, 20cmㅂ 내지 35cmㅂ 또는 4kg 내지 7kg의 편평어는 제2분류, 36cmㅂ 내지 50cmㅂ 또는 8kg 내지 10kg의 편평어는 제3분류, 편평어 외의 어종이나 두드러진 상처가 있어 상품성이 없는 편평어는 제4분류가 될 수 있다. 제어부(162)가 크기 및 중량을 이용하여 편평어를 분류함에 따라, 편평어가 구부러진 자세를 가지게 되어 영상 분석 결과 크기가 작은 것으로 인식되더라도 중량에 따라 정확한 분류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컨베이어벨트(1222)의 끝단에는 분류 기준에 따라 편평어를 분리하여 수용하거나 추가 이송하는 구성이 배치된다. 분류부(166)는 제2 컨베이어벨트(1222)의 끝단에 배치된 구성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편평어를 배출한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는 배출된 편평어가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투입구가 형성된 분류박스(200)에 수용되게 구성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분류부(166)는 분류박스(200)의 투입구 위치에 대응하여 높이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게 구성되었다. 분류부(166)의 선회 방향 및 위치는 제어부(162)가 판단한 분류 기준에 대응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를 이용하여 편평어가 분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컨베이어벨트(1221)의 첨단이 위치해 있으며, 하우징(110)에 의해 편평어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투입부(142)에 편평어를 투입된다.
투입부(142)에 수용된 편평어는 제1 컨베이어벨트(1221)를 따라 이송되며, 곧 제1 컨베이어벨트(1221)에 형성된 경사로를 따라 올라가게 된다.
제1 컨베이어벨트(1221)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편평어도 진동하지만, 제1 컨베이어벨트(1221)와 접촉된 편평어는 제1 컨베이어벨트(1221)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123)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는다. 하지만, 상하방향으로 편평어가 겹쳐진 상태라면 경사 및 진동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편평어가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하부에 위치한 편평어와 분리된다.
만약, 경사 및 진동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편평어들이 있더라도 분리부(144)에 도달되면 분리부(144)의 물분사부(148)에서 분사되는 수압 또는 분리부(144)의 물리적인 차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분리부(144)를 통과한 편평어는 배열부(146)에 도달된다. 편평어는 배열부(146)에 의해 제1 컨베이어벨트(1221)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제1 컨베이어벨트(1221) 끝단에 도착한 편평어는 제2 컨베이어벨트(1222)로 낙하한다.
제1 컨베이어벨트(1221)보다 구동 속도가 빠른 제2 컨베이어벨트(1222)에 안착된 편평어는 후방에서 따라오는 다른 편평어와 이격된 거리가 더 멀어지게 된다.
형상계측부(164)는 제2 컨베이어벨트(1222) 위의 편평어를 촬영하여 영상을 취득하고, 이것을 제어부(162)로 전송한다. 또한, 중량계측부(165)는 제2 컨베이어벨트(1222) 위의 편평어의 중량을 계측하여 이것을 제어부(162)로 전송한다.
제어부(162)는 취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편평어의 크기를 판단하고, 편평어의 크기 및 중량과, 기 설정된 분류 기준을 이용하여 편평어를 분류한다.
편평어를 분류한 제어부(162)는 분류부(166)를 구동시켜 해당 편평어의 분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출되는 진로를 결정한다.
제2 컨베이어벨트(1222)의 끝단에 도착한 편평어는 분류부(166)의 진로를 따라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에서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하우징 122 : 이송기
1221 : 제1 컨베이어벨트 1222 : 제2 컨베이어벨트
123 : 미끄럼방지부 126 : 진동발생부
142 : 투입부 144 : 분리부
146 : 배열부 148 : 물분사부
162 : 제어부 164 : 형상계측부
165 : 중량계측부 166 : 분류부
200 : 분류박스

Claims (9)

  1. 일단부에 투입된 편평어를 타단부까지 이송하는 이송기와;
    상기 이송기의 선단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편평어 중 상하 방향으로 겹친 편평어를 분리하고, 상기 이송기 상의 편평어를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시키는 정렬기와;
    상기 이송기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기 상의 편평어의 크기와 중량을 계측한 후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편평어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출하는 선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는 컨베이어벨트이고,
    상기 정렬기는 상기 이송기에서 이송되는 편평어 중 상하 방향으로 겹친 편평어를 분리하기 위해 편평어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기 이송기 위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분리부와, 편평어를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기 위에 배치된 편평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하부에는 편평어의 이송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송기와 이격된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 중 상기 분리부가 마련된 부위는 편평어가 상승 이동될 수 있게 상방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기에는 상기 이송기와 접촉된 편평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기는 상기 경사가 형성된 부위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기는,
    상기 이송기의 상부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마주보는 방향의 편평어를 촬영하는 형상계측부와;
    상기 이송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기 위에 위치한 편평어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측부와;
    상기 형상계측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된 편평어의 크기를 판단하고, 편평어의 크기 및 중량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편평어를 분류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송기의 타단부까지 이송된 편평어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분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출하는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는 상기 정렬기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구동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선별기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계측부 및 상기 중량계측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의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보다 고속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9. 투입된 편평어를 수용하는 투입부와;
    투입부에 수용된 편평어를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에서 이송되는 편평어 중 상하 방향으로 겹친 편평어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편평어 한 마리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 위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하부에 편평어의 이송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가 마련된 분리부와;
    편평어를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 위에 배치된 편평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열부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의 끝단 하부에 첨단이 위치되게 배치되고, 제1 컨베이어벨트보다 고속으로 구동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마주보는 방향의 편평어를 촬영하는 형상계측부와;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 위에 위치한 편평어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측부와;
    상기 형상계측부 및 상기 중량계측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형상계측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된 편평어의 크기를 판단하고, 편평어의 크기 및 중량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편평어를 분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의 끝단까지 이송된 편평어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분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출하는 분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 중 상기 분리부가 마련된 부위는 편평어가 상승 이동될 수 있게 상방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와 접촉된 편평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의 경사가 형성된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KR1020180107835A 2018-09-10 2018-09-10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KR10213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35A KR102139519B1 (ko) 2018-09-10 2018-09-10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35A KR102139519B1 (ko) 2018-09-10 2018-09-10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239A true KR20200029239A (ko) 2020-03-18
KR102139519B1 KR102139519B1 (ko) 2020-07-30

Family

ID=6999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835A KR102139519B1 (ko) 2018-09-10 2018-09-10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5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479B1 (ko) * 2020-12-21 2021-07-22 주식회사 씨앤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CN113317350A (zh) * 2021-06-09 2021-08-31 茂名市恒兴水产科技有限公司 鱼类智能检重分选机及其运作方法
CN114128743A (zh) * 2021-11-30 2022-03-04 山东茗圣森自动化科技有限公司 活鱼自动化重量视觉分拣设备
KR102385593B1 (ko) * 2021-12-03 2022-04-11 이진석 보냉 기능을 갖춘 생선 투입용 호퍼 컨베이어 시스템
WO2024054530A1 (en) * 2022-09-08 2024-03-14 Nova-Tech Engineering, Llc Shrimp sorting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052A (ja) * 1994-08-05 1996-02-20 Yamato Scale Co Ltd 魚の体長及び体重測定装置
JPH1099793A (ja) * 1996-09-30 1998-04-21 Yasunaga:Kk 秤量選別装置
KR100330319B1 (ko) 2000-03-14 2002-04-01 주환용 어류 자동선별장치
KR100636689B1 (ko) 2005-08-03 2006-10-20 유근영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KR20130077859A (ko) * 2013-06-19 2013-07-09 김윤호 진동수단이 부가된 라운드벨트 컨베이어 선별기
KR101709752B1 (ko) * 2016-12-08 2017-02-24 주식회사 씨앤 어류 중량 선별장치
KR20180121195A (ko) * 2017-04-28 2018-11-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류 정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052A (ja) * 1994-08-05 1996-02-20 Yamato Scale Co Ltd 魚の体長及び体重測定装置
JPH1099793A (ja) * 1996-09-30 1998-04-21 Yasunaga:Kk 秤量選別装置
KR100330319B1 (ko) 2000-03-14 2002-04-01 주환용 어류 자동선별장치
KR100636689B1 (ko) 2005-08-03 2006-10-20 유근영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KR20130077859A (ko) * 2013-06-19 2013-07-09 김윤호 진동수단이 부가된 라운드벨트 컨베이어 선별기
KR101709752B1 (ko) * 2016-12-08 2017-02-24 주식회사 씨앤 어류 중량 선별장치
KR20180121195A (ko) * 2017-04-28 2018-11-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류 정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479B1 (ko) * 2020-12-21 2021-07-22 주식회사 씨앤 어패류 중량 선별장치
CN113317350A (zh) * 2021-06-09 2021-08-31 茂名市恒兴水产科技有限公司 鱼类智能检重分选机及其运作方法
CN114128743A (zh) * 2021-11-30 2022-03-04 山东茗圣森自动化科技有限公司 活鱼自动化重量视觉分拣设备
KR102385593B1 (ko) * 2021-12-03 2022-04-11 이진석 보냉 기능을 갖춘 생선 투입용 호퍼 컨베이어 시스템
WO2024054530A1 (en) * 2022-09-08 2024-03-14 Nova-Tech Engineering, Llc Shrimp sorting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519B1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519B1 (ko) 편평어 자동 분류장치
CN107790398B (zh) 工件分拣系统以及方法
US7743904B2 (en) Device for individual conveying of elongate articles
JP5016293B2 (ja) 茶葉の色彩選別装置
EP3597315A1 (de) Vorrichtung zum ausrichten, verarbeiten und sortieren von batterien und verfahren zum sortieren von batterien
US4552262A (en) Article feeding apparatus
JP4764019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2001304946A (ja) 重量計測装置と魚類自動選別装置
JP2009190827A (ja) 姿勢調整機構
CN111279163B (zh) 物品供给装置及组合计量装置
JP2001046980A (ja) 選別機
JP2013094764A (ja) 莢果選別装置
KR101919986B1 (ko) 연속적인 개체 중량 판별을 이용한 밤 선별장치
JP4812083B2 (ja) いりこ等の選別方法とその装置
KR101836814B1 (ko)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KR101844505B1 (ko) 소프트렌즈 품질 검사장치
JP4471642B2 (ja) 被測定物処理装置
JP2009195173A (ja) 魚体形状判別装置
CN108993927B (zh) 农作物籽粒分离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8062116A (ja) 莢果選別装置
KR101800254B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멍게의 자동 선별 및 분류장치
KR20180121195A (ko) 어류 정렬 장치
JP5467748B2 (ja) 選別方法および選別装置
JP2013094763A (ja) 莢果選別装置
KR102620401B1 (ko) 생선가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생선작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