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528A -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 Google Patents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528A
KR20230023528A KR1020210128521A KR20210128521A KR20230023528A KR 20230023528 A KR20230023528 A KR 20230023528A KR 1020210128521 A KR1020210128521 A KR 1020210128521A KR 20210128521 A KR20210128521 A KR 20210128521A KR 20230023528 A KR20230023528 A KR 20230023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guide
bar
operation ba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038B1 (ko
Inventor
권익삼
Original Assignee
권익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익삼 filed Critical 권익삼
Publication of KR20230023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4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moving weighing mechanisms, e.g. moving along a circular path
    • B07C5/26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moving weighing mechanisms, e.g. moving along a circular path wherein the counterbalancing effect of the weighing mechanisms is varied during such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65G47/962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류 중량선별기의 개량발명에 관한 것으로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10-2148212호에서 불편한 점을 개선하여 선별단계에서 사람과 과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사람이 과일을 만지므로인해 발생하는 과일의 손상을 최대로 방지하고, 자동선별이 이루어지게 개선한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이다.

Description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Fruit Sorting Machine}
본 발명은 과일류 중량선별기의 개량발명에 관한 것으로 출원인의 선등록특허 제10-2148212호에서 불편한 점을 개선하여 선별단계에서 사람과 과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사람이 과일을 만지므로인해 발생하는 과일의 손상을 최대로 방지하고, 자동선별이 이루어지게 개선한 것이다.
종래의 중량선별기는 장치대 상면에 과일투입부와, 과일선별부를 배치하고, 과일선별부에는 무한궤도 형상으로 되어 전동장치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체인벨트와, 체인벨트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접시장치대를 부착하여 각 접시장치대에 과일수용접시를 장치한 과일수용부를 배치하고, 과일수용부가 이동하는 트랙형상의 이동경로에 과일수용접시를 안내하는 수평가이드를 형성하고, 수평가이드의 일정위치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개방부에서 진행방향쪽으로 위치한 상면에 삼각형돌출안내편을 형성하고, 삼각형돌출안내편 내측상면에 지지돌편을 형성하여 시소형작동바를 설치하고, 개방부쪽에 있는 시소형작동바의 끝에 중량체를 수용하는 중량체수용부를 형성하고, 반대측에 직4각형 구멍을 형성하여 직4각형 구멍의 가운데에서 시소형작동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봉을 배치하고, 나사봉에 이동너트로 된 중량추를 장치하는 중량조정선택부와, 중량조정선택부의 중량체수용부에 작동판을 부착하여 작동판이 수평가이드의 개방부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과일수용부의 과일수용접시에 적재된 과일이 중량조정선택부의 중량에 해당하면 개방부에 배치된 작동판이 과일수용부의 승강작동바에 밀려 상향함에 따라 과일수용접시가 외측으로 기울어져 수용된 과일이 낙하하고, 배출홈통을 따라 수집통에 수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과일선별기는 선별된 과일이 배출되는 배출홈통이 과일선별부 전방과 후방으로 분산 설치되어 있어서 후방수집통에 수용된 과일상자를 앞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선별기를 통과할 때, 선택된 중량범위에 들지 않는 등외과일은 별도로 배출하는 배출홈통이 없어 선별기 외측에 떨어져 흩어지므로, 이를 별도로 수집해야 하므로 일손이 이중으로 드는 불편이 있었으며, 선별할 과일을 선별대의 과일투입부에 손으로 투입해야 하므로, 일손이 많이 들고 이 단계에서 사람의 손으로 과일을 만져야 하므로 과일에 사람의 손이 많이 닿아 과일의 표면 손상이 발생하는 불편이 있고, 선별작업이 느려지는 불편이 있었다.
선행기술 특허등록 제10-2148212호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선별기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높이를 유지하는 장치대(1)와, 장치대 상면에 배치되는 과일자동투입기(2)와, 장치대 상면 중앙에 배치되는 과일선별부(3)를 구비하고, 과일선별부(3)에는 전동기로 구동되는 체인기어가 양측에 배치되어 양측 체인기어 사이에 무한궤도 형상의 체인벨트(30)가 장치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며, 체인벨트(30) 상면에는 일정간격에 접시장치대(40)가 부착되고, 접시장치대(40)에는 체인벨트 이동방향과 직각이 되는 외측방향과 상방으로 연통하는 개방부(41)(42)를 구비하며, 개방부 양측벽에는 상측과 하측에 일직선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축공(41a)(41b)을 형성하여 상측지지축공(41a)에는 상측승강작동바(43)의 지지축(43a)을 연결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시소작동이 되게 하고, 하측지지축공(41b)에는 하측작동바(44)의 내측지지축(44a)을 연결하여 하측작동바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며, 상측승강작동바(43)와, 하측작동바(44)가 나란히 유지되도록 상하작동바의 돌출단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연결바(45)를 배치하여 연결바의 상측연결공(45a)에 상측승강작동바(43)의 선단부연결축(43b)을 연결하고, 하측연결측(45b)에 하측작동바(44)의 선단부연결축(44b)을 연결한 다음, 연결바 중간부 외면에 외향으로 돌출되게 돌출가이드봉(45d)을 형성하고, 접시장치대(40)의 상단에는 과일수용접시(46)를 적재하여 과일수용접시 중앙부 저면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중심에서 외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연결바 쪽으로 돌출되게 돌출연결간(46a)을 형성하여 연결바(45)의 상단부 연결편에 형성한 하측연결축(45b)에 돌출연결간(46a)의 연결공을 연결하여 과일수용접시가 상측승강작동바와 하측작동바와 연결바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고, 또, 연결바 상단에서 하측연결축(45b)을 중심으로 바깥쪽을 향해 젖혀질 수 있게 하고, 상측승강작동바(43)는 지지축(43a)에서 내측돌출단쪽으로 직4각형안내구멍(43c)을 형성하여 안내구멍 중간부에서 상측승강작동바의 길이방향으로 나사봉(43d)을 설치하여 나사봉에 이동너트로 된 중량추(43e)를 나사결합하여 중량추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하고, 접시장치대(40) 배면에 지지축을 형성하여 안내롤러(47)를 장치하고, 상측승강작동바의 내측단부에 안내돌편(43f)을 형성한 과일수용부(A)와,
과일수용부가 이동하는 체인벨트의 전방 이동경로에 과일수용부의 상측승강작동바(43)가 수평을 유지하는 높이에 수평가이드(48)를 형성하여 수평가이드의 일정구간에 길이방향으로 3∼6cm 길이로 이간된 개방부(48a)를 형성하고, 개방부의 이동방향쪽에 수평가이드과 직선을 이루는 위치를 따라 입구가 낮고 출구가 높은 삼가형안내편(48b)을 형성하고, 삼각형안내편이 설치된 내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되게 지지편(50)을 형성하여 지지편의 개방부에 시소작동바(60)를 개입하여 지지편에 형성한 지지공(50a)에 시소작동바(60)의 중간지지축(60a)을 연결하여, 시소작동바가 수평가이드(48)와 나란한 방향으로 유지되게 하고, 개방부(48a)쪽으로 위치하는 시소바의 돌출단부에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지지축(60b)을 형성하여 돌출단부에 중량체수용부(70)를 결합하여 중량체수용부(70)의 저면에 형성한 수직돌편(70a)의 지지축공(70b)에 결합되게 하고, 수직돌편의 수평가이드쪽 외측면에 수평가이드의 개방부쪽으로 연결편(70c)을 형성하여 연결편 끝에서 수평가이드의 개방부 위에 중첩되도록 작동바(70d)를 설치하여, 작동바의 저면이 수평가이드(48) 상면과 수평을 이루게 하여, 작동바(70d) 밑으로 과일수용부(A)의 상측승강작동바의 안내돌편(43f) 상면이 접촉되면서 이동되게 하고, 시소작동바의 타측단부에 직4각형구멍(60c)을 뚫어 직4각형구멍의 중간부에서 시소작동바 길이방향으로 향하게 나사봉(60d)을 설치하여, 나사봉에 이동너트로 된 중량추(60e)를 장치한 중량조정선택부(B)와,
과일수용부의 과일수용접시(46)가 젖혀지는 외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과일을 수집통(90)으로 안내하는 배출홈통(C)과,
젖혀진 과일수용접시(46)가 과일자동투입기(2)쪽으로 진입할 때, 젖혀진 과일수용접시(46)를 수평으로 복원시키는 복원가이드바(81)와, 과일자동투입기에 과일수용접시(46)로 이어지는 경로에 배치되어 선별할 과일을 과일수용접시로 이동시키는 과일이송컨베이어(2b)와, 과일이송컨베이어 끝에서 과일수용접시로 이어지게 안내홈통(2c)을 장치하여서 되는 과일류 중량 선별기에 있어서,
수평가이드(48)는 과일이송컨베이어(2b)가 설치되는 쪽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일정간격에 개방부(48a)를 형성하고, 과일수용부(A)의 상측승강작동바(43) 내측단부에 안내돌편(43f)이 장치되는 안내홈(43g)을 형성하여 안내돌편(43f)의 내측연결구멍(43f')을 안내홈에 고정한 지지축(43h)에 끼워 선단부가 승강작동바 끝으로 돌출되게 장치하고, 안내돌편(43f)과, 안내홈(43g) 사이에 코일스프링(S)을 장치하여 안내돌편(43f)이 수평가이드를 따라 진행할 때, 진행방향에 장애물이 닿으면 안내돌편선단부가 진행방향 반대측으로 젖혀졌다가 장애물이 해소되면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복원되어 상측승강작동바 끝으로 다시 돌출되게 하고, 수평가이드(48) 끝에 체인벨트 반환부 곡률에 맞도록 일정길이의 원호상가이드(49)를 형성하여 원호상가이드(49)에서 체인벨트 반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등외과일배출홈통(D)을 형성하여 과일수용부의 상측승강작동바가 원호상가이드(49)를 통과하면 과일수용접시가 기울러져 과일수요접시에 담긴 과일이 등외과일배출홈통으로 낙하되어 등외과일수집통(91)에 수용되게 하고, 과일이송컨베이어(2b) 입구쪽에 과일자동투입기(2)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상기에서 과일자동투입기(2)는 접지판(20) 상면에 4각관체형상으로 된 4각이송관(2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4각이송관 상단과 하단일정위치에 안내롤러(22)(23)를 배치하여 상단부의 안내롤러(22)는 전동모터(22a)로 회전시키고, 상하 안내롤러 사이에 무한궤도형상으로 된 이송벨트(24)를 설치하여 이송벨트의 외측면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에 포크형상으로 된 과일이송접시(25)의 부착판(25a)을 체결구로 부착하여 부착판과 과일이송접시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판(25b)이 4각이송관 전면(21a)과 배면(21b)에 형성한 안내공(21c)으로 안내되게 하고, 4각안내관 저면(21a) 하부에 과일투입부(26)가 형성되어 과일투입부의 바닥(26a)에 과일이송접시 관통구멍(26b)을 형성하여 과일투입부(26)에 수용된 과일이 과일이송접시에 담겨져서 4각이송관(21) 상단부에 형성된 과일배출구(21e)에 공급되면, 과일배출구(21e)에서 과일이송컨베이어(2b)에 과일이 자동 공급되게 한 구성이다.
상기에서 안내롤러(22)(23)는 표면에 안내홈(22')(23')이 형성되어 이송벨트(24) 내면에 형성된 결합돌조(24')가 결합하여 흔들림 없이 회전하게 되고, 이송벨트(24)가 이송하는 내면에 이송벨트(24)의 내면을 받쳐주는 안내판(27)이 배치되며, 과일투입부(26)의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구멍(26b)은 포크형 과일이송접시(25)가 지나갈 수 있게 3개의 구멍이 나란히 형성되어 구멍으로 과일이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이송접시에 과일이 당겨지게 되고, 과일배출구(21e)의 바닥에도 포크형 이송접시가 지나갈 수 있게 3개의 구멍이 나란히 형성된 통공부(21e')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과일자동투입기(2)의 과일배출구(21e)를 과일수용부(A)의 과일수용접시(46)에 직접 투입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과일자동투입기(2)의 과일배출구(2e)에서 과일이송컨베이어(2b)를 타고 안내홈통(2c)을 통해 선별할 과일이 과일수용접시(46)에 적재되므로 공급단계에서 사람이 과일을 만지는 일이 없게 되고, 과일수용 접수가 이동하면, 접시장치대(40)에 장치된 상측승강작동바의 안내돌편(43f)이 수평가이드(48)를 따라 이동하므로, 과일수용접시는 반듯하게 놓여져 과일을 수용한 상태로 이송하게 되고, 수평가이드에 형성된 개방부에 당도하면 안내돌편이 중량조정선택부의 작동바(70d) 밑으로 지나가게 되는데, 이때 중량조정선택부의 중량체수용부에 적재한 중량체의 무게가 과일무게 보다 크면 상측승강작동바(43)의 안내돌편(43f)이 작동바(70d)의 중량에 눌리므로 작동바 밑으로 지나가게 되지만, 중량체수용부의 무게가 과일무게 보다 작으면 상측승강작동바의 안내돌편이 상향하면서 작동바를 들어올리고 개방부 상측으로 돌출되어 삼각형안내편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과일수용부(A)의 상측승강작동바 선단이 하향하여 접시장치대(40)의 상단부가 과일수용접시를 외향으로 젖혀지게 되므로 과일수용접시에 담겨진 과일이 수납접시에서 벗어나 배출홈통을 통해 해당 수집통에 모이게 되어 중량조정선택부가 선택한 중량에 맞는 중량의 과일을 해당 수집통에 모으는 중량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중량조정선택부에서 선택되지 않은 과일은 과일수용부의 상측승작동바가 수평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원호상가이드(49)에 도달하고, 원호상가이드를 벗어나면서 상향하므로, 원호상가이드 통과후, 과일수용접시가 기울어져 과일수용접시에 담겨있는 등외과일을 등외과일배출홈통으로 낙하시켜 등외과일수집통에 담아주는 선별이 이루어진다.
이때, 중량조정선택부는 중량체수용부의 반대측에 장치된 이동너트로 된 중량추를 지지축봉에서 외향시키고, 내항시키는 조정을 통해 시소작동바가 승강작동하는 중량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중량의 과일을 수용한 과일수용부가 개방부를 지나는 순간에 과일수용접시가 기울어지도록 중량을 선택할 수 있고, 과일수용부의 상측승강작동바에 장치된 이동너트로 된 중량추를 나사봉에서 외향시키고, 내향시키는 조정을 통해 과일수용부에 담겨진 과일중량을 예민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정교하게 중량선택을 할 수 있게 되며, 과일을 배출하고 처음 지점으로 돌아가는 과일수용부는 접시장치대에 장치된 돌출가이드봉(45d)이 복원가이드바(81)를 따라 이동하여 앞으로 젖혀진 과일수용접시가 수평으로 유지되는 본래의 자세로 복귀시켜 과일투입부에 당도하면 계량할 과일을 접시에 수용할 수 있게 하므로, 연속적인 중량선별을 할 수 있고, 선별된 과일이 선별부의 전방으로 배출되게 배출홈통을 배치함으로써, 선택된 과일이 수집되는 수집통을 선별기 앞쪽으로 정열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어 후처리가 간편한 선별기를 얻을 수 있고, 상측승강작동바(43)의 내측돌출단에 부착되는 안내돌편(43f)을 승강작동바 선단부에 축연결하고, 코일스프링을 장치참으로써, 이동방향에 장애물이 있으면, 이동방향 반대측으로 젖혀지게 하고, 장애가 해소되면 복원되게 함으로써, 과일수용부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선별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자동투입기(2)는 4각이송관에 안내롤러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는 무한궤도형상의 이송벨트(24)에 포크형상으로 된 과일이송접시(25)가 부착되어 선별할 과일을 일정간격을 두고 위로 이동시켜 배출구(21e)로 배출시키므로 과일수용접시의 이동속도에 맞추어 과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속도로 선별이 이루어져 자동화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과일수용부의 승강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과일수용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중량선택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과일수용부와 중량선택부가 작동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과일수용부의 승강작동바 안내동편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과일수용부의 반환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과일수용부의 복원가이드바쪽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과일자동공급기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반대측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과일이송접시의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나-나'선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과일이송접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과일이송벨트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선별할 과일수용접시에 바로 공급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일정높이를 유지하는 장치대(1)와, 장치대 상면에 배치되는 과일자동투입기(2)와, 장치대 상면 중앙에 배치되는 과일선별부(3)를 구비하고, 과일선별부(3)에는 전동기로 구동되는 체인기어가 양측에 배치되어 양측 체인기어 사이에 무한궤도 형상의 체인벨트(30)가 장치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며, 체인벨트(30) 상면에는 일정간격에 접시장치대(40)가 부착되고, 접시장치대(40)에는 체인벨트 이동방향과 직각이 되는 외측방향과 상방으로 연통하는 개방부(41)(42)를 구비하며, 개방부 양측벽에는 상측과 하측에 일직선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축공(41a)(41b)을 형성하여 상측지지축공(41a)에는 상측승강작동바(43)의 지지축(43a)을 연결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시소작동이 되게 하고, 하측지지축공(41b)에는 하측작동바(44)의 내측지지축(44a)을 연결하여 하측작동바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며, 상측승강작동바(43)와, 하측작동바(44)가 나란히 유지되도록 상하작동바의 돌출단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연결바(45)를 배치하여 연결바의 상측연결공(45a)에 상측승강작동바(43)의 선단부연결축(43b)을 연결하고, 하측연결축(45b)에 하측작동바(44)의 선단부연결축(44b)을 연결한 다음, 연결바 중간부 외면에 외향으로 돌출되게 돌출가이드봉(45d)을 형성하고, 접시장치대(40)의 상단에는 과일수용접시(46)를 적재하여 과일수용접시 중앙부 저면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중심에서 외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연결바 쪽으로 돌출되게 돌출연결간(46a)을 형성하여 연결바(45)의 상단부 연결편에 형성한 하측연결축(45b)에 돌출연결간(46a)의 연결공을 연결하여 과일수용접시가 상측승강작동바와 하측작동바와 연결바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고, 또, 연결바 상단에서 하측연결축(45b)을 중심으로 바깥쪽을 향해 젖혀질 수 있게 하고, 상측승강작동바(43)는 지지축(43a)에서 내측돌출단쪽으로 직4각형안내구멍(43c)을 형성하여 안내구멍 중간부에서 상측승강작동바의 길이방향으로 나사봉(43d)을 설치하여 나사봉에 이동너트로 된 중량추(43e)를 나사결합하여 중량추를 가변 가변시킬 수 있게 하고, 접시장치대(40) 배면에 지지축을 형성하여 안내롤러(47)를 장치하여 횡안내봉(80)에 접촉시키고, 상측승강작동바의 내측단부에 안내돌편(43f)을 부착한 과일수용부(A)와,
과일수용부가 이동하는 체인벨트의 전방 이동경로와 후방이동경로에 과일수용부의 상측승강작동바(43)가 수평을 유지하는 높이에 수평가이드(48)를 형성하여 수평가이드의 일정구간에 길이방향으로 3∼6cm 길이로 이간된 개방부(48a)를 형성하고, 개방부의 이동방향쪽에 수평가이드과 직선을 이루는 위치를 따라 입구가 낮고 출구가 높은 삼각형안내편(48b)을 형성하고, 삼각형안내편이 설치된 내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되게 지지편(50)을 형성하여 지지편의 개방부에 시소작동바(60)를 개입하여 지지편에 형성한 지지공(50a)에 시소작동바(60)의 중간지지축(60a)을 연결하여, 시소작동바가 수평가이드(48)와 나란한 방향으로 유지되게 하고, 개방부(48a)쪽으로 위치하는 시소바의 돌출단부에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지지축(60b)을 형성하여 돌출단부에 중량체(70')를 수용하는 중량체수용부(70)를 결합하여 중량체수용부(70)의 저면에 형성한 수직돌편(70a)의 지지축공(70b)에 결합되게 하고, 수직돌편의 수평가이드쪽 외측면에 수평가이드의 개방부쪽으로 연결편(70c)을 형성하여 연결편 끝에서 수평가이드의 개방부 위에 중첩되도록 작동바(70d)를 설치하여, 작동바의 저면이 수평가이드(48) 상면과 수평을 이루게 하여, 작동바(70d) 밑으로 과일수용부(A)의 상측승강작동바의 안내돌편(43f) 상면이 접촉되면서 이동되게 하고, 시소작동바의 타측단부에 직4각형구멍(60c)을 뚫어 직4각형구멍의 중간부에서 시소작동바 길이방향으로 향하게 나사봉(60d)을 설치하여, 나사봉에 이동너트로 된 중량추(60e)를 장치한 중량조정선택부(B)와,
과일수용부의 과일수용접시(46)가 젖혀지는 외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과일을 수집통(90)으로 안내하는 배출홈통(C)과,
젖혀진 과일수용접시(46)가 과일투입부쪽으로 진입할 때, 젖혀진 과일수용접시(46)를 수평으로 복원시킬 수 있게 입구가 낮고 내측이 높아져 수평을 이루는 복원가이드바(81)와, 과일투입부에서 과일수용접시(46)로 이어지는 경로에 배치되어 선별할 과일을 과일수용 접시로 이동시키는 과일이송컨베이어(2b)와, 과일이송컨베이어의 끝에서 과일수용접시로 이어지게 안내홈통(2c)을 장치하여서 되는 과일류 중량 선별기에 있어서,
과일이송컨베이어(2b)가 설치되는 쪽 일정높이에 설치되는 수평가이드(48)는 앞쪽 일정간격에 개방부(48a)를 형성하고, 과일수용부(A)의 상측승강작동바(43) 내측단부에 안내돌편(43f)이 장치되는 안내홈(43g)을 형성하여 안내돌편(43f)의 내측연결구멍(43f')을 안내홈에 고정한 지지축(43h)에 끼워 선단부가 승강작동바 끝으로 돌출되게 장치하고, 안내돌편(43f)과, 안내홈(43g) 사이에 코일스프링(S)을 장치하여 안내돌편이 수평가이드를 따라 진행할 때, 진행방향에 장애물이 닿으면 안내돌편선단부가 진행방향 반대측으로 젖혀졌다가 장애물이 해소되면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복원되어 상측승강작동바 끝으로 다시 돌출되게 하고, 수평가이드(48) 끝에 체인벨트 반환부 곡률에 맞도록 일정길이의 원호상가이드(49)를 형성하여 원호상가이드(49)에서 체인벨트 반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등외과일배출홈통(D)을 형성하여 과일수용부의 승강작동바가 원호상가이드를 통과하면 과일수용부의 과일수용접시가 기울어져 수용접시에 담긴 과일이 등외과일배출홈통으로 낙하되어 등외과일을 수용하는 등외과일수집통(91)에 수용되게 하고, 과일이송컨베이어(2b) 입구쪽에 과일자동투입기(2)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상기, 과일자동투입기(2)는 접지판(20) 상면에 4각관체형상으로 된 4각이송관(2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4각이송관 상단과 하단일정위치에 안내롤러(22)(23)를 배치하여 상단부의 안내롤러(22)는 전동모터(22a)로 회전시키고, 상하 안내롤러 사이에 무한궤도형상으로 된 이송벨트(24)를 설치하여 이송벨트의 외측면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에 포크형상으로 된 과일이송접시(25)의 부착판(25a)을 체결구로 부착하여 부착판과 과일이송접시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판(25b)이 4각이송관 전면(21a)과 배면(21b)에 형성한 안내공(21c)으로 안내되게 하고, 4각안내관 저면(21a) 하부에 과일투입부(26)가 형성되어 과일투입부의 바닥(26a)에 과일이송접시 관통구멍(26b)을 형성하여 과일투입부(26)에 수용된 과일이 과일이송접시에 담겨져서 4각이송관(21) 상단부에 형성된 과일배출구(21e)에 공급되면, 과일배출구(21e)에서 과일이송컨베이어(2b)에 공급되게 한 구성이다.
상기에서 안내롤러(22)(23)는 표면에 안내홈(22')(23')이 형성되어 이송벨트(24) 내면에 형성된 결합돌조(24')가 결합하여 흔들림 없이 회전하게 되고, 이송벨트(24)가 이송하는 내면에 이송벨트(24)의 내면을 받쳐주는 안내판(27)이 배치되며, 과일투입부(26)의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구멍(26b)은 포크형 이송접시가 지나갈 수 있게 3개의 구멍이 나란히 형성되어 과일의 낙하를 막게되고, 과일배출구(21e)의 바닥에는 포크형 이송접시가 지나갈 수 있게 3개의 구멍이 나란히 형성된 통공부(21e')가 형성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일자동투입기(2)의 과일배출구(21e)를 과일수용부(A)의 과일수용접시(46)에 직접 투입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1 : 장치대 2 : 과일자동투입기
2b : 과일이송컨베이어 2c : 안내홈통
3 : 과일선별부 20 : 접지판
21 : 4각이송관 21a : 4각이송관 전면
21b : 4각이송관 배면 21c : 안내공
21e : 과일배출구 21e' : 통공부
22,23 : 안내홈 22a : 전동모터
24 : 이송벨트 24' : 결합돌조
25 : 과일이송접시 25a : 과일이송접시의 부착판
25b : 연결판 26 : 과일이송컨베이어
26a : 과일투입부의 바닥 26b : 관통구멍
27 : 안내판 30 : 체인벨트
40 : 접시장치대 41,42 : 개방부
41a : 상측지지축공 41b : 하측지지축공
43 : 상측승강작동바 43a : 지지축
43b : 선단부연결축 43c : 직4각형안내구멍
43d : 나사봉 43e : 중량추
43f : 안내돌편 43f' : 내측연결구멍
43g : 안내홈 43g' : 고정구멍
43h : 지지축 44 : 하측작동바
44a : 내측지지축 44b : 선단부연결축
45 : 연결바 45a : 상측연결공
45b : 하측연결공 45d : 돌출가이드봉
46 : 과일수용접시 46a : 돌출연결간
47 : 안내롤러 48 : 수평가이드
48a : 개방부 48b : 삼각형안내편
49 : 원호상가이드 50 : 지지편
50a : 지지공 60 : 시소작동바
60a : 중간지지축 60b : 지지축
60c : 직4각형구멍 60d : 나사봉
60e : 중량추 70 : 중량체수용부
70' : 중량체 70a : 수직돌편
70b : 지지축공 70c : 연결편
70d : 작동바 80 : 횡안내봉
81 : 복원가이드바 91 : 등외과일수집통
A : 과일수용부 B : 중량조정선택부
C : 배출홈통 D : 등외과일배출홈통

Claims (2)

  1. 일정높이를 유지하는 장치대(1)와, 장치대 상면에 배치되는 과일자동투입기(2)와, 장치대 상면 중앙에 배치되는 과일선별부(3)를 구비하고, 과일선별부(3)에는 전동기로 구동되는 체인기어가 양측에 배치되어 양측 체인기어 사이에 무한궤도 형상의 체인벨트(30)가 장치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며, 체인벨트(30) 상면에는 일정간격에 접시장치대(40)가 부착되고, 접시장치대(40)에는 체인벨트 이동방향과 직각이 되는 외측방향과 상방으로 연통하는 개방부(41)(42)를 구비하며, 개방부 양측벽에는 상측과 하측에 일직선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축공(41a)(41b)을 형성하여 상측지지축공(41a)에는 상측승강작동바(43)의 지지축(43a)을 연결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시소작동이 되게 하고, 하측지지축공(41b)에는 하측작동바(44)의 내측지지축(44a)을 연결하여 하측작동바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며, 상측승강작동바(43)와, 하측작동바(44)가 나란히 유지되도록 상하작동바의 돌출단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연결바(45)를 배치하여 연결바의 상측연결공(45a)에 상측승강작동바(43)의 선단부연결축(43b)을 연결하고, 하측연결축(45b)에 하측작동바(44)의 선단부연결축(44b)을 연결한 다음, 연결바 중간부 외면에 외향으로 돌출되게 돌출가이드봉(45d)을 형성하고, 접시장치대(40)의 상단에는 과일수용접시(46)를 적재하여 과일수용접시 중앙부 저면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중심에서 외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연결바 쪽으로 돌출되게 돌출연결간(46a)을 형성하여 연결바(45)의 상단부 연결편에 형성한 하측연결축(45b)에 돌출연결간(46a)의 연결공을 연결하여 과일수용접시가 상측승강작동바와 하측작동바와 연결바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고, 또, 연결바 상단에서 하측연결축(45b)을 중심으로 바깥쪽을 향해 젖혀질 수 있게 하고, 상측승강작동바(43)는 지지축(43a)에서 내측돌출단쪽으로 직4각형안내구멍(43c)을 형성하여 안내구멍 중간부에서 상측승강작동바의 길이방향으로 나사봉(43d)을 설치하여 나사봉에 이동너트로 된 중량추(43e)를 나사결합하여 중량추를 가변 가변시킬 수 있게 하고, 접시장치대(40) 배면에 지지축을 형성하여 안내롤러(47)를 장치하여 횡안내봉(80)에 접촉시키고, 상측승강작동바의 내측단부에 안내돌편(43f)을 부착한 과일수용부(A)와,
    과일수용부가 이동하는 체인벨트의 전방 이동경로와 후방이동경로에 과일수용부의 상측승강작동바(43)가 수평을 유지하는 높이에 수평가이드(48)를 형성하여 수평가이드의 일정구간에 길이방향으로 3∼6cm 길이로 이간된 개방부(48a)를 형성하고, 개방부의 이동방향쪽에 수평가이드과 직선을 이루는 위치를 따라 입구가 낮고 출구가 높은 삼각형안내편(48b)을 형성하고, 삼각형안내편이 설치된 내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되게 지지편(50)을 형성하여 지지편의 개방부에 시소작동바(60)를 개입하여 지지편에 형성한 지지공(50a)에 시소작동바(60)의 중간지지축(60a)을 연결하여, 시소작동바가 수평가이드(48)와 나란한 방향으로 유지되게 하고, 개방부(48a)쪽으로 위치하는 시소바의 돌출단부에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지지축(60b)을 형성하여 돌출단부에 중량체(70')를 수용하는 중량체수용부(70)를 결합하여 중량체수용부(70)의 저면에 형성한 수직돌편(70a)의 지지축공(70b)에 결합되게 하고, 수직돌편의 수평가이드쪽 외측면에 수평가이드의 개방부쪽으로 연결편(70c)을 형성하여 연결편 끝에서 수평가이드의 개방부 위에 중첩되도록 작동바(70d)를 설치하여, 작동바의 저면이 수평가이드(48) 상면과 수평을 이루게 하여, 작동바(70d) 밑으로 과일수용부(A)의 상측승강작동바의 안내돌편(43f) 상면이 접촉되면서 이동되게 하고, 시소작동바의 타측단부에 직4각형구멍(60c)을 뚫어 직4각형구멍의 중간부에서 시소작동바 길이방향으로 향하게 나사봉(60d)을 설치하여, 나사봉에 이동너트로 된 중량추(60e)를 장치한 중량조정선택부(B)와,
    과일수용부의 과일수용접시(46)가 젖혀지는 외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과일을 수집통(90)으로 안내하는 배출홈통(C)과,
    젖혀진 과일수용접시(46)가 과일투입부쪽으로 진입할 때, 젖혀진 과일수용접시(46)를 수평으로 복원시킬 수 있게 입구가 낮고 내측이 높아져 수평을 이루는 복원가이드바(81)와, 과일투입부에서 과일수용접시(46)로 이어지는 경로에 배치되어 선별할 과일을 과일수용 접시로 이동시키는 과일이송컨베이어(2b)와, 과일이송컨베이어의 끝에서 과일수용접시로 이어지게 안내홈통(2c)을 장치하는 과일류 중량 선별기에 있어서,
    과일이송컨베이어(2b)가 설치되는 쪽 일정높이에 설치되는 수평가이드(48)는 앞쪽 일정간격에 개방부(48a)를 형성하고, 과일수용부(A)의 상측승강작동바(43) 내측단부에 안내돌편(43f)이 장치되는 안내홈(43g)을 형성하여 안내돌편(43f)의 내측연결구멍(43f')을 안내홈에 고정한 지지축(43h)에 끼워 선단부가 승강작동바 끝으로 돌출되게 장치하고, 안내돌편(43f)과, 안내홈(43g) 사이에 코일스프링(S)을 장치하여 안내돌편이 수평가이드를 따라 진행할 때, 진행방향에 장애물이 닿으면 안내돌편선단부가 진행방향 반대측으로 젖혀졌다가 장애물이 해소되면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복원되어 상측승강작동바 끝으로 다시 돌출되게 하고, 수평가이드(48) 끝에 체인벨트 반환부 곡률에 맞도록 일정길이의 원호상가이드(49)를 형성하여 원호상가이드(49)에서 체인벨트 반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등외과일배출홈통(D)을 형성하여 과일수용부의 승강작동바가 원호상가이드를 통과하면 과일수용부의 과일수용접시가 기울어져 수용접시에 담긴 과일이 등외과일배출홈통으로 낙하되어 등외과일을 수용하는 등외과일수집통(91)에 수용되게 하고, 과일이송컨베이어(2b) 입구쪽에 배치되고, 접지판(20) 상면에 4각관체형상으로 된 4각이송관(2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4각이송관 상단과 하단일정위치에 안내롤러(22)(23)를 배치하여 상단부의 안내롤러(22)는 전동모터(22a)로 회전시키고, 상하 안내롤러 사이에 무한궤도형상으로 된 이송벨트(24)를 설치하여 이송벨트의 외측면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에 포크형상으로 된 과일이송접시(25)의 부착판(25a)을 체결구로 부착하여 부착판과 과일이송접시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판(25b)이 4각이송관 전면(21a)과 배면(21b)에 형성한 안내공(21c)으로 안내되게 하고, 4각안내관 저면(21a) 하부에 과일투입부(26)가 형성되어 과일투입부의 바닥(26a)에 과일이송접시 관통구멍(26b)을 형성하여 과일투입부(26)에 수용된 과일이 과일이송접시에 담겨져서 4각이송관(21) 상단부에 형성된 과일배출구(21e)에 공급되면, 과일배출구(21e)에서 과일이송컨베이어(2b)로 공급되게 만든 과일자동투입기(2)를 설치하여서 되는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2. 청구항 1에서,
    과일자동투입기(2)는 안내롤러(22)(23) 표면에 안내홈(22')(23')이 형성되어 이송벨트(24) 내면에 형성된 결합돌조(24')에 결합하여 흔들림 없이 회전하게 되고, 이송벨트(24)가 이송하는 내면에 이송벨트(24)의 내면을 받쳐주는 안내판(27)이 배치되며, 과일투입부(26)의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구멍(26b)은 포크형 이송접시가 지나갈 수 있게 3개의 구멍이 나란히 형성된 구멍으로 하고, 과일배출구(21e)의 투입구 바닥에는 포크형 이송접시가 지나갈 수 있게 3개의 구멍이 나란히 형성된 통공부(21e')가 형성되는 것이 포함되는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KR1020210128521A 2021-08-10 2021-09-29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KR102503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313 2021-08-10
KR20210105313 2021-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528A true KR20230023528A (ko) 2023-02-17
KR102503038B1 KR102503038B1 (ko) 2023-02-23

Family

ID=8532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521A KR102503038B1 (ko) 2021-08-10 2021-09-29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0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482B1 (ko) * 2023-04-14 2023-08-11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KR102652341B1 (ko) * 2023-04-05 2024-03-27 권인구 호두 중량 선별용 호두 이송공급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095B1 (ko) * 1997-11-27 2000-05-01 김영호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KR20100071956A (ko) * 2010-06-09 2010-06-29 김윤호 원형의 투입장치와 계수장치가 장착된 중량선별기
KR101113528B1 (ko) * 2009-11-16 2012-02-27 한농쏘텍 주식회사 과일 선별장치
KR20170036372A (ko) * 2015-09-24 2017-04-03 유춘열 과일 선별기
KR102148212B1 (ko) 2019-05-14 2020-08-26 권익삼 과일류 중량 선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095B1 (ko) * 1997-11-27 2000-05-01 김영호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KR101113528B1 (ko) * 2009-11-16 2012-02-27 한농쏘텍 주식회사 과일 선별장치
KR20100071956A (ko) * 2010-06-09 2010-06-29 김윤호 원형의 투입장치와 계수장치가 장착된 중량선별기
KR20170036372A (ko) * 2015-09-24 2017-04-03 유춘열 과일 선별기
KR102148212B1 (ko) 2019-05-14 2020-08-26 권익삼 과일류 중량 선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341B1 (ko) * 2023-04-05 2024-03-27 권인구 호두 중량 선별용 호두 이송공급기
KR102566482B1 (ko) * 2023-04-14 2023-08-11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038B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038B1 (ko)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US5556106A (en) Soccer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training
KR102148212B1 (ko) 과일류 중량 선별기
US4957296A (en) Golf ball dispenser and teeing device
JP2013252499A (ja) 作物整列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作物選別装置
CN109341825B (zh) 一种锂电池生产用重量检测装置
EP0108445A1 (en) Device for weight classification of crops
KR102123744B1 (ko) 중량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별 시스템
KR101937058B1 (ko) 셔틀콕 수거 장치
CN208449926U (zh) 一种板栗自动分选设备
CN111731775A (zh) 一种鹌鹑蛋筛选输送设备
JP6896341B2 (ja) トラフ、供給フィーダ及び計量装置
CN216026331U (zh) 菠萝重量分选机
JP2003236477A (ja) 重量による物品の分別採取装置
US2641352A (en) Automatic egg collecting system
CN212923193U (zh) 一种鹌鹑蛋筛选输送设备
CN208449932U (zh) 一种板栗自动分选设备的上料装置
CN112499188B (zh) 一种筷子分头装置
JP3569358B2 (ja) 棒状物品用組合せ計量方法及び組合せ計量装置
CN219884233U (zh) 一种筷子分选装置
CN220617420U (zh) 窄带式小件货物分拣机
KR930000277Y1 (ko) 제빵 시스템에서의 빵 분리 이송장치
CN213264136U (zh) 一种便于除静电的手机屏幕传送带
CN208466545U (zh) 一种板栗自动分选设备的放料装置
KR102070025B1 (ko) 탁구공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