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482B1 -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482B1
KR102566482B1 KR1020230049150A KR20230049150A KR102566482B1 KR 102566482 B1 KR102566482 B1 KR 102566482B1 KR 1020230049150 A KR1020230049150 A KR 1020230049150A KR 20230049150 A KR20230049150 A KR 20230049150A KR 102566482 B1 KR102566482 B1 KR 102566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weight
moving
uni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의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30049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65B25/046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in crate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의 중량 및 무빙버켓의 이동위치의 센싱을 통해 일정갯수의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이 설정중량만큼 포장상자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폭방향 일측에 다수개의 포장상자(10)가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는 컨베이어바디(100);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타측에 상기 포장상자의 설치갯수와 동일한 갯수 및 간격으로 설치되는 틸팅장치(200);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회전체인(110)에 일렬되게 장착되되 틸팅장치와 틸팅장치 사이에 동일한 갯수가 위치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다수개의 무빙버켓(300);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무빙버켓(300)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400); 상기 중량감지부(4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중량감지부(400)에 의해 중량측정이 완료된 상기 무빙버켓(300)의 이동을 감지하는 버켓센싱부(500); 각각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을 연산하여 설정된 포장중량의 소형과실이 상기 포장상자(10)에 투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AN PACKING BOX WEIGHING AND INPUTTING APPARATUS OF SMALL SIZE FRUIT}
본 발명은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의 중량 및 무빙버켓의 이동위치 센싱을 통해 일정갯수의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이 설정중량만큼 포장상자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포장시에 과일의 크기나 중량을 기준으로 자동적으로 선별하는 장치로서, 과일의 크기, 무게, 형상, 색깔, 향기, 맛, 상처 유무 등과 같은 다양한 선별인자에 따라 과일의 등급을 결정지을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선별기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과수농가에서 생산된 과일은 각기 중량이나 크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출하전 포장시에 크기나 중량에 따라 선별하는 작업을 통하여 상품의 등급을 정해야 한다. 하지만, 소규모의 과수농가에서는 사람의 시각적인 판단에 따라 생산된 과일을 선별하였으나, 과수농가의 인력난 및 농가가 대규모 단위 영농화되고 있는 현재의 추세에는 과일을 무게별로 분류한 다음, 이송되는 벨트상에서 과일의 중량을 측정 후, 측정된 중량값에 맞는 선별위치에 가서 자동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선별작업에 따른 작업인원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자동식 선별기가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식 선별기에 의하면, 종류별로 수확된 과일을 별도의 공급장치를 통해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올려놓게 되면, 선별된 과일들이 이송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중에 중량 등의 다양한 선별인자에 따라 설정된 지점에서 투입호퍼를 통해 낙하하면서 포장용상자속으로 연속하여 낙하투입되게 하고, 그 포장용상자에 설정된 중량만큼 과일이 채워지면, 인위적으로 빈상자로 교체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중량을 정확히 맞추기가 어렵고,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며, 포장용상자의 교체시 과일이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방울토마토와 대추 등과 같은 소형과실의 경우 포장용상자의 무게를 감지하여 설정중량만큼 채워지면 작업작 신속히 새로운 빈상자로 교체하여되므로 다수의 인력이 필요함은 물론 빈 포장용 상자의 교체과정에서 상당수의 소형과실이 유실되어 제품의 생산량의 저하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1007호의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의 선별 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빙버켓에 담긴 다수개의 소형과실 중량 및 무빙버켓의 이동위치 센싱을 통해 일정갯수의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이 설정중량만큼 포장상자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나의 소형과실이 상기 무빙버켓에 담기더라도 그 중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소형과실의 설정중량 투입이 완료된 포장상자에는 소형과실이 투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빈 포장상자의 교체시 소형과실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폭방향 일측에 다수개의 포장상자(10)가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는 컨베이어바디(100);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타측에 상기 포장상자의 설치갯수와 동일한 갯수 및 간격으로 설치되는 틸팅장치(200);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회전체인(110)에 일렬되게 장착되되 틸팅장치와 틸팅장치 사이에 동일한 갯수가 위치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다수개의 무빙버켓(300);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무빙버켓(300)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400); 상기 중량감지부(4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중량감지부(400)에 의해 중량측정이 완료된 상기 무빙버켓(300)의 이동을 감지하는 버켓센싱부(500); 각각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을 연산하여 설정된 포장중량의 소형과실이 상기 포장상자(10)에 투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장치(600)는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포장상자(10)에 대한 상자넘버를 저장하는 상자넘버부여부(610)와, 상기 회전체인(110)의 최초 회전구동시, 상기 중량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빈 무빙버켓의 자체중량을 저장하는 버켓중량저장부(620)와, 상기 중량감지부(400)를 통과하여 상기 버켓센싱부(500)에 의해 센싱된 빈 무빙버켓를 순서대로 카운팅하여 고유넘버를 할당하는 넘버할당부(630)와, 상기 무빙버켓(300)에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담겨진 상태로 상기 중량감지부(400)와 버켓센싱부(500)를 순차적으로 통과시, 빈 무빙버켓의 자체중량과 소형과실이 담겨진 무빙버켓의 감지중량을 무빙버켓의 고유넘버별로 연산하여 각각의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을 산출하는 과실중량산출부(640)와, 산출된 개별투입중량의 합이 포장중량의 오차범위내에 이르는 다수개의 무빙버켓을 특정하여 소정 상자넘버의 포장상자에 지정하는 틸팅위치지정부(650)와, 상기 버켓센싱부(500)를 통해 센싱된 무빙버켓의 고유넘버를 기준으로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 특정된 무빙버켓이 소정 상자넘버의 포장상자 위치에 도달함을 확인하는 버켓위치확인부(660)와, 상기 버켓위치확인부(660)에서 특정된 무빙버켓이 지정된 포장상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틸팅장치(200)에 틸팅신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틸팅구동신호부(6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또한, 상기 포장상자(10)가 안착되는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안착대(170)에는,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 특정된 다수개의 무빙버켓이 지정된 포장상자를 모두 통과하여 그 포장상자에 설정 포장중량의 소형과실이 담겨지게 되면 이를 발광이나 신호음을 통해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투입완료신호부(17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착대(170)에는, 빈 포장상자의 교체신호를 상기 컨트롤장치(600)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투입대기신호부(174)가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일측에는 상기 무빙버켓(300)의 틸팅에 의해 낙하된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상기 포장상자(10)방향으로 굴러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가이드판(140)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경사가이드판(140)에는 굴러이동되는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소정의 포장상자로 가이드되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과실유도편(15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빙버켓(300)은 내측 수용공간이 상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내측 수용공간에는 일정높이로 채워져 상측면이 평탕하도록 이루어진 평탄형성부(31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의 중량 및 무빙버켓의 이동위치 센싱을 통해 일정갯수의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이 설정중량만큼 지정된 포장상자에 투입될 수 있어 오차범위내에서 제품의 정량 포장이 가능하고, 소형과실의 설정중량 투입이 완료된 포장상자에는 소형과실이 투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새로운 포장상자 교체시 발생되는 소형과실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장작업의 신속성 확보를 통한 제품의 생산량 증가와 작업인력 최소화를 통해 농가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구동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바디에 안착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대에 상자고정편이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와 체인가이드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버켓에 버켓지지대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지지대의 정면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버켓에 평탄형성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버켓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장치의 구성에 대한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투입대기부와 포장상자자동투입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자동투입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빈 무빙버켓의 자체 중량은 소형과실이 수용되는 않은 빈 무빙버켓의 중량을 의미하고, 개별투입중량은 각 무빙버켓에 담겨진 다수개의 소형과실에 대한 총중량을 의미하고, 포장중량은 포장상자에 담겨지는 소형과실에 대한 총중량을 의미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구동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바디에 안착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대에 상자고정편이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와 체인가이드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버켓에 버켓지지대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켓지지대의 정면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버켓에 평탄형성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빙버켓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장치의 구성에 대한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투입대기부와 포장상자자동투입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자동투입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는 다수개의 포장상자(10)가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는 컨베이어바디(100)와,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틸팅장치(200)와,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회전체인(110)에 일렬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무빙버켓(300)과, 상기 무빙버켓(300)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400)와, 상기 중량감지부(400)를 통과한 무빙버켓의 이동을 감지하는 버켓센싱부(500)와, 각각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을 연산하여 설정된 포장중량의 소형과실이 상기 포장상자(10)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하는 컨트롤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는 컨베이어바디(100)에 무한궤도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체인(110)에 다수개의 무빙버켓(30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무빙버켓(300)에 담긴 소형과실의 중량 및 상기 무빙버켓(300)의 이동위치 특정을 통해 특정무빙버켓에 담긴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설정된 오차범위내에서 지정된 포장상자에 정량 담겨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나의 소형과실이 상기 무빙버켓에 담기더라도 그 중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바디(100)는 폭방향 일측에 다수개의 포장상자(10)가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컨베이어바디(100)는 일정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면서 컨베이어구동부(120)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체인(11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별도의 과실이송컨베이어(미도시)로부터 이동되어 소형과실이 낙하되어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과실수집호퍼(13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인(110)은 상기 과실수집호퍼(130)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노출홈의 하부위치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상기 회전체인(110)에 장착되는 무빙버켓의 원활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에는 상기 과실수집호퍼(130)로부터 상기 회전체인(110)의 이동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버켓가이드판(131)이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구동부(120)는 상기 과실수집호퍼(130)가 설치된 방향의 상기 컨베이어바디(100)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로써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내측에는 상기 컨베이어구동부(1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121)과, 상기 회전체인(1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종동스프로킷(123)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스프로킷(121)은 상기 컨베이어구동부(120)의 회전축과 밸트(122)를 매개로 연결되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일측에는 상기 무빙버켓(300)의 틸팅에 의해 낙하된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상기 포장상자(10)방향으로 굴러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가이드판(140)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경사가이드판(140)에는 굴러이동되는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소정의 포장상자로 가이드되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과실유도편(15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경사가이드판(140)은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상기 무빙버켓(300)에서 낙하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외피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경사가이드판(140)은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과실유도편(150)은 상기 경사가이드판(140)의 상부에서 상기 포장상자(10)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되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져 무빙버켓에서 이동되는 소형과실이 포장상자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과실유도편(150)은 상호 인접되는 틸팅장치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를 갖도록 상기 경사가이드판(14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일측에는 상기 포장상자(10)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안착대(170)가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즉, 작업자가 다수개의 안착대(170)에 빈 포장상자를 안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인(110)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틸팅장치(200)의 틸팅에 의해 상기 무빙버켓(300)이 상기 포장상자(10) 방향으로 틸팅되면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상기 한 쌍의 과실유도편(150) 사이를 통해 상기 포장상자(10)로 굴러떨어져 담기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대(170)의 하측면에는 다양한 크기의 포장상자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자고정편(171)이 설치되고, 상기 상자고정편(171)은 상기 안착대(170)의 하측에 설치된 위치조절장공(172)을 따라 왕복이동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틸팅된 상태의 상기 무빙버켓(300)을 원래의 상태로 직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직립유도가이더(18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회전체인(110)의 무한궤도 회전중에, 틸팅된 상태의 상기 무빙버켓(300)이 상기 직립유도가이더(180)를 거치면서 본래의 상태로 직립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에는 상기 회전체인(110)의 무한궤도 회전시 상기 회전체인(110)의 요동을 방지하면서 상기 회전체인(110)의 진행방향에 대한 가이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체인가이드프레임(160)이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틸팅장치(200)는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타측에 상기 포장상자의 설치갯수와 동일한 갯수 및 간격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포장상자(10)가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에 1번부터 10번까지 10개가 안착되어있다고 할 때 상기 틸팅장치(200) 또한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타측에 동일한 간격으로 10개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틸팅장치는 상기 무빙버켓(300)을 틸팅하였을 경우, 동일한 고유넘버의 포장상자로 소형과실이 굴러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 첫번째 틸팅장치가 구동하게 되면 무빙버켓에서 굴러떨어지는 소형과실은 상기 한 쌍의 과실유도편(150) 사이를 통과하여 첫번째 포장상자로 투입되는 것이다.
이때,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틸팅장치(200)는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이 고정되게 장착되는 틸팅바디(210)와, 상기 틸팅바디(2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승강회전시, 상기 무빙버켓(300)을 상기 포장상자(10)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틸팅암(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틸팅바디(210)는 후술되는 상기 컨트롤장치(600)와 유무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장치(600)에서 인가된 작동신호에 의해 상기 틸팅암(220)을 승강회전시키거나 하강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무빙버켓(300)은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회전체인(110)에 일렬되게 장착되되 상기 틸팅장치와 틸팅장치 사이에 동일한 갯수가 위치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는, 틸팅장치와 틸팅장치 사이 거리가 상기 회전체인(1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무빙버켓에서 3개의 무빙버켓간 총길이와 같다고 할 때, 후술되는 상기 버켓센싱부(500)에서 감지된 무빙버켓보다 앞서 이동된 무빙버켓이 어느 틸팅장치의 위치에 있는지를 상기 컨트롤장치(600)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버켓센싱부(500)와 첫번째 틸팅장치 사이의 거리가 3개의 무빙버켓간 총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는 것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버켓센싱부(500)의 설치방향으로 이동되어 감지된 무빙버켓의 고유넘버가 13번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버켓센싱부(500)와 첫번째 틸팅장치 사이에는 10번 내지 12번의 고유넘버를 갖는 무빙버켓이 위치하게 되고, 첫번째 틸팅장치와 두번째 틸팅장치 사이에는 7번 내지 9번의 고유넘버를 갖는 무빙버켓이 위치하게 되며, 두번째 틸팅장치와 세번째 틸팅장치 사이에는 4번 내지 6번의 고유넘버를 갖는 무빙버켓이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컨트롤장치(600)에서는 특정 고유넘버의 위치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고, 특정고유넘버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이 소정의 포장상자에 선택적으로 담겨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무빙버켓(300)은 내측 수용공간이 상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수용공간에는 일정높이로 채워져 상측면이 평탕하도록 이루어진 평탄형성부(3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평탄형성부(310)는 탄성재질을 갖도록 이루어져 과실이송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된 소형과실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무빙버켓(300)의 제조시 동일한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무빙버켓(300)의 상측외주연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버켓연장편(370)이 형성되어 과실의 수용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무빙버켓(300)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돌출가압편(320)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무빙버켓(30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체인(110)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상기 무빙버켓(300)에 조인트스틱(330)을 매개로 연결되는 버켓지지대(3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스틱(330)은 평면상 "ㄷ"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버켓지지대(360)의 상측에 관통형성되는 관통설치공(366)을 가로질러 양측이 수직절곡되어 상기 무빙버켓(300)의 하부 타측으로 연장된 양단부가 상기 무빙버켓(30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무빙버켓(300)의 양방향 틸팅시 상기 관통설치공(366)에서 왕복되는 상기 조인트스틱(330)의 절곡부위가 걸림되어 틸팅가능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무빙버켓(300)은 일 실시예로서의 상기 무빙버켓(300)에 형성된 상기 버켓연장편(370)이 제거되어 평면상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버켓지지대(360)는, 상기 회전체인(110)에 끼움장착되도록 상기 회전체인(110)의 폭에 대응되는 이격거리를 갖는 한 쌍의 마운팅편(361)과, 상기 마운팅편(361)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일측면에 지지단턱(365)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상측에 상기 관통설치공(366)이 형성된 연장지지구(364)와, 상기 연장지지구(364)의 길이방향 상측에 폭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연장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걸림단턱(368)이 형성된 버켓지지가이더(367)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마운팅편(361)에는 상기 회전체인(110)의 마디를 상호연결하는 마디연결핀(363)의 양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핀끼움공(3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무빙버켓(300)의 하측면에는 상기 걸림단턱(368)에 안착되는 단턱안착편(340)과, 상기 지지단턱(365)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지지단턱(365)에 안착되는 직립편(3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무빙버켓(300)에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담겨지는 경우에는 상기 직립편(350)의 하측 단부가 상기 지지단턱(365)에 지지되면서 상기 단턱안착편(340)이 상기 걸림단턱(368)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무빙버켓(3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틸팅장치(200)에 의해 상기 무빙버켓(300)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직립편(350)의 하측단부가 상기 지지단턱(365)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단턱안착편(340) 또한 상기 걸림단턱(368)에 이탈되는 것이다.
상기 중량감지부(400)는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무빙버켓(300)의 중량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중량감지부(400)는 상기 버켓가이드판(131)의 하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무빙버켓(300)이 상기 버켓가이드판(131)을 통과할때 상기 무빙버켓(300)의 중량을 센싱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체인(110)의 무한궤도 회전에 의해 상기 무빙버켓(300)이 버켓가이드판(131)을 통과할 때, 상기 돌출가압편(320)이 상기 버켓가이드판(131)의 상측면에 밀착되는데, 이러한 상기 무빙버켓(300)이 상기 중량감지부(400)의 설치위치를 지나치면서 중량이 센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켓센싱부(500)는 상기 중량감지부(4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감지부(400)에 의해 중량측정이 완료된 상기 무빙버켓(300)의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켓센싱부(500)는 상기 중량감지부(400)방향에서 이동되는 상기 무빙버켓(300)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장치(600)는 각각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을 연산하여 설정된 포장중량의 소형과실이 상기 포장상자(10)에 투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상기 컨트롤장치(600)는 상기 중량감지부(400)와 버켓센싱부(500)로 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연산하여 각각의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들을 소정의 위치에 안착된 상기 포장상자(10)에 개별투입하여 설정중량으로 담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컨트롤장치(600)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컨트롤장치(600)는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포장상자(10)에 상자넘버를 순차적으로 부여하는 상자넘버부여부(610)와, 상기 회전체인(110)의 최초 회전구동시, 상기 중량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빈 무빙버켓의 자체중량을 저장하는 버켓중량저장부(620)와, 상기 중량감지부(400)를 통과하여 상기 버켓센싱부(500)에 의해 센싱된 빈 무빙버켓를 순서대로 카운팅하여 고유넘버를 할당하는 넘버할당부(630)와, 상기 무빙버켓(300)에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담겨진 상태로 상기 중량감지부(400)와 버켓센싱부(500)를 순차적으로 통과시, 빈 무빙버켓의 자체중량과 소형과실이 담겨진 무빙버켓의 감지중량을 무빙버켓의 고유넘버별로 연산하여 각각의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을 산출하는 과실중량산출부(640)와, 산출된 개별투입중량의 합이 포장중량의 오차범위내에 이르는 다수개의 무빙버켓을 특정하여 소정 상자넘버의 포장상자에 지정하는 틸팅위치지정부(650)와, 상기 버켓센싱부(500)를 통해 센싱된 무빙버켓의 고유넘버를 기준으로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 특정된 무빙버켓이 소정 상자넘버의 포장상자에 도달함을 확인하는 버켓위치확인부(660)와, 상기 버켓위치확인부(660)에서 특정된 무빙버켓이 지정된 포장상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틸팅장치(200)에 틸팅신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틸팅구동신호부(6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자넘버부여부(610)에서는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투입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초기셋팅시, 상기 컨트롤장치(600)에 연결된 터치형 디스플레이장치나 별도의 조작버튼을 통해 포장상자의 넘버를 조작하게 되면 이 조작신호를 근거로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포장상자(10)에 대한 상자넘버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켓중량저장부(620)는 작업자가 상기 컨트롤장치(60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컨베이어구동부(120)에 의해 상기 회전체인(110)이 초기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중량감지부(400)에 감지된 중량을 센싱하여 각 무빙버켓의 자체중량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버켓중량저장부(620)에서는 상기 회전체인(110)의 초기 회전과정에서 상기 무빙버켓(300)의 돌출가압편(320)이 상기 중량감지부(400)가 설치된 위치의 상기 버켓가이드판(131)의 상측면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중량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무빙버켓의 자체중량을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넘버할당부(630)는 상기 중량감지부(400)를 통과하여 상기 버켓센싱부(500)에 의해 센싱된 빈 무빙버켓을 순서대로 카운팅하여 고유넘버를 할당한다. 이를 통해 고유넘버별 무빙버켓에 대한 자체중량을 저장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컨트롤장치(600)에는 무빙버켓의 고유넘버데이터가 저장되는 넘버DB(632)와, 고유넘버가 부여된 무빙버켓마다의 자체중량데이터를 저장하는 자체중량DB(631)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과실중량산출부(640)는 상기 무빙버켓(300)에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담겨진 상태로 상기 중량감지부(400)와 버켓센싱부(500)를 순차적으로 통과시, 빈 무빙버켓의 자체중량과 소형과실이 담겨진 무빙버켓의 감지중량을 무빙버켓의 고유넘버별로 연산하여 각각의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장치(600)에는 소형과실이 담겨진 고유넘버별 무빙버켓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635)가 형성되고, 상기 중량감지부(635)에서 감지된 소형과실이 담겨진 고유넘버별 무빙버켓의 감지중량데이터를 저장하는 감지중량DB(641)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과실중량산출부(640)에서는 상기 자체중량DB(631)와 감지중량DB(641)에 저장된 고유넘버별 무빙버켓의 중량데이터를 연산하여 고유넘버별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는 산출된 개별투입중량의 합이 포장중량의 오차범위내에 이르는 다수개의 무빙버켓을 특정하여 소정 상자넘버의 포장상자에 지정한다.
다시 말해,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는 상기 과실중량산출부(640)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에 안치된 상기 포장상자(10)의 안치순서대로 설정중량만큼의 소형과실이 투입될 수 있도록 소정 갯수의 무빙버켓을 특정하여 지정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상기 포장상자(10)에 500g의 포장중량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버켓센싱부(500)를 통과한 1번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이 150g으로 산출되고, 2번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이 180g으로 산출되며, 3번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이 120g으로 산출되고, 4번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이 50g으로 산출되며, 5번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이 160g으로 산출되고, 6번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이 50g으로 산출되는 일 예의 경우,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는 1번의 무빙버켓부터 4번의 무빙버켓을 첫번째 위치의 1번 포장상자로 지정하게 되고, 그 이후의 무빙버켓들 또한 동일한 중량 합산방식을 통해 상기 포장상자에 순차적으로 지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다른 예로써 상기 4번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이 120g으로 산출되는 경우에는, 1번부터 4번까지의 무빙버켓 개별투입중량 합이 포장중량을 초과하게 되므로,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는 4번과 5번의 무빙버켓을 두번째 위치의 2번 포장상자로 지정하게 되고, 6번 무빙버켓을 첫번째 위치의 1번 포장상자로 지정하여 각각의 포장상자에 일정한 포장중량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포장중량 및 개별투입중량을 정확한 중량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과실의 중량이 10단위나 1단위를 포함한 중량으로 측정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일정한 범위내에서 상기 포장중량의 오차범위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버켓위치확인부(660)는 상기 버켓센싱부(500)를 통해 센싱된 무빙버켓의 고유넘버를 기준으로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 특정된 무빙버켓이 소정 상자넘버의 포장상자에 도달함을 확인하는 것이다.
즉, 일 예로써 상기 버켓센싱부(500)와 첫번째 틸팅장치 사이에 3개의 무빙버켓이 위치하게 되고, 틸팅장치와 틸팅장치 사이에 3개의 무빙버켓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포장상자(10)는 틸팅장치간 이격거리 내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일측에 설치되는 구조의 경우에서, 상기 버켓센싱부(500)에서 5번의 무빙버켓이 센싱되면 상기 버켓위치확인부(660)에서는 1번의 무빙버켓이 1번의 포장상자 설치범위내에 진입함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버켓위치확인부(660)에서 특정 무빙버켓이 지정 포장상자의 위치에 도달함을 확인하게 되면 상기 틸팅구동신호부(670)에서는 해당 틸팅장치에 틸팅신호를 부여하여 무빙버켓이 틸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1번의 무빙버켓(300)이 1번의 포장상자 설치범위내에 도달하게 되면 첫번째 틸팅장치에 신호를 부여하여 해당 무빙버켓을 틸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 특정된 무빙버켓이 지정된 포장상자의 설치범위내에서 모두 틸팅되어 설정중량의 소형과실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포장상자(10)가 안착되는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안착대(170)에는,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 특정된 다수개의 무빙버켓이 지정된 포장상자를 모두 통과하여 그 포장상자에 설정 포장중량의 소형과실이 담겨지게 되면 이를 발광이나 신호음을 통해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투입완료신호부(173)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소정의 포장상자에 설정 포장중량의 소형과실이 담겨지게 되면 작업자에게 새로운 빈 포장상자로 교체하라는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투입완료신호부(173)은 각각의 안착대의 인접위치에 상기 안착대(170)의 설치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 예로써 상기 투입완료신호부(173)는 램프의 구성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장치(600)에는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 특정된 다수개의 무빙버켓이 틸팅완료되어 지정된 포장상자(P)의 설치범위를 통과하게 되면 그 포장상자(P)의 지정을 배제하도록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 신호를 송신하면서 상기 투입완료신호부(173)에 신호를 보내는 지정배제부(68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1번 포장상자에 1번부터 4번까지의 무빙버켓이 지정된 경우, 상기 지정배제부(680)에서는 상기 버켓센싱부(500)를 통해 센싱된 무빙버켓의 고유넘버 확인결과, 1번부터 4번까지의 무빙버켓이 1번 포장상자의 설치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1번 포장상자에 설정중량의 소형과실이 투입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4번 이후의 무빙버켓이 1번 포장상자에 지정되지 않도록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더불어 상기 투입완료신호부(173)에 신호를 보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대(170)에는, 빈 포장상자의 교체신호를 상기 컨트롤장치(600)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투입대기신호부(174)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컨트롤장치(600)에는 상기 투입대기신호부(174)로부터 투입대기신호를 수신받게 되면 지정배제부(680)로 신호를 송신하여 지정된 포장상자(P)의 지정배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상자상태체크부(681)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1번 포장상자에 설정중량의 소형과실이 담겨진 경우, 작업자는 상기 투입완료신호부(173)를 통해 이를 인지하게 되고, 이후 새로운 포장상자를 상기 안착대(170)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투입대기신호부(174)를 조작하게 되면, 조작신호가 상기 상자상태체크부(681)로 송신되어 상기 지정배제부(680)에서 포장상자(P)의 지정배제를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는 그 지정해제된 포장상자(P)를 다시 지정순위에 넣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투입대기신호부(174)에는 일 예로써 작업자의 조작편의성을 위해 스위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장치(600)에는 상기 회전체인(1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체인회전속도조절부(6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회전체인(110)의 속도가 너무 빠르게 되면 무빙버켓의 진동량이 증가하여 무게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컨베이어구동부(120)의 회전속도의 조절을 통해 적절한 체인회전속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포장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는 중량감지부(400)와 버켓센싱부(500)에 의해 무빙버켓의 상태(중량 및 개별위치)를 체크하고, 이 체크정보를 상기 컨트롤장치에서 분석 연산하여 다수개의 포장상자에 오차범위내의 설정중량 소형과실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정확한 계량을 통한 제품수량의 증가로 농가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컨트롤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상자넘버부여부(610), 버켓중량저장부(620), 넘버할당부(630), 중량감지부(635), 과실중량산출부(640), 틸팅위치지정부(650), 버켓위치확인부(660), 틸팅구동신호부(670)를 하나의 메인제어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자체중량DB(631), 넘버DB(632), 감지중량DB(641)를 하나의 DB그룹으로 설정하며, 상기 지정배제부(680), 상자상태체크부(681)를 하나의 전달제어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는 상기 안착대(170)의 수직방향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포장상자(10)가 적층되는 포장상자투입대기부(700)와, 상기 안착대(17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포장상자투입대기부(7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포장상자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포장상자를 하측으로 잡아당겨 외부로 이탈시킨 후, 상기 안착대(17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자동투입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작업자의 상자투입신호에 의해 상기 포장상자자동투입부(800)가 구동하여 상기 포장상자투입대기부(7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새로운 포장상자를 상기 안착대(170)에 자동으로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과실에 대한 포장작업의 자동화를 통한 인력난 해소는 물론 작업환경의 개선과 노동력 절감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포장상자자동투입부(800)는 신축로드(811)가 상기 안착대(170)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부재(810)와, 상기 실린더부재(810)의 신축로드(811)에 설치되는 승하강편(820)과, 상기 승하강편(820)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로드(811)의 신장시 상기 포장상자(10)의 하면에 밀착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중공형 상자밀착구(83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실린더부재(810)의 신축로드(811)가 신장되어 상기 상자밀착구(830)가 상기 포장상자투입대기부(7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포장상자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포장상자에 밀착된 후, 상기 신축로드(81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새로운 포장상자가 상기 안착대(170)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자밀착구(830)에는 흡입펌프(미도시)로부터 연장된 에어관(831)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자밀착구(830)가 포장상자의 하면에 밀착시, 상기 흡입펌프구동에 의해 상기 상자밀착구(830)가 상기 포장상자에 흡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포장상자 100: 컨베이어바디
110: 회전체인 120: 컨베이어구동부
130: 과실수집호퍼 140: 경사가이드판
150: 과실유도편 160: 체인가이드프레임
170: 안착대 180: 직립유도가이더
200: 틸팅장치 210: 틸팅바디
220: 틸팅암 300: 무빙버켓
310: 평탄형성부 320: 돌출가압편
330: 조인트스틱 360: 버켓 지지대
361: 마운팅편 364: 연장지지구
367: 버켓지지가이더 400: 중량감지부
500: 버켓센싱부 600: 컨트롤장치
610: 상자넘버부여부 620: 버켓중량저장부
630: 넘버할당부 635: 중량감지부
640: 과실중량산출부 650: 틸팅위치지정부
660: 버켓위치확인부 670: 틸팅구동신호부
680: 지정배제부 690: 체인회전속도조절부
700: 포장상자투입대기부 800: 포장상자자동투입부
810: 실린더부재 820: 승하강편
830: 상자밀착구

Claims (6)

  1. 폭방향 일측에 다수개의 포장상자(10)가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는 컨베이어바디(100);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타측에 상기 포장상자의 설치갯수와 동일한 갯수 및 간격으로 설치되는 틸팅장치(200);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회전체인(110)에 일렬되게 장착되되 틸팅장치와 틸팅장치 사이에 동일한 갯수가 위치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다수개의 무빙버켓(300);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무빙버켓(300)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400); 상기 중량감지부(4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중량감지부(400)에 의해 중량측정이 완료된 상기 무빙버켓(300)의 이동을 감지하는 버켓센싱부(500); 각각의 무빙버켓에 담겨진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을 연산하여 설정된 포장중량의 소형과실이 상기 포장상자(10)에 투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장치(600)는,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포장상자(10)에 대한 상자넘버를 저장하는 상자넘버부여부(610)와, 상기 회전체인(110)의 최초 회전구동시, 상기 중량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빈 무빙버켓의 자체중량을 저장하는 버켓중량저장부(620)와, 상기 중량감지부(400)를 통과하여 상기 버켓센싱부(500)에 의해 센싱된 빈 무빙버켓를 순서대로 카운팅하여 고유넘버를 할당하는 넘버할당부(630)와, 상기 무빙버켓(300)에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담겨진 상태로 상기 중량감지부(400)와 버켓센싱부(500)를 순차적으로 통과시, 빈 무빙버켓의 자체중량과 소형과실이 담겨진 무빙버켓의 감지중량을 무빙버켓의 고유넘버별로 연산하여 각각의 무빙버켓에 담긴 소형과실의 개별투입중량을 산출하는 과실중량산출부(640)와, 산출된 개별투입중량의 합이 포장중량의 오차범위내에 이르는 다수개의 무빙버켓을 특정하여 소정 상자넘버의 포장상자에 지정하는 틸팅위치지정부(650)와, 상기 버켓센싱부(500)를 통해 센싱된 무빙버켓의 고유넘버를 기준으로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 특정된 무빙버켓이 소정 상자넘버의 포장상자 위치에 도달함을 확인하는 버켓위치확인부(660)와, 상기 버켓위치확인부(660)에서 특정된 무빙버켓이 지정된 포장상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틸팅장치(200)에 틸팅신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틸팅구동신호부(6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10)가 안착되는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안착대(170)에는, 상기 틸팅위치지정부(650)에서 특정된 다수개의 무빙버켓이 지정된 포장상자를 모두 통과하여 그 포장상자에 설정 포장중량의 소형과실이 담겨지게 되면 이를 발광이나 신호음을 통해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투입완료신호부(17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170)에는, 빈 포장상자의 교체신호를 상기 컨트롤장치(600)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투입대기신호부(17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바디(100)의 폭방향 일측에는 상기 무빙버켓(300)의 틸팅에 의해 낙하된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상기 포장상자(10)방향으로 굴러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가이드판(140)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경사가이드판(140)에는 굴러이동되는 다수개의 소형과실이 소정의 포장상자로 가이드되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과실유도편(15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버켓(300)은 내측 수용공간이 상측에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내측 수용공간에는 일정높이로 채워져 상측면이 평탕하도록 이루어진 평탄형성부(31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6. 삭제
KR1020230049150A 2023-04-14 2023-04-14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KR102566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150A KR102566482B1 (ko) 2023-04-14 2023-04-14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150A KR102566482B1 (ko) 2023-04-14 2023-04-14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482B1 true KR102566482B1 (ko) 2023-08-11

Family

ID=8756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150A KR102566482B1 (ko) 2023-04-14 2023-04-14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4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127A (ja) * 2000-09-06 2002-03-08 Mayekawa Mfg Co Ltd 自動計量組合せ方法とその装置
KR20180066408A (ko) * 2016-12-09 2018-06-19 (주)에스엔피시스템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KR20230023528A (ko) * 2021-08-10 2023-02-17 권익삼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127A (ja) * 2000-09-06 2002-03-08 Mayekawa Mfg Co Ltd 自動計量組合せ方法とその装置
KR20180066408A (ko) * 2016-12-09 2018-06-19 (주)에스엔피시스템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KR20230023528A (ko) * 2021-08-10 2023-02-17 권익삼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4283B2 (en) A bag stacker
US5165218A (en) Automatic sorting, stacking and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CN214289459U (zh) 一种用于灌装机的产品重量自动检测筛选装置
US36337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boxes with a preselected quantity of discrete articles
KR20130000128A (ko) 병버섯 자동 수확장치
US65645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gging potatoes
KR102234563B1 (ko) 과일 적재 시스템
KR102566482B1 (ko) 소형과실의 포장상자 계량투입장치
JP3779055B2 (ja) 農産物の選別装置
JP3653389B2 (ja) 長物農産物の仕分装置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JPH10236642A (ja) 農産物を載せた受皿の搬送合流装置
US77888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containers with bags
JP2000142625A (ja) 卵の自動選別包装装置
KR101885866B1 (ko) 농산물 낙하 높이 제어 장치
JP3839896B2 (ja) 農産物の選別包装装置
JP2006206193A (ja) 農産物の箱詰システム
US5218812A (en) Packing station for lettuce receiving trays
US3618285A (en) Method for filling boxes with a preselected quantity of discrete articles
JP2006068744A (ja) 農産物選別装置
JP3453419B2 (ja) 長物野菜の箱詰装置
JP3785265B2 (ja) 農産物の仕分装置
JP2000128124A (ja) 卵の自動選別包装装置
JPH0776009B2 (ja) 人参の自動整列、箱詰装置
CN220658394U (zh) 新型出盒流水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