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839B1 - 농산물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839B1
KR101365839B1 KR1020110067445A KR20110067445A KR101365839B1 KR 101365839 B1 KR101365839 B1 KR 101365839B1 KR 1020110067445 A KR1020110067445 A KR 1020110067445A KR 20110067445 A KR20110067445 A KR 20110067445A KR 101365839 B1 KR101365839 B1 KR 101365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ller
main body
rollers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816A (ko
Inventor
조승제
Original Assignee
조승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제 filed Critical 조승제
Priority to KR102011006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83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발명은 농산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별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투입하는 투입부(101)를 상부에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크기별로 선별된 농산물이 각각 배출되는 배출부(102)를 형성한 본체(1)와;
양단부에 형성된 지지축이 본체(1)의 전후 벽면에 형성된 장공(103)을 따라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베어링케이스(201)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 지지축 단부에는 스프로킷휠(202)을 설치하여 본체(1)의 투입부(101) 내부에 다수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와;
각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에 설치된 스프로킷휠(202)을 체인(301)으로 구동하는 모터(3)와;
본체(1)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3)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30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4)과;
일단부에는 좌나사(501)부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우나사(502)부를 형성하여 본체(1) 일측면에 설치된 축잡이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쌍을 설치하고, 각각의 일측 단부에는 벨트풀리(503)를 설치하여 서로 같이 회전하도록 타이밍벨트(504)를 연결하되, 상부에 형성된 제1회전나사봉(5a)의 일측 단부에는 간격조정핸들(505)을 설치하고, 그 내측에는 나사부에 고정수단(506)을 나사 결합한 회전나사봉(5a, 5b)과;
상단부는 각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를 지지하는 각각의 베어링케이스(201)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회전나사봉(5a, 5b)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회전나사봉(5a, 5b)의 회전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체(6)로 구성함으로써 간격조정핸들의 조작만으로 농산물을 선별하는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한 대만으로도 다양한 크기를 가진 여러 종류의 농산물 선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작이 쉽고 간편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 가능하고, 농산물 선별에 따른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함으로써 농가의 소득 향상과 삶의 질의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스크루롤러, 간격조정핸들, 회전나사봉, 호퍼, 체인, 장력조절수단

Description

농산물 선별 장치{APPARATUS FOR SORTING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스크루롤러의 간격을 간편,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농산물 선별이 가능토록 한 농산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 선별 장치란 수확된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장치로서, 보통 수확된 농산물은 크기별로 상품성과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수확한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근에는 자동화된 농산물 선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된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농산물 선별 장치는 주로 특정 종류의 농산물 선별에만 한정하여 사용됨으로써 다른 농산물을 선별할 때는 또 다른 종류의 선별기가 필요하였기 때문에 농가에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보통 가능 많이 수확되는 농작물을 선별하는 장치만을 구비하고 있을 뿐, 그외의 수확된 농작물들은 보통 수작업을 통해 선별해야 함으로써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농산물 선별 장치는 기계 조작이 복잡하기 때문에 고령화된 농촌에서 주로 생산 활동에 종사하는 노인들이 농산물 선별 장치의 복잡한 기계를 조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산물을 선별하기 위한 스크루롤러의 간격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대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농산물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 농산물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선별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투입하는 투입부(101)를 상부에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크기별로 선별된 농산물이 각각 배출되는 배출부(102)를 형성한 본체(1)와;
양단부에 형성된 지지축이 본체(1)의 전후 벽면에 형성된 장공(103)을 따라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베어링케이스(201)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 지지축 단부에는 스프로킷휠(202)을 설치하여 본체(1)의 투입부(101) 내부에 다수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와;
각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에 설치된 스프로킷휠(202)을 체인(301)으로 구동하는 모터(3)와;
본체(1)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3)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30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4)과;
일단부에는 좌나사(501)부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우나사(502)부를 형성하여 본체(1) 일측면에 설치된 축잡이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쌍을 설치하고, 각각의 일측 단부에는 벨트풀리(503)를 설치하여 서로 같이 회전하도록 타이밍벨트(504)를 연결하되, 상부에 형성된 제1회전나사봉(5a)의 일측 단부에는 간격조정핸들(505)을 설치하고, 그 내측에는 나사부에 고정수단(506)을 나사 결합한 회전나사봉(5a, 5b)과;
상단부는 각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를 지지하는 각각의 베어링케이스(201)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회전나사봉(5a, 5b)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회전나사봉(5a, 5b)의 회전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체(6)로 구성된다.
또한, 스크루롤러는 5개를 설치하되, 제1스크루롤러(2a)와 제2스크루롤러(2b)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3스크루롤러(2c), 제4스크루롤러(2d), 제5스크루롤러(2e)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각 스크루롤러의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휠(202)에 체인(301)을 엇갈리게 연결하여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제1스크루롤러(2a)와 제5스크루롤러(2e)의 지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의 외측면에는 투입부(101)로 투입된 농산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호퍼(7)를 설치하여 제1스크루롤러와 제5스쿠루롤러를 이동시기면 호퍼도 같이 이동되게 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1스크루롤러(2a)와, 제2스크루롤러(2b)를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에 결합된 이송체(6)는 각각 제2회전나사봉(5b)과 제1회전나사봉(5a)의 좌나사(501)부에 나사 결합하고, 제4스크루롤러(2d)와, 제5스크루롤러(2e)를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에 결합된 이송체(6)는 각각 제1회전나사봉(5a)과 제2회전나사봉(5b)의 우나사(502)부에 나사 결합하여 제1회전나사봉(5a)과 제2회전나사봉(5b)의 회전에 의해 모든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이 동시에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간격조정핸들의 조작만으로 농산물을 선별하는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대만으로도 다양한 크기를 가진 여러 종류의 농산물 선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선별 장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여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조작이 쉽고 간편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산물 선별에 따른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함으로써 농가의 소득 향상과 삶의 질의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다른 주요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는 선별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투입하는 투입부(101)를 상부에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크기별로 선별된 농산물이 각각 배출되는 배출부(102)를 형성함으로써 선별하고자 하는 일정량의 농산물을 본체(1)의 투입부(101)에 투입하면 투입부(101) 내부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스크루롤러에 의해 농산물을 크기별로 스크루롤러 사이로 낙하하면서 선별이 이루어진 후, 본체(1) 일측면에 형성된 배출부(102)를 통해 크기별로 배출됨으로써 선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스크루롤러는 본체(1)의 투입부(101) 내부에 설치되어 선별을 위해 투입부(101)를 통해 투입되는 일정량의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각 스크루롤러는 양단부에 형성된 지지축이 본체(1)의 전후 벽면에 형성된 장공(103)을 따라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베어링케이스(20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베어링케이스(201)의 위치 조절을 통해서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스크루롤러의 일측 지지축 단부에는 스프로킷휠(202)을 설치함으로써 모터(3)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301)을 각 스크루롤러의 스프로킷휠(202)에 연결하여 하나의 모터(3)를 이용해 모든 스크루롤러를 동일한 회전속도로 구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모든 스크루롤러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본체(1)의 투입부(101)에 투입된 농산물 스크루롤러 상부에서 계속 회전시키면서 스크루롤러 간에 여러 단계로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농산물을 낙하시킴으로써 농산물의 크기별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루롤러는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외경이 다단으로 구분되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이 일측 끝에서부터 다단으로 구분되어 점차 좁아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농산물의 크기별 선별이 가능케 된다.
또한, 스크루롤러는 5개를 설치하되, 제1스크루롤러(2a)와 제2스크루롤러(2b)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3스크루롤러(2c), 제4스크루롤러(2d), 제5스크루롤러(2e)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각 스크루롤러의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휠(202)에 체인(301)을 엇갈리게 연결하며, 모든 스크루롤러의 일측 지지축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휠(202)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체인(301)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본체(1) 일측에는 실린더와 같은 장력조절수단(4)을 이용해 장력조절스프로킷(30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체인(301)의 장력 조절이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회전나사봉은 일단부에는 좌나사(501)부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우나사(502)부를 형성하여 본체(1) 일측면에 설치된 축잡이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쌍을 설치하고, 각각의 일측 단부에는 벨트풀리(503)를 설치하여 한 쌍의 회전나사봉의 벨트풀리(503)에 타이밍벨트(504)를 연결함으로써 상부에 형성된 제1회전나사봉(5a)의 일측 단부에 간격조정핸들(505)을 설치하여 간격조정핸들(505)을 이용해 제1회전나사봉(5a)을 회전시키면 타이밍벨트(504)에 의해 제1회전나사붕 하부에 설치된 제2회전나사봉(5b)도 제1회전나사봉(5a)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1회전나사봉(5a)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간격조정핸들(505)의 내측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그 나사부에 고정수단(506)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간격조정핸들(505)을 이용해 제1회전나사봉(5a)을 원하는 만큼 회전시킨 후 제1회전나사봉(5a)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고정수단(506)을 조이면 고정수단(506)이 본체(1)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어 고정수단(506)이 나사 결합된 제1회전나사봉(5a)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회전나사봉(5a)과 제2회전나사봉(5b)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송체(6)는 상단부를 스크루롤러를 지지하는 각각의 베어링케이스(201)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하단부는 회전나사봉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회전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좌우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루롤러를 이동시켜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스크루롤러(2a)와, 제2스크루롤러(2b)를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에 결합된 이송체(6)는 각각 제2회전나사봉(5b)과 제1회전나사봉(5a)의 좌나사(501)부에 나사 결합하고, 제4스크루롤러(2d)와, 제5스크루롤러(2e)를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에 결합된 이송체(6)는 각각 제1회전나사봉(5a)과 제2회전나사봉(5b)의 우나사(502)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제1회전나사봉(5a)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간격조정핸들(505)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스크루롤러(2a)와, 제2스크루롤러(2b)를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에 결합된 이송체(6)와, 제4스크루롤러(2d)와, 제5스크루롤러(2e)를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에 결합된 이송체(6)가 모두 제3스크루롤러(2c) 쪽으로 접근하면서 각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반면에,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제1회전나사봉(5a)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간격조정핸들(50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스크루롤러(2a)와, 제2스크루롤러(2b)를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에 결합된 이송체(6)와, 제4스크루롤러(2d)와, 제5스크루롤러(2e)를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에 결합된 이송체(6)가 모두 제3스크루롤러(2c)에서 멀어짐으로써 각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이 넓혀지게 된다.
따라서 간격조정핸들(505)의 조작만으로도 모든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을 간편하게 동시에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견과류, 쪽마늘, 통마늘, 땅콩, 체리, 블루베리, 매실, 대추, 감자, 양파, 생감, 복숭아, 살구 등 다양한 크기를 가진 여러 종류의 농산물 선별이 가능케 된다.
한편, 제1스크루롤러(2a)와 제5스크루롤러(2e)의 지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의 외측면에는 투입부(101)로 투입된 농산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호퍼(7)를 설치함으로써 선별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투입한 후, 스크루롤러의 회전에 의해 농산물의 선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스크루롤러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농산물이 투입부(101)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퍼(7)는 항상 제1스크루롤러(2a)와 제5스크루롤러(2e)의 바깥쪽 일정한 곳에 위치하여 같이 이동하므로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이 조절되더라도 투입부(101)에 투입된 농산물이 투입부(101)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루롤러의 설치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을 좁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을 넓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다른 스크루롤러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101: 투입부
102: 배출부 103: 장공
2a, 2b, 2c, 2d, 2e: 스크루롤러 201: 베어링케이스
202: 스프로킷휠 3: 모터
301: 체인 4: 장력조절수단
5a, 5b: 회전나사봉 501: 좌나사
502: 우나사 503: 벨트풀리
504: 타이밍벨트 505: 간격조정핸들
506: 고정수단 6: 이송체
7: 호퍼

Claims (4)

  1. 선별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투입하는 투입부(101)를 상부에 형성하고, 일측면에는 크기별로 선별된 농산물이 각각 배출되는 배출부(102)를 형성한 본체(1)와;
    양단부에 형성된 지지축이 본체(1)의 전후 벽면에 형성된 장공(103)을 따라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베어링케이스(201)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 지지축 단부에는 스프로킷휠(202)을 설치하여 본체(1)의 투입부(101) 내부에 다수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와;
    각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에 설치된 스프로킷휠(202)을 체인(301)으로 구동하는 모터(3)와;
    본체(1)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3)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30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4)과;
    일단부에는 좌나사(501)부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우나사(502)부를 형성하여 본체(1) 일측면에 설치된 축잡이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쌍을 설치하고, 각각의 일측 단부에는 벨트풀리(503)를 설치하여 서로 같이 회전하도록 타이밍벨트(504)를 연결하되, 상부에 형성된 제1회전나사봉(5a)의 일측 단부에는 간격조정핸들(505)을 설치하고, 그 내측에는 나사부에 고정수단(506)을 나사 결합한 회전나사봉(5a, 5b)과;
    상단부는 각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를 지지하는 각각의 베어링케이스(201)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회전나사봉(5a, 5b)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회전나사봉(5a, 5b)의 회전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스크루롤러(2a, 2b, 2c, 2d, 2e)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체(6)로 구성되는 농산물 선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롤러는 5개를 설치하되, 제1스크루롤러(2a)와 제2스크루롤러(2b)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3스크루롤러(2c), 제4스크루롤러(2d), 제5스크루롤러(2e)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각 스크루롤러의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휠(202)에 체인(301)을 엇갈리게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스크루롤러(2a)와 제5스크루롤러(2e)의 지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의 외측면에는 투입부(101)로 투입된 농산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호퍼(7)가 설치되어 제1스크루롤러와 제5스크루롤러가 이동될 때 같이 이동되게 하는 구성의 것을 농산물 선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스크루롤러(2a)와, 제2스크루롤러(2b)를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에 결합된 이송체(6)는 각각 제2회전나사봉(5b)과 제1회전나사봉(5a)의 좌나사(501)부에 나사 결합하고, 제4스크루롤러(2d)와, 제5스크루롤러(2e)를 지지하는 베어링케이스(201)에 결합된 이송체(6)는 각각 제1회전나사봉(5a)과 제2회전나사봉(5b)의 우나사(502)부에 나사 결합하여 제1회전나사봉(5a)과 제2회전나사봉(5b)의 회전에 의해 모든 스크루롤러 간의 간격이 동시에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 장치.
KR1020110067445A 2011-07-06 2011-07-06 농산물 선별 장치 KR101365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45A KR101365839B1 (ko) 2011-07-06 2011-07-06 농산물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45A KR101365839B1 (ko) 2011-07-06 2011-07-06 농산물 선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16A KR20130005816A (ko) 2013-01-16
KR101365839B1 true KR101365839B1 (ko) 2014-02-21

Family

ID=4783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445A KR101365839B1 (ko) 2011-07-06 2011-07-06 농산물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8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80Y1 (ko) * 2014-09-02 2016-04-14 권익삼 벨트형 농산물 선별기
KR102197320B1 (ko) 2020-03-06 2020-12-31 최병훈 롤러 확장형 선별기
KR20210153876A (ko) * 2020-06-11 2021-12-20 최석현 간격 조절형 농수산물 선별기
KR20220153428A (ko) 2021-05-11 2022-11-18 세아그로텍 주식회사 롤러 확장형 선별기
KR102573695B1 (ko) * 2023-03-27 2023-08-31 전종호 봉스크류의 간격 조절이 용이한 과일 선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907B1 (ko) * 2013-01-17 2013-09-06 배효정 농산물 선별장치
KR101429148B1 (ko) * 2013-04-24 2014-08-11 조승제 농산물 선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604Y1 (ko) 1996-02-27 1999-12-15 오준희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JP2002282794A (ja) 2001-03-27 2002-10-02 Maki Mfg Co Ltd 農産物の選別装置
KR20040027720A (ko) * 2004-02-26 2004-04-01 (주) 대동엔지니어링 고추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604Y1 (ko) 1996-02-27 1999-12-15 오준희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JP2002282794A (ja) 2001-03-27 2002-10-02 Maki Mfg Co Ltd 農産物の選別装置
KR20040027720A (ko) * 2004-02-26 2004-04-01 (주) 대동엔지니어링 고추선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80Y1 (ko) * 2014-09-02 2016-04-14 권익삼 벨트형 농산물 선별기
KR102197320B1 (ko) 2020-03-06 2020-12-31 최병훈 롤러 확장형 선별기
KR20210153876A (ko) * 2020-06-11 2021-12-20 최석현 간격 조절형 농수산물 선별기
KR102402880B1 (ko) * 2020-06-11 2022-05-30 최석현 간격 조절형 농수산물 선별기
KR20220153428A (ko) 2021-05-11 2022-11-18 세아그로텍 주식회사 롤러 확장형 선별기
KR102573695B1 (ko) * 2023-03-27 2023-08-31 전종호 봉스크류의 간격 조절이 용이한 과일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16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839B1 (ko) 농산물 선별 장치
US8720695B2 (en) Grader with feed trough
US8720698B2 (en) Seafood grading apparatus
US5740922A (en) Sizing screen with individual row spacing adjustability
CN109047034A (zh) 一种葡萄干颜色大小双标准自动多级分选装置
WO2016162882A1 (en) An intelligent feeding assembly for feeding hard shelled objects by singulation and a method thereof
KR101429148B1 (ko) 농산물 선별 장치
KR20150078718A (ko) 농산물 선별기
CN107873256B (zh) 带式脱粒机
US2335164A (en) Fruit and vegetable sizing machine
KR200480081Y1 (ko) 농산물 선별기
KR101302907B1 (ko) 농산물 선별장치
CN103407773A (zh) 一种根茎类物料单列排序机
KR100639257B1 (ko) 생새우의 선별장치
KR101310712B1 (ko) 다목적 멀티 선별기
CN210663801U (zh) 一种可加快种子烘干的农业设备
CN208661816U (zh) 一种葡萄干颜色大小双标准自动多级分选装置
KR100460538B1 (ko) 농산물 선별기
KR20140019686A (ko) 개별분리 견과류 스낵제조장치
CN207770321U (zh) 一种种子针式分选机
CN208555033U (zh) 一种高效分级净选机
RU159569U1 (ru) Воздушно-решетная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RU2349393C2 (ru) Установка центробежной сортиров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20150085931A (ko) 농산물 선별기용 회전봉의 간격조절장치
CN109290215A (zh) 一种物料顺直装置以及色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