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604Y1 -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604Y1
KR200162604Y1 KR2019960003506U KR19960003506U KR200162604Y1 KR 200162604 Y1 KR200162604 Y1 KR 200162604Y1 KR 2019960003506 U KR2019960003506 U KR 2019960003506U KR 19960003506 U KR19960003506 U KR 19960003506U KR 200162604 Y1 KR200162604 Y1 KR 200162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shaft
sorting
movable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3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106U (ko
Inventor
오준희
Original Assignee
오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희 filed Critical 오준희
Priority to KR2019960003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604Y1/ko
Publication of KR970051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1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6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 선별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과일공급부(1)를 가장 높은 위치에 두고 중간높이에 중간선별부(2)를 설치하고 낮은 위치에 두고 중간높이에 중간선별부(2)를 설치하고 낮은 위치에 최종선별부(3)를 설치하여 단계적으로 과일이 흘러 내리게 한 다음 최종선별부 내에 다수조의 선별로울러(43)(44)를 설치하여 로울러 상호간격이 위가 좁고 아래가 점차 넓어지게 테이퍼형 간격부를 구성하여 간격사이로 과일이 낙하되게 하는 통상의 과일선별기에 있어서, 최종선별부(3)의 상하측 지지틀(31)(32)에 높고 낮게 고정축대(33)(34)를 장치하여 일정간격이 고정축관(35)(36)을 설치하고 상하 고정축관(35)(36) 사이에 선별로울러(44)를 가설하며 고정축대(33)(34) 상부로 이동축대 안내봉(37)(38)을 가설하여 상하측 이동축대 안내봉에 각각 이동축대(39)(40) 안내관(39a)(40a)을 끼워 이동축대(39)(40) 저면으로 이동축관(41)(42)을 부착하여 축공이 고정축관과 같은 높이로 유지하면서 고정축관 사이에 위치하도록하여 상하축관에 선별로울러(43)를 가설케하고 이동축대 상면 일측에 연결관(45)(45a)을 부착하여 지지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나사 구멍(50)(50a)에 나사 끼움된 조정나사봉(48)(48a)의 끝을 연결관으로 관통시켜 돌출부 외면에 와셔(46)(46a)를 끼우고 외측구멍(48b)에 이탈방지핀(47)(47a)을 끼워 이동축대를 가변시킬 수 있게하게 하므로서 선별로울러 간격의 조정이 용이하고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여 실용성과 편리성을 고루 갖춘 과일선별기를 만들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대상인 과일선별기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하측축대의 확대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조정나사봉의 결합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부 1a : 공급공
2 : 중간선별부 3 : 최종선별부
4, 5, 6, 7, 8 : 선별과일 수납통 31, 32 : 지지틀
33, 34 : 고정축대 35, 36 : 고정축관
37, 38 : 이동축대안내봉 39, 40 : 이동축대
39a, 40a : 이동축대안내관 41, 42 : 이동축관
43, 44 : 선별로울러 43a, 43b : 회전축
44a, 44b : 회전축 45, 45a : 연결관
46, 46a : 와셔 47, 47a : 이탈방지핀
48, 48a : 조정나사봉 48b : 구멍
49, 49a : 나사봉손잡이 50, 50a : 고정너트
본 고안은 과일 선별기의 개량에 관한 고안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선별로울러 상호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하여 과일선별 작업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과일선별기는 수조의 과일선별용 로울러를 테이퍼형으로 배치하여 이들을 회전시키면서 상호간격으로 과이를 이송시켜 선별로울러의 간격크기로써 과일의 크기를 선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과일선별기는 선별로울러가 일정각도로 고정되게 장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확하는 과일의 종류에 따라 선별간격을 가변시킬 수가 없어 정밀한 선별작업이 달서되지 못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일 공급부(1)를 가장 높은 위치에 두고 중간높이에 중간선별부(2)를 설치하고 낮은 위치에 최종선별부(3)를 설치하여 단계적으로 과일이 흘러내리게 한 다음 최종선별부(3) 내에 다수조의 선별로울러(43)(44)를 설치하여 로울러 상호간격이 위가 좁고 아래가 점차 넓어지게 테이퍼형 간격부를 형성하여 간격사이로 과일이 낙하되게한 통상의 과일선별기에 있어서, 최종선별부(3)의 상하측 지지틀(31)(32)에 높고 낮게 고정축대(33)(34)를 장치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축관(35)(36)을 설치한 다음 상하 고정축판(35)(36) 사이에 선별로울러(44)의 회전축(44a)(44b)을 끼워 가설하고 고정축대(33)(34) 상부로 이동축대 안내봉(37)(38)을 가설하여 상하측 이동축대안내봉(37)(38)에 각각 이동축대안내관(39a)(40a)을 끼워 지지시키고 이동축대(39)(40) 저면으로 이동축관(41)(42)을 부착하여 축공이 고정축관(35)(36)과 같은 높이로 유지하면서 고정축관(35)(36)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선별로울러(43)를 가설케하고 이동축대(39)(40) 상면 일측에 연결관(45)(45a)을 부착하여 지지틀(31)(3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너트(50)(50a)에 나사 끼움된 조정나사봉(48)(48a)의 끝을 연결관(45)(45a)에 관통시켜 돌출부 외면에는 와셔(46)(46a)를 끼우고 외측 구멍(48b)에 이탈방지핀(47)(47a)을 끼우며 상하축 이동축관(41)(42) 사이에 이동형 선별로울러(43) 회전축(43a)(43b)를 가설하여서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지지틀(31)(32)의 고정너트(50)(50a)에 나사끼움된 조정나사봉(48)(48a)을 회전시켜 이동축대(39)(40)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축대(33)(34)상의 고정축관(35)(36)에 위치가 고정되어 회전하는 선별로울러(44)와 그 양측으로 가설된 이도형 선별로울러(43)의 위치를 가변시켜 선별로울러(43)(44) 상호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과일의 최소규격과 최대규격의 차이에 따라 가장 알맞는 방법으로 과일선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은 물론 이동축대(39)(40)의 이동거리를 마음대로 할수 있어 조정하기가 쉬우며 이동축대(39)(40)의 이동축관(41)(42)에 지구베어링을 넣고 회전축(43a)(43b)을 관통시키기 때문에 이동축대(39)(40)의 위치가 가변되어도 이동축관(41)(42)에 접속된 회전축(43a)(43b)의 회전에 하등의 장애가 유발되지 않으므로 실용성과 편리성을 고루 갖춘 과일선별기를 만들수 있으며 이동축대(39)(40)는 안내봉(37)(38)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이동축관(41)(42)의 높이가 변동되지 않도록 되어서 선별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되는 이점을 얻는 것이다.

Claims (1)

  1. 과일 공급부(1)를 가장 높은 위치에 두고 중간높이에 중간선별부(2)를 설치하고 낮은 위치에 최종선별부(3)를 설치하여 단계적으로 과일이 흘러내리게 한 다음 최종선별부(3) 내에 다수조의 선별로울러(43)(44)를 설치하여 로울러 상호간격이 위가 좁고 아래가 점차 넓어지게 테이퍼형 간격부를 형성하여 간격사이로 과일이 낙하되게한 통상의 과일선별기에 있어서, 최종선별부(3)의 상하측 지지틀(31)(32)에 높고 낮게 고정축대(33)(34)를 장치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축관(35)(36)을 설치하고 고정축관(35)(36) 사이에 선별로울러(44)를 가설하며 고정축대(33)(34) 상부로 이동축대 안내봉(37)(38)을 가설하여 상하측 이동축대안내봉(37)(38)에 각각 이동축대안내관(39a)(40a)을 끼워 지지시키고 이동축대(39)(40) 저면으로 이동축관(41)(42)을 부착하여 축공이 고정축관(35)(36)과 같은 높이로 유지하면서 고정축관(35)(36)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선별로울러(43)를 가설케하고 이동축대(39)(40) 상면 일측에 연결관(45)(45a)을 부착하여 지지틀(31)(3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너트(50)(50a)에 나사 끼움된 조정나사봉(48)(48a)의 끝을 연결관(45)(45a)에 관통시켜 돌출부 외면에는 와셔(46)(46a)를 끼우고 외측 구멍(48b)에 이탈방지핀(47)(47a)을 끼워 이동축대(39)(40)를 가변시킬 수 있게한 과일 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 조절장치.
KR2019960003506U 1996-02-27 1996-02-27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KR200162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506U KR200162604Y1 (ko) 1996-02-27 1996-02-27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506U KR200162604Y1 (ko) 1996-02-27 1996-02-27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106U KR970051106U (ko) 1997-09-08
KR200162604Y1 true KR200162604Y1 (ko) 1999-12-15

Family

ID=1945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3506U KR200162604Y1 (ko) 1996-02-27 1996-02-27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60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482B1 (ko) * 2012-03-15 2013-06-17 조승제 농산물 선별장치
KR101365839B1 (ko) 2011-07-06 2014-02-21 조승제 농산물 선별 장치
KR20160034089A (ko) 2014-09-19 2016-03-29 최락경 과일 선별기의 이송벨트 간격 조절장치
CN107042205A (zh) * 2016-02-05 2017-08-15 权益三 农产品筛选机
CN111389731A (zh) * 2020-03-24 2020-07-10 北京享云智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筛选不同尺寸耐磨钢球的装置
KR20210153876A (ko) 2020-06-11 2021-12-20 최석현 간격 조절형 농수산물 선별기
KR20220104366A (ko) 2021-01-18 2022-07-26 민은아 소형 과실 선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077B1 (ko) * 2006-01-06 2006-11-13 김윤호 회전롤러 선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839B1 (ko) 2011-07-06 2014-02-21 조승제 농산물 선별 장치
KR101275482B1 (ko) * 2012-03-15 2013-06-17 조승제 농산물 선별장치
KR20160034089A (ko) 2014-09-19 2016-03-29 최락경 과일 선별기의 이송벨트 간격 조절장치
CN107042205A (zh) * 2016-02-05 2017-08-15 权益三 农产品筛选机
CN111389731A (zh) * 2020-03-24 2020-07-10 北京享云智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筛选不同尺寸耐磨钢球的装置
CN111389731B (zh) * 2020-03-24 2021-11-30 钢诺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筛选不同尺寸耐磨钢球的装置
KR20210153876A (ko) 2020-06-11 2021-12-20 최석현 간격 조절형 농수산물 선별기
KR20220104366A (ko) 2021-01-18 2022-07-26 민은아 소형 과실 선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106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2604Y1 (ko)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CN207136657U (zh) 一种可调节角度的支撑装置
CN211622727U (zh) 一种建筑智能化组合安装架
CN211569222U (zh) 一种用于土壤修复的结构可调式输送机构
CN208887804U (zh) 一种压力筛传动部轴承温升检测装置
CN207142175U (zh) 一种皮带自动纠偏装置
CN207304790U (zh) 便于安装的机顶盒安装机构
CN219627207U (zh) 一种便于组装的变电检修支架
CN218292894U (zh) 一种建筑工程用防护网
KR870002788Y1 (ko) 곡물분쇄기의 로울러 간격조절장치
CN208375960U (zh) 一种管道生产用的托料机构
CN214892628U (zh) 便于拆装的分解炉用三次风管
CN216612669U (zh) 一种防止皮带跑偏的装置
CN216949642U (zh) 一种建筑设计用钢结构加固装置
CN210978740U (zh) 一种可调节高度的管道支架
CN208854735U (zh) 一种用于四柱平面裁断机的调节机构
CN219181619U (zh) 一种直播设备
CN219569794U (zh) 一种用于装配式可调节式围挡装置
CN108190416A (zh) 一种缸体物流传送料道
JPS5914411Y2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CN219221500U (zh) 一种机电安装管线快速安装防松脱装置
CN214191993U (zh) 一种化工纤维送料机安装调节装置
CN110192482B (zh) 组装式苗木防寒装置
CN219931216U (zh) 一种可调节式桁架结构
CN207179096U (zh) 一种可拼接的嵌入式计算机用减震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