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366A - 소형 과실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과실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366A
KR20220104366A KR1020210006529A KR20210006529A KR20220104366A KR 20220104366 A KR20220104366 A KR 20220104366A KR 1020210006529 A KR1020210006529 A KR 1020210006529A KR 20210006529 A KR20210006529 A KR 20210006529A KR 20220104366 A KR20220104366 A KR 20220104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mall
pair
unit
fru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200B1 (ko
Inventor
민은아
Original Assignee
민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은아 filed Critical 민은아
Priority to KR102021000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2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2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swinging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5Apparatus comprising moving article - receiving openings, the size of which varies as they m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탱크(112)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소형과실을 이송하는 다수의 회전브러쉬(113)와, 공급탱크(112)의 전단에 형성되어 병렬로 형성된 이송로(115a)를 통해 회전브러쉬(113)를 통과한 소형과일을 정렬하여 이송하는 공급가이드(115)로 구성되는, 소형과실 공급부(110), 상단프레임(121)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가이드홈(122a)이 형성된 한 쌍의 간격조절블록(122)과, 이송로(115a)의 개수에 상응하여 다수 세트로 형성되어 소형과실 종류별 크기에 따라 한 쌍의 환봉(123a)에서의 전단의 간격 및 후단의 간격을 조절하고, 후단의 간격이 전단의 간격보다 크도록 하는, 선별가이드봉(123)과, 상단프레임(121)에 소형과실의 선별크기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선별홀(124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이송판(124)으로 구성되는, 선별부(120), 선별홀(124a)에 상응하여 격벽(131) 하단에 형성되어 낙하한 소형과실을 각 선별크기별로 수납하는 과일박스(132)로 구성되는, 선별수납부(130), 및 선별부(120) 및 선별수납부(130)를 소형과실의 이송방향의 전후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40)를 포함하여, 소형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소형 과실 선별 장치{APPARATUS FOR SORTING SMALL SIZE FRUIT}
본 발명은 소형과실의 이송과 세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소형과실 종류별로 선별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해 소형과실 크기별로 원활하게 선별할 수 있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 선별기는 사과, 배, 귤 등과 같은 과일이나, 감자, 양파, 고구마, 마늘 등과 같은 구근류 등 각종 선별대상물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자동으로 분류한다.
이와 관련된 제1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2604호의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나사봉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선별로울러 사이의 간격을 미세조정하여 과일선별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제2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897호의 나선회전축을 이용한 자동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두 개의 나선회전축에 형성된 나선홈에 의해 다수개의 선별봉을 수평이동시킴으로써 공급용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과일을 크기별로 선별을 하도록 한다.
하지만, 제1선행기술에서는, 선별로울러의 간격 조절만으로는 대추, 앵두, 호두 등과 같은 소형과실을 선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껍질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선별과일 수납통으로 같이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제2선행기술에서는, 다수개의 선별봉의 수평이동을 통한 간격 조절을 통해 과일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지만 껍질에 묻어있는 이물질의 제거에 한계가 있다.
이에, 소형과실의 이송과 세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소형과실 종류별로 선별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소형과실 크기별로 보다 원활하게 선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제1선행기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2604호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1999.12.15) (제2선행기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897호 (나선회전축을 이용한 자동 선별기, 2016.09.07)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형과실의 이송과 세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소형과실 종류별로 선별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해 소형과실 크기별로 원활하게 선별할 수 있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소형과실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소형과실을 수용하는 공급탱크와, 상기 공급탱크의 내측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소형과실을 이송하는 다수의 회전브러쉬와, 상기 회전브러쉬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공급탱크의 전단에 형성되어 병렬로 형성된 이송홈을 통해 상기 회전브러쉬를 통과한 소형과일을 정렬하여 이송하는 공급가이드로 구성되는, 소형과실 공급부; 상기 공급가이드로부터 아래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 상단프레임과, 상기 상단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간격조절블록과, 상기 간격조절블록 상단에 마주보고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환봉으로 그룹핑되고, 상기 이송홈의 개수에 상응하여 다수 세트로 형성되어 소형과실 종류별 크기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환봉에서의 전단의 간격 및 후단의 간격을 조절하고, 후단의 간격이 전단의 간격보다 크도록 하는, 선별가이드봉과, 상기 한 쌍의 환봉 사이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상단프레임에 소형과실의 선별크기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선별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이송판으로 구성되는, 선별부; 상기 상단프레임의 각 선별홀 별로 하단에 형성되어 선별크기별로 낙하한 소형과실의 크기별 섞임을 차단하는 다수의 격벽과, 상기 선별홀에 상응하여 상기 격벽 하단에 형성되어 낙하한 소형과실을 각 선별크기별로 수납하는 과일박스로 구성되는, 선별수납부; 및 상기 선별수납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부 및 상기 선별수납부를 소형과실의 이송방향의 전후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일측이 상기 선별수납부의 저면에 대향하여 결합된 한 쌍의 판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의 타측에 결합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의 내측공간에서 상기 선별수납부의 저면에 고정된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에 대향하여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의 내측공간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의 특정 주파수의 주기적 구동에 의한 자극변화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과의 척력 및 인력에 의해 상기 선별부를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는, 일측이 상기 선별수납부의 저면에 대향하여 결합된 한 쌍의 판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의 타측에 결합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일측은 상기 편심캠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선별부의 이송판의 측면에 고정되는 진동 전달구로 구성되어, 상기 편심캠의 편심회전을 통해 상기 선별부로 특정 주기의 진동을 제공하여 상기 선별부를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선별수납부의 저면에 고정된 상단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하단 고정프레임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상단 고정프레임과 상기 하단 고정프레임은 상호 엇갈려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은 비스듬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의 구동모터와 상기 소형과실 공급부의 구동모터는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탱크의 이송홈은 상기 공급가이드의 각 이송로와 정렬되어 소형과실이 상기 회전브러쉬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는 V자 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블록의 가이드홈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한 쌍의 환봉 사이의 간격을 일정범위 내에서 조절하도록 종방향으로 고정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환봉이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환봉을 관통하는 나비볼트를 상기 고정홈을 관통하여 체결하여 상기 간격조절블록에 상기 한 쌍의 환봉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환봉 사이의 간격 조절시에, 전단 및 후단에 소형과실별로 각각 상이한 폭을 갖는 간격세팅용지그를 상기 한 쌍의 환봉 사이에 인입시켜 전단 및 후단의 선별간격을 각각 조절하고, 전단에 인입되는 제1 간격세팅용지그의 폭은 후단에 인입되는 제2 간격세팅용지그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홀은 타원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브러쉬는 상기 이송홈을 따라 맞닿아 병렬로 다수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방진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브러쉬는 회전축과 솔로 구성되고, 회전축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하거나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가이드에는 상기 공급탱크의 이송홈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과실의 이송과 세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소형과실 종류별로 선별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해 소형과실 크기별로 원활하게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형 과실 선별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형 과실 선별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소형 과실 선별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소형 과실 선별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형 과실 선별 장치는, 소형과실이 투입되는 투입구(111)와, 투입구(111)로부터 투입된 소형과실을 수용하는 공급탱크(112)와, 공급탱크(112)의 내측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소형과실을 이송하는 다수의 회전브러쉬(113)와, 회전브러쉬(113)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4)와, 공급탱크(112)의 전단에 형성되어 병렬로 형성된 이송로(115a)를 통해 회전브러쉬(113)를 통과한 소형과일을 정렬하여 이송하는 공급가이드(115)로 구성되는, 소형과실 공급부(110), 공급가이드(115)로부터 아래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 상단프레임(121)과, 상단프레임(121)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가이드홈(122a)이 형성된 한 쌍의 간격조절블록(122)과, 간격조절블록(122) 상단에 마주보고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환봉(123a)으로 그룹핑되고, 이송로(115a)의 개수에 상응하여 다수 세트로 형성되어 소형과실 종류별 크기에 따라 한 쌍의 환봉(123a)에서의 전단의 간격 및 후단의 간격을 조절하고, 후단의 간격이 전단의 간격보다 크도록 하는, 선별가이드봉(123)과, 한 쌍의 환봉(123a) 사이 공간에 해당하는 상단프레임(121)에 소형과실의 선별크기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선별홀(124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이송판(124)으로 구성되는, 선별부(120), 상단프레임(121)의 각 선별홀(124a) 별로 하단에 형성되어 선별크기별로 낙하한 소형과실의 크기별 섞임을 차단하는 다수의 격벽(131)과, 선별홀(124a)에 상응하여 격벽(131) 하단에 형성되어 낙하한 소형과실을 각 선별크기별로 수납하는 과일박스(132)로 구성되는, 선별수납부(130), 및 선별수납부(1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선별부(120) 및 선별수납부(130)를 소형과실의 이송방향의 전후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40)를 포함하여, 소형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소형 과실 선별 장치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형과실 공급부(110)는 대추, 앵두, 호두 등과 같은 소형과실이 투입되어 다수의 회전브러쉬(113)의 회전에 의해 소형과실 껍질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선별부(120)로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소형과실 공급부(110)는, 소형과실이 낙하되어 투입되는 개방된 투입구(111)와, 투입구(111)로부터 투입된 소형과실을 수용하는 공급탱크(112)와, 공급탱크(112)의 내측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소형과실을 이송하면서 소형과실을 세척하는 다수의 회전브러쉬(113)와, 회전브러쉬(113)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4)와, 공급탱크(112)의 전단에 형성되어 병렬로 형성된 공급탱크(112)의 이송홈(112a)을 통해 회전브러쉬(113)를 통과한 소형과일을 정렬하여 선별부(120)로 이송하는 공급가이드(115)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급탱크(112)의 이송홈(112a)은, 공급가이드(115)의 각 이송로(115a)와 1:1로 대응하여 정렬되고, 이송홈(112a) 및 이송로(115a)는 소형과실이 회전브러쉬(113)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는 V자 골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소형과실과 이송홈(112a) 및 이송로(115a)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소형과실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브러쉬(113)는 병렬로 연장 형성된 이송홈(112a)을 따라 맞닿아 병렬로 다수 배열되고, 연동된 회전에 의해 소형과실을 이송홈(112a)으로부터 공급가이드(115)의 이송로(115a)로 일렬로 이송하면서 소형과실 껍질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브러쉬(113)는 회전축과 솔로 구성되고, 회전축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하거나 세척수를 분사하여서, 소형과실의 세척력을 보다 높이도록 할 수도 있고, 공급가이드(115)에는 공급탱크(112)의 이송홈(112a)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가 형성되어서 공급가이드(115)로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선별부(12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선별부(120)는 일렬로 형성된 상이한 크기의 선별홀(124a)을 통해 소형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선별수납부(130)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선별부(120)는, 공급가이드(115)로부터 아래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 상단프레임(121)과, 상단프레임(121)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가이드홈(122a)이 형성된 한 쌍의 간격조절블록(122)과, 간격조절블록(122) 상단에 마주보고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테프론코팅된 환봉(123a)으로 그룹핑되고, 이송로(115a)의 개수에 상응하여 다수 세트로 형성되어 소형과실 종류별 크기에 따라 한 쌍의 환봉(123a)에서의 전단의 간격 및 후단의 간격을 조절하고, 후단의 간격이 전단의 간격보다 크도록 하는, 선별가이드봉(123)과, 한 쌍의 환봉(123a) 사이 공간에 해당하는 상단프레임(121)에 소형과실의 선별크기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선별홀(124a)이 선별가이드봉(123)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이송판(12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단프레임(121)은 아래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소형과실의 자중에 의해 선별가이드봉(123)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간격조절블록(122)은 상단프레임(121)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되어 선별가이드봉(123)을 지지하고, 한 쌍의 환봉(123a)의 전단 및 후단의 간격을 상이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즉, 간격조절블록(122)의 가이드홈(122a)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홈(122a)에는 한 쌍의 환봉(123a) 사이의 간격을 일정범위 내에서 조절하도록 종방향으로 고정홈(122b)이 관통 형성되고, 환봉(123a)이 가이드홈(122a)에 안착된 상태에서 환봉(123a)을 관통하는 나비볼트(122c)를 고정홈(122b)을 관통하여 볼트(122d)와 체결하여 간격조절블록(122)에 한 쌍의 환봉(123a)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홈(112b)은 종방향으로 나비볼트(122c)의 직경보다 여유있게 관통 형성되어 간격조절블록(122)을 따라 좌우로 한 쌍의 환봉(123a) 사이의 간격을 일정범위 내에서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한 쌍의 환봉(123a)은 공급가이드(115)의 이송로(115a)와 동일 선상에서 소형과실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한 쌍의 환봉(123a) 사이의 간격은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환봉(123a) 사이의 간격 조절시에, 전단 및 후단에 소형과실별로 각각 상이한 폭을 갖는 간격세팅용지그를 한 쌍의 환봉(123a) 사이에 인입시켜 전단 및 후단의 선별간격을 각각 조절하고, 전단에 인입되는 제1 간격세팅용지그(125a)의 폭은 후단에 인입되는 제2 간격세팅용지그(125b)의 폭보다 작도록 하여 한 쌍의 환봉(123a)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크기가 큰 소형과실이 안내되어 작은 크기의 소형과실로부터 큰 크기의 소형과실이 선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간격세팅용지그(125a)와 제2 간격세팅용지그(125b)는 간격조절블록(122)에 돌출 형성된 상하 한 쌍의 지그가이드핀(122e)에 의해 고정되어 한 쌍의 환봉(123a)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고, 간격 조절 후에는 제거된다.
또한, 선별홀(124a)은 한 쌍의 환봉(123a)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크기가 큰 타원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작은 크기의 소형과실로부터 큰 크기의 소형과실이 통과하여 선별되도록 한다.
다음, 선별수납부(130)는, 상단프레임(121)의 각 선별홀(124a) 별로 하단에 형성되어 소형과실의 선별크기별로 낙하한 소형과실의 크기별 섞임을 차단하는 다수의 격벽(131)과, 선별홀(124a)에 상응하여 격벽(131) 하단에 형성되어 낙하한 소형과실을 각 선별크기별로 수납하는 과일박스(132)로 구성된다.
다음, 진동발생부(140)는 선별수납부(1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선별부(120) 및 선별수납부(130)를 소형과실의 이송방향의 전후로 진동을 발생시켜서, 소형과실의 이송방향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진동을 전달하여 하나 이상의 소형과실이 선별홀(124a)에 끼이지 않고 선별크기별로 이송되어 선별홀(124a)에 의해 크기별로 원활하게 선별되도록 하고, 소형과실이 과일박스(132)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서, 도 1을 참고하면, 진동발생부(140)는, 일측이 선별수납부(130)의 저면에 대향하여 결합된 한 쌍의 판스프링(141)과, 한 쌍의 판스프링(141)의 타측에 결합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42)와, 한 쌍의 판스프링(141)의 내측공간에서 선별수납부(130)의 저면에 고정된 영구자석(143)과, 영구자석(143)에 대향하여 한 쌍의 판스프링(141)의 내측공간에서 베이스(142)의 상면에 고정된 전자석(144)으로 구성되어, 전자석(144)의 특정 주파수, 예컨대 60Hz의 주기적 구동에 의한 자극변화에 의해 영구자석(143)과의 척력 및 인력에 의해 선별부(120)와 선별수납부(130)를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2를 참고하면, 진동발생부(140)는, 편심캠(145)과, 편심캠(145)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4)와, 일측은 편심캠(145)에 접하고 타측은 선별부(120)의 이송판(124)의 측면에 고정되는 진동 전달구(146)로 구성되어, 편심캠(145)의 편심회전을 통해 선별부(120)와 선별수납부(130)로 특정 주기, 예컨대 60Hz의의 진동을 제공하여 선별부(120)와 선별수납부(130)를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한편, 판스프링(141)은 선별수납부(130)의 저면에 고정된 상단 고정프레임(141a)과 베이스(142)의 상면에 고정된 하단 고정프레임(141b) 사이에 결합되어 전후 진동을 흡수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단 고정프레임(141a)과 하단 고정프레임(141b)은 상호 엇갈려 형성되어, 선별부(120)와 선별수납부(130)의 자중에 의해 전자석(144)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거나, 편심캠(145)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도록 판스프링(141)은 상단 고정프레임(141a)과 하단 고정프레임(141b)에 비스듬하게 결합되어서, 전자석(144) 또는 편심캠(145)은 스토퍼 역할을 하면서 선별부(120)와 선별수납부(130)가 소형과실의 이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발생부(140)의 구동모터(114)와 소형과실 공급부(110)의 구동모터(114)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소형과실의 이송과 진동발생을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42)의 저면에는 방진구(142a)가 결합되어서, 진동을 완화시키고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소형 과실 선별 장치의 구성에 의해서, 소형과실의 이송과 세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소형과실 종류별로 선별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해 소형과실 크기별로 원활하게 선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소형과실 공급부 111 : 투입구
112 : 공급탱크 113 : 회전브러쉬
114 : 구동모터 115 : 공급가이드
120 : 선별부 121 : 상단프레임
122 : 간격조절블록 123 : 선별가이드봉
124 : 이송판 125a,b : 제1 및 제2 간격세팅용지그
130 : 선별수납부 131 : 격벽
132 : 과일박스 140 : 진동발생부
141 : 판스프링 142 : 베이스
143 : 영구자석 144 : 전자석
145 : 편심캠 146 : 진동 전달구

Claims (13)

  1. 소형과실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소형과실을 수용하는 공급탱크와, 상기 공급탱크의 내측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소형과실을 이송하는 다수의 회전브러쉬와, 상기 회전브러쉬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공급탱크의 전단에 형성되어 병렬로 형성된 이송홈을 통해 상기 회전브러쉬를 통과한 소형과일을 정렬하여 이송하는 공급가이드로 구성되는, 소형과실 공급부;
    상기 공급가이드로부터 아래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 상단프레임과, 상기 상단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간격조절블록과, 상기 간격조절블록 상단에 마주보고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환봉으로 그룹핑되고, 상기 이송홈의 개수에 상응하여 다수 세트로 형성되어 소형과실 종류별 크기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환봉에서의 전단의 간격 및 후단의 간격을 조절하고, 후단의 간격이 전단의 간격보다 크도록 하는, 선별가이드봉과, 상기 한 쌍의 환봉 사이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상단프레임에 소형과실의 선별크기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선별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이송판으로 구성되는, 선별부;
    상기 상단프레임의 각 선별홀 별로 하단에 형성되어 선별크기별로 낙하한 소형과실의 크기별 섞임을 차단하는 다수의 격벽과, 상기 선별홀에 상응하여 상기 격벽 하단에 형성되어 낙하한 소형과실을 각 선별크기별로 수납하는 과일박스로 구성되는, 선별수납부; 및
    상기 선별수납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부 및 상기 선별수납부를 소형과실의 이송방향의 전후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일측이 상기 선별수납부의 저면에 대향하여 결합된 한 쌍의 판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의 타측에 결합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의 내측공간에서 상기 선별수납부의 저면에 고정된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에 대향하여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의 내측공간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의 특정 주파수의 주기적 구동에 의한 자극변화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과의 척력 및 인력에 의해 상기 선별부를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일측이 상기 선별수납부의 저면에 대향하여 결합된 한 쌍의 판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의 타측에 결합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일측은 상기 편심캠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선별부의 이송판의 측면에 고정되는 진동 전달구로 구성되어, 상기 편심캠의 편심회전을 통해 상기 선별부로 특정 주기의 진동을 제공하여 상기 선별부를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선별수납부의 저면에 고정된 상단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하단 고정프레임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상단 고정프레임과 상기 하단 고정프레임은 상호 엇갈려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은 비스듬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구동모터와 상기 소형과실 공급부의 구동모터는 동일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탱크의 이송홈은 상기 공급가이드의 각 이송로와 정렬되어 소형과실이 상기 회전브러쉬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는 V자 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블록의 가이드홈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한 쌍의 환봉 사이의 간격을 일정범위 내에서 조절하도록 종방향으로 고정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환봉이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환봉을 관통하는 나비볼트를 상기 고정홈을 관통하여 체결하여 상기 간격조절블록에 상기 한 쌍의 환봉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환봉 사이의 간격 조절시에, 전단 및 후단에 소형과실별로 각각 상이한 폭을 갖는 간격세팅용지그를 상기 한 쌍의 환봉 사이에 인입시켜 전단 및 후단의 선별간격을 각각 조절하고, 전단에 인입되는 제1 간격세팅용지그의 폭은 후단에 인입되는 제2 간격세팅용지그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홀은 타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10. 제1항이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쉬는 상기 이송홈을 따라 맞닿아 병렬로 다수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방진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쉬는 회전축과 솔로 구성되고, 회전축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하거나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에는 상기 공급탱크의 이송홈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과실 선별 장치.
KR1020210006529A 2021-01-18 2021-01-18 소형 과실 선별 장치 KR102547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29A KR102547200B1 (ko) 2021-01-18 2021-01-18 소형 과실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29A KR102547200B1 (ko) 2021-01-18 2021-01-18 소형 과실 선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66A true KR20220104366A (ko) 2022-07-26
KR102547200B1 KR102547200B1 (ko) 2023-06-22

Family

ID=8260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529A KR102547200B1 (ko) 2021-01-18 2021-01-18 소형 과실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2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629A (ja) * 1995-03-24 1996-10-08 Okidate Tekko Kk 貝の選別機
KR100230499B1 (ko) * 1990-11-05 1999-11-15 이노마다 시게오 진동 체(篩)장치
KR200162604Y1 (ko) 1996-02-27 1999-12-15 오준희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KR20140036867A (ko) * 2012-09-18 2014-03-26 신경출 마늘 선별장치
KR101654897B1 (ko) 2014-09-30 2016-09-07 주식회사 에스에이코리아 나선회전축을 이용한 자동 선별기
KR20200043577A (ko) * 2018-10-17 2020-04-28 임형용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499B1 (ko) * 1990-11-05 1999-11-15 이노마다 시게오 진동 체(篩)장치
JPH08256629A (ja) * 1995-03-24 1996-10-08 Okidate Tekko Kk 貝の選別機
KR200162604Y1 (ko) 1996-02-27 1999-12-15 오준희 과일선별기의 선별로울러 간격조절장치
KR20140036867A (ko) * 2012-09-18 2014-03-26 신경출 마늘 선별장치
KR101654897B1 (ko) 2014-09-30 2016-09-07 주식회사 에스에이코리아 나선회전축을 이용한 자동 선별기
KR20200043577A (ko) * 2018-10-17 2020-04-28 임형용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200B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970B1 (ko) 어류 선별기
KR20200076166A (ko) 선별기
US3348680A (en) Segregation apparatus and method
JPH07328546A (ja) 大きさ選別機
KR101844416B1 (ko) 패류 선별기
KR20120083253A (ko) 농산물 선별기
JP2020028820A (ja) 養殖貝の選別装置 以上
KR20130057565A (ko) 크기별 조개선별장치
KR20150085933A (ko) 농산물 선별기
KR20220104366A (ko) 소형 과실 선별 장치
KR101046574B1 (ko) 발리스틱 선별유닛,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비중 선별장치
KR20120100854A (ko)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JP7199092B2 (ja) 貝類取出し装置
JP5009578B2 (ja) 選別装置
KR100465405B1 (ko) 측방향으로 진동하는 로라선별기
KR20010073876A (ko) 건조세척부가 구비된 구형농산물 선별기
CN207126806U (zh) 一种饲料加工用振动筛
JP2002193425A (ja) 農作物搬送装置および農作業機
JPS6124073B2 (ko)
KR20040027828A (ko) 선별기
KR200493647Y1 (ko) 마늘 선별기용 부착장치.
US2376128A (en) Pocket trommel
KR100465404B1 (ko) 로라선별기
JPS5842065Y2 (ja) 果物等の選別装置
CN218013951U (zh) 一种自动分拣的兰花基质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