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416B1 - 패류 선별기 - Google Patents

패류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416B1
KR101844416B1 KR1020170028472A KR20170028472A KR101844416B1 KR 101844416 B1 KR101844416 B1 KR 101844416B1 KR 1020170028472 A KR1020170028472 A KR 1020170028472A KR 20170028472 A KR20170028472 A KR 20170028472A KR 101844416 B1 KR101844416 B1 KR 101844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le
rotary part
shellfish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수
Original Assignee
박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수 filed Critical 박동수
Priority to KR1020170028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6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in more than on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막이나 바지락 등과 같은 패류를 이송하여 일정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스크린에 진동을 가하여 동일한 규격의 패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패류 선별기를 제공한다. 특히, 선별스크린을 2단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1차적으로 제1선별스크린을 통해 패류가 선별되고, 제1선별스크린을 통과한 패류는 제2선별스크린에 의해 선별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각틀 형상의 안치프레임(21)을 갖고, 상기 안치프레임(21)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ㅁ'자 형상의 지지프레임(22)이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중간에 형성되는 지지바(23)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22) 사이에 위치되고, 치패를 크기에 따라 선별할 수 있도록 타공(31)이 형성된 선별스크린(30)과; 구동모터(4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스프로킷(42)을 갖고, 상기 제1스프로킷(42)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스프로킷(42)과 체인(43)을 통해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44)을 갖는 구동부(4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별스크린(30)을 전후 사선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회동부(50)와; 일측이 상기 구동부(40)의 제2스프로킷(44)의 중심측에서 편심되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부(50)와 체결되는 연결바(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패류 선별기{SORTING DEVICE OF SHELLFISH}
본 발명은 패류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꼬막이나 바지락 등과 같은 패류를 이송하여 일정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스크린에 진동을 가하여 동일한 규격의 패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패류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채취한 꼬막이나 바지락 등과 같은 패류는 크기에 따라 상품성에 차이가 있어 크기별로 선별하여야 하고, 또 폐사하거나 일정 크기 이하의 패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선별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채취된 다량의 패류를 일정크기 별로 선별하는 장치나 시스템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채취된 꼬막 선별 방법은 수작업에 의하거나 단순히 일정크기의 메시(MASH)를 갖는 도구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꼬막만을 선별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다량의 패류를 선별하려면 많은 시간과 인력을 낭비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산지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특히 상기와 같이 수작업에 의한 선별은 정확한 선별이 불가능하여 패류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속이 비어있는 패류가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꼬막이나 바지락 등과 같은 패류를 선별하는 선별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패류 선별기에서는 외부 표면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하부 양단이 개구된 분류통(120); 분류통(120) 상단 입구는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갖는 폐쇄된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분류통(120) 내부에는 사육수를 분사하는 분사관이 형성되며, 상기 분류통(120)을 지지하는 다면체의 본체프레임(210); 본체프레임(210)의 양측에는 "Π"모양의 측면프레임(21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분류통(120)을 고정하고, 분류통(120)의 회전반경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롤러가 측면프레임(211)에 형성되며, 분류통(120) 입구부와 맞물려 분류통(120)을 회전시키는 기어(230); 상기 기어(230)를 회전시키는 모터(310); 상기 모터(3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패류 선별기는 단순히 분류통을 회전시켜 패류를 선별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치패를 효과적으로 선별하지 못하고, 2차 또는 3차의 작업을 통해 치패를 선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53976호 "패류 종패 선별기"(2015년 09월 11일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꼬막이나 바지락 등과 같은 패류를 이송하여 일정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스크린에 진동을 가하여 동일한 규격의 패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패류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특히, 선별스크린을 2단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1차적으로 제1선별스크린을 통해 패류가 선별되고, 제1선별스크린을 통과한 패류는 제2선별스크린에 의해 선별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새로운 형태의 패류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사각틀 형상의 안치프레임(21)을 갖고, 상기 안치프레임(21)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ㅁ'자 형상의 지지프레임(22)이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중간에 형성되는 지지바(23)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22) 사이에 위치되고, 치패를 크기에 따라 선별할 수 있도록 타공(31)이 형성된 선별스크린(30)과; 구동모터(4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스프로킷(42)을 갖고, 상기 제1스프로킷(42)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스프로킷(42)과 체인(43)을 통해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44)을 갖는 구동부(4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별스크린(30)을 전후 사선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회동부(50)와; 일측이 상기 구동부(40)의 제2스프로킷(44)의 중심측에서 편심되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부(50)와 체결되는 연결바(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기에서 상기 선별스크린(3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타공(3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패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34)가 형성되되, 상기 선별스크린(30)은 상하로 이격되어 제1선별스크린(32)과 제2선별스크린(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기에서 상기 회동부(50)는 상부에 중심축(51)이 삽입되도록 삽입공((52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3)에 고정되는 제1고정구(52)와; 중심측에 상기 제1고정구(52)의 삽입공(521)에 삽입되는 중심축(51)이 삽입되도록 중심홀(531)을 갖고, 상기 중심홀(53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60)의 타측과 체결되는 제1체결홀(532)을 가지며, 상기 제1체결홀(532)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홀(533)을 갖고, 상기 제2체결홀(533)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3체결홀(534)을 갖는 회동구(53)와; 상기 제1고정구(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선별스크린(32)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구(53)의 제2체결홀(533)과 체결되는 제2고정구(54)와; 상기 제1고정구(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선별스크린(33)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구(53)의 제3체결홀(534)과 체결되는 제3고정구(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기에서 상기 회동부(50)는 상기 연결바(60)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1회동부(50a)와, 상기 제1회동부(50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3) 상에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회동부(5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기에서 상기 연결바(60)는 일측이 상기 구동부(40)의 제2스프로킷(44)에 편심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회동부(50a)의 제1체결홀(532)과 체결되는 제1연결바(60a)와, 상기 제1회동부(50a)와 제2회동부(50b)의 제1체결홀(532) 및 제3체결홀(534)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바(60b) 및 제3연결바(6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기에 의하면, 꼬막이나 바지락 등과 같은 패류를 이송하여 일정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스크린에 진동을 가하여 동일한 규격의 패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선별스크린을 2단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1차적으로 제1선별스크린을 통해 패류가 선별되고, 제1선별스크린을 통과한 패류는 제2선별스크린에 의해 선별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 선별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 선별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 선별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 선별기에서 회동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 선별기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a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a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 선별기(10)는 베이스 프레임(20), 선별스크린(30), 구동부(40), 회동부(50), 연결바(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 프레임(20)은 지면에 안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안치프레임(21)을 갖고, 안치프레임(21)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ㅁ'자 형상의 지지프레임(22)을 가지며, 지지프레임(22)의 중간에 지지바(23)가 형성되어 진다. 한편, 안치프레임(21)의 하부에는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받침구(24)가 설치되어 진다.
선별스크린(30)은 치패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22) 사이에 위치되어 진다.
선별스크린(3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닥면에는 치패를 크기에 따라 선별할 수 있도록 타공(3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타공(31)을 통해 선별된 치패를 제외한 패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34)가 형성되어 진다.
한편, 선별스크린(30)은 상하로 이격되어 제1선별스크린(32) 및 제2선별스크린(33)으로 구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선별스크린(30)을 상하로 이격되도록 제1선별스크린(32)과 제2선별스크린(33)으로 구성함으로써 1차적으로 제1선별스크린(32)에서 치패를 선별하고, 제1선별스크린(32)에서 선별되지 못한 치패는 2차적으로 제2선별스크린(33)을 통해 선별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동부(40)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41)와 구동모터(41)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1스프로킷(42)과, 제1스프로킷(42)의 상측에 체인(43)을 통해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44) 및 구동모터(41), 제1스프로킷(42), 제2스프로킷(44)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구동부(40)의 제2스프로킷(44)은 한쌍으로 구성되어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22)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대(25)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구(46)에 샤프트(47)를 통해 연결되어 진다.
회동부(50)는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선별스크린(30)을 사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한쌍으로 구성되어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진다.
회동부(50)는 상부에 중심축(51)이 삽입되도록 삽입공((521)이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3)에 고정되는 제1고정구(52)와, 중심측에 제1고정구(52)의 삽입공(521)에 삽입되는 중심축(51)이 삽입되도록 중심홀(531)을 갖고, 중심홀(53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연결바(60)의 타측과 체결되는 제1체결홀(532)을 가지며, 제1체결홀(532)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홀(533)을 갖고, 제2체결홀(533)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3체결홀(534)을 갖는 회동구(53)와, 제1고정구(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선별스크린(32)의 하부에 결합되고, 회동구(53)의 제2체결홀(533)과 체결되는 제2고정구(54)와, 제1고정구(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선별스크린(33)에 결합되고, 회동구(53)의 제3체결홀(534)과 체결되는 제3고정구(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부(50)의 회동구(53)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측에 중심홀(531)이 형성되고, 중심홀(53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에 제2체결홀(533) 및 제3체결홀(534)이 형성되며, 제2체결홀(533)과 제3체결홀(534) 사이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돌출되는 부분에 제1체결홀(532)이 형성되어 진다.
한편, 회동부(50)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3)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으로 고정되는 제1회동구(50a)와, 제1회동구(50a)와 지지바(23)의 장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바(23)에 고정되는 제2회동구(50b)로 구성되어 진다. 이는 회동구(53)가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3)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으로 고정되어 구성되면 구동부(40)의 구동으로 선별스크린(30)을 사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시 선별스크린(30)의 배출부(34)가 형성된 부분은 힘을 받지 못해 구동부(40)의 구동력을 증가시켜야 하고, 선별스크린(30)의 사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효과적으로 시키기 못하기 때문에 지지바(23) 상에서 이격되어 제1회동구(50a)와 제2회동구(50b)로 구성하는 것이다.
연결바(60)는 구동부(40)의 구동력을 회동부(5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구동부(40)의 제2스프로킷(44)의 중심측에서 편심되어 결합되고, 타측이 회동부(50)의 제2체결홀(533)과 체결되어 진다.
한편, 연결바(60)는 일측이 구동부(40)의 제2스프로킷(44)에 편심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제1회동부(50a)의 제1체결홀(532)과 체결되는 제1연결바(60a)와, 제1회동부(50a)와 제2회동부(50b)의 제1체결홀(532) 및 제3체결홀(534)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바(60b) 및 제3연결바(6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기(10)에 의하면, 꼬막이나 바지락 등과 같은 패류를 이송하여 일정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스크린에 진동을 가하여 동일한 규격의 패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선별스크린을 2단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1차적으로 제1선별스크린을 통해 패류가 선별되고, 제1선별스크린을 통과한 패류는 제2선별스크린에 의해 선별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 선별기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의 구동으로 제1스프로킷(42) 및 제2스프로킷(44)이 회전하게 되면 제2스프로킷(44)의 회전으로 제1연결바(60a)는 제2스프로킷(44)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부(50)의 회동구(52)는 회동하게 된다. 회동부(50)의 회동으로 제2선별스크린(33)은 사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동부(50)의 제2고정구(54)에 고정된 제1선별스크린(32)은 사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선별스크린(30a) 및 제2선별스크린(30b)의 사선으로의 왕복 운동으로 제1선별스크린(30a) 및 제2선별스크린(30b)의 내부에 위치된 치패는 크기에 따라 타공을 통해 선별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류 선별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패류 선별기
20 : 베이스 프레임 21 : 안치프레임
22 : 지지프레임 23 : 지지대
30 : 선별스크린 30a : 제1선별스크린
30b : 제2선별스크린 31 : 타공
40 : 구동부 41 : 구동모터
42 : 제1스프로킷 43 : 체인
44 : 제2스프로킷 50 : 회동부
50a : 제1회동부 50b : 제2회동부
51 : 회전축 52 : 제1고정구
521 : 삽입공 53 : 회동구
531 : 중심홀 532 : 제1체결홀
533 : 제2체결홀 534 : 제3체결홀
54 : 제2고정구 55 : 제3고정구
60 : 연결바 60a : 제1연결바
60b : 제2연결바 60c : 제3연결바

Claims (5)

  1. 사각틀 형상의 안치프레임(21)을 갖고, 상기 안치프레임(21)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ㅁ'자 형상의 지지프레임(22)이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중간에 형성되는 지지바(23)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22) 사이에 위치되고, 치패를 크기에 따라 선별할 수 있도록 타공(31)이 형성된 선별스크린(30)과;
    구동모터(4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스프로킷(42)을 갖고, 상기 제1스프로킷(42)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스프로킷(42)과 체인(43)을 통해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44)을 갖는 구동부(4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별스크린(30)을 전후 사선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회동부(50)와;
    일측이 상기 구동부(40)의 제2스프로킷(44)의 중심측에서 편심되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부(50)와 체결되는 연결바(60)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스크린(3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타공(3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패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34)가 형성되되,
    상기 선별스크린(30)은 상하로 이격되어 제1선별스크린(32)과 제2선별스크린(33)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부(50)는 상부에 중심축(51)이 삽입되도록 삽입공((52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3)에 고정되는 제1고정구(52)와;
    중심측에 상기 제1고정구(52)의 삽입공(521)에 삽입되는 중심축(51)이 삽입되도록 중심홀(531)을 갖고, 상기 중심홀(53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60)의 타측과 체결되는 제1체결홀(532)을 가지며, 상기 제1체결홀(532)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홀(533)을 갖고, 상기 제2체결홀(533)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3체결홀(534)을 갖는 회동구(53)와;
    상기 제1고정구(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선별스크린(32)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구(53)의 제2체결홀(533)과 체결되는 제2고정구(54)와;
    상기 제1고정구(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선별스크린(33)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구(53)의 제3체결홀(534)과 체결되는 제3고정구(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50)는 상기 연결바(60)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1회동부(50a)와, 상기 제1회동부(50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지지바(23) 상에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회동부(5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60)는 일측이 상기 구동부(40)의 제2스프로킷(44)에 편심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회동부(50a)의 제1체결홀(532)과 체결되는 제1연결바(60a)와, 상기 제1회동부(50a)와 제2회동부(50b)의 제1체결홀(532) 및 제3체결홀(534)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바(60b) 및 제3연결바(6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기.
KR1020170028472A 2017-03-06 2017-03-06 패류 선별기 KR101844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72A KR101844416B1 (ko) 2017-03-06 2017-03-06 패류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72A KR101844416B1 (ko) 2017-03-06 2017-03-06 패류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416B1 true KR101844416B1 (ko) 2018-04-02

Family

ID=6197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72A KR101844416B1 (ko) 2017-03-06 2017-03-06 패류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4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8737A (zh) * 2019-01-13 2019-04-02 浙江省海洋水产养殖研究所 一种海产贝类苗种筛分装置
KR20200106313A (ko) * 2019-03-04 2020-09-14 조경빈 굼벵이 선별장치
KR20210017250A (ko) * 2019-08-07 2021-02-17 정태선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CN112547480A (zh) * 2020-11-03 2021-03-26 刘静 一种中医科用土鳖虫筛选装置
CN112642696A (zh) * 2020-11-16 2021-04-13 安徽廷龙食品有限公司 一种瓜蒌籽大小颗粒的分拣装置
KR102385621B1 (ko) 2021-05-10 2022-04-15 주식회사 가화바이오 김사상체 잠입용 굴패각 이물질 제거 및 세척장치
KR20230118420A (ko) 2022-02-04 2023-08-11 박진영 골재 분산 유도 진동 스크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099Y1 (ko) * 1989-11-29 1992-02-10 이중부 가정용 정미기의 뉘, 쌀애기, 돌 분리장치
JPH08256629A (ja) * 1995-03-24 1996-10-08 Okidate Tekko Kk 貝の選別機
KR20100019765A (ko) * 2008-08-11 2010-02-19 안성환 요동식 생활폐기물 선별분리기
KR101448419B1 (ko) * 2014-02-11 2014-10-07 김미정 치패 선별기
KR20160027695A (ko) * 2014-09-02 2016-03-10 배창민 전복치패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099Y1 (ko) * 1989-11-29 1992-02-10 이중부 가정용 정미기의 뉘, 쌀애기, 돌 분리장치
JPH08256629A (ja) * 1995-03-24 1996-10-08 Okidate Tekko Kk 貝の選別機
KR20100019765A (ko) * 2008-08-11 2010-02-19 안성환 요동식 생활폐기물 선별분리기
KR101448419B1 (ko) * 2014-02-11 2014-10-07 김미정 치패 선별기
KR20160027695A (ko) * 2014-09-02 2016-03-10 배창민 전복치패 선별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8737A (zh) * 2019-01-13 2019-04-02 浙江省海洋水产养殖研究所 一种海产贝类苗种筛分装置
CN109548737B (zh) * 2019-01-13 2023-09-05 浙江省海洋水产养殖研究所 一种海产贝类苗种筛分装置
KR20200106313A (ko) * 2019-03-04 2020-09-14 조경빈 굼벵이 선별장치
KR102181684B1 (ko) * 2019-03-04 2020-11-24 조경빈 굼벵이 선별장치
KR20210017250A (ko) * 2019-08-07 2021-02-17 정태선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KR102259879B1 (ko) 2019-08-07 2021-06-01 정태선 치패 선별 및 계수 장치
CN112547480A (zh) * 2020-11-03 2021-03-26 刘静 一种中医科用土鳖虫筛选装置
CN112642696A (zh) * 2020-11-16 2021-04-13 安徽廷龙食品有限公司 一种瓜蒌籽大小颗粒的分拣装置
KR102385621B1 (ko) 2021-05-10 2022-04-15 주식회사 가화바이오 김사상체 잠입용 굴패각 이물질 제거 및 세척장치
KR20230118420A (ko) 2022-02-04 2023-08-11 박진영 골재 분산 유도 진동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416B1 (ko) 패류 선별기
JP6917152B2 (ja) 養殖貝の選別装置
CN108405340B (zh) 一种建筑用多级筛沙设备
KR101284933B1 (ko) 골재용 진동 선별기
US583981A (en) Fruit-grading machine
KR101173285B1 (ko) 그리즐리 스크린이 장착된 골재 선별기
KR101748148B1 (ko) 수실류 수거용 집과 장치
KR20090084572A (ko) 자동 선별기
CN210876232U (zh) 一种中药饮片加工用多级筛选装置
CN210304463U (zh) 一种用于过滤大颗粒石子的振动筛
JP3682755B2 (ja) 廃棄物選別装置
CN205463105U (zh) 高效筛砂机
CN209271872U (zh) 一种重晶石开采用筛选装置
KR101843016B1 (ko) 골재의 선별 및 탈수장치
CN207126806U (zh) 一种饲料加工用振动筛
KR100663330B1 (ko) 우레탄 선별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48078Y1 (ko) 골재 선별장치
KR102474567B1 (ko) 조업현장 방류용 다슬기 선별장치
CN215918117U (zh) 一种生物质颗粒加工用颗粒碎料过滤装置
CN215141943U (zh) 一种大米生产用筛选装置
JP3223962U (ja) ふるい機
KR100485612B1 (ko) 진동방식 마늘쪽 선별기
CN208727965U (zh) 一种磨料粒度分选装置
JP3197239B2 (ja) 貝類自動選別機
CN109926314A (zh) 一种多自由度茶叶振动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