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404B1 - 로라선별기 - Google Patents

로라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404B1
KR100465404B1 KR1020040060749A KR20040060749A KR100465404B1 KR 100465404 B1 KR100465404 B1 KR 100465404B1 KR 1020040060749 A KR1020040060749 A KR 1020040060749A KR 20040060749 A KR20040060749 A KR 20040060749A KR 100465404 B1 KR100465404 B1 KR 10046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roller
rollers
cas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04006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라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발생장치(VM) 에의해 선별기의 측면인 V1,V2 방향으로만 진동하고 있는 선별부(6)에 선별물품을 순차적으로 통과 되도록하여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로라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로라선별기는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일측단 상측에 설치되어 선별물품을 공급 하기위한 댐퍼(43)가 장착된 공급부(4)와,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4)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해 회전하는 선별로라(64)들로 구성되어진 선별부(6)와, 상기 선별부(6)의 선별로라(64)들을 회전 시키게 하기위한 1개의 감속모타(GM)와, 상기 케이스(2)의 일측, 즉 상기 케이스(2)의 한쪽면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6)에 진동을 발생시키되 상기 케이스(2)의 측면인 V1,V2 방향으로만 진동을 발생시키게 하기 위한 진동발생장치(VM)와, 상기 선별부(6)에서 선별된 선별물품을 배출 하기위한 힌지(82)가 장착된 슈트부(8)와, 수직하중을 흡수할 완충부재(37)및 케이스(2)와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시켜줄 간격 유지용 완충부재(38)를 조합시킨 완충장치(30)와, 상기 케이스(2)가 바닥면에 지지되고 진동발생장치(VM)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한 지지부(10)를 포함하며, 상기 선별부(6)는 회전 하고있는 선별로라(64)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로라선별층(6A,6B,6C...)이 상기 케이스(2)에 경사지게 적치되어 상기 진동발생장치(VM)의 진동에 의해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선별하되, 상기 로라선별층(6A,6B,6C...)에 형성 되어있는 선별로라(64)들 사이사이의 틈새(간격)인 W1,W2,W3 는 하측의 로라선별층으로 갈수록 더욱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로라선별기{ROLLER GRADER}
본 발명은 로라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발생장치(VM) 에의해 선별기의 측면인 V1,V2 방향으로만 진동하고 있는 선별부(6)에 선별물품을 순차적으로 통과 되도록하여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로라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별물품중 특히 생새우와 같은 수산물품은 어장에서 포획된 직후 신선도 유지를 위하여 선상에서 신속히 선별한후 급속냉동 하거나 육지에 도착하여 선별한 후 상품화 하는것인데,
생새우는 형태의 특성상 등이 구부러져 있으며 그 구부러진 정도가 매우 불규칙하므로 어떠한 선별기로도 만족할 선별효과를 보지 못하여, 주로 수작업으로 선별을 해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의한 관성이 케이스의 폭방향인 V1,V2 으로만 향하도록한 진동에의해 선별물품을 용이하게 선별하여 선별능률및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흔들리며 움직이고있는 선상에서도 안정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완충장치를 구비한 로라선별기를 제공 하는데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일측단 상측에 설치되어 선별물품을 공급 하기위한 댐퍼(43)가 장착된 공급부(4)와,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4)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6)와, 상기 선별부(6)의 선별로라(64)들을 회전 시키게 하기위한 1개의 감속모타(GM)와, 상기 케이스(2)의 일측, 즉 상기 케이스(2)의 한쪽면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6)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VM)와, 상기 선별부(6)에서 선별된 선별물품을 배출 하기위한 힌지(82)가 장착된 슈트부(8)와, 수직하중을 흡수할 완충부재(37)및 케이스(2)와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시켜줄 간격 유지용 완충부재(38)를 조합시킨 완충장치(30)와, 상기 케이스(2)가 바닥면에 지지되고 진동발생장치(VM)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한 지지부(10)를 포함하며, 상기 선별부(6)는 회전 하고있는 선별로라(64)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로라선별층(6A,6B,6C...)이 상기 케이스(2)에 경사지게 적치되어 상기 진동발생장치(VM)의 진동에 의해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로라 선별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라선별기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원형벨트 부분의 부분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로라 조립도.
도 9는 도 8의 구동부측 로라 상세도.
도 10은 도 8의 피동부측 로라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장치(VM)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도 12a는 도 12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유지용 완충부재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평면도.
도 18는 도 17의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로라선별기의 작동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사시도.
도 20는 도 19에 의해 선별물품이 선별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및 도 2,도 3,도 4를 참조하면, 로라선별기는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일측단 상측에 설치되어 선별물품을 공급 하기위한 댐퍼(43)가 장착된 공급부(4)와,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4)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해 회전하는 선별로라(64)들로 구성되어진 선별부(6)와, 상기 선별부(6)의 선별로라(64)들을 회전 시키게 하기위한 1개의 감속모타(GM)와, 상기 케이스(2)의 일측, 즉 상기 케이스(2)의 한쪽면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6)에 진동을 발생시키되 상기 케이스(2)의 측면인 V1,V2 방향으로만 진동을 발생시키게 하기 위한진동발생장치(VM)와, 상기 선별부(6)에서 선별된 선별물품을 배출 하기위한 힌지(82)가 장착된 슈트부(8)와, 수직하중을 흡수할 완충부재(37)및 케이스(2)와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시켜줄 간격 유지용 완충부재(38)를 조합시킨 완충장치(30)와, 상기 케이스(2)가 바닥면에 지지되고 진동발생장치(VM)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한 지지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의 금속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이때, 상기 케이스(2)의 중앙부위는 고정바(12)에 의해 결합되고 좌, 우측의 양쪽끝단은 선별로라 거치대(13)에 의해서 결합된다.
상기 고정바(12)및, 상기 선별로라 거치대(13)는 상기 케이스(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재질로는 사각형의 금속파이프나 환봉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판상의 금속재를 절곡한 형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2)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공급부(4)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 하부를 절곡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상측은 선별물품의 선별과정을 관찰하며 유사시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오픈 시키고, 하측은 선별된 선별물품중 일부를 슈트부(8)중 제4슈트(8d)로 배출 해내기위하여 판상의 금속재로 만들어진 케이스바닥판(15)을 구비하는 구조를 갖춘다.
상기 공급부(4)는 상기 케이스(2)의 일측단 상측에 설치되어 선별물품이 순차적으로 상기 선별부(6)에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공급부(4)는 선별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부(41)를 구비하고 일반적인 호퍼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되 선별부(6)의 상측에 연계하여 배출구(42)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42)에는 공급될 선별물품의 배출양을 조절 하기위한 댐퍼(43)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2)의 일측단 즉, 상기 선별부(6)의 상측에는 상기 공급부(4)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선별물품이 선별되지 않은채 상기 선별부(6)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2)의 일측면쪽으로 진행하지 않게 하기위한 넘침방지판(44)이 설치 되는데 이 넘침방지판(44)에는 슬로트홀(45)이 가공 되어있고, 이 슬로트홀(45)은 선별로라(64)가 틈새조정을 위하여 위치가 변화할때 상기 넘침방지판(44)도 상기 선별로라(64)의 변화된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에 변화를 꾀한후 넘침방지판 지지볼트(46) 등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와 고정결합이 되어질 수 있게하는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급부(4)는 판상형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이 판상형의 금속재를 통해 선별물품이 상기 선별부(6)에 공급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도면에 도시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선별부(6)와 연계되는 별도의 이송콘베이어(미도시)를 바닥면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선별물품을 공급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공급부(4)는 필요 없을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공급부(4)의 구조는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는 상기 공급부(4)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6)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별부(6)가 공급부(4)로부터 공급되는 선별물품을 네가지 크기로 선별하는 것을 일예로 하며, 도 6및 도 7,8,9,10을 참조하여 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선별부(6)는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급된 선별물품중 가장 큰 크기를 선별하기 위한 제 1 로라선별층(6A)과, 이 제 1선별판(6A)의 하측에 배치되어 두번째로 큰 크기를 선별하기 위한 제 2 로라선별층(6B)과, 이 제 2 로라선별층(6B)의 하측에 배치되어 세번째로 큰 크기와 네번째로 큰 크기의 선별물품을 분류 해내기위한 제 3 로라선별층(6C)이 있다.
상기 로라선별층들(6A,6B,6C)은 각각, 한개의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다수개의 피동부측 로라(62)들로 이루어 지는데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은 도 9에서 보여지듯 선별로라 중심환봉(63)을 축으로 하고,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의 외측에 선별로라(64)를 구비하되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은 고정시키고 상기 선별로라(64)는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선별로라(64)의 일방향 끝단에는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과의 사이에 베어링(65)이 삽입된 베어링하우징(66)이 구비되며, 또한 일방향 끝단에는 V자(字)홈(104)과 U자(字)홈(102)이 가공된 벨트장착용 베어링하우징(67)으로 구성하되 상기 선별로라(64)와 상기 베어링하우징들(66,67)은 용접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결합 시킨다.
이때,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의 양쪽 끝단은 나사를 가공 하므로서 구동부 로라 장착부재(68)와 연계하여 고정결합이 되데, 상기 선별로라(64)는 자유롭게 회전을 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피동부측 로라(62)들은 도10 에서 보여지듯,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되 벨트장착용 베어링하우징(67)에는 2열의 U자(字)홈(10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U자(字)홈(102)과 연계하여 단면이 원형인 원형벨트(103)가 지그재그로서 반복 배치되므로서 다수개의 상기 피동부측 로라(62)들이 한개의 상기 구동부측 로라 로 인하여 같은 방향으로 동기회전을 할 수가 있도록 한 동시에,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의 끝단에는 각각 선별로라 지지부재(69)를 고정결합 시키고 상기 선별로라 지지부재(69)들은 상기 케이스(2) 내에 구비되어있는 선별로라 거치대(13) 내에 수납 되어진채 각각의 상기 선별로라 지지부재(69)들 사이사이에는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을 삽입하여 선별물품을 선별 해내기위한 상기 선별로라(64) 간의 필요한 간격을 결정한 후 고정결합 되어있는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을 향하여 밀착한후 조임볼트(101)에 의하여 견고히 임시고정 시킨다.
이때, 상기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은 다양한 두께를 갖춘 다수개를 사전에 준비시킨후 선별 하고저하는 선별물품의 종류및 크기, 형태등에 대응하여 수시로 교환할 수 있는데 이 작업은 상기 조임볼트(101)를 풀고 상기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을 다른 두께의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으로 교환한후 다시 상기 조임볼트(101)를 조여주면 되는 단순한 작업이므로 상기 선별로라(64)간의 간격을 수시로 조정하기가 용이하여 선별효율을 높일수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것이다.
한편, 상기 피동부측 로라(62)들은 상기 벨트장착용 베어링하우징(67)의 일방향 끝단에 U자(字)홈(102)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 U자(字)홈(102)은 도 7에서 보여지듯, 2열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면이 원형인 원형벨트(103)가 상기 U자(字)홈(102)과 연계하여 지그재그로서 반복 배치되므로서 각각의 상기 피동부측 로라(62)들이 한개의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로 인하여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가 있는것이며 이때, 상기 원형벨트(103)는 신축성을 유지하고 있기때문에 상기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의 두께 변화로 인한 상기 선별로라(64) 간의 틈새인 W1,W2,W3 들에 미세한 길이의 변화가 발생 할지라도 다른 크기로서의 상기 원형벨트(103) 교환이 요구되지 않을것이며, 만일 두께의 변화가 너무 심하여 사용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다른 크기로서의 상기 원형벨트(103)로 교환을 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선별로라(64) 들의 전체 구동은,
우선, 상기 케이스(2)의 외측에 설치 되어있는 감속모터(GM)의 회전과 연계하여 구동부측 제2로라 구동용 V-BELT(200)가 상기 구동부측 제2로라(61b)를 회전시키며,
이 회전하게된 상기 구동부측 제2로라(61b)는,
상측으로는 고정배치 되어있는 상기 구동부측 제1로라(61a)를 구동부측 제1로라 구동용 V-BELT(201)로서 회전시키며
하측으로는 고정배치 되어있는 상기 구동부측 제3로라(61c)를 구동부측 제3로라 구동용 V-BELT(202)로서 회전시키는데 이때의 동력전달은 상기 벨트장착용 베어링하우징(67)에 가공 되어진 V자(字)홈(104)과 연계하여 V-BELT 로서 이루어내고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상기 선별로라(64)들 사이 혹은, 상기 선별로라(64)들과 상기 선별로라(64)들 사이의 동력전달은 상기 벨트장착용 베어링하우징(67)에 가공 되어진 U자(字)홈(102)과 연계하여 원형벨트(103)로서 이루어어 내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한 모든 상기 선별로라(64)들은 한대의 상기 감속모터(GM)로 인하여 동시에 구동 되어지며 상기 선별로라(64)들 간의 간격은 상기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선별물품의 특성에 대응하여 선별효율을 높일수있는 바람직한 구성이 되는것이다.
이때, 도 6에서 보여지듯 상기 선별로라(64)들의 회전방향은 " Q " 방향에서 볼때 시계방향이 되도록 설정 해야하며 이런경우, 선별물품중의 일부는 상기 선별로라(64)들의 회전으로 인하여 " Q " 방향에서 볼때 오른쪽방향 즉,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 쪽을 향하여 진행하므로서 결국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케이스(2) 사이에 박히게되어 트러블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케이스(2) 사이의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의 근접한 측면에는 약간 상향으로 배치한 진행방지로라(60d) 를 제공 하게된다.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및, 선별로라(64), 베어링하우징(66), 벨트장착용 베어링하우징(67) 들의 재질은 금속재를 사용 하는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에 한정 되는것은 아니며 무게를 줄이기위한 경우, 그 외에 필요에 따라서는 PP나 PE 등 수지계통의 재질이나 알미늄등 비철금속, 혹은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의 사용도 가능하다 할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별부(6)는 제 1 로라선별층(6A)과, 제 2 로라선별층(6B)과, 제 3 로라선별층(6C)인 3단으로 이루어 지는것으로 도시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로라선별층들(6A,6B,6C)은 4단 혹은 그 이상으로 이루어져 선별물품을 더욱 다양한 크기로 선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기 감속모터(GM)와 상기 진동발생장치(GM)는 물기로부터의 보호를 위하여 판상의 금속재로 만들어진 커버를 씌우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선별부의 상기 로라선별층들(6A,6B,6C)에 의하여 크기별로 분리된 선별물품은 상기 슈트부(8) 즉, 제 1슈트(8a), 제 2슈트(8b), 제 3슈트(8c), 제 4슈트(8d) 들을 통하여 배출 되는데 상기 슈트부(8)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슈트들(8a, 8b, 8c, 8d)은 판상의 금속재로서 각각 배출방향은 다르지만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며 측면의 일측단 끝부분은 힌지(82)로서 결합되고 또한 일측단 끝부분은 결합장치(83)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기 힌지(82)및 상기 결합장치(83)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일측단에는,
경사진 상태에서 진동을 하는 동시에 회전 하고있는 상기 로라선별층들(6A,6B,6C)의 상기 선별로라(64)들 사이의 간격인 W1,W2,W3 를 통과하여 낙하되지 못한채 상기 로라선별층들(6A,6B,6C)의 상기 선별로라(64)들 상측에 얹혀진채 경사면을 타고 하향으로 이동되다가 낙하 되어지는 선별물품을 상기 제 1슈트(8a), 제 2슈트(8b), 제 3슈트(8c)로 유도 해내기위하여 판상의 금속재로 만들어진 배출안내판(81)들이 구비 되어지는데 끝단이 절곡 되어진 이 배출안내판(81)들의 절곡면에 상기 슈트들(8a, 8b, 8c, 8d)이 밀착되어 접촉하게 되는것이다.
상기 배출안내판(81)들의 끝단이 절곡 되어진것은 상기 배출안내판(81)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절곡면이 상기 슈트들(8a, 8b, 8c, 8d)과 밀착된채 구성 되어지기위한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상기 배출안내판(81)의 절곡면과 밀착되어진 상기 슈트부(8)는 상기 케이스(2)에 고정결합 되어있는 상기 결합장치(83)의 너트를 풀면 상기 힌지(82)를 작용점으로 하여 상기 슈트부(8)는 90°이상 회전하며 개,폐가 가능해 지는것인데, 이러한 구성은 상기 선별부(6)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2)의 일측면에는 상기 선별부(6)에 진동을 전달하여 선별물품을 선별하기 위한 진동발생장치(VM)가 설치 되는데 도 11및, 도 12을 참조하여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진동발생장치(VM)는 베어링 하우징(70)의 양끝에 좌,우 대칭으로 언바란스 웨이트(UW)가 취부되며, 상기 언바란스 웨이트(UW)의 하측에는 모타(M)가 설치되는데 상기 언바란스 웨이트(UW)와 상기 모타(M)와의 동력전달은 카프링(CU)을 통하여 하게된다.
이렇게 구성된 동력전달 장치는 나란히 2 셋트가 1 조를 이루게되며 상기 케이스(2)에 취부된 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모타(M)의 회전방향은 곧 상기 언바란스 웨이트(UW)의 회전방향이 되며 이 언바란스 웨이트(UW)의 회전에 의해 자체 진동이 발생하되, V1 과 V2 방향으로만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은 경사진채로 회전 하고있는 상기 선별로라(64)들에 공급된 선별물품이 상기 공급부(4)로부터 슈트부(8)로 원활히 이동되는데 도움이 되며 상기 선별로라(64)들 위에 얹혀져있는 선별물품들을 적극적이고 정밀하게 선별하는데 꼭 필요한 바람직한 진동운동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진동발생장치(VM)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주어주는 것이 바람직함이 생새우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한 결과 확인할 수가 있었는데
즉, 상기한 진동발생장치(VM)의 진동에 의한 관성은 상기 케이스(2)의 폭방향인 V1 과 V2 방향으로만 향하게 하며, 상기한 진동발생장치(VM)의 진동수는 8극(8P)모터를 사용하므로서 900r.p.m 즉, 900 CPM 을 설정하고 진폭은 10 mm 내외의 비교적 큰 왕복진동운동이 되도록 상기 언바란스 웨이트(UW)를 설정하는 것이 선별효과및 처리양에 최상의 영향을 미친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진동발생장치(VM)는 상기 실험결과에 의한 데이타 즉, 상기 케이스(2)의 폭방향인 V1 과 V2 방향으로만 진동을 하면서, 진동수는 900r.p.m 을 유지하며, 10 mm 내외의 큰 진폭을 발생시킬수 있도록 조건설정을 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또한, 상기한 진동발생장치(VM)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VM)의 도시및 설명에 국한 되지않고, 상기 진폭및 진동수를 유지할 수 있는 시중품인 진동모터(VIBRATION MOTOR)를 적용할 수 있음도 물론이며,
또다른 작동 실시예를들면, 도 12a 에서 보여지듯 상기 언바란스 웨이트(UW)와 상기 모타(M)와의 동력전달 방법은 V-PULLEY 및 V-BELT 로서 구성 할수도 있는것이며,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원리를 만족하는 어떠한 진동력전달 방법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케이스(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브라켓트(28)로서 일측단이 결합되는 완충장치(30)와, 이 완충장치(30)의 타측단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1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2)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된다.
진동을 하고있는 상기 케이스(2)와 바닥에 고정 되어있는 상기 지지부(10) 사이에는 완충장치(30)가 설치 되는데
상기 완충장치(30)는 상기 케이스(2)의 공급부(4)측과 슈트부(8)측 방향으로 각각 1개씩 위치하고 있으며 동시에 좌우에 위치 하게되므로 총 4셋트로 구성 되어지며 이를 도 13및, 도 14, 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완충장치(30)에는 상측으로는 상기 케이스(2)와 연결되어 고정결합 되어있는 상기 고정브라켓트(28)이 있고, 하측으로는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연결되어 고정결합 되어있는 지지프레임 고정브라켓트(29)이 있는데 이들 고정브라켓트(28)과 지지프레임 고정브라켓트(29)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2)및 공급부(4), 선별부(6), 슈트부(8) 등의 무게에 의해 형성되어진 수직하중을 지지하며 진동을 흡수 하기위한 완충부재(37)가 설치 되는데 이 완충부재(37)는 일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외측에는 이물질 또는 바다바람에 의한 염분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37)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커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트(28)는 상기 케이스(2)와 고정 결합 되어있는 완충장치 거치대(35)를 하우징(36)에 의해 연결하며 이같은 구조는 높낮이 조절부재(11)의 높이조절에 의해 상기 케이스(2)및 상기 선별로라(64)들의 각도가 변화 되었을때도 상기 고정브라켓트(28)가 각도의 변화에 악영향을 받지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트(28)와 상기 지지프레임 고정브라켓트(29) 사이에는 상기 진동발생장치(VM)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방향인 V1, V2 방향의 수평하중 진동을 흡수는 하되,
흔들리며 움직이고 있는 선상에서도 상기 케이스(2)와 상기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급작스런 충격에 의하여 상기 완충부재(37)가 이탈 되는 사고를 방지 해줄 수 있도록 간격 유지용 완충부재(38)가 상기 완충장치(30)의 양쪽 끝단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 고정브라켓트(29)의 중앙에는 간격조절볼트(39)가 설치되는데 이 간격조절볼트(39)는 선체가 V1, V2 방향으로 돌발적이고도 급격히 기울게 되었을때 상기 간격 유지용 완충부재(38)를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2)의 과도한 이동을 제한 하기위한, 다시말해서 상기 지지부(10)에 대한 상기 케이스(2)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 하기위한 유용한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간격 유지용 완충부재(38)를 도 16, 도 17,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간격 유지용 완충부재(38)는 사각봉(400)이 사각봉 연결평철(401)에 의해 용접,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봉(400)과 상기 사각봉(400)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고무 케이스(402) 사이에는 내마모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소재(403)가 충진된다.
이러한 구조는 V1과 V2 방향으로 반복되는 진동을 흡수는 하되 상기 케이스(2)와 상기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시키는데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에의한 진동 하고있는 로라선별기를 파도로 인하여 움직이고있는 선상에서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것이다.
이에따라,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라선별기의 바람직한 작동실시예를 도 19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결합장치(83)의 너트를 조절하여 힌지(82)를 작용점으로 하며 슈트부(8)를 회전 시키므로서 본 발명에의한 로라선별기의 전면부가 개방 되도록 한다음,
선별물품의 조건에따라 제 1 로라선별층(6A)의 상기 선별로라(64)들 사이사이의 틈새를 조정하기위해 조임볼트(101)를 풀고 적절한 두께의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을 선별로라 지지부재(69) 사이사이마다 삽입한후 선별층 1개층 전체의 선별로라 지지부재(69)와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을 조임볼트(101)로 가압하여 조여줌으로서 제 1 로라선별층(6A)의 셋팅이 완료되는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제 2 로라선별층(6B)과 제 3 로라선별층(6C)의 선별로라(64)들 사이사이의 틈새를 조정한다음 상기 선별부(6)의 셋팅이 완료되면 상기 슈트부(8)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결합장치(83)를 조작하여 상기 케이스(2)와 고정결합 시킨다.
그리고 나서,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상기한 진동발생장치(VM)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 진동발생장치(VM)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10) 이외의 부분들 즉, 케이스(2),공급부(4), 선별부(6), 슈트부(8) 등이 자체진동을 하게 되며, 상기 케이스(2)와 상기 지지부(10) 사이의 완충장치(30)에 의해 진동이 더욱 원활하게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태에서 공급부(4)에 선별을 위한 선별물품을 공급 하게되면, 이 공급부(4)에 공급된 선별물품이 상기 공급부(4)의 자체 경사및 진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상기 제 1 로라선별층(6A)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급부(4)의 자체 경사및 V1, V2 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공급부(4) 로부터 상기 제 1 로라선별층(6A)에 도달한 선별물품들은 상기 제 1 로라선별층(6A)의 자체 경사및 자체회전과 아울러 V1, V2 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공급부(4)의 반대쪽인 제 1슈트(8a)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로라선별층(6A)에 형성된 상기 선별로라(64)들 사이사이의 간격인 W1 보다 더 큰 선별물품은 상기 제 1 로라선별층(6A)을 통해 낙하 하지 못하고 상기 제 1슈트(8a)를 통해 배출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로라선별층(6A)에 형성된 간격인 W1 보다 더 작아서 상기 제 1 로라선별층(6A) 하측으로 낙하 되어진 선별물품들은 상기 제 2로라선별층(6B) 의 상측에 낙하되어 투입되게 되는데 이때에도, W1 보다는 작지만 상기 제 2로라선별층(6B)에 형성된 간격인 W2 보다는 더 큰 선별물품은 제 2슈트(8b)를 통하여 배출되고,
제 2 로라선별층(6B) 하측으로 낙하 되어진 선별물품은 상기 제 3로라선별층(6C) 의 상측에 낙하되어 투입되게 되는데 이때에도, W2 보다는 작지만 상기 제 3로라선별층(6C)에 형성된 간격인 W3 보다는 더 큰 선별물품은 제 3슈트(8c)를 통하여 배출되고,
제 3로라선별층(6C)에 형성된 간격인 W3 보다 더 작은 선별물품은 제 3 로라선별층(6C) 하측으로 낙하 되어 경사져있는 상기 케이스바닥(15)에 도달된 이후 제 4슈트(8d)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선별물품들은 상기 로라선별층들(6A,6B,6C)의 상기 선별로라(64)들 사이사이의 간격인 W1,W2,W3 들을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못한채 경사진 선별로라(64)들의 상측에 얹혀진상태로 미끄러지며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선별물품들이 상기한 로라선별층들(6A,6B,6C)의 상기 선별로라(64)들 사이사이의 간격인 틈새에 끼어있거나 막혀있지 않을수 있기 위해서 상기 선별로로라(64)들이 자체회전을 하는것이며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은 효율높은 선별기로서의 중요한 요건을 갖추게 되는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 되는것은 아니다.
상기한 선별물품이 어장에서 포획된 생새우 등과같은 수산물일 경우에는 이러한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는동안 상기 선별부에는 파이프라인(미도시)을 통하여 물을 공급 하므로서 상기 선별작업은 더욱 원활하게 할수도 있으며 이는 선별물품이 수산물일 경우에 어체 손상없이 더욱 신속한 선별작업이 이루어질수있는 바람직한 구성이 될수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선별물품을 생새우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생멸치나 고등어등 대부분의 어류에 대한 선별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요 밤, 감자등 대부분의 농산물및 기타 본 발명장치에 적합한 선별물품에 모두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 에서는 동력전달용 매체로서 V-BELT 들(200,201,202)과 원형벨트(103)들이 사용되는것을 일예로 하고있으나 이에 국한되는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원리를 만족하는 어떠한 재질이나 동력전달 방법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에서는 상기 선별로라(64) 들의 전체 구동방법에 있어서 감속모터(GM)를 사용하는 것을 일예로 하고있으나 이에 국한되는것은 아니며, 일반 모타나 기타 본 발명의 원리를 만족하는 어떠한 동력전달 방법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라선별기는 선별부에 투입된 선별물품이,
경사진 선별로라들이 회전을 하는 동시에 진동발생장치(VM)로 부터 발생된 V1, V2 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결과,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되 회전 하고있는 로라에 의하여 막히지않고 또한 진동에 의하여 대량처리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것이며,
또한 수직하중을 흡수할 완충부재(37)와, 케이스(2)와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시켜줄 간격 유지용 완충부재(38)를 적절히 조화시킨 완충장치(30)로 인하여 흔들리며 움직이는 선상에서도 안정된 성능을 유지 하므로서 생멸치의 선상 선별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일측단 상측에 설치되어 선별물품을 공급 하기위한 댐퍼(43)가 장착된 공급부(4)와,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4)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해 회전하는 선별로라(64)들로 구성되어진 선별부(6)와, 상기 선별부(6)의 선별로라(64)들을 회전 시키게 하기위한 1개의 감속모타(GM)와, 상기 케이스(2)의 일측, 즉 상기 케이스(2)의 한쪽면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6)에 진동을 발생시키되 상기 케이스(2)의 측면인 V1,V2 방향으로만 진동을 발생시키게 하기 위한 진동발생장치(VM)와, 상기 선별부(6)에서 선별된 선별물품을 배출 하기위한 힌지(82)가 장착된 슈트부(8)와, 수직하중을 흡수할 완충부재(37)및 케이스(2)와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시켜줄 간격 유지용 완충부재(38)를 조합시킨 완충장치(30)와, 상기 케이스(2)가 바닥면에 지지되고 진동발생장치(VM)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한 지지부(10)를 포함하며, 상기 선별부(6)는 회전 하고있는 선별로라(64)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로라선별층(6A,6B,6C...)이 상기 케이스(2)에 경사지게 적치되어 상기 진동발생장치(VM)의 진동에 의해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선별하되, 상기 로라선별층(6A,6B,6C...)에 형성 되어있는 선별로라(64)들 사이사이의 틈새(간격)인 W1,W2,W3 는 하측의 로라선별층으로 갈수록 더욱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시에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는동안 상기 선별부에는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물을 공급 하므로서 상기 선별작업은 더욱 원활하게 할수도 있게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로라선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라선별층들(6A,6B,6C)은 각각, 한개의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다수개의 피동부측 로라(62)들로 이루어 지게 하였으며,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케이스(2) 사이의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의 근접한 측면에는 약간 상향으로 배치한 진행방지로라(60d) 를 제공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로라선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구동부측 로라들(6a,6b,6c)은 선별로라 중심환봉(63)을 축으로 하고,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의 외측에 선별로라(64)를 구비하되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은 고정시키고 상기 선별로라(64)는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선별로라(64)의 일방향 끝단에는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과의 사이에 베어링(65)이 삽입된 베어링하우징(66)이 구비되며, 또한 일방향 끝단에는 V-자(字)홈(104)과 U자(字)홈(102)이 가공된 벨트장착용 베어링하우징(67)으로 구성하되 상기 선별로라(64)와 상기 베어링하우징들(66,67)은 용접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결합 시키고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의 양쪽 끝단은 나사를 가공 하므로서 구동부 로라 장착부재(68)와 연계하여 고정결합이 되데, 상기 선별로라(64)는 자유롭게 회전을 하게 하는것을 특징으로하며,
    피동부측 로라(62)들은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되 벨트장착용 베어링하우징(67)에는 2열의 U자(字)홈(10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U자(字)홈(102)과 연계하여 단면이 원형인 원형벨트(103)가 지그재그로서 반복 배치되므로서 다수개의 상기 피동부측 로라(62)들이 한개의 상기 구동부측 로라 로 인하여 같은 방향으로 동기회전을 할 수가 있도록 한 동시에, 상기 선별로라 중심환봉(63)의 끝단에는 각각 선별로라 지지부재(69)를 고정결합 시키고 상기 선별로라 지지부재(69)들은 상기 케이스(2) 내에 구비되어있는 선별로라 거치대(13) 내에 수납 되어질 수 있게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로라선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별로라(64) 들의 전체 구동방법은,
    우선, 상기 케이스(2)의 외측에 설치 되어있는 감속모터(GM)의 회전과 연계하여 구동부측 제2로라 구동용 V-BELT(200)가 상기 구동부측 제2로라(61b)를 회전시키며,
    이 회전하게된 상기 구동부측 제2로라(61b)는,
    상측으로는 고정배치 되어있는 상기 구동부측 제1로라(61a)를 구동부측 제1로라 구동용 V-BELT(201)로서 회전시키며
    하측으로는 고정배치 되어있는 상기 구동부측 제3로라(61c)를 구동부측 제3로라 구동용 V-BELT(202)로서 회전시키는데 이때의 동력전달은 상기 벨트장착용 베어링하우징(67)에 가공 되어진 V-자(字)(104)홈과 연계하여 V-BELT 로서 이루어내고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상기 선별로라(64)들 사이 혹은, 상기 선별로라(64)들과 상기 선별로라(64)들 사이의 동력전달은 상기 벨트장착용 베어링하우징(67)에 가공 되어진 U자(字)홈(102)과 연계하여 원형벨트(103)로서 이루어 내므로서
    결국, 상기한 모든 선별로라(64)들은 한대의 상기 감속모터(GM)로 인하여 동시에 구동 되어지게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로라선별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피동부측 로라(62)들의 선별로라 지지부재(69)들은 케이스(2) 내에 구비되어있는 선별로라 거치대(13) 내에 수납 되어진채 각각의 상기 선별로라 지지부재(69)들 사이사이에는 다양한 두께를 갖춘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을 삽입하거나 제거 하게하여, 선별물품을 선별 해내기위한 선별로라(64) 간의 필요한 틈새(간격)를 결정한 후 고정결합 되어있는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을 향하여 밀착한다음 조임볼트(101)에 의하여 고정결합 시킬수있게 하므로서,
    결국, 상기 선별로라(64)간의 틈새(간격)를 수시로 조정하기가 용이하게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로라선별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진행방지로라(60d)는
    선별물품중의 일부가 선별로라(64)들의 회전으로 인하여 구동부측 로라들(6a,6b,6c) 쪽을 향하여 진행하므로서 결국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케이스(2) 사이에 박히게되어 트러블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과 케이스(2) 사이의 상기 구동부측 로라들(6a,6b,6c)의 근접한 측면에는 약간 상향으로 배치한 진행방지로라(60d) 를 제공 하게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로라선별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슈트부(8)는 케이스(2)에 고정결합 되어있는 결합장치(83)를 조작하면 힌지(82)를 작용점으로 하여 상기 슈트부(8)가 90°이상 회전하며 개,폐가 가능해 지게 하므로서 선별부(6)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선별로라 간격조절판(100)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가 되게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로라선별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선별물품이 수산물일 경우에, 어체 손상없이 더욱 신속한 선별작업이 이루어질수있게 하기 위하여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는동안 상기 선별부에는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물을 공급 할수도 있게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로라선별기.
KR1020040060749A 2004-08-02 2004-08-02 로라선별기 KR100465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749A KR100465404B1 (ko) 2004-08-02 2004-08-02 로라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749A KR100465404B1 (ko) 2004-08-02 2004-08-02 로라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404B1 true KR100465404B1 (ko) 2005-01-13

Family

ID=3738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749A KR100465404B1 (ko) 2004-08-02 2004-08-02 로라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073A (ko) * 2020-05-26 2021-12-03 김정명 수산물선별기
KR20220152496A (ko) * 2021-05-09 2022-11-16 박성원 패류 선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073A (ko) * 2020-05-26 2021-12-03 김정명 수산물선별기
KR102480371B1 (ko) * 2020-05-26 2022-12-22 김정명 수산물선별기
KR20220152496A (ko) * 2021-05-09 2022-11-16 박성원 패류 선별장치
KR102600708B1 (ko) * 2021-05-09 2023-11-08 박성원 패류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7152B2 (ja) 養殖貝の選別装置
JP5777560B2 (ja) 養殖貝の自動選別装置
JPH07328546A (ja) 大きさ選別機
US3348680A (en) Segreg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777970B1 (ko) 어류 선별기
CA2699206A1 (en) Screening apparatus
CA2205963C (en) Apparatus for sieving a particulate material
KR100465404B1 (ko) 로라선별기
KR100465405B1 (ko) 측방향으로 진동하는 로라선별기
Shah Construction, working and maintenance of electric vibrators and vibrating screens
EP0111506B1 (en) Vibrating conveyor
US2728455A (en) Grading machine for shrimps
WO2016125179A1 (en) Screen cleaning device with flexible arms
US5893465A (en) Food product sorter
KR101451563B1 (ko) 어류 머리방향 자동 정렬기
KR100455514B1 (ko) 선별기
KR100461459B1 (ko) 조선기
KR100639257B1 (ko) 생새우의 선별장치
US6220447B1 (en) Variable frequency screening apparatus
US4288314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dhering dried fruits and the like
KR100468489B1 (ko) 생멸치의 선별장치
CN107116024B (zh) 一种振动筛装置
JP2021145632A (ja) 丸篭内貝類取出し装置、および丸篭内貝類取出し方法
KR20050101261A (ko) 새우선별기
KR200300902Y1 (ko) 조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