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073A - 수산물선별기 - Google Patents

수산물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073A
KR20210146073A KR1020200063093A KR20200063093A KR20210146073A KR 20210146073 A KR20210146073 A KR 20210146073A KR 1020200063093 A KR1020200063093 A KR 1020200063093A KR 20200063093 A KR20200063093 A KR 20200063093A KR 20210146073 A KR20210146073 A KR 20210146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orting
rod
seafoo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371B1 (ko
Inventor
김정명
김홍민
Original Assignee
김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명 filed Critical 김정명
Priority to KR102020006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37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2Apparatus having only parallel elements
    • B07B1/14Rolle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물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별과정에서 수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수요자의 요청에 맞추어 상품성을 가질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수산물을 선별할 수 있도록,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며 수산물이 전단으로 투입되어 후단으로 배출되는 하우징; 봉 형태를 이루면서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하우징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수산물보다 크기가 작은 수산물이나 슬러지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에 결합되는 선별봉;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선별봉을 제외한 나머지 선별봉에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스크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산물선별기{Apparatus for sorting fishery products}
본 발명은 수산물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멍게 등과 같은 수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품성을 가지는 수산물을 선별할 수 있는 수산물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멍게 등과 같은 정착성 수산물은 두껍고 길다란 원줄에 수산물 새끼가 붙어있는 팜사를 감은 봉줄을 연안해역의 양식장에 정착시킨 다음 일정기간 동안 성장시킨 후 인양하여 수확한다.
이렇게 수확한 멍게는 봉줄로부터 분리한 후 세척, 선별 등의 단계를 거쳐 출하하게 되는데, 종래 멍게를 크기별로 선별 함에 있어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하였으나,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상당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자의 경험에 따라 주관적으로 선별되어 선별기준이 정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14328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서는 멍게를 크기에 따라 선별할 수 있는 멍게선별기를 제안하고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구역별로 직경이 다르고 외주면을 따라 스크루가 형성된 복수의 회전막대를 통해 하우징의 입구부부터 출구부까지 단계별로 멍게를 크기에 따라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선별 시간을 단축시키고 객관적으로 선별을 할 수 있기는 하나, 복수의 회전막대 중 가장자리에 놓인 회전막대 측으로 투입된 멍게는 하우징과 회전막대 사이 공간에 끼어 출구부로 토출되지 못하고 터져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품화되는 멍게의 크기를 달리할 경우 회전막대 간의 간격을 달리 배치하여야 하는데 배치되어 있던 회전막대를 분리하여 간격을 다르게 한 후 다시 회전막대 간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끔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14328호 '멍게선별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별과정에서 수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수요자의 요청에 맞추어 상품성을 가질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수산물을 선별할 수 있는 수산물선별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수산물선별기는,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며 수산물이 전단으로 투입되어 후단으로 배출되는 하우징; 봉 형태를 이루면서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하우징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수산물보다 크기가 작은 수산물이나 슬러지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에 결합되는 선별봉;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선별봉을 제외한 나머지 선별봉에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스크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선별봉은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지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선별봉은 각각 일단에 선별봉이 일체로 회전되게끔 타이밍기어가 구비되되,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기어는 타이밍벨트에 맞물리며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기어의 사이에는 타이밍기어의 하측에 맞물리는 타이밍벨트의 외측과 맞닿으며 회전가능하게 가이드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타이밍기어의 하측에서 맞물리는 타이밍벨트는 물결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봉이 관통하는 베어링이 내측에 구비되는 베어링케이스가 선별봉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마련되며, 각 베어링케이스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끼워지는 고정홀이 관통형성된 고정바가 하우징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홀 간의 간격이 각각 달리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바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산물은 선별봉을 따라 이동하며 크기에 따라 상품과 비상품으로 분류되는 과정에서, 일측 가장자리에 스크류가 형성되지 않은 선별봉으로 인해, 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선별봉에 의해 터짐 등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손상없이 상품성 있는 수산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벨트를 통한 선별봉의 일률적인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동함에 있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선별봉 간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으면서 간격 변경시 선별봉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끔 손쉽게 배치할 수 있는바, 수요자의 요청에 맞추어 상품성을 가질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수산물이 선별되도록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멍게선별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산물선별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산물선별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산물선별기에 의해 수산물인 멍게가 선별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산물선별기에 적용되는 선별봉을 회전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산물선별기에 적용되는 베어링케이스가 하우징에 고정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산물선별기에 적용되는 간격조절바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본 발명에서는 선별과정에서 수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수요자의 요청에 맞추어 상품성을 가질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수산물을 선별할 수 있도록,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며 수산물이 전단으로 투입되어 후단으로 배출되는 하우징; 봉 형태를 이루면서 하우징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하우징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수산물보다 크기가 작은 수산물이나 슬러지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에 결합되는 선별봉;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선별봉을 제외한 나머지 선별봉에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스크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선별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수산물선별기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수산물선별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및 선별봉(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수산물은 멍게, 굴, 홍합 등을 포함하나, 도면에는 대표적으로 멍게를 도시하였다.
하우징(100)은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며 수산물이 전단으로 투입되어 후단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전단에 수산물을 후술할 선별봉(200)의 상측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단에 선별봉(200)을 따라 이동된 수산물이 지면을 향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선별봉(200)은 소정의 길이마다 직경을 달리하는 봉 형태를 이루고, 후단을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게끔 하우징(10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끔 양단부가 결합된다. 이러한 선별봉(200)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하방으로도 수산물이나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복수 개가 나란하게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된다.
또한, 선별봉(200)은 수산물을 하우징(10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스크류(2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선별봉(200) 중 하우징(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선별봉(200a)을 제외한 나머지 선별봉(200b)에 스크류(210)가 형성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을 전단에서 보았을 때, 복수 개의 선별봉(200)의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하우징(100)의 왼쪽 가장자리에 배치된 선별봉(200a)에는 스크류(210)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산물은 하우징(100)의 전단에서 선별봉(200)의 상측으로 투입된 후, 스크류(210)에 의해 하우징(100)의 후단을 향해 이동되면서, 소정의 길이마다 직경을 달리하면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게끔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선별봉(200)에 의해 형성된 구간마다 분류작업이 진행된다. 일 예로, 선별봉(200) 간의 간격이 가장 작은 구간에서는 수산물에 붙어 있거나 수산물과 함께 투입된 슬러지가 하우징(100)의 하부를 향해 선별봉(200)의 하방으로 떨어져 분리될 수 있으며, 그 다음으로 선별봉(200) 간의 간격이 넓은 구간에서는 하우징(100)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수산물보다 크기가 작은 수산물이 하우징(100)의 하부를 향해 선별봉(200)의 하방으로 떨어져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선별봉(200)이 구비된 구간에서 하방으로 떨어진 수산물은 크기가 충분하지 않아 상품성이 없는 것이고, 선별봉(200)이 구비된 구간에서 하우징(100)의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하우징(100)의 후단까지 이동되어 배출되는 수산물은 상품성을 가지도록 충분한 크기로 성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선별봉(200a)에 스크류(210)가 형성되지 않아, 상술한 바와 같이 수산물의 선별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스크류(210)의 피치로 인해 하우징(100)의 측벽과 이격되어 발생되던 수산물의 끼임과 터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손상없이 상품성 있는 수산물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선별봉(200)은 하우징(100)의 폭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짐없이 배치될 수 있으나, 멍게의 터짐 등과 같은 수산물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지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크류(210)가 형성되지 않은 선별봉(200a)이 최상측에 위치하면서 스크류(210)가 형성된 선별봉(200b)은 점차 위치가 낮아지게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면에 대한 경사각은 약 5°~10°를 이루도록 하여, 선별봉(200) 간의 사이에서 스크류(210)에 의해 이동되는 수산물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선별봉(200) 간의 사이에 해당 구간에서 선별되지 않아야 하는 수산물이 선별봉(200) 사이로 빨려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선별봉(200)은 각각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되거나, 하우징(100)에 구비된 하나의 모터에 의해 인접한 기어의 치합에 따라 회전되게끔 구비될 수 있으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타이밍벨트(330)에 의해 일률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선별봉(200)은 각각 일단에 선별봉(200)이 일체로 회전되게끔 타이밍기어(3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타이밍기어(310)는 타이밍벨트(330)에 맞물리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타측편 외측벽에는 모터(350)에 의해 회전되면서 타이밍벨트(330)와 맞물리는 주타이밍기어(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이밍벨트(330)는 주타이밍기어(320)와, 하우징(100)의 일측편에 구비된 타이밍기어(310)를 둘러싸면서, 그 사이에 구비된 타이밍기어(310)과도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타이밍벨트(330)를 이용한 복수 개의 선별봉(200) 회전시, 주타이밍기어(320)에 대하여 가장 반대편에 위치한 타이밍기어(310)를 제외한 나머지 타이밍기어(310)는, 타이밍벨트(330)와의 맞물림이 상대적으로 작게 발생되고, 장시간 구동시 타이밍벨트(330)의 처짐에 의해 맞물림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고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타이밍기어(310)의 사이에는 타이밍기어(310)의 하측에 맞물리는 타이밍벨트(330)의 외측과 맞닿으며 회전가능하게 가이드롤러(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밍기어(310)의 하측에서 맞물리는 타이밍벨트(330)는 물결 형태를 이루면서, 타이밍기어(310)의 하측에 맞물리는 타이밍벨트(330)를 가이드롤러(340)가 떠받히게 되므로, 타이밍기어(310)와의 맞물림이 상당 면적에서 이루어지므로 선별봉(200)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장시간 구동에 의한 타이밍벨트(3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선별봉(200)이 하우징(100)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지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주타이밍기어(320)가 하우징(100)의 타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타이밍기어(310)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 타이밍벨트(330)는 주타이밍기어(320)와, 이에 가장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이밍기어(310)를 제외한 나머지 타이밍기어(310)에 대하여 맞물림이 타이밍기어(310)의 하측에서만 발생되는바, 가이드롤러(340)를 구비시킴에 따라 타이밍벨트(330)가 타이밍기어(310)의 하측에서만 맞물림이 발생되더라도 충분한 면적으로 타이밍기어(310)와 맞물리도록 하여, 복수 개의 선별봉(200)이 일률적으로 일정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선별봉(200) 간의 간격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별봉(20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선별봉(200)이 관통하는 베어링(410)이 내측에 구비되는 베어링케이스(400)가 마련되고, 각 베어링케이스(400)는 볼트 형태로 형성된 고정핀(10)과 너트에 의해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에는 고정핀(10)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어링케이스(400)를 하우징(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바(600)가 하우징(100)의 전단과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바(600)에는 일 예로,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기준홀(610)과 가이드홀(62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기준홀(610)에는 하우징(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면서 스크류(210)가 형성되지 않은 선별봉(200)이 끼워지는 베어링케이스(400)에 결합된 고정핀(10)이 끼워지고, 가이드홀(620)에는 스크류(210)가 형성된 나머지 선별봉(200)에 결합된 고정핀(10)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홀(620)은 하우징(100)의 폭 방향, 즉 가이드바(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이루면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별봉(200)의 간격을 조절시, 스크류(210)가 형성되지 않은 선별봉(200)을 기준으로 하여, 고정핀(10)을 고정시키는 너트의 체결만을 해제한 후, 고정핀(10)이 결합된 상태로 베어링케이스(400)를 가이드바(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바, 선별봉(20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선별봉(200) 간의 간격을 조절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바(600)가 형성된 하우징(100)에 선별봉(200)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시킴에 있어, 복수 개의 선별봉(200)이 일정 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베어링케이스(40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10)이 끼워지는 고정홀(510)이 관통형성된 고정바(5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바(500)는 고정홀(510) 간의 간격이 각각 다르게끔 복수 개가 구비된다. 즉, 일 고정바(500)에 형성된 고정홀(510) 간의 간격은 10cm로 형성되고, 타 고정바(500)에 형성된 고정홀(510) 간의 간격은 10.2cm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수산물을 선별하는 사용자는 수요자가 원하는 수산물의 크기에 따라 고정바(500)를 교체하고 베어링케이스(40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선별봉(200) 간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가이드롤러(3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기어(310)가 구비된 하우징(100)의 단부에는 간격조절바(700)가 구비될 수 있다.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간격조절바(700)에는 가이드롤러(340)가 구비되는 지점마다 간격조절홀(7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롤러(340)는 회전축핀과 너트를 통해 간격조절바(700)에 회전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간격조절홀(710)은 교체가능한 복수 개의 고정바(500)에 형성된 고정홀(510) 간의 간격을 고려하여 가이드롤러(340)를 간격조절바(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간격조절홀(710)은 기준이 되는 지점에서 멀어질수록 그 길이가 길게끔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별봉(200) 간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으면서 간격 변경시 선별봉(200)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끔 손쉽게 배치할 수 있으면서, 간격이 변경된 선별봉(200)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수요자가 원하는 상품성 있는 수산물이 크기에 따라 선별되도록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10 : 고정핀
100 : 하우징
200(200a, 200b) : 선별봉 210 : 스크류
310 : 타이밍기어 320 : 주타이밍기어
330 : 타이밍벨트 340 : 가이드롤러
350 : 모터
400 : 베어링케이스 410 : 베어링
500 : 고정바 510 : 고정홀
600 : 가이드바 610 : 기준홀
620 : 가이드홀
700 : 간격조절바 710 : 간격조절홀

Claims (5)

  1. 상하가 개방된 틀 형태를 이루며 수산물이 전단으로 투입되어 후단으로 배출되는 하우징(100);
    봉 형태를 이루면서 하우징(10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하우징(100)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수산물보다 크기가 작은 수산물이나 슬러지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선별봉(2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선별봉(200a)을 제외한 나머지 선별봉(200b)에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스크류(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선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선별봉(200)은 하우징(100)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지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선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선별봉(200)은 각각 일단에 선별봉(200)이 일체로 회전되게끔 타이밍기어(310)가 구비되되,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기어(310)는 타이밍벨트(330)에 맞물리며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선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타이밍기어(310)의 사이에는 타이밍기어(310)의 하측에 맞물리는 타이밍벨트(330)의 외측과 맞닿으며 회전가능하게 가이드롤러(340)가 구비되어,
    상기 타이밍기어(310)의 하측에서 맞물리는 타이밍벨트(330)는 물결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선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봉(200)이 관통하는 베어링(410)이 내측에 구비되는 베어링케이스(400)가 선별봉(20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마련되며, 각 베어링케이스(40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10)이 끼워지는 고정홀(510)이 관통형성된 고정바(5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홀(510) 간의 간격이 각각 달리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바(500)가 마련되어, 수요자가 원하는 수산물의 크기에 따라 고정바(500)를 교체하고 베어링케이스(40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선별기.
KR1020200063093A 2020-05-26 2020-05-26 수산물선별기 KR10248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93A KR102480371B1 (ko) 2020-05-26 2020-05-26 수산물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93A KR102480371B1 (ko) 2020-05-26 2020-05-26 수산물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073A true KR20210146073A (ko) 2021-12-03
KR102480371B1 KR102480371B1 (ko) 2022-12-22

Family

ID=7886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093A KR102480371B1 (ko) 2020-05-26 2020-05-26 수산물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0899A (zh) * 2022-09-20 2022-11-18 四川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青虾快速称量分拣装置与分拣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05B1 (ko) * 2004-08-04 2005-01-13 김윤호 측방향으로 진동하는 로라선별기
KR100465404B1 (ko) * 2004-08-02 2005-01-13 김윤호 로라선별기
KR100777970B1 (ko) * 2007-02-05 2007-11-28 김윤호 어류 선별기
KR20130004418A (ko) * 2011-07-02 2013-01-10 김정명 간격조절이 가능한 멍게 선별기
KR20170114328A (ko) 2016-04-04 2017-10-16 김정명 멍게선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04B1 (ko) * 2004-08-02 2005-01-13 김윤호 로라선별기
KR100465405B1 (ko) * 2004-08-04 2005-01-13 김윤호 측방향으로 진동하는 로라선별기
KR100777970B1 (ko) * 2007-02-05 2007-11-28 김윤호 어류 선별기
KR20130004418A (ko) * 2011-07-02 2013-01-10 김정명 간격조절이 가능한 멍게 선별기
KR20170114328A (ko) 2016-04-04 2017-10-16 김정명 멍게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0899A (zh) * 2022-09-20 2022-11-18 四川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青虾快速称量分拣装置与分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371B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64649A1 (en) Method for separating the shell from seeds or fruit, sifting device, and selection device
KR200427484Y1 (ko) 콩 선별기
US10112780B2 (en) Flexible and adjustable roller scrapers
KR101759450B1 (ko) 원통형 선별기
KR20210146073A (ko) 수산물선별기
CN107999375B (zh) 肠形动物自动筛选剖切装置
KR20150078718A (ko) 농산물 선별기
US20220132873A1 (en) Apparatus for tearing meat
AU731972B2 (en) Finish topping machine for bulb crops
DE69817196T2 (de) Apparat zum sortieren von gegenständen wie fische
KR100879609B1 (ko) 장어 선별기
KR102016099B1 (ko) 수산물 개체 분리장치
US8162150B2 (en) Seafood grading apparatus
EP3533525B1 (en) Waste separation device
KR101430146B1 (ko) 과일 선별기
KR101363983B1 (ko) 블루베리 선별기
KR20060091088A (ko) 생새우의 선별장치
KR20120140507A (ko) 피잣 선별장치
CN111804597A (zh) 水果大小分选设备
US20090090255A1 (en) Agricultural product peeling apparatus
JPH0551124A (ja) 選別装置の供給装置
KR101448430B1 (ko) 농산물 선별장치에 적용되는 선별판가이드
KR20100115420A (ko) 갈치선별기
KR101004682B1 (ko) 형상식별 과일 선별장치
KR102614035B1 (ko) 롤러 확장형 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