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2Y1 - 조선기 - Google Patents

조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2Y1
KR200300902Y1 KR20-2002-0028712U KR20020028712U KR200300902Y1 KR 200300902 Y1 KR200300902 Y1 KR 200300902Y1 KR 20020028712 U KR20020028712 U KR 20020028712U KR 200300902 Y1 KR200300902 Y1 KR 200300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hipbuilding
mesh
ne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혁
점 도 최
Original Assignee
점 도 최
최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점 도 최, 최우혁 filed Critical 점 도 최
Priority to KR20-2002-0028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Abstract

본 고안의 조선기는 조선공정에 이어 석발공정을 거친 벼를 현미기에 공급하여 현미기의 마찰롤을 보호하여 높은 제현율을 유지하며, 아울러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호퍼(9)로 투입되는 벼에 브로워(15)의 풍력을 가하여 비산되는 이물질을 1차 조선 배출시키는 제1 조선부(1); 1차 조선된 벼를 대, 소 메쉬 요동망(29, 31) 및 요동체(33)로 이물질을 2차 조선 배출시키고, 요동체(33)의 상측에서 대 메쉬 요동망(29)으로 공급되는 벼에 써레질을 가하도록 프레임(7)에 전, 후 축(55, 57)이 장착되고, 이 전, 후 축(55, 57)의 양측에 체인(59, 61)이 걸리며, 이 체인(59, 61)에 해로우(37)가 장착되는 제2 조선부(3); 2차 조선된 벼에 포함된 돌을 선별하는 석발부(5)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조선기 {rough stuff selecting machine}
본 고안은 조선기(粗選機)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곡된 벼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어서 돌을 제거하는 조선기에 관한 것이다.
미곡종합처리장치(RPC : rice processing complex)는 벼를 탈곡한 후 건조, 저장, 도정, 검사, 판매 등과 같은 제반과정의 작업을 개별 농가 단위로 처리하던 것을 대단위로 일괄 처리하게 하는 자동화 설비로서, 농촌 노동력 절감, 미곡손실 감소, 미곡유통 합리화, 미질 향상, 그리고 부산물 활용과 같은 순기능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 미곡종합처리장치에 의한 도정과정은 통상적으로 탈곡된 벼에서 검불이나 지푸라기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조선공정과, 이 조선공정에 이어 벼를 현미와 왕겨로 분리하는 제현공정(製玄工程)과, 이 제현공정에 이어 현미에 혼재되어 있는 돌을 제거하는 석발공정, 이 석발공정에 이어 현미를 백미와 겨로 분리하는 정미공정, 이 정미공정에 이어 백미에 혼재되어 있는 쇄미를 분리하는 쇄미(碎米)선별공정, 그리고 포장공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 일련의 도정과정을 위하여 미곡종합처리장치에는 상기 각 공정에 상응하는 기계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조선공정에는 조선기가, 제현공정에는 현미기가, 석발공정에는 석발기가, 정미공정에는 정미기가, 쇄미선별공정에는 쇄미선별기가, 그리고 포장공정에는 포장기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미곡종합처리장치에는 현미기를 사이에 두고 그 전후로 조선기와 석발기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이는 장치를 거대화시킨다. 또한 조선공정과 석발공정이 각각 별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현미기는 돌이 포함된 상태로 공급되는 벼를 제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현미기의 마찰롤은 벼에 포함된 돌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이 마찰롤의 표면이 손상되면 벼로부터 현미와 왕겨를 분리시키는 제현율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조선공정에 이어 석발공정을 거친 벼를 현미기에 공급하여 현미기의 마찰롤을 보호하고, 이로 인하여 현미기의 높은 제현율을 유지하며, 아울러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는 조선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조선기는 탈곡된 벼로부터 지푸라기 및 검불과 같은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1 조선부, 이 제1 조선부에서 선별된 벼로부터 벼보다 크기가 크거나 작은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2 조선부, 그리고 이 제2 조선부에서 선별된 벼로부터 돌을 선별하는 석발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조선부는 이물질과 함께 투입되는 벼를 안내하도록 장치의 상측에 형성되는 호퍼, 이 호퍼에 투입되는 벼를 감지하도록 호퍼의 내부 일측 벽에 구비되는 근접센서, 이 근접센서를 경유한 벼를 호퍼 내에서 확산시키도록 호퍼에 경사면으로 설치되는 확산판, 이렇게 확산된 벼에 풍력을 가하여 벼에 포함되어 있던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이물질들을 배출구로 비산 배출시키도록 확산판의 하측 호퍼 내에 설치되는 브로워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조선부는 제1 조선부를 통과한 벼에 포함된 크기가 비교적 큰 이물질을 선별하여 대 슈트로 배출시키도록 제1 조선부의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대 메쉬 요동망, 이 대 메쉬 요동망을 통과한 벼에 포함된 크기가 비교적 작은 이물질을 선별하여 소 슈트로 배출시키도록 대 메쉬 요동망의 하측에 같은 경사도로 설치되는 소 메쉬 요동망, 이 대 메쉬 요동망을 통과하여 소 메쉬 요동망에 걸린 벼를 하측으로 공급하고 대, 소 메쉬 요동망이 복층으로 배치되는 요동체, 이 요동체를 경사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요동시키도록 판 스프링으로 프레임에 지지되는 요동체에 링크 구조로 연결되는 요동체 구동모터, 이 요동체 구동모터에 의하여 요동하는 요동체의 상측에서 상기 대 메쉬 요동망으로 공급되는 요동체의 경사 방향으로 써레질하도록 프레임에 수평 상태로 장착된 전, 후 축, 이 전, 후 축의 양측에 걸린 체인, 이 체인에 장착되는 해로우, 및 이 해로우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탄성질의 날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석발부는 제2 조선부의 소 메쉬 요동망으로부터 공급되는 벼에 포함된 돌을 선별하도록 요동체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석발망, 이 석발망의 벼 배출구에 벼를 일시 저류시키도록 벼 배출구에 구비되는 턱, 이 석발망을 경사 방향으로 요동시키도록 프레임에 회전 구조로 장착된 축과 쇽 업소버로 현가되는 석발망에 링크 구조로 연결되는 석발망 구동모터, 이 석발망 구동모터에 의하여 석발망의 상측에 모여진 돌의 배출을 단속하도록 석발망의 돌 배출구에 배치되는 게이트, 이 게이트를 개폐 작동시키도록 게이트의 일측에 와이어로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및 이 게이트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선기의 전체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제2 조선부 해로우의 동력전달 사시도.
도 3a는 해로우 날의 다른 실시 예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제2 조선부 요동체의 동력전달 사시도.
도 5는 석발부의 동력전달 사시도.
도 5a는 벼 배출구에 턱이 구비된 석발망 아래의 기류 형성 단면도.
도 5b는 벼 배출구에 턱이 구비되지 않은 석발망 아래의 기류 형성 단면도.
도 6은 돌 배출구의 게이트 작동 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 제1, 2 조선부 5 : 석발부
7 : 프레임 9 : 호퍼
11 : 근접센서 13 : 확산판
15, 75 : 브로워 17 : 배출구
19, 63 : 모터 21, 47, 65, 87 : 벨트
23 : 흡기구 25 : 거름망
27 : 출구 29, 31 : 대, 소 메쉬 요동망
33 : 요동체 35 : 요동체 구동모터
37 : 해로우 39, 41 : 대, 소 슈트
43 : 판 스프링 45, 77, 79, 85 : 축
49, 89 : 편심판 51, 91 : 브래킷
53, 93 :링크 55, 57 : 전, 후 축
59, 61 : 체인 67 : 석발망
67a : 구멍 67b : 벼 배출구
67c : 턱 67d : 돌 배출구
69 : 석발망 구동모터 71 : 게이트
73 : 솔레노이드 81, 83 : 쇽 업소버
95 : 와이어 97 : 탄성부재
99, 101 : 상, 하부 플레이트 71a, 99a, 101a : 유도구
103 : 힌지 105 : 스프링 유도로
a, b, c : 화살표 방향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선기의 전체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1, 2 조선부(1, 3)와 석발부(5)가 프레임(7)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조선부(1)는 포장(圃場)에서 수확되어 건조기를 거친 벼로부터 지푸라기 및 검불과 같이 벼 낱알에 비하여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 조선부(1)에는 풍력과, 벼와 이물질의 중량 차이를 이용한 선별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제2 조선부(3)는 제1 조선부(1)에서 1차 선별된 벼로부터 벼 낱알의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 조선부(3)에는 메쉬와, 벼 및 이물질의 직경 차이를 이용한 선별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석발부(5)는 제1, 2 조선부(1, 3)를 거치면서 2회 선별된 벼로부터 벼와 비교하여 중량이 무거운 돌을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석발부(3)에는 경사 및 벼와 돌의 중량 차이를 이용한 선별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선부(1)는 호퍼(9), 근접센서(11), 확산판(13) 그리고 브로워(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호퍼(9)는 지푸라기 및 검불이 포함된 상태의 벼가 투입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 예의 조선기 상측으로 투입되는 벼를 안내할 수 있도록 프레임(7)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다.
근접센서(11)는 호퍼(9)로 투입되는 벼를 감지하여 일정 양의 벼가 연속적으로 투입될 때 조선기 전체를 계속 작동시키고, 일정 양 이하의 벼가 투입되거나 벼가 투입되지 않을 때 조선기를 전체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호퍼(9)의 내부일측 벽에 구비되어 있다. 이 근접센서(11)의 감지신호에 따라 이하에 열거되는 각종 모터들이 작동 및 정지 제어된다. 이 근접센서(11)에 의하여 감지되는 벼는 호퍼(9) 안으로 유도된다.
확산판(13)은 유도되는 벼가 제2 조선부(3)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호퍼(9) 내에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하단 상호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양쪽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확산판(13)은 ∧와 같은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 확산판(13)에 의하여 확산된 벼는 브로워(15)에 의한 풍력을 받게 된다.
이 브로워(15)는 확산된 벼에 풍력을 가하여 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즉 크기가 벼의 크기보다 크고 중량이 벼의 중량보다 가벼운 이물질을 배출구(17)로 비산 배출시키는 풍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브로워(15)는 모터(19)의 회전력을 이용하도록 벨트(21)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 브로워(15)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된 풍력에 의하여 흡기구(23)를 통하여 배출구(17)로 기류가 형성된다. 이 기류에 위치하게 되는 흡기구(23)와 배출구(17)는 호퍼(19)의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거름망(25)에 의하여 상호 격리되어 있다. 즉 이 거름망(25)은 1차 조선의 대상인 지푸라기 및 검불과 같은 이물질이 2차 조선부(3)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브로워(15)에 의한 풍력은 벼 낱알이 거름망(25)을 통하여 하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이물질만을 배출구(17)로 배출시킬 수 있는 세기로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거름망(25)은 벼 낱알이 저항 없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메쉬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배출구(17)에 조절판(미도시)을설치하여 배출구(17)의 개도를 제어함으로서, 흡기구(23)에서 배출구(17)로 형성되는 풍력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 제1 조선부(1)에 의하여 1차 조선된 벼는 호퍼(9)의 출구(27)를 통하여 제1 조선부(1) 하측에 구비되는 제2 조선부(3)로 공급된다.
도 1, 2 및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선부(3)는 대 메쉬 요동망(29), 소 메쉬 요동망(31), 요동체(33), 요동체 구동모터(35), 그리고 해로우(37)로 구성되어 있다.
이 대 메쉬 요동망(29)은 제1 조선부(1)를 통과하면서 1차 조선된 벼에 포함되어 있는 벼 낱알의 크기보다 큰 이물질을 선별하여 대 슈트(39)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대 메쉬 요동망(29)은 벼 낱알과 벼 낱알의 크기보다 작은 이물질을 통과시키고 벼 낱알보다 크기가 큰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도록 소 메쉬 요동망(3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메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대 메쉬 요동망(29)은 이물질의 선별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즉 대 메쉬 요동망(29)은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대 메쉬 요동망(29)의 하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동일 내지는 유사하게 경사진 소 메쉬 요동망(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소 메쉬 요동망(31)은 대 메쉬 요동망(29)을 통과한 벼에 포함된 비교적 작은 이물질을 통과시키고 벼를 선별하여 석발부(5)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소 메쉬 요동망(31)은 벼 낱알의 크기보다 작은 이물질을 통과시키고 벼 낱알및 이 벼 낱알의 크기와 비슷한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도록 대 메쉬 요동망(29)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메쉬로 형성되어 있다.
요동체(33)는 그 내측에 상기한 대, 소 메쉬 요동망(29, 31)을 복층으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요동체(33)는 소 메쉬 요동망(31)을 통과한 벼에 포함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받아서 소 슈트(41)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요동체(33)는 대, 소 메쉬 요동망(31, 33)을 일체로 요동시키도록 판 스프링(43)을 개재하여 프레임(7)에 수직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43)은 특수 열처리되어 유연한 성질을 가지므로 요동체(33)의 진동을 원활하게 한다. 즉 이 요동체(33)는 도 3, 및 도 4에서 화살표 방향(a), 즉 요동체(33)의 경사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링크 구조로 요동체 구동모터(35)에 연결되어 있다. 화살표 방향(a)으로의 요동체(33) 진동은 요동체(33)의 경사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진행되므로 큰 이물질은 물론이고 작은 이물질까지 선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대 메쉬 요동망(31)은 종래의 메쉬 요동망(미도시)보다 적은 메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요동체 구동모터(35)는 프레임(7)에 장착된 축(45)을 회전시키도록 벨트(47)로 연결되어 있다. 이 축(45)의 회전으로 축(45)의 양단에 구비된 편심판(49)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 편심판(49)에 편심 상태로 그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요동체(33)의 브래킷(51)에 연결되는 링크(53)는 편심판(49)의 회전 동력을 요동체(33)의 화살표 방향(a)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이 요동체(33)의 화살표 방향(a) 요동으로 요동체(33)에 내장된 대, 소 메쉬요동망(29, 31)은 일체로 요동되면서 2차 조선공정을 실현하게 된다. 이 2차 조선공정에서 곡물의 처리량을 늘리기 위하여 축(45)에 밸런스 웨이트(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곡물의 처리량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밸런스 웨이트를 조립식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2차 조선공정이 보다 원활히 진행되도록 해로우(37)는 대 메쉬 요동망(29)에 공급되는 벼를 경사진 하측에서 상측으로 써레질을 하게 된다.
이 해로우(37)는 상기 요동체(33)의 작동과 별도로 작동되도록 요동체(33)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해로우(37)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b)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로우(39)는 프레임(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전, 후 축(55, 57)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체인(59, 61)에 요동체(33)의 요동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해로우(37)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체인(59, 61)에 등거리를 유지하면서 3개로 구비되어 있다. 이 해로우(37)는 체인(59, 61)의 구동에 따라 써레질하면서 진행하게 되는 화살표 방향(b)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전 축(55)에 구비된 모터(63)의 구동력이 벨트(65)에 의하여 전달됨으로서 체인(59, 61)에 설치된 해로우(37)는 화살표 방향(b)으로 진행되면서 요동체(33)의 대 메쉬 요동망(29)에 공급되는 벼에 써레질을 가하게 된다.
이 해로우(37)의 날(37a)은 대 메쉬 요동망(29)과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대 메쉬 요동망(29)을 보호할 수 있도록 탄성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날(37a)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 환봉으로 형성되어 대 메쉬 요동망(29)으로부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즉 환봉 날(37a)은 고정부재(37b)와 분해 결합이 가능한 볼트(37c)에 의하여 해로우(37)에 장착되어 있다.
이 제2 조선부(3)에 의하여 2차 조선된 벼는 소 메쉬 요동망(31)을 통하여 석발부(5)로 공급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발부(5)는 석발망(67), 석발망 구동모터(69), 게이트(71), 그리고 솔레노이드(7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석발망(67)은 제2 조선부(3)의 소 메쉬 요동망(31)으로부터 공급되는 벼에 포함되어 있는 돌을 선별하도록 요동체(33)의 하측에 요동체(33)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석발망(67)의 하측에 제공되는 브로워(75)에서 발생된 풍력이 벼 낱알에 작용하도록 석발망(67)의 표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구멍(6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석발망(67)은 브로워(75)의 풍력을 받는 것과 별도로 상기 석발망 구동모터(69)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c)으로 직선 왕복 요동되도록 프레임(7)에 설치되어 있다. 즉 축(77, 79)이 프레임(7)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 이 축(77, 79)과 석발망(67)은 쇽 업소버(81, 83)로 연결되어 있다. 이 쇽 업소버(81, 83)는 석발망(67)이 경사 방향, 즉 화살표 방향(c)으로 요동될 때 그 길이가 신축되면서 석발망(67)과 프레임(7) 간의 거리 변화를 흡수함으로서 석발망(67)의 원활한 요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석발망(67)이 화살표 방향(c)으로 요동하도록 석발망(67)의 양측은 링크 구조로 석발망 구동모터(69)에 연결되어 있다.
이 석발망 구동모터(69)는 프레임(7)에 장착된 축(85)을 회전시키도록 벨트(87)로 연결되어 있다. 이 축(85)의 회전으로 축(85)의 양단에 구비된 편심판(89)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 편심판(89)에 편심된 상태로 그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석발망(67)의 브래킷(91)에 연결되는 링크(93)는 편심판(89)의 회전 동력을 석발망(67)의 화살표 방향(c)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이 석발망 구동모터(69)에 의한 석발망(67)의 요동과 별도로, 상기 브로워(75)는 석발망(67)의 하측에서 기류를 발생시킨다.
이 브로워(75)의 구동으로 발생된 기류는 석발망(67)의 구멍(67a)을 통하여 벼 낱알에 작용된다. 따라서 돌에 비하여 중량이 가벼운 벼는 풍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날린 후 떨어지면서 석발망(67)의 하측으로 유도되어 벼 배출구(67b) 측으로 공급되어 턱(67c)에서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량이 무거운 돌은 석발망(67)의 요동 작용에 의하여 상측으로 계속 유도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벼 배출구(67b)에 턱(67c)이 형성된 경우 벼 배출구(67b)의 턱(67c) 부분에 벼 낱알(p)이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따라서 브로워(75)에서 발생된 기류는 벼 배출구(67b)의 턱(67c) 부분에 저류된 벼 낱알(p)을 석발망(67)으로부터 띄우지 못하게 되어 그 방향을 석발망(67)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전환하면서 풍력의 손실을 줄이게 되어 무거운 돌에서부터 가볍고 직경이 작은 모래까지 석발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비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벼 배출구(67b)에 턱(67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브로워(75)에서 발생된 기류는 석발망(67)의 벼 배출구(67b) 부분에서 벼 낱알(p)을 석발망(67)으로부터 띄우게 되고 따라서 가벼운 돌 및 모래에 강한 기류가 작용하여 이 돌 및 모래를 석발망(67)으로부터 띄우게 되어 기류의 일부만 방향이 석발망(67)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환되어 풍력의 손실을 발생시키게 되어 무거운 돌만 석발할 수 있게 한다. 양자의 비교에서 도 5b의 종래의 석발망(67)에 비하여 도 5a의 턱(67c)이 구비된 석발망(67)이 보다 높은 석발 효율을 가지게 된다.
또한, 브로워(75)는 상기 근접센서(11)의 감지 신호에 따라 온, 오프 작동된다. 즉 근접센서(11)에 의하여 벼가 투입되지 않는 것이 감지되면 브로워(75)는 정지되어 기류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석발망(67)의 잔량 벼는 비산되지 않게 된다.
이 석발망(67)의 상측에는 돌 배출구(67d)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 배출구(67)의 하측에 게이트(71)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게이트(71)는 와이어(95)로 연결되는 상기 솔레노이드(73)의 작동력과 이에 저항하는 탄성부재(97)의 인장력에 의하여 실선 상태와 가상선 상태의 선회 작동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이는 솔레노이드(73)를 일정 시간마다 온/오프 작동시킴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 솔레노이드(73)는 기존에 게이트(71)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불편과, 수동 개폐 시, 개폐 타이밍의 지연으로 벼에 돌이 섞이게 되는 폐단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 돌 배출구(67d)를 개폐시키도록 게이트(71)에는 석발망(67)의 돌 배출구(67d)와 일치되는 유도구(71a)가 구비되어 있다. 또 이 게이트(71)의 상, 하측에 는 상, 하 플레이트(99, 101)가 제공되어 있다. 이 상, 하부 플레이트(99,101)에는 상기 유도구(71a)에 대응하는 각각의 유도구(99a, 101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71)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상, 하부 플레이트(99, 101)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개재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99)는 석발망(67)에 장착되고, 하부 플레이트(101)는 이 상부 플레이트(99) 하측에 게이트(71)와 함께 힌지(103)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73)와 탄성부재(97)의 상호 작용력의 세기에 따라 게이트(71)는 상, 하부 플레이트(99, 101) 사이에서 원활하게 선회 작동되면서 돌 배출구(67d)를 개폐시키게 된다.
이 돌 배출구(67d)가 개방되면 석발망(67)의 상측에 모여있던 돌들은 돌 배출구(67)와 상, 하부 플레이트(99, 101) 및 게이트(71)에 형성된 유도구(99a, 101a, 71a)를 통하여 하부 플레이트(101)의 유도구(101a)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 유도로(105)로 안내 배출된다.
이 석발부(5)에 의하여 석발된 벼는 이물질과 돌이 제거된 상태로 현미기(미도시)에 공급되어 제현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선기는 제1, 2 조선부를 구비하고 이 제2 조선부의 하측에 석발부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서, 조선기와 석발기가 별도로 구비된 종래기술에 비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고, 1, 2차 조선공정에 이어 석발공정을 거친 벼를 현미기로 공급함으로서, 석발공정을 거치지 않은 벼를 현미기에 공급하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기기의 마찰롤이 돌에 의하여 마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선기에서 벼를 공급받는 현미기는 지속적으로 높은 제현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호퍼(9)로 투입되어 근접센서(11)에 의하여 감지되는 벼에 브로워(15)의 풍력을 가하여 비산되는 이물질을 배출구(17)로 1차 배출시키는 제1 조선부(1),
    상기 제1 조선부(1)에서 1차 조선된 벼를 2차 조선하도록 대, 소 메쉬 요동망(29, 31)이 경사진 요동체(33) 내부에 복층으로 장착되고, 상기 요동체(33)가 판 스프링(41)을 개재하여 프레임(7)에 장착되며, 상기 요동체(33)가 요동체 구동모터(35)에 연결되고, 상기 요동체(33)의 상측에서 대 메쉬 요동망(29)으로 공급되는 벼에 써레질을 가하고 써레질의 방향이 요동체(33)의 요동 방향에 직각을 이루도록 전, 후 축(55, 57)이 프레임(7)에 수평 상태로 장착되어 모터(63)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전, 후 축(55, 57)의 양단에 걸린 체인(59, 61)이 걸리고, 상기 체인(59, 61)에 해로우(37)가 장착되며, 상기 해로우(37)에 탄성체로 형성된 날(37a)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조선부(3),
    상기 제2 조선부(3)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2 조선부(3)로부터 공급되는 벼에 포함되는 돌을 선별하도록 제2 조선부(3)의 소 메쉬 요동망(31)으로부터 공급되는 벼에 포함된 돌을 선별하도록 요동체(33)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석발망(67), 상기 석발망(67)의 벼 배출구(67b)에 벼를 일시 저류시키도록 벼 배출구(67b)에 장착되는 턱(67c), 상기 석발망(67)을 경사 방향으로 요동시키도록 프레임(7)에 회전 구조로 장착된 축(77, 79)과 쇽 업소버(81, 83)로 현가되는 석발망(67)에 링크 구조로 연결되는 석발망 구동모터(69), 상기 석발망 구동모터(69)에의하여 석발망(67)의 상측에 모여진 돌의 배출을 단속시키도록 석발망(67)의 돌 배출구(67d)에 배치되는 게이트(71), 상기 게이트(71)를 선회 개폐시키도록 게이트(71)의 일측에 와이어(95)로 연결되는 솔레노이드(73), 및 상기 와이어(95)의 대향측 게이트(71)에 연결되는 탄성부재(97)로 구성되는 석발부(5)를 포함하는 조선기.
KR20-2002-0028712U 2002-09-25 2002-09-25 조선기 KR200300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12U KR200300902Y1 (ko) 2002-09-25 2002-09-25 조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712U KR200300902Y1 (ko) 2002-09-25 2002-09-25 조선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114A Division KR100461459B1 (ko) 2002-09-25 2002-09-25 조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2Y1 true KR200300902Y1 (ko) 2003-01-24

Family

ID=4932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712U KR200300902Y1 (ko) 2002-09-25 2002-09-25 조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4B1 (ko) * 2015-06-30 2016-02-02 (주)에이치엠티 에어진동 비중선별장치
KR20190004590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미래이앤지 석발기
KR20200104676A (ko) * 2019-02-27 2020-09-04 배근혁 곡류의 연속적 정선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4B1 (ko) * 2015-06-30 2016-02-02 (주)에이치엠티 에어진동 비중선별장치
WO2017003242A1 (ko) * 2015-06-30 2017-01-05 (주)에이치엠티 에어진동 비중선별장치
KR20190004590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미래이앤지 석발기
KR101988351B1 (ko) * 2017-07-04 2019-09-30 주식회사미래이앤지 석발기
KR20200104676A (ko) * 2019-02-27 2020-09-04 배근혁 곡류의 연속적 정선장치
KR102208447B1 (ko) * 2019-02-27 2021-01-27 배근혁 곡류의 연속적 정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9795B2 (ja) ウッド粒子用スクリーン
JP2949022B2 (ja)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KR100461459B1 (ko) 조선기
KR200300902Y1 (ko) 조선기
CN107670749A (zh) 一种稻谷去壳装置
KR200416455Y1 (ko) 곡물탈곡기
TW558415B (en) Screening equipment for combine and second treatment apparatus
KR100453918B1 (ko) 입도 선별장치
KR200387178Y1 (ko) 쇄미 선별 제거장치
JP2831927B2 (ja)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SE508125C2 (sv) Anordning för rening och sortering av spannmål med roterande sikttrummor
KR100621480B1 (ko) 쇄미 선별 제거장치
JP2003265025A (ja) 搭載用脱穀機の揺動選別装置
JPH05219824A (ja) 脱穀選別装置
KR860000571Y1 (ko)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KR20190009507A (ko) 나락 생산장치
KR19990021950U (ko) 집진조선기
JPH078101A (ja) 脱穀装置
JP3014191U (ja) 全自動もやし脱穀断根機
US1246108A (en) Machine for separating meats of cotton-seed from the hulls.
JPH0870685A (ja)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US684855A (en) Grain-separating machine.
US392713A (en) Fanning-mill
JP2001269047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装置
JPH081642Y2 (ja) 脱穀機における圧風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