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571Y1 -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 Google Patents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571Y1
KR860000571Y1 KR2019830001794U KR830001794U KR860000571Y1 KR 860000571 Y1 KR860000571 Y1 KR 860000571Y1 KR 2019830001794 U KR2019830001794 U KR 2019830001794U KR 830001794 U KR830001794 U KR 830001794U KR 860000571 Y1 KR860000571 Y1 KR 860000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shaft
stone
weigh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898U (ko
Inventor
배영배
Original Assignee
배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배 filed Critical 배영배
Priority to KR2019830001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571Y1/ko
Publication of KR8400048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8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5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예시한 일부 절개 예시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 예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돌배출구 2 : 곡물배출구
3 : 석발채 4 : 석발기
4' : 벼유입구 5 : 축핀
6 : 스프링 7 : 요동함체
7' : 낙하구 8 : 투입구
9 : 요동선별채 9' : 요동탄성간
10 : 선별변 10' : 선별변의 축
11 : 나사봉 11' : 추
12 : 수집통 12' : 대형잡물 및 돌배출구
13 : 흡입관체 13' : 입구
13" : 낙하구 14 : 흡인풍구
14' : 검불배출구 15 : 풍구축
16 : 소형탈곡드럼 17, 17' : 축핀의 축수
18 : 스프링지지축
본 고안은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석발기상에 나락탈곡장치와 대형돌과 잡물을 선별할 수 있는 보조선별 장치를 설치하여 탈곡된 벼를 정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석발기는 통상 탈곡된 벼 또는 탈피된 알곡중의 소형돌을 석발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으나, 탈곡 직후의 수집된 벼에는 대형돌이나 잡물, 미쳐 벼가 털리지 않고 이삭상태로 남은 것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삭이나 크기가 큰 잡물과 돌은 별도로 선별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같은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단 탈곡된 벼에서 나락이나 기타 대형잡물과 돌을 별도로 정선하지 않고 직접 석발기에 투입시키면 요동 선별장치에서 벼는 선별되어 석발채로 떨어지고 대형돌과 중량이 무거운 잡물은 중량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개폐변을 지날때 하락하여 선별된 후 배출되고 나락이나 검불은 나락탈곡실에서 탈곡 내지는 분쇄되어 탈곡된 벼는 석발채로 떨어져 종래방법으로 석발되고 검불은 분쇄되어 먼지와 함께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후 배출되도록 한 장치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에 돌배출구(1)가 설치되고 하부에 곡물배출구(2)가 형성된 석발채(3)가 요동되어 석발되는 공지의 석발기(4)에 있어서 그 상부에 일측 하부가 축핀(5)으로 지지되고 타측은 스프링(6)으로 완충되게 받쳐진 요동함체(7)를 설치하되 일측 상부의 투입구(8) 하부에는 경사지게 요동탄성간(9')을 조밀하게 평면적으로 설치하여 요동선별채(9)를 설치하고 그 하단에는 곧 이어서 상단이 축(10')으로 지지된 선별변(10)을 설치하되 그 축(10')에는 일측에 교차되게 나사봉(11)을 착설하고 이에 추(11')를 나사식으로 끼워 그 중량에 의해 선별변(1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하며, 요동선별채(9)와 비슷한 경사로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탈곡된 벼보다 무거운 잡물이나 돌이 지날 때에는 하부로 기울어져 돌이나 잡물이 하부의 수집통(12)으로 하락하도록 하며, 그 하단에는 선별변(10) 하단쪽에 입구(13')가 뚫어 설치되고 하부에 낙하구(13")가 뚫어 설치된 흡인관체(13)를 설치하며, 일단에는 검불배출구(14')가 형성된 흡인풍구(14)를 착설하고 그 풍구축(15)을 흡인관체(13) 내부 중심으로 연장하여 이에 소형 탈곡드럼(16)을 축으로 설치한 장치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는 벼유입구, 7'는 낙하구, 12'는 대형잡물 및 돌배출구, 17, 17'는 축핀(5)의 축수, 18은 스프링지지축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탈곡후 나락, 잡물 또는 대형돌이 섞인 벼를 투입구(8)에 투입시키면 석발채(3)의 요동으로 석발기 전체에 전달되는 충격이 요동함체(7)에 전달되어 요동함체(7)는 일측 축핀(5)을 기점으로 요동되고 따라서 투입구(8)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한 요동선별채(9)의 요동탄성간(9')이 떨려 이를 지나는 벼의 요동탄성간(9') 사이로 떨어져 낙하구(7')에서 벼 유입구(4')를 통해 석발채(3)로 공급되고 이삭, 검불, 기타 대형잡물과 돌은 선별변(10)을 통과한다.
이때 선별변(10)은 그 축(10') 일단에 착설된 나사봉(11)의 추(11') 무게에 의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벼보다 무거운 잡물이나 돌이 지나면 가해진 중량에 의해 선별변(10)은 기울어짐으로 이를 통과하던 잡물이 하부로 하락하여 수집통(12)에 수집된 후 대형잡물 및 돌배출구(12')로 배출되며, 선별변(10)을 통과한 이삭이나 검불은 입구(13')를 통해 흡인관체(13)에 공급된 후 소형탈곡드럼(16)의 회동으로 탈곡되면서 검불과 먼지는 풍구(14)의 흡인력으로 흡인되어 검불배출구(14')로 배출되고 탈곡된 벼는 낙하구(13")로 낙하한 후 벼유입구(4')에서 석발채(3)로 공급되어 석발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작용이므로 탈곡후 이삭이나 검불, 대형잡물과 돌을 별도로 선별하지 않고 투입구(8)에 투입시키므로서 이삭의 탈곡 및 잡물과 돌의 선별작업을 일시에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공지의 석발기(4)에 있어서 그 상부에 일측이 축핀(5)으로 축으로 지지되고 타단은 스프링(6)으로 받쳐진 요동함체(7)를 설치하여 그 투입구(8) 하부에 요동탄성간(9')을 조밀하고 경사지게 배열한 요동선별채(9)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선별변 축(10')에 설치된 추(11')의 중량에 의해 경사지게 선별변(10)을 설치하며, 그 하부에는 일단에 흡인풍구(14)가 착설되고 입구(13')와 낙하구(13")가 뚫어 설치된 흡인관체(13)를 설치하며, 내부에는 소형탈곡드럼(16)을 설치하여서 된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추(11')는 선별변(10)의 축(10') 일단에 나사봉(11)을 착설하여 이에 나사식으로 끼워 선별변(10)이 축(10')을 기점으로 기복되게 한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KR2019830001794U 1983-03-02 1983-03-02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KR8600005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794U KR860000571Y1 (ko) 1983-03-02 1983-03-02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794U KR860000571Y1 (ko) 1983-03-02 1983-03-02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898U KR840004898U (ko) 1984-10-10
KR860000571Y1 true KR860000571Y1 (ko) 1986-04-12

Family

ID=1922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794U KR860000571Y1 (ko) 1983-03-02 1983-03-02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5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898U (ko) 198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2125B1 (en) An arrangement in machines for separat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aerodynamic properties
JP2018118185A (ja) 粗選別機
US3701420A (en) Husker separator
KR860000571Y1 (ko)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KR20070006081A (ko) 진공식 왕겨풍구 석발기
JP3491647B2 (ja) 石抜選別機
KR100461459B1 (ko) 조선기
SE508125C2 (sv) Anordning för rening och sortering av spannmål med roterande sikttrummor
JPH0636672Y2 (ja) 豆脱粒機の選別装置
KR102458453B1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KR200300902Y1 (ko) 조선기
JPH01284373A (ja) 選別機
US2074515A (en) Separator
KR200228942Y1 (ko) 곡물 선별기
JP2761810B2 (ja) 穀物選別装置
JP7408055B2 (ja) 籾摺選別機
JP2004016200A (ja) 脱穀装置
JP3220349B2 (ja) 縦型穀類選別機
JP2794615B2 (ja) 穀物選別装置
KR100290073B1 (ko) 폐기물의 선별 장치
JP2001275470A (ja) 脱穀装置
GB2135913A (en) Sorting method and machine
JP3453802B2 (ja) 籾摺選別機の除塵装置
JPS6218196Y2 (ko)
KR960007105Y1 (ko) 곡물선별용 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