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453B1 -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 Google Patents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453B1
KR102458453B1 KR1020200175679A KR20200175679A KR102458453B1 KR 102458453 B1 KR102458453 B1 KR 102458453B1 KR 1020200175679 A KR1020200175679 A KR 1020200175679A KR 20200175679 A KR20200175679 A KR 20200175679A KR 102458453 B1 KR102458453 B1 KR 10245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wind
stone
sorting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907A (ko
Inventor
박종률
박회만
김기영
이수장
양계훈
박혜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75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4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 투입된 곡물을 하부로 배출하고, 일면에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가 위치된 곡물 정선용 호퍼부,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 내로 바람을 불어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켜 이물질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정선용 송풍부,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하부 측에 연결되어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바람의 힘으로 이송시키는 송풍 이송관부, 상기 송풍 이송관부에 위치되어 상기 송풍 이송관부 내에 바람을 공급하는 이송용 송풍기를 포함하여 곡물의 정선 작업 후 정선된 곡물을 송풍 이송관을 통해 이송하여 곡물 내에 포함된 돌을 걸러낼 수 있는 석발기를 더 포함하여 정선처리된 곡물의 이송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GRAIN SELECTOR HAVING A STONE SEPARATOR}
본 발명은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들깨, 참깨, 벼, 보리, 콩, 팥 등의 곡물에는 지푸라기, 깜부기, 수절립(이삭에 붙은 줄기), 지경 부착립(가지 및 줄기), 흙, 모래흙, 먼지 및 작은 돌 등의 이물질이 다량 혼입된 상태이고, 미곡처리 전 그 이물질을 제거하고 낱알만 골라 정선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들깨, 참깨, 벼, 보리, 콩, 팥 등의 곡물의 정선 작업은 곡물 정선기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곡물 정선기는 탈곡된 곡물을 임시 저장하는 호퍼, 바람을 일으키는 날개, 날개가 설치된 둥근 날개통, 날개를 돌려주는 모터, 정선된 알곡이 배출되는 배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곡물 정선기는 탈곡한 곡물을 호퍼에 붙고 모터를 작동시키면 날개가 돌면서 일으키는 바람에 의해 호퍼에서 떨어지는 곡물에서 이물질은 날아가고 곡물은 배출구로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곡물 정선기는 정선된 곡물을 풍구의 날개와 날개를 고정하는 축, 날개를 돌리는 장치 등을 갖추어야 하고 이러한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날개통도 커져야 한다.
또한, 종래의 곡물 정선기는 날개를 돌리기 위해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가 추가 되어야 하므로 바람만 일으키는 단순한 기능에 비해 장치가 크고 구조도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곡물에는 크기와 모양이 주원료와 비슷하고 비중이 다른 돌 등의 이물질이 섞여 있을 수 있고, 이렇게 곡물과 크기와 모양이 유사한 돌 등의 이물질은 곡물 정선기를 이용해서 분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정선기를 통해 정선 처리된 곡물은 석발기를 통해 곡물에 포함된 크기와 모양이 주원료와 비슷하고 비중이 다른 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 등 또는 포장 작업을 위해 후가공 장소로 이송되어야 한다.
종래의 정선기는 정선 처리된 곡물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므로 다른 후가공 장소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정선기를 통해 정선 처리된 곡물은 석발기를 통해 곡물에 포함된 크기와 모양이 주원료와 비슷하고 비중이 다른 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석발기를 이용해야 하므로 곡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01947호 "곡물정선기"(2000년1월25일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풍구보다 크기가 작고 구조가 단순환 새로운 방식의 풍구를 적용하여 들깨 등과 같이 크기가 작고 가벼운 곡물에도 폭넓게 사용이 가능하며, 곡물의 정선 작업 후 정선된 곡물을 송풍 이송관을 통해 이송하여 정선처리된 곡물의 이송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곡물의 정선 작업 후 정선된 곡물을 송풍 이송관을 통해 석발기로 바로 이송하여 곡물에 포함된 크기와 모양이 주원료와 비슷하고 비중이 다른 돌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는 상부로 투입된 곡물을 하부로 배출하고, 일면에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가 위치된 곡물 정선용 호퍼부,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 내로 바람을 불어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켜 이물질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정선용 송풍부,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하부 측에 연결되어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바람의 힘으로 이송시키는 송풍 이송관부, 상기 송풍 이송관부에 위치되어 상기 송풍 이송관부 내에 바람을 공급하는 이송용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선용 송풍부는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내부에서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폭방향으로 길게 위치되고 공기를 배출시키는 풍구가 구비된 바람 저장통부재,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외부에 장착되며 상기 바람 저장통부재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정선용 송풍기 및 상기 바람 저장통부재의 풍구에 장착되어 바람을 배출하는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풍구는 상기 바람 저장통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슬릿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는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배출구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람 저장통부재에는 내부의 바람을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바람 배출량 조절관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바람 배출량 조절관부재에는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바람 배출량 조절밸브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 이송관부는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곡물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하부 측에 가로로 위치되는 제1수평 이송관부재, 상기 제1수평 이송관부재의 단부 측에서 세워져 연결되는 제1수직 이송관부재, 상기 제1수직 이송관부재의 상단 측에서 가로로 위치되는 제2수평 이송관부재 및 상기 제2수평 이송관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출구가 하부로 위치되도록 세워져 연결되는 제2수직 이송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 이송관부는 상기 제2수직 이송관부재에 연결되고, 메쉬망으로 제작된 메쉬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 이송관부는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곡물 배출부와 상기 제1수평 이송관부재를 연결하는 배출 연결관부재 및 상기 배출 연결관부재에 위치되는 곡물 배출량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는 상기 송풍 이송관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전달받아 곡물 내에 포함된 돌을 걸러낼 수 있는 석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발기는 상기 송풍 이송관부로부터 곡물을 전달받는 석발기용 호퍼부, 상기 석발기용 호퍼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석발기용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올려지며 곡물 내에 포함된 돌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석발부 및 상기 석발기용 호퍼부, 석발부가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석발부는 표면이 오목하고 작은 구멍이 여러 개 뚫린 다공요철판부재,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의 상부로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의 밑에서 위로 바람을 불어주는 석발용 송풍기 및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에서 분리된 돌을 배출하는 돌배출호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석발부는 상기 다공요철판부재가 장착되고 일단부 측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판부재 및 상기 회전판부재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울기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세워져 고정되고 상기 회전판부재의 타단부 측을 관통하여 위치되는 기울기 조절용 볼트부재, 상기 기울기 조절용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너트부재 및 상기 기울기 조절용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물의 정선 작업 후 정선된 곡물을 송풍 이송관을 통해 이송하여 정선처리된 곡물의 이송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 풍구보다 크기가 작고 구조가 단순환 새로운 방식의 풍구를 적용하여 들깨 등과 같이 크기가 작고 가벼운 곡물에도 폭넓게 사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곡물의 정선 작업 후 정선된 곡물을 송풍 이송관을 통해 석발기로 바로 이송하여 곡물에 포함된 크기와 모양이 주원료와 비슷하고 비중이 다른 돌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곡물의 이물질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에서 송풍 이송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에서 정선용 송풍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경사 각도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에서 송풍 이송관부(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에서 정선용 송풍부(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부로 투입된 곡물을 하부로 배출하고, 일면에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120)가 위치된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를 포함한다.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는 상부에 곡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곡물 투입부가 위치되고, 하부에 정선 처리된 즉, 이물질이 제거된 곡물을 배출시키는 곡물 배출부가 위치된다.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의 내부에는 바람을 불어 곡물 투입부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정선용 송풍부(200)가 위치된다.
정선용 송풍부(200)는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의 내부에서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의 폭방향으로 길게 위치되고 공기를 배출시키는 풍구가 구비된 바람 저장통부재(210),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의 외부에 장착되며 바람 저장통부재(2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정선용 송풍기(220), 바람 저장통부재(210)의 풍구에 장착되어 바람을 배출하는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를 포함한다.
바람 저장통부재(210)는 송풍기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일시적으로 모아 저장한 후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를 통해 배출시킨다.
더 상세하게 정선용 송풍부(200)는 바람 저장통부재(210)에 연결되고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정선용 송풍팬부가 장착되는 공기 흡입용 연결관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풍구는 바람 저장통부재(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슬릿형태로 형성되고,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는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배출구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형상을 가진다.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는 입구보다 출구가 2배 넓은 사각 나팔 모양의 형상을 가지며 바람 저장통부재(210)에서 나오는 바람을 곡물로 유도하여 곡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에서 이물질 배출부(120)는 풍구 즉,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와 마주보게 위치된다.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는 경사지게 위치되어 내부에 투입되는 곡물을 바람 배출용 덕트부로 안내하는 곡물 이동 안내판부재(110)가 위치된다.
곡물 이동 안내판부재(110)는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의 곡물 투입부 측에 경사지게 위치되어 곡물 투입부로 투입되는 곡물이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의 출구를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 저장통부재(210)에는 내부의 바람을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의 외부로 배출시켜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바람 배출량 조절관부재(250)가 연결되고, 바람 배출량 조절관부재(250)에는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바람 배출량 조절밸브(260)가 위치된다.
정선용 송풍부(200)는 바람 배출량 조절관부재(250)의 개폐량을 바람 배출량 조절밸브(260)로 조절하여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일 실시예는 곡물의 종류에 따라 바람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의 하부에는 바람의 힘으로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이송하는 송풍 이송관부(300)가 위치된다.
송풍 이송관부(300)의 일단부 측에는 내부로 곡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바람을 공급하는 이송용 송풍기(400)가 위치된다.
송풍 이송관부(300)는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의 곡물 배출부에 연결되고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하부 측에 가로로 위치되는 제1수평 이송관부재(310), 제1수평 이송관부재(310)의 단부 측에서 세워져 연결되는 제1수직 이송관부재(320), 제1수직 이송관부재(320)의 상단 측에서 가로로 위치되는 제2수평 이송관부재(330), 제2수평 이송관부재(330)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출구가 하부로 위치되도록 세워져 연결되는 제2수직 이송관부재(340)를 포함한다.
송풍 이송관부(300)는 제2수직 이송관부재(340)에 연결되고, 메쉬망으로 제작된 메쉬관부재(350)를 더 포함하여 이물질과 송풍기에서 나온 바람이 메쉬망으로 통과되어 제거되고 곡물만 최종적으로 메쉬관부재(350)의 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송풍 이송관부(300)는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의 곡물 배출부와 제1수평 이송관부재(310)를 연결하는 배출 연결관부재(360), 배출 연결관부재(360)에 위치되는 곡물 배출량 조절 밸브(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물 배출량 조절 밸브(370)는 배출 연결관부재(360)의 곡물 배출 통로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정선 처리된 곡물의 배출량을 조절한다.
송풍 이송관부(300)는 곡물 배출량 조절 밸브(370)로 정선 처리된 곡물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이송되는 곡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송풍 이송관부(300)는 이송용 송풍기(400)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힘에 의해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에서 정선 처리되어 배출되는 곡물을 이송시켜 제2수직 이송관부재(340)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일 실시예는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 내로 곡물이 투입되면 곡물 이동 안내판부재(110)를 따라 곡물이 낙하되면서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의 앞쪽을 통과하게 되고,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에서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부(120)로 배출되면서 곡물 내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230)의 앞쪽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선 처리된 곡물은 송풍 이송관부(300) 내로 배출되어 송풍 이송관부(300) 내에 공급되는 바람의 힘에 의해 이송되어 송풍 이송관부(300)의 출구에서 배출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송풍 이송관부(300)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전달받아 곡물 내에 포함된 돌을 걸러낼 수 있는 석발기(500)를 더 포함한다.
석발기(500)는 송풍 이송관부(300)로부터 곡물을 전달받는 석발기용 호퍼부(510), 석발기용 호퍼부(51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석발기용 호퍼부(510)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올려지며 곡물 내에 포함된 돌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석발부(520)를 포함한다.
또한, 석발기(500)는 석발기용 호퍼부(510), 석발부(520)가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530), 프레임 구조체(530)의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주행 바퀴부(540)를 더 포함한다.
석발기(500)는 주행 바퀴부(540)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여 곡물의 석발 작업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석발부(520)는 표면이 오목하고 작은 구멍이 여러 개 뚫린 다공요철판부재(521), 다공요철판부재(521)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522), 다공요철판부재(521)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다공요철판부재(521)의 상부로 다공요철판부재(521)의 밑에서 위로 바람을 불어주는 석발용 송풍기(523), 다공요철판부재(521)에서 분리된 돌을 배출하는 돌배출호스부재(524)를 포함한다.
진동 발생부(522)는 진동 모터를 포함한 공지의 진동 발생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석발부(520)는 다공요철판부재(521)를 진동시켜 곡물 내의 돌을 걸러내서 돌배출호스부재(524)로 배출시키는 공지의 석발기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경사 각도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석발부(520)는 다공요철판부재(521)가 장착되고 일단부 측이 프레임 구조체(53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판부재(525), 회전판부재(525)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526)를 더 포함한다.
기울기 조절부(526)는 프레임 구조체(530)에 세워져 고정되고 회전판부재(525)의 타단부 측을 관통하여 위치되는 기울기 조절용 볼트부재(526a), 기울기 조절용 볼트부재(526a)에 체결되어 회전판부재(525)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너트부재(526b), 기울기 조절용 볼트부재(526a)에 체결되어 회전판부재(525)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 너트부재(526c)를 포함한다.
기울기 조절부(526)는 하부 너트부재(526b)와 상부 너트부재(526c)를 회전시켜 하부 너트와 상부 너트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회전판부재(525)의 타단부 측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공요철판부재(52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공요철판부재(521)는 곡물의 종류에 따라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어 곡물 내 돌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곡물은 곡물 정선용 호퍼부(100) 내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송풍 이송관부(300)을 통해 석발기용 호퍼부(510)로 투입되고, 다공요철판부재(521) 상으로 올려져 돌 등의 이물질이 2차적으로 제거된 후 기울어진 다공요철판부재(521)를 따라 이동되면서 배출된다.
본 발명은 곡물의 정선 작업 후 정선된 곡물을 송풍 이송관을 통해 이송하여 정선처리된 곡물의 이송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기존 풍구보다 크기가 작고 구조가 단순환 새로운 방식의 풍구를 적용하여 들깨 등과 같이 크기가 작고 가벼운 곡물에도 폭넓게 사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곡물의 정선 작업 후 정선된 곡물을 송풍 이송관을 통해 석발기(500)로 바로 이송하여 곡물에 포함된 크기와 모양이 주원료와 비슷하고 비중이 다른 돌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곡물의 이물질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곡물 정선용 호퍼부 110: 곡물 이동 안내판부재
120: 이물질 배출부 200: 정선용 송풍부
210: 바람 저장통부재 220: 정선용 송풍기
230: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 240: 공기 흡입용 연결관부재
250: 바람 배출량 조절관부재 260: 바람 배출량 조절밸브
300: 송풍 이송관부 310: 제1수평 이송관부재
320: 제1수직 이송관부재 330: 제2수평 이송관부재
340: 제2수직 이송관부재 350: 메쉬관부재
360: 배출 연결관부재 370: 곡물 배출량 조절 밸브
400: 이송용 송풍기 500: 석발기
510: 석발기용 호퍼부 520: 석발부
521: 다공요철판부재 522: 진동 발생부
523: 석발용 송풍기 524: 돌배출호스부재
525: 회전판부재 526: 기울기 조절부
526a: 기울기 조절용 볼트부재 526b: 하부 너트부재
526c: 상부 너트부재 530: 프레임 구조체
540: 주행 바퀴부

Claims (10)

  1. 상부로 투입된 곡물을 하부로 배출하고, 일면에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가 위치된 곡물 정선용 호퍼부,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 내로 바람을 불어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켜 이물질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정선용 송풍부,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하부 측에 연결되어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바람의 힘으로 이송시키는 송풍 이송관부 및
    상기 송풍 이송관부에 위치되어 상기 송풍 이송관부 내에 바람을 공급하는 이송용 송풍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정선용 송풍부는,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내부에서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폭방향으로 길게 위치되고 공기를 배출시키는 풍구가 구비된 바람 저장통부재,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외부에 장착되며 상기 바람 저장통부재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정선용 송풍기 및
    상기 바람 저장통부재의 풍구에 장착되어 바람을 배출하는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
    를 포함하는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풍구는 상기 바람 저장통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슬릿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는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배출구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형상을 가지는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바람 저장통부재에는 내부의 바람을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바람 배출용 덕트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바람 배출량 조절관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바람 배출량 조절관부재에는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바람 배출량 조절밸브가 위치되는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송풍 이송관부는,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곡물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하부 측에 가로로 위치되는 제1수평 이송관부재,
    상기 제1수평 이송관부재의 단부 측에서 세워져 연결되는 제1수직 이송관부재,
    상기 제1수직 이송관부재의 상단 측에서 가로로 위치되는 제2수평 이송관부재 및
    상기 제2수평 이송관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출구가 하부로 위치되도록 세워져 연결되는 제2수직 이송관부재
    를 포함하는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송풍 이송관부는,
    상기 제2수직 이송관부재에 연결되고, 메쉬망으로 제작된 메쉬관부재를 더 포함하는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송풍 이송관부는,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곡물 배출부와 상기 제1수평 이송관부재를 연결하는 배출 연결관부재 및
    상기 배출 연결관부재에 위치되는 곡물 배출량 조절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송풍 이송관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전달받아 곡물 내에 포함된 돌을 걸러낼 수 있는 석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발기는,
    상기 송풍 이송관부로부터 곡물을 전달받는 석발기용 호퍼부,
    상기 석발기용 호퍼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석발기용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올려지며 곡물 내에 포함된 돌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석발부 및
    상기 석발기용 호퍼부, 석발부가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
    를 포함하며,
    상기 석발부는,
    표면이 오목하고 작은 구멍이 여러 개 뚫린 다공요철판부재,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의 상부로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의 밑에서 위로 바람을 불어주는 석발용 송풍기 및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에서 분리된 돌을 배출하는 돌배출호스부재
    를 포함하는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석발부는,
    상기 다공요철판부재가 장착되고 일단부 측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판부재 및
    상기 회전판부재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10. 상부로 투입된 곡물을 하부로 배출하고, 일면에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가 위치된 곡물 정선용 호퍼부,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 내로 바람을 불어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켜 이물질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정선용 송풍부,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의 하부 측에 연결되어 상기 곡물 정선용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바람의 힘으로 이송시키는 송풍 이송관부,
    상기 송풍 이송관부에 위치되어 상기 송풍 이송관부 내에 바람을 공급하는 이송용 송풍기 및
    상기 송풍 이송관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전달받아 곡물 내에 포함된 돌을 걸러낼 수 있는 석발기
    를 포함하며,
    상기 석발기는, 상기 송풍 이송관부로부터 곡물을 전달받는 석발기용 호퍼부, 상기 석발기용 호퍼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석발기용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올려지며 곡물 내에 포함된 돌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석발부 및 상기 석발기용 호퍼부, 석발부가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석발부는, 표면이 오목하고 작은 구멍이 여러 개 뚫린 다공요철판부재,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의 상부로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의 밑에서 위로 바람을 불어주는 석발용 송풍기, 상기 다공요철판부재에서 분리된 돌을 배출하는 돌배출호스부재, 상기 다공요철판부재가 장착되고 일단부 측이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판부재 및 상기 회전판부재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세워져 고정되고 상기 회전판부재의 타단부 측을 관통하여 위치되는 기울기 조절용 볼트부재,
    상기 기울기 조절용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너트부재 및
    상기 기울기 조절용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판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 너트부재
    를 포함하는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KR1020200175679A 2020-12-15 2020-12-15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KR10245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679A KR102458453B1 (ko) 2020-12-15 2020-12-15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679A KR102458453B1 (ko) 2020-12-15 2020-12-15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07A KR20220085907A (ko) 2022-06-23
KR102458453B1 true KR102458453B1 (ko) 2022-10-27

Family

ID=8222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679A KR102458453B1 (ko) 2020-12-15 2020-12-15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4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78Y1 (ko) 2008-12-19 2011-04-11 김성식 곡물선별기
KR101816909B1 (ko) 2017-03-29 2018-01-09 (주)모악환경산업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200488167Y1 (ko) 2017-04-26 2018-12-21 대한민국 잡곡 내 이물질 정선장치
JP2020062630A (ja) 2018-10-19 2020-04-23 井関農機株式会社 精米設備
CN211839051U (zh) 2020-02-14 2020-11-03 东营市垦利区万隆农林经贸有限公司 一种大米加工中筛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659A (ja) * 1994-08-26 1996-03-12 Marumasu Kikai Kk 石抜選別装置
JPH09220529A (ja) * 1996-02-14 1997-08-26 Yamamoto Mfg Co Ltd 石抜装置
KR100267010B1 (ko) 1998-06-15 2000-09-15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78Y1 (ko) 2008-12-19 2011-04-11 김성식 곡물선별기
KR101816909B1 (ko) 2017-03-29 2018-01-09 (주)모악환경산업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200488167Y1 (ko) 2017-04-26 2018-12-21 대한민국 잡곡 내 이물질 정선장치
JP2020062630A (ja) 2018-10-19 2020-04-23 井関農機株式会社 精米設備
CN211839051U (zh) 2020-02-14 2020-11-03 东营市垦利区万隆农林经贸有限公司 一种大米加工中筛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07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7017U (ja) 穀物用選別機
JPH09267076A (ja) 粗選石抜装置
CN101961666A (zh) 稻谷脱壳碾米机
JP2018118185A (ja) 粗選別機
CN209476806U (zh) 新型矿石筛分装置
KR101670988B1 (ko)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
KR102458453B1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CN113617667A (zh) 一种建筑用石料加工设备
KR100532854B1 (ko) 콩 정선장치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KR101092127B1 (ko) 곡물 선별 장치
CN217303499U (zh) 一种大米加工用通风烘干装置
JP3491647B2 (ja) 石抜選別機
CN107824458A (zh) 一种多级风选的粮食精选机
JP4234560B2 (ja) 米麦調製出荷設備に使用される仕上風選装置
CN107442427A (zh) 自动去霉去杂颗粒拌料机
JP4319515B2 (ja) 穀物揺動選別装置
CN207787061U (zh) 一种自动调风型多级风选粮食精选机
JP4234559B2 (ja) 米麦調製出荷設備
KR100488476B1 (ko) 건설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
JP3883173B2 (ja) 高性能石抜き機
KR20190009507A (ko) 나락 생산장치
JP2002001222A (ja) 解繊設備
KR200370809Y1 (ko) 교반 충격식 참깨 탈립기계
CN220479420U (zh) 一种谷物筛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