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909B1 -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909B1
KR101816909B1 KR1020170040246A KR20170040246A KR101816909B1 KR 101816909 B1 KR101816909 B1 KR 101816909B1 KR 1020170040246 A KR1020170040246 A KR 1020170040246A KR 20170040246 A KR20170040246 A KR 20170040246A KR 101816909 B1 KR101816909 B1 KR 101816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ing
aggregate
foreign matter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모악환경산업
주식회사 상현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악환경산업, 주식회사 상현환경 filed Critical (주)모악환경산업
Priority to KR1020170040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6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fixed and inclined tables ; using stationary pneumatic tables, e.g. fluidised beds
    • B03B4/065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fixed and inclined tables ; using stationary pneumatic tables, e.g. fluidised beds having inclined portio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다단계의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골재와 이물질의 혼합물 투입구(11)와 골재 배출구(12) 및 이물질 배출구(13)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일측이 상기 혼합물 투입구의 투입단과 대응하는 한편 타측에 상기 골재 배출구의 상부와 대응하도록 낙하단을 형성하되 상기 낙하단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낙하판(20)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이물질 배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면서 일측이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저부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 하부에 일정 공간을 두고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1낙하판에서 떨어지는 골재와 이물질을 받는 제2낙하판(30)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제1,2낙하판 사이의 공간으로 송풍하는 송풍기(40)를 포함하여, 상기 제1낙하판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제2낙하판에 떨어지면서 충격에 의해 이물질과 골재를 분리하고 이 과정에서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이물질을 상기 배출구로 송풍하여 분리한다.

Description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WASTE USING FALL AND WIND POWER}
본 발명은 토분, 목재류, 비닐류, 종이류 등의 이물질을 골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낙하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토목 공사물은 노후화 및 기능의 현저한 저하와 재개발, 재건축 등으로 인해 구조물이 해체되고, 이에 따라 해체된 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 건설폐기물은 건축, 토목 공사물 등 구조물의 해체작업에서 쓰레기, 폐자재 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등으로서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 곤란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폐기물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재활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 산업 전반에 걸친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하므로, 해당 업계에서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차
원에서 여러 가지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폐기물 처리방법인 파쇄와 선별, 세척 과정을 통해 폐기물에서 유용재를 재생한다는 것인데, 그러한 목적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전체적으로 여러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에서 구성수단의 적절치 못한 배치에 의해 자동화된 골재의 정밀 선별이 곤란하였고, 스크린과 컨베이어의 내구성을 현저히 약화시킴으로 잦은 기기의 파손을 유발하였으며, 세척과정에서의 오염도가 심하여 용수의 재사용에 많은 문제가 주어지는 폐단을 수반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특허문헌(등록실용신안 제20-0383357호)은 진동에 의해 건설폐기물이 입도별로 선별되도록 다양한 각도로 각각 방향을 달리하여 경사지면서 상하 배열된 다수의 진동스크린과, 상기 다수의 진동스크린에 공기를 공급시키는 공기공급관과, 각각의 진동스크린 하단부에 공기를 공급 분사시키도록 상기 공기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공기분사관과, 경사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어 건설폐기물의 풍력선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기분사관에 다수 관통 형성된 공기분사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진동스크린들이 큰 높이차로 설치되고 진동스크린 하부에서만 풍력을 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진동스크린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선하는 것일 뿐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833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다단계의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골재와 이물질의 혼합물 투입구와 골재 배출구 및 이물질 배출구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일측이 상기 혼합물 투입구의 투입단과 대응하는 한편 타측에 상기 골재 배출구의 상부와 대응하도록 낙하단을 형성하되 상기 낙하단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낙하판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이물질 배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면서 일측이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저부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 하부에 일정 공간을 두고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1낙하판에서 떨어지는 골재와 이물질을 받는 제2낙하판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제1,2낙하판 사이의 공간으로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낙하판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제2낙하판에 떨어지면서 충격에 의해 이물질과 골재를 분리하고 이 과정에서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상기 제2낙하판으로 떨어지는 이물질과 상기 제2낙하판에 튕겨 올라온 이물질을 상기 배출구로 송풍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제1낙하판을 따라 내려가다가 제2낙하판으로 떨어질 때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이물질을 선별하고, 또한, 제2낙하판에 떨어질 때 골재에 남은 이물질에 풍력을 가하여 이물질을 골재에서 떨어뜨려 제거하며, 또한, 제2낙하판에 떨어진 후 다시 튕기는 과정에서도 풍력을 가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결과적으로 다단계에 걸쳐 이물질을 선별함으로써 골재 배출구로 배출되는 골재의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질을 배출한 공기를 재사용하는 것을 통해 송풍기를 보호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의 송풍 덕트의 다른 예시도.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에 적용된 낙차조절부재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에 적용된 공기순환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에 적용된 공기순환수단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는, 골재와 이물질의 분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케이스(10) 내부에 투입되는 골재를 경사를 따라 내려가도록 유도한 후 낙하를 통해 이물질의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골재와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1,2낙하판(20,30), 제1낙하판(20)과 제2낙하판(30)의 사이로 공기를 송풍하여 풍력을 통해 이물질을 골재로부터 선별 및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기(40)로 구성되며, 아울러 케이스(10) 내부에서 선별되는 이물질을 케이스(10) 외부에서 수거하도록 하는 포집 덕트(50)가 구성된다.
케이스(10)는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개방부로서 혼합물 투입구(11), 골재 배출구(12) 및 이물질 배출구(13)가 갖추어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밀폐 구조이다.
혼합물 투입구(11)는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단 좌측의 모서리부에, 이물질 배출구(13)는 상단 우측 즉 혼합물 투입구(11)의 반대쪽에, 골재 배출구(12)는 혼합물 투입구(11)와 이물질 배출구(13) 사이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이러한 배치를 통해 골재와 이물질이 좌측 상단에서 투입되어 제1낙하판(20)의 경사를 통해 골재 배출구(12)를 향해 하향 낙하하다가 제2낙하판(30)에 낙하 충돌하며 이 과정에서 풍력에 의해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구(13)로 비산시켜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케이스(10)는 덮개가 없는 밀폐형, 덮개를 갖는 개폐형 모두가 가능하다.
밀폐형의 케이스는 제1,2낙하판(20,30)의 좌우 양측에 좌우 측판(14a,14b)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부에 천정판이 결합됨으로써 골재 투입구(11)와 골재 배출구(12) 및 이물질 배출구(13)만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개폐형의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4) 및 덮개(15)로 분리 제작된다.
케이스 본체(14)는 제1,2낙하판(20,30)의 좌우 양측에 좌우 측판(14a,14b)이 결합됨으로써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또는 케이스 본체(14)는 좌우 측판과 전후 측판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내부에 제1,2낙하판(20,30)이 결합되는 육면체 형태도 가능하다.
덮개(15)는 케이스 본체(14)의 개방부를 덮어 케이스 본체(14)를 밀폐하고 유지보수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덮개(15)는 체결구에 의한 조립식, 힌지에 의한 회동식, 슬라이드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 가능하다.
케이스 본체(14)의 개방부는 상부가 아닌 다른 곳에도 적용 가능하고, 덮개(15)는 케이스 본체(14)의 개방부에 맞춰 적용된다.
또한, 케이스(10)는 송풍기(40)의 설치를 위한 송풍 덕트(41)가 적용되는 구성으로 좌우 측판(14a,14b) 중 일측 이상에 홀이 구성된다.
또한, 송풍기(40)에 의한 바람이 역류하여 이물질이 골재 투입구(11)를 통해 누출되거나 송풍 덕트에 침투하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역류방지 가이드(16)가 적용될 수 있다.
역류방지 가이드(16)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송풍기(40)에 의한 풍력이 이물질 배출구(13)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발생하도록 바람직하게 제2낙하판(30)의 경사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고 물론 골재와 이물질의 투입을 간섭하지 않도록 제1,2낙하판(20,30)과 공간을 두고 형성된다.
역류방지 가이드(16)는 좌우 양측이 케이스(10)의 내벽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제2낙하판(30)과 역류방지 가이드(16) 모두 판재인 것도 가능하지만, 제2낙하판(30)과 역류방지 가이드(16)를 양측이 개방된 하나의 박스형 덕트로 구성한 단일형도 가능하다. 즉, 바람은 박스형 덕트 안으로 송풍되어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낙하판(20)은 바람직하게 표면이 산과 골이 연속되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투입되는 골재를 넓게 분산시켜 송풍력이 모든 골재와 이물질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낙하판(20)은 혼합물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골재와 이물질을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며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혼합물 투입구(11)와 대응하는 좌측 상단에서 골재 배출구(12)와 대응하는 우측 하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낙하판(20)은 케이스 본체(14)의 좌우 측판(14a,14b)에 용접이나 체결구(볼트와 너트 등)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판이 구성될 수 있다.
제1낙하판(20)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고, 원활한 투입과 소형화를 위하여 호퍼부(21)가 구성될 수 있다.
호퍼부(21)는 케이스(10)의 혼합물 투입구(1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케이스(10)의 외부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혼합물을 받는 것이며, 제1낙하판(20)의 일부분인 것이다. 물론, 호퍼부(21)를 대신하여 케이스(10)에 호퍼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낙하판(20)은 골재에 묻은 이물질을 박리하는 효과를 위하여 표면에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턱은 예를 들어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내려오는 골재를 뒤집고 제1낙하판(20)에 충돌하도록 함으로써 골재에 묻은 이물질이 떨어지도록 한다.
제2낙하판(30)은 일측이 케이스(10)의 내면에 틈을 두지 않고 연결되고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타단이 제1낙하판(20)의 낙하단(골재와 이물질이 떨어지는 끝쪽)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낙하판(20)에서 떨어지는 골재와 이물질을 받기 위하여 타측이 제1낙하판(20)의 낙하단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즉 제1낙하판(20)은 낙하단이 제2낙하판(30)의 낙하단으로부터 도 3 기준 우측에 배치됨으로써 제1,2낙하판(20,30)의 낙하단 사이에 골재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골재와 이물질은 제1낙하판(20)의 낙하단에서 제2낙하판(30)으로 낙하하여 제2낙하판(30)에 충돌하고, 이중 골재는 제2낙하판(30)을 통해 골재 배출구(12)로 유도 배출된다.
제1,2낙하판(20,30)은 케이스(10)에 바람직하게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제1,2낙하판(20,30) 중 하나 이상은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따라서, 골재와 이물질의 낙하거리가 조절되어 골재와 이물질의 양에 맞는 최적의 이물질 선별 조건으로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제1,2낙하판(20,30)의 각도 조절 구성으로 예컨대 제1,2낙하판(20,30)의 상단부를 축에 의해 케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케이스(10)에 제1,2낙하판(20,30)의 회전 궤적을 따라 다단으로 각도조절공을 천공하여 외부에서 체결구로 상기 각도조절공 중 어느 하나와 제1,2낙하판(20,30)를 체결함으로써 각도 조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송풍기(4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제1,2낙하판(20,30)의 낙하단 사이로 송풍하며 송풍 덕트(41) 및 모터(42)와 함께 구성된다.
송풍기(40)는 예를 들어 제1,2낙하판(20,30)의 낙하단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타입이다.
송풍 덕트(41)는 내부에 송풍기(40)가 설치되는 관형이며 길이방향의 양측 중 일측 이상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구성되는 한편 흡입 공기를 제1,2낙하판(20,30)의 낙하단 사이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구가 구성된다.
송풍 덕트(41)는 송풍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손실없이 제1,2낙하판(20,30) 사이로 송풍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 송풍구는 덕트형으로서 상단부는 제1낙하판(20)과의 사이를 통해 공기와 골재 및 이물질의 누출 방지를 위하여 막힌 구조를 유지하고 하단부는 제2낙하판(30)의 낙하단을 통과하여 제2낙하판(30) 상부에 골재가 배출되는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모터(42)는 송풍기(40)의 축과 연결되어 송풍기(40)를 회전 구동시키며, 이 설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송풍 덕트(41)의 송풍구는 단부가 풍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1,2낙하판(20,30)의 낙하단 사이와 근접되면서도 골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골재가 배출될 때 송풍 덕트(41)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으므로 다공성부재 예컨대 다공망(43)(도 4 참고)이 적용될 수 있다.
다공망(43)은 송풍 덕트(41)의 송풍구에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며, 용이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케이스(10)의 측판에 구멍을 형성하여 다공망(43)을 외부에서 내부에 삽입 장착하고 반대로 외부에서 내부에 삽입 장착된 다공망(43)을 인출하도록 한다.
포집 덕트(50)는 송풍기(40)의 풍력에 의해 이물질 배출구(13)를 향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외부에서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 설치되는 포집수단(망, 박스 등)과 연계하는 배출구를 갖는 덕트 구조이고, 이물질 배출구(13)의 둘레부에 연결되면서 제2낙하판(30)과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 즉 풍력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의 흐름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의 낙하를 유도한다.
포집 덕트(50)는 케이스(10)에 영구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체결구의 해제를 통해 케이스(10)에서 분리할 수 있는 조립식도 가능하다.
포집 덕트(50)는 이물질을 송풍하는 공기의 자연스러운 배출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홀을 갖는 구조가 바람직하고, 격자형이나 망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추가적인 구성으로 공기회수덕트를 적용하여 포집 덕트(50)에서 배출된 공기를 송풍 덕트(41)의 흡입쪽에 순환시켜 대기오염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포집 덕트(5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2낙하판(30)과 동일 내지 유사한 상향 경사부 및 이 상향 경사부의 단부에서 반대로 하향 경사지는 하향 경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를 이용한 이물질 선별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골재와 이물질 혼합물 투입.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이나 채석 골재의 처리과정에서 제품화되기 이전 단계에 지지대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거나 지면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벨트, 포크레인, 작업자 등에 의해 골재와 이물질의 혼합물을 투입한다.
골재와 이물질의 혼합물은 제1낙하판(20)의 호퍼부(21)를 따라 케이스(10) 내부의 제1낙하판(20)에 공급된다.
2. 이물질 선별.
골재와 이물질은 제1낙하판(20)에 낙하할 때 충격을 받게 되고, 이 충격에 의해 1차로 이물질이 골재로부터 떨어진다.
골재와 이물질은 중력과 제1낙하판(20)의 경사에 의해 제1낙하판(20)을 따라 하강하고, 낙하단에서 제2낙하판(30)에 낙하한다.
골재가 제2낙하판(30)에 낙하할 때 충격에 의해 이물질이 골재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송풍기(40)의 구동에 의해 송풍기(4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1,2낙하판(20,30) 사이의 공간으로 송풍하고, 풍력에 의해 제1낙하판(20)에서 낙하하는 이물질, 제2낙하판(30)에 튕기면서 분리된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구(13)를 향해 비산된다.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구(13)를 통과하여 포집 덕트(50)로 넘어가게 되고, 포집 덕트(50) 내부의 이물질은 포집 덕트(50)에 충돌하여 저부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제1낙하판(20)의 낙하단과 제2낙하판(30) 사이의 낙하거리에 따라 이물질의 선별효율이 달라지며, 이물질의 양과 종류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낙하거리를 조절하도록 낙차조절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낙차조절대는 도 5와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슬라이드형 낙차조절대(60)와 회전형 낙차조절대(70)가 가능하다.
슬라이드형 낙차조절대(60)는 제1낙하판(20)의 상면에 올려지거나 저부에 숨겨져 있으며 제1낙하판(20)의 경사를 타고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제1낙하판(20)의 양측에 레일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형 낙차조절대(60)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슬라이드형 낙차조절대(60)는 위치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낙하판(20)에 고정되어야 하고 예를 들어 체결구(볼트와 너트, 핀 등)로 슬라이드형 낙차조절판(60)과 제1낙하판(20)을 고정하는 방법, 케이스(10)의 하나 이상의 측판에 슬라이드형 낙차조절판(6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장홀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형 낙차조절판(60)의 단부에 상기 장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면서 이 고정부를 케이스(10)에 체결구로 고정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슬라이드형 낙차조절판(60)의 고정 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된다.
회전형 낙차조절판(70)은 일측이 제1낙하판(20)에 축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구를 통해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고정구는 케이스(10)의 외부에서 케이스(10)를 관통[케이스(10)에 회전형 낙차조절판(70)의 회전궤적에 따라 다단의 각도조절공 형성]하여 회전형 낙차조절판(70)에 고정되는 것 등이 가능하다.
덮개(15)가 적용된 경우 덮개(15)를 열어 케이스(10)의 내부를 개방한 후 슬라이드형 낙차조절대(60)와 회전형 낙차조절판(7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송풍기(40)에서 송풍되어 포집 덕트(50)로 배출된 공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공기순환수단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7과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이물질 배출구(13) 아래에는 공기유입 챔버(51)가 형성되며, 이물질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송풍기(40)로 순환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 챔버(51)에는 다공성의 공기흡입망(52)이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흡입망(52)의 앞쪽에 이물질이 떨어질 수 있는 공간을 두고 구멍이 없는 스커트(53)가 갖추어진다.
공기유입 챔버(51)는 제2낙하판(30)과 좌우측판 및 공기흡입망(52)에 의해 케이스(10)의 내부에 조성되며, 송풍기(40)의 송풍기 덕트(41)와 하나 이상의 흡입관(44)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기 덕트(41), 케이스(10) 내부, 공기유입 챔버(51)가 하나의 공기순환유로를 형성하여 공기가 케이스(10) 내부로 송풍된 후 송풍기 덕트(41)로 유입되어 다시 케이스(10)로 송풍된다.
흡입관(44)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공기의 순환을 위한 다양한 수량과 배관으로 설계됨은 물론이다.
또한, 흡입관(44)은 밸브(45)를 통해 개폐 및 개방 정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필요시 사용 또는 미사용되고,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44)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므로 송풍기 덕트(41)의 흡입구는 도어를 통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케이스, 20,30 : 제1,2낙하판
40 : 송풍기, 41 : 송풍 덕트
42 : 모터, 43 : 다공망
44 : 흡입관, 45 : 밸브
50 : 포집 덕트, 51 : 공기유입 챔버
52 : 공기흡입망,
60 : 슬라이드형 낙차조절판
70 : 회전형 낙차조절판,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골재와 이물질의 혼합물 투입구(11)와 골재 배출구(12) 및 이물질 배출구(13)가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일측이 상기 혼합물 투입구의 투입단과 대응하는 한편 타측에 상기 골재 배출구의 상부와 대응하도록 낙하단을 형성하되 상기 낙하단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표면이 산과 골의 요철형으로 형성되어 골재를 분산시키는 제1낙하판(20)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이물질 배출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면서 일측이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저부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 하부에 일정 공간을 두고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제1낙하판에서 떨어지는 골재와 이물질을 받는 제2낙하판(30)과;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과 상기 제2낙하판의 타측 사이에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구를 갖는 송풍 덕트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송풍 덕트를 통해 상기 제1,2낙하판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40)와;
    상기 케이스의 이물질 배출구와 통하는 덕트 형태로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상기 제2낙하판과 반대로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 덕트(5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송풍기(40)에 의한 풍력이 이물질 배출구(13)를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2낙하판(30)의 경사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 가이드(16)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낙하판은 상기 제1낙하판에서 떨어지는 골재와 이물질을 받기 위하여 타측이 상기 제1낙하판(20)의 낙하단을 지나도록 배치되어 혼합물이 상기 제1낙하판을 따라 이동하다가 낙하단에서 상기 제2낙하판에 떨어지면서 충격에 의해 이물질과 골재를 분리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송풍덕트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의 풍력에 의해 상기 제2낙하판으로 떨어지는 이물질과 상기 제2낙하판에서 튕겨 올라온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배출구로 송풍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밀폐 형성되는 공기유입 챔버(51), 상기 공기유입 챔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흡입망(52), 상기 공기흡입망과 상기 송풍 덕트를 연결하며 상기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상기 포집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공기흡입망을 경유한 후 상기 송풍 덕트로 유도하여 공기를 재사용하도록 하는 흡입관(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낙하판의 낙하단에 직선 왕복 또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낙하판을 따라 떨어지는 골재가 제2낙하판에 낙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낙차조절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 덕트의 송풍구를 통해 골재와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장착되는 다공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6.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방법으로서,
    청구항 1에 의한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의 송풍기를 가동함과 아울러 골재와 이물질의 혼합물을 상기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제1낙하판에 투입하여 충격에 의해 1차로 이물질이 골재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낙하판에서 상기 제1낙하판의 하부에 배치된 제2낙하판으로 골재와 이물질의 낙하를 유도하여 충격에 의해 2차로 이물질을 분리하고 상기 제1,2낙하판 사이로 바람을 송풍하여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구로 비산시켜 분리하고 골재는 저부의 골재 배출구를 통해 이물질과 다른 곳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방법.
KR1020170040246A 2017-03-29 2017-03-29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181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246A KR101816909B1 (ko) 2017-03-29 2017-03-29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246A KR101816909B1 (ko) 2017-03-29 2017-03-29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909B1 true KR101816909B1 (ko) 2018-01-09

Family

ID=6100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246A KR101816909B1 (ko) 2017-03-29 2017-03-29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9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932B1 (ko) * 2020-02-11 2020-07-14 (유)대한이앤이 풍력 토사 선별기
KR20220065222A (ko) * 2020-11-13 2022-05-20 김현규 풍력분별장치
KR20220085907A (ko) * 2020-12-15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791A (ja) * 1998-08-07 2000-02-22 Shin Meiwa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容器とラベルとの選別装置
JP2002177890A (ja) * 2000-12-15 2002-06-25 Nippon Steel Corp 風力選別装置
KR100452857B1 (ko) * 2003-07-09 2004-10-20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KR100487181B1 (ko) * 2004-01-30 2005-05-04 구경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791A (ja) * 1998-08-07 2000-02-22 Shin Meiwa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容器とラベルとの選別装置
JP2002177890A (ja) * 2000-12-15 2002-06-25 Nippon Steel Corp 風力選別装置
KR100452857B1 (ko) * 2003-07-09 2004-10-20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KR100487181B1 (ko) * 2004-01-30 2005-05-04 구경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932B1 (ko) * 2020-02-11 2020-07-14 (유)대한이앤이 풍력 토사 선별기
KR20220065222A (ko) * 2020-11-13 2022-05-20 김현규 풍력분별장치
KR102512459B1 (ko) * 2020-11-13 2023-03-22 김현규 풍력분별장치
KR20220085907A (ko) * 2020-12-15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KR102458453B1 (ko) 2020-12-15 2022-10-27 대한민국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278B1 (ko) 낙차와 풍력 및 진동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2178279B1 (ko) 골재 선별장치
KR101816909B1 (ko)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1806725B1 (ko) 토사이물질 정밀선별장치
JP2012020215A (ja) 廃棄物選別処理装置
JP5465589B2 (ja) 廃棄物選別処理装置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101616633B1 (ko) 건식 모래용 분급기
KR20110061758A (ko) 건식 모래 생산장치
KR101071464B1 (ko) 퇴비용 이물질 선별장치
KR101830648B1 (ko) 건설폐기물 내 이물질 풍력 선별장치
KR101872486B1 (ko) 다중 스크린망을 이용한 수직형 순환골재 생산장치
CN107583854A (zh) 一种多级筛分装置
KR102094862B1 (ko) 타격-진동-송풍-흡입 연속공정에 의한 건설폐토석 내 이물질 선별 장치
KR200331312Y1 (ko) 건설 폐기물 중력선별장치
CN111185384B (zh) 一种建筑垃圾用筛选机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761097B1 (ko) 경이물질 선별을 위한 다단 에어공급장치
KR100670186B1 (ko) 공기 순환식 골재 분리장치
CN205074208U (zh) 振荡筛
KR101943380B1 (ko) 일체형 복합 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200331311Y1 (ko) 건설 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53933B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컨베이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