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279B1 - 골재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279B1
KR102178279B1 KR1020200037760A KR20200037760A KR102178279B1 KR 102178279 B1 KR102178279 B1 KR 102178279B1 KR 1020200037760 A KR1020200037760 A KR 1020200037760A KR 20200037760 A KR20200037760 A KR 20200037760A KR 102178279 B1 KR102178279 B1 KR 102178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aggregates
sorting
fine powder
transf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청호산업 유한회사
청호환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산업 유한회사, 청호환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산업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02C13/18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4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more than one sepa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05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articles, e.g. can lids, discs, being conveyed by means of rotating screw spi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1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 F26B25/002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for bulk go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2Applications of driving mechanism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쇄장치를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과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어 일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이송건조유닛, 이송건조유닛을 거친 후 유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키는 선별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공정이, 단일의 장치를 거쳐 간편하게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없는 일정 입도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굵은 골재와 함께 미분과, 비닐, 나무 조각,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을 분리시켜 수거하면서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골재 선별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시켜 골재 생산량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선별유닛을 통해 이송건조유닛을 거친 후 유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킬 때, 제1진동선별스크린과 제2진동선별스크린 사이의 일 측으로부터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측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적용됨으로써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배출시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송풍을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별된 골재의 건축에 사용시 시멘트 등과의 부착력 저하를 극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골재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ing aggregate}
본 발명은 골재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장치를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과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어 일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이송건조유닛, 이송건조유닛을 거친 후 유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키는 선별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공정이, 단일의 장치를 거쳐 간편하게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없는 일정 입도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굵은 골재와 함께 미분과, 비닐, 나무 조각,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을 분리시켜 수거하면서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골재 선별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시켜 골재 생산량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선별유닛을 통해 이송건조유닛을 거친 후 유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킬 때, 제1진동선별스크린과 제2진동선별스크린 사이의 일 측으로부터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측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적용됨으로써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배출시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송풍을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별된 골재의 건축에 사용시 시멘트 등과의 부착력 저하를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골재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 폐아스콘, 폐목재, 철근류, 토사 및 이외에 재개발 현장에서 작업 여건상 분리가 어려운 폐기물의 발생량은 연간 수천만 톤에 이른다.
즉,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파쇄시켜 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하여 골재를 재활용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이유다.
골재는 하천, 산림, 공유수면, 기타 지상, 지하 등에 부존되어 있는 암석, 모래, 자갈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건설공사의 기초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골재는 석재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경우도 있고 순환골재와 같이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형성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석재를 파쇄장치 등을 이용하여 적정크기로 파쇄하여 운반한 후, 조 크러셔(Jaw crusher) 등에서 1차 파쇄하고 콘 크라셔(Cone crusher) 등을 이용하여 더 작은 크기로 파쇄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현장에서 요구되는 골재의 크기가 각각 상이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골재들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건설현장에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 선별, 입자조정 등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과정을 거쳐, 특정 기준에 적합하도록 가공한 후, 건설토목공사 등에 다시 사용하게 된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골재들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골재의 크기별 선별을 위해서, 종래에는 진동스크린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예컨대,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55785호 2014.01.20.등록.)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로 분할된 스크린보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일정 크기 이하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스크린보드를 이용한 골재 선별의 경우, 골재의 선별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없는 일정 입도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굵은 골재나 미분, 비닐, 나무 조각,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한 작업 등의 많은 추가 작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없는 일정 입도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굵은 골재와 함께 미분과, 비닐, 나무 조각,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을 분리시켜 수거하면서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골재 선별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시켜 골재 생산량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선별된 골재에 대한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여 건축에 사용시 시멘트 등과의 부착력 저하를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골재 선별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55785호 2014.01.20.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95518호 2017.11.02.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82388호 2018.07.20.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2662호 2019.03.21.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091024호 2019.08.05.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29736호 2019.10.01.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쇄장치를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과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어 일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이송건조유닛, 이송건조유닛을 거친 후 유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키는 선별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공정이, 단일의 장치를 거쳐 간편하게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없는 일정 입도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굵은 골재와 함께 미분과, 비닐, 나무 조각,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을 분리시켜 수거하면서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골재 선별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시켜 골재 생산량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골재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이송건조유닛 및 선별유닛을 포함하되, 선별유닛을 통해 이송건조유닛을 거친 후 유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킬 때, 제1진동선별스크린과 제2진동선별스크린 사이의 일 측으로부터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측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적용됨으로써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배출시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송풍을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별된 골재의 건축에 사용시 시멘트 등과의 부착력 저하를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는 건축폐기물에 대하여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며, 투입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로부터 일정 입도 범위 내의 입도를 갖는 잔 골재를 선별하는 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일정높이의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며, 일 측으로부터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어 타 측으로 투입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이송시키면서 건조하여 하향 배출시키는 이송건조유닛; 및 상기 이송건조유닛 타 측 하부에 설치되며, 이송건조유닛을 거쳐 건조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2단에 걸쳐 굵은 골재와 미분을 포함하는 이물질과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로 분류시켜 각기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별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건조유닛은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낙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 일 측에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부에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유입되는 유입호퍼를 갖는 유입부와, 내부에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일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내면에 나선 형상으로 이송안내스크류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 일 측에 일단이 회전가능케 연통연결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이송드럼과, 개방된 일 측에 상기 회전이송드럼의 타단이 회전가능케 연통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회전이송드럼을 거쳐 이송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하향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부와, 회전이송드럼이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 회전가능케 지지되도록 하되, 회전이송드럼의 중앙 외면을 지지하면서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이송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이송드럼의 중앙 외면을 감싸는 기어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연동기어 및 축 단부에 상기 연동기어와 맞물리되 연동기어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기어로 구비되어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구동기어와 맞물린 연동기어를 회전시키면서 회전이송드럼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이송건조유닛은 상기 회전이송드럼의 회전시 길이방향 양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이송드럼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감싸는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회전안내가이드 및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공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안내가이드와 밀착되어 회전이송드럼의 회전시 회전이송드럼의 양단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이송건조유닛은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에 대하여 회전이송드럼 내부를 통해 이송되면서 열풍을 통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유입부 일 측에 열풍공급관에 의해 연통 연결되며, 유입부 측으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건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선별유닛은 장방형의 틀 형상으로 구비되며, 파쇄유닛을 통해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는 측과 반대 측인 이송건조유닛의 콘크리트 구조물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측 하부의 지면에 설치되는 메인설치프레임과, 상기 메인설치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장방형의 틀 타입으로 설치되는 보조설치프레임 상부 내측에 설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되어 하향 협소해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송건조유닛을 통해 이송되어 하향 배출되는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하향 안내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진 메쉬망 타입으로 설치되며, 메인설치프레임 상에 완충되게 고정설치되어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진동이 유발되면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 중 굵은 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하여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낙하하도록 하는 제1진동선별스크린과, 상기 제1진동선별스크린의 하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되, 상기 메인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진 메쉬망 타입으로 설치되며, 메인설치프레임 상에 완충되게 고정설치되어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진동이 유발되면서 제1진동선별스크린을 거쳐 선별되어 낙하하는 골재 중 잔존하는 굵은 골재를 2차적으로 선별하여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낙하하도록 하는 한편, 잔존하는 굵은 골재가 선별된 후의 나머지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하여 하향 걸러내어 선별하는 제2진동선별스크린과, 메인설치프레임의 전방 측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일정각도 경사를 가지고 돌출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를 통해 순환회전하면서 제1진동선별스크린과 제2진동선별스크린을 통해 선별되어 경사지게 낙하하는 굵은 골재와 이물질을 안착시켜 외부로 배출안내하는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 및 제2진동선별스크린의 하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되, 제2진동선별스크린 하부로부터 메인설치프레임의 후방 측으로 일정각도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면서 메인설치프레임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 설치되며, 구동모터를 통해 순환회전하면서 제2진동선별스크린을 통해 선별되어 수직방향으로 하향 걸러져 떨어지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외부로 배출안내하는 골재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선별유닛은 골재배출컨베이어로 수직방향으로 하향 걸러져 떨어지면서 배출 안내되는 일정 입도를 갖는 골재에 대한 외면에 부착된 분진과, 제1진동선별스크린을 거쳐 걸려져 떨어지는 미분에 대하여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 측으로 배출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진동선별스크린과 제2진동선별스크린 사이의 제2진동선별스크린 후단 상측에는 제1진동선별스크린을 거쳐 낙하하는 미분을 포함하면서 외면에 분진이 부착된 골재에서의 미분과 분진이 메인설치프레임 전방 측을 향하여 날아가 굴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 측으로 안내되도록 일정속도의 바람을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는 미분과 굵은 골재에 대하여 메인설치프레임의 전방 측 외부로 상향 안내시 경사진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컨베이어벨트 외면에 미분과 굵은 골재를 지지하여 경사진 상방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V"자형 안내돌부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골재배출컨베이어도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하여 메인설치프레임의 후방 측 외부로 상향 안내시 경사진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컨베이어벨트 외면에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지지하여 경사진 상방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V"자형 안내돌부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선별유닛은 제1진동선별스크린과 제2진동선별스크린이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설치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비산하는 미분이 대기중으로 날리지 않도록, 메인설치프레임의 사방에 대하여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와, 골재배출컨베이어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마감판을 통해 밀폐마감되는 한편, 상기 메인설치프레임 일 측에는 마감판의 외부로부터 메인설치프레임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메인설치프레임 내부공간의 미분을 집진시키는 집진유닛이 더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파쇄유닛과 이송건조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송건조유닛이 설치되는 상부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건조유닛 측으로 투입되는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비율이 높게 1차적으로 예비 선별하여 예비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이송건조유닛 측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예비선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예비선별유닛은 예비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가 이송건조유닛 측으로 투입 안내되도록 이송건조유닛 측으로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편,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낙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송건조유닛이 설치되는 상부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부 일단에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부에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유입되는 유입호퍼가 구비되는 유입부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며, 일단이 유입부와 연통연결되어 공회전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내면을 통해 예비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하향 안내하는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과, 외면이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 내면과 일정거리 떨어지게 원통형 망체로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부로 유입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하향 경사지게 이송 안내하되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면서 채 쳐진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가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 내면에 떨어지도록 하여 골재를 예비 선별하는 예비선별망체와, 일단에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의 타단이 회전가능케 연통연결되며, 예비선별망체에 의해 채 쳐져 예비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하향 낙하시켜 이송건조유닛 측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한편, 예비선별망체에 의해 채 쳐진 후 예비선별망체 내부에 남은 골재를 외부에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송건조유닛이 설치되는 상부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부에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이 회전가능케 지지되도록 하되,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의 중앙 외면을 지지하면서 구동력을 전달하여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을 구동 회전시키는 구동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아울러, 상기 구동회전수단은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의 중앙 외면을 감싸는 기어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연동기어 및 축 단부에 상기 연동기어와 맞물리되 연동기어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기어로 구비되어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구동기어와 맞물린 연동기어를 회전시키면서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비선별유닛은 상기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의 회전시 길이방향 양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감싸는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회전안내가이드 및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공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안내가이드와 밀착되어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의 회전시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양측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선별유닛의 호퍼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며, 이송건조유닛을 통해 이송되어 하향 배출되는 골재에 대하여 파마쇄하면서 호퍼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마쇄수단을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파마쇄수단은 시로코 팬 타입이나 회전로터리 타입 또는 회전블레이드 타입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파마쇄수단은 시로코 팬 타입으로 적용될 경우, 호퍼의 내부에 배치되되 시로코 팬 타입의 팬으로 적용되어 개방된 상부로 이송건조유닛을 거쳐 하향 배출되는 골재가 유입된 후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블레이드와 부딪히면서 배출되어 골재를 파쇄함과 동시에 골재 표면에 붙은 분진이 떨어지도록 하여 골재를 호퍼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마쇄용 회전팬 및 파마쇄용 회전팬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호퍼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걸쳐 설치되되, 벨트, 풀리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파마쇄용 회전팬과 벨트와 풀리 구조로 연결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쇄장치를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과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어 일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이송건조유닛, 이송건조유닛을 거친 후 유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키는 선별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공정이, 단일의 장치를 거쳐 간편하게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없는 일정 입도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굵은 골재와 함께 미분과, 비닐, 나무 조각,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을 분리시켜 수거하면서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골재 선별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시켜 골재 생산량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이송건조유닛 및 선별유닛을 포함하되, 선별유닛을 통해 이송건조유닛을 거친 후 유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킬 때, 제1진동선별스크린과 제2진동선별스크린 사이의 일 측으로부터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측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적용됨으로써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배출시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송풍을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별된 골재의 건축에 사용시 시멘트 등과의 부착력 저하를 극소화시킬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 및 배면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의 요부인 이송건조유닛의 회전이송드럼 내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 및 배면 사시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 및 배면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의 요부인 이송건조유닛의 회전이송드럼 내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는 건축폐기물에 대하여 파쇄유닛(미도시)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며, 투입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로부터 일정 입도 범위 내의 입도를 갖는 잔 골재를 선별하는 골재 선별장치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는 건축폐기물을 파쇄처리하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파쇄유닛(미도시)에 의해 건축폐기물에 대하여 파쇄처리된 굵은 골재, 잔 골재, 미분 및 이물질을 포함하는 골재가 투입되어 굵은 골재와 미분 및 이물질을 분류함과 동시에 별도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잔 골재를 분류하면서 선별하여, 건축에 사용시 시멘트 등과 혼합 사용되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잔 골재를 선별 생산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굵은 골재라 함은 건축폐기물을 파쇄하여 생성된 골재로서, 40~15mm 입도 범위 내의 순환 굵은 골재를 의미하며, 이하 "굵은 골재 또는 골재"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잔 골재라 함은 건축폐기물을 파쇄하여 생성된 골재로서, 10~0.15mm 입도 범위 내의 순환 잔 골재를 의미하며, 이하 "잔 골재 또는 골재"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미분은 건축폐기물을 파쇄하여 생성된 미세한 입자로서, 이하 "미분"이라 칭하기로 하며, 특히 건축에 재사용될 잔 골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미세한 입자는 "분진"이라 별도로 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물질이라 함은 건축폐기물을 파쇄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비닐, 나무 조각,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을 의미하며, 이하 "이물질"이라 총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는 크게 분류하면, 이송건조유닛(100) 및 선별유닛(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건조유닛(100)은 일정높이의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부에 설치되며, 일 측으로부터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어 타 측으로 투입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이송시키면서 건조하여 하향 배출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별유닛(200)은 상기 이송건조유닛(100) 타 측 하부에 설치되며, 이송건조유닛(100)을 거쳐 건조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2단에 걸쳐 굵은 골재와 미분을 포함하는 이물질과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로 분류시켜 각기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송건조유닛(100) 및 선별유닛(20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에서, 특히 상기 이송건조유닛(100)은 유입부(110)와, 회전이송드럼(120)과, 배출부(130)와,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유입부(110)는 파쇄유닛(미도시)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낙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부 일 측에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부에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유입되는 유입호퍼(111)를 갖는 것이다.
이때,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라 함은 파쇄유닛(미도시)을 거쳐 파쇄처리를 통해 발생하는 굵은 골재, 잔 골재, 미분 및 이물질을 의미하며, 특히 굵은 골재와 잔 골재는 표면에 미세한 입자인 분진이 부착된 상태인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이송드럼(120)은 내부에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일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내면에 나선 형상으로 이송안내스크류(121)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110) 일 측에 일단이 회전가능케 연통연결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이송안내스크류(121)는 회전이송드럼(120)의 내면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3개의 판 형상으로 길이방향에 대하여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부(130)는 개방된 일 측에 상기 회전이송드럼(120)의 타단이 회전가능케 연통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회전이송드럼(120)을 거쳐 이송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하향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구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배출부(130)의 하면에 일정면적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호퍼 타입의 상광합협의 형상으로 배출부(130)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이송드럼(120)이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부에 회전가능케 지지되도록 하되, 회전이송드럼(120)의 중앙 외면을 지지하면서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이송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수단은 연동기어(140) 및 구동모터(15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동기어(140)는 회전이송드럼(120)의 중앙 외면을 감싸는 기어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50)는 구동을 위한 축 단부에 상기 연동기어(140)와 맞물리되 연동기어(140)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기어로 구비되어 맞물리는 구동기어(151)가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구동기어(151)와 맞물린 연동기어(140)를 회전시키면서 회전이송드럼(120)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송건조유닛(100)은 상기 회전이송드럼(120)의 회전시 길이방향 양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송건조유닛(100)은 회전이송드럼(120)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감싸는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회전안내가이드(160) 및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에 공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안내가이드(160)와 밀착되어 회전이송드럼(120)의 회전시 회전이송드럼(120)의 양단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롤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송건조유닛(100)은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에 안착 설치되되, 별도의 설치대들(미부호)을 통해 유입부(110), 회전이송드럼(120), 배출부(130), 회전안내롤러(170) 등의 구성이 안착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이송건조유닛(100) 및 선별유닛(20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에서의 요부인 상기 선별유닛(200)은 크게 분류하면, 메인설치프레임(201)과, 호퍼(210)와, 제1진동선별스크린(220)과, 제2진동선별스크린(230)과,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 및 골재배출컨베이어(25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메인설치프레임(201)은 장방형의 틀 형상으로 구비되며, 파쇄유닛을 통해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는 측과 반대 측인 이송건조유닛(100)의 콘크리트 구조물(100a)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측 하부의 지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호퍼(210)는 상기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상부 중앙에 장방형의 틀 타입으로 설치되는 보조설치프레임(202) 상부 내측에 설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되어 하향 협소해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송건조유닛(100)을 통해 이송되어 하향 배출되는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하향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진동선별스크린(220)은 상기 호퍼(21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상부에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진 메쉬망 타입으로 설치되며, 메인설치프레임(201) 상에 완충되게 고정설치되어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진동이 유발되면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 중 굵은 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하여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낙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진동선별스크린(230)은 상기 제1진동선별스크린(220)의 하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되, 상기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상부에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진 메쉬망 타입으로 설치되며, 메인설치프레임(201) 상에 완충되게 고정설치되어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진동이 유발되면서 제1진동선별스크린(220)을 거쳐 선별되어 낙하하는 골재 중 잔존하는 굵은 골재를 2차적으로 선별하여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낙하하도록 하는 한편, 잔존하는 굵은 골재가 선별된 후의 나머지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하여 하향 걸러내어 선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는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전방 측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일정각도 경사를 가지고 돌출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241)를 통해 순환회전하면서 제1진동선별스크린(220)과 제2진동선별스크린(230)을 통해 선별되어 경사지게 낙하하는 굵은 골재와 이물질을 안착시켜 외부로 배출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골재배출컨베이어(250)는 제2진동선별스크린(230)의 하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되, 제2진동선별스크린(230) 하부로부터 메인설치프레임(201)의 후방 측으로 일정각도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면서 메인설치프레임(201)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 설치되며, 구동모터(251)를 통해 순환회전하면서 제2진동선별스크린(230)을 통해 선별되어 수직방향으로 하향 걸러져 떨어지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 즉 건축에 시멘트 등과 혼합되어 사용될 잔 골재를 외부로 배출안내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선별유닛(200)은 골재배출컨베이어(250)로 수직방향으로 하향 걸러져 떨어지면서 배출 안내되는 일정 입도를 갖는 골재에 대한 외면에 부착된 분진과, 제1진동선별스크린(220)을 거쳐 걸려져 떨어지는 미분에 대하여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 측으로 배출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선별유닛(200)은 상기 제1진동선별스크린(220)과 제2진동선별스크린(230) 사이의 제2진동선별스크린(230) 후단 상측에는 제1진동선별스크린(220)을 거쳐 낙하하는 미분을 포함하면서 외면에 분진이 부착된 골재에서의 미분과 분진이 메인설치프레임(201) 전방 측을 향하여 날아가 굴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 측으로 안내되도록 일정속도의 바람을 송풍시키는 송풍기(220a)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송풍기(220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진동선별스크린(230) 후단 상측에 구비되되, 제2진동선별스크린(230) 후단 상측에 대한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으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선별유닛(200)에서의 요부인 상기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는 미분과 굵은 골재에 대하여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전방 측 외부로 상향 안내시 경사진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컨베이어벨트 외면에 미분과 굵은 골재를 지지하여 경사진 상방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V"자형 안내돌부(240a)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V"자형 안내돌부(240a)는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의 컨베이어 벨트에 표면에 대하여 순환회전하는 방향 측으로 개방된 측이 향하는 완만한 "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골재배출컨베이어(250)도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하여 메인설치프레임(201)의 후방 측 외부로 상향 안내시 경사진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컨베이어벨트 외면에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지지하여 경사진 상방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V"자형 안내돌부(250a)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V"자형 안내돌부(250a)는 골재배출컨베이어(250)의 컨베이어 벨트에 표면에 대하여 순환회전하는 방향 측으로 개방된 측이 향하는 완만한 "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별유닛(20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사방에 대하여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와, 골재배출컨베이어(250)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마감판(미도시)을 통해 밀폐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는 마감판(미도시)을 통해 밀폐마감되는 메인설치프레임(201) 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한 일정길이에 걸쳐 폭 방향 양측으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안착 이송되는 미분과 굵은 골재가 폭 방향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벽(24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6 및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열풍건조유닛 및 집진유닛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에서의 이송건조유닛(100)은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에 대하여 회전이송드럼(120) 내부를 통해 이송되면서 열풍을 통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이송건조유닛(100)은 유입부(110) 일 측에 열풍공급관(110')에 의해 연통 연결되며, 유입부(110) 측으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건조유닛(1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에서의 선별유닛(200)은 제1진동선별스크린(220)과 제2진동선별스크린(230)이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설치프레임(201)의 내부공간에 비산하는 미분이 대기중으로 날리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선별유닛(200)은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사방에 대하여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와, 골재배출컨베이어(250)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마감판(미도시)을 통해 밀폐마감된다.
아울러, 상기 선별유닛(200)은 상기 메인설치프레임(201) 일 측에는 마감판의 외부로부터 메인설치프레임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메인설치프레임(201) 내부공간의 미분을 집진시키는 집진유닛(20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 및 배면 사시구성도이다.
도 8 및 9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예비선별유닛 및 파마쇄수단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5를 함께 참고하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는 파쇄유닛과 이송건조유닛(10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a)의 이송건조유닛(100)이 설치되는 상부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투입되는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비율이 높게 1차적으로 예비 선별하여 예비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예비선별유닛(110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예비선별유닛(1100)은 예비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가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투입 안내되도록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편, 크게 유입부(1110)와,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과, 예비선별망체(1120a)와, 배출부(1130)와, 구동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부(1110)는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낙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a)의 이송건조유닛(100)이 설치되는 상부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부 일단에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부에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유입되는 유입호퍼(1111)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며, 일단이 유입부(1110)와 연통연결되어 공회전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내면을 통해 예비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하향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예비선별망체(1120a)는 외면이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 내면과 일정거리 떨어지게 원통형 망체로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부(1110)로 유입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하향 경사지게 이송 안내하되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면서 채 쳐진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가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 내면에 떨어지도록 하여 골재를 예비 선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부(1130)는 일단에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타단이 회전가능케 연통연결되며, 예비선별망체(1120a)에 의해 채 쳐져 예비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하향 낙하시켜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한편, 예비선별망체(1120a)에 의해 채 쳐진 후 예비선별망체(1120a) 내부에 남은 골재를 외부에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배출부(1130)는 하부에 하부배출공이 관통형성되어 하부를 통해 예비선별망체(1120a)에 의해 채 쳐져 예비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하향 낙하시켜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투입되도록 하며, 아울러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과 대향되는 측에는 외부배출공(미부호)이 관통형성되어 외부배출공(미부호)을 통해 예비선별망체(1120a)에 의해 채 쳐진 후 예비선별망체(1120a) 내부에 남은 골재를 외부에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회전수단은 콘크리트 구조물(100a)의 이송건조유닛(100)이 설치되는 상부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부에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이 회전가능케 지지되도록 하되,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중앙 외면을 지지하면서 구동력을 전달하여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을 구동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동회전수단은 특히, 연동기어(1140) 및 구동모터(115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연동기어(1140)는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중앙 외면을 감싸는 기어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150)는 축 단부에 상기 연동기어(1140)와 맞물리되 연동기어(1140)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기어로 구비되어 맞물리는 구동기어(1151)가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구동기어(1151)와 맞물린 연동기어(1140)를 회전시키면서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예비선별유닛(1100)은 상기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회전시 길이방향 양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예비선별유닛(1100)은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감싸는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회전안내가이드(1160) 및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에 공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안내가이드(1160)와 밀착되어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회전시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양측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롤러(1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는 선별유닛(200)의 호퍼(210)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며, 이송건조유닛(100)을 통해 이송되어 하향 배출되는 골재에 대하여 파마쇄하면서 호퍼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마쇄수단(1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마쇄수단(1200)은 시로코 팬 타입이나 회전로터리 타입 또는 회전블레이드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파마쇄수단(1200)은 시로코 팬 타입으로 적용될 경우, 파마쇄용 회전팬(1210) 및 구동수단(1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파마쇄용 회전팬(1210)은 호퍼(2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시로코 팬 타입의 팬으로 적용되어 개방된 상부로 이송건조유닛(100)을 거쳐 하향 배출되는 골재가 유입된 후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블레이드와 부딪히면서 배출되어 골재를 파쇄함과 동시에 골재 표면에 붙은 분진이 떨어지도록 하여 골재를 호퍼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1220)은 파마쇄용 회전팬(1210)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호퍼(210)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걸쳐 설치되되, 벨트, 풀리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파마쇄용 회전팬(1210)과 벨트와 풀리 구조로 연결설치되는 구성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와 같은 파마쇄용 회전팬(1210)이나 구동수단(122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 등은 별도의 설치대 상에 설치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파마쇄수단(1200)이 회전로터리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별유닛(200)의 호퍼(210)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되, 통상의 농기계에 적용되는 로터리로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축 상에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로터리 날이 돌출 구비되는 회전로터리 타입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로터리 날은 축의 원주방향으로 봉 또는 일정면적과 두께를 갖는 판 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마쇄수단(1200)이 회전블레이드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선별유닛(200)의 호퍼(210)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되,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회전로터리 타입과 유사한 것으로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축 상에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블레이드가 돌출구비되는 회전블레이드 타입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회전블레이드는 축의 원주방향으로 바 타입으로 돌출되어 돌출되는 단부에 판 형 블레이드가 구비된 구조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6 및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열풍건조유닛(100') 및 집진유닛(200')이 더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파쇄장치를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과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어 일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이송건조유닛, 이송건조유닛을 거친 후 유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키는 선별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공정이, 단일의 장치를 거쳐 간편하게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없는 일정 입도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굵은 골재와 함께 미분과, 비닐, 나무 조각,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을 분리시켜 수거하면서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골재 선별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시켜 골재 생산량을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송건조유닛 및 선별유닛을 포함하되, 선별유닛을 통해 이송건조유닛을 거친 후 유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선별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킬 때, 제1진동선별스크린과 제2진동선별스크린 사이의 일 측으로부터 굵은 골재와 미분을 내포하는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측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적용됨으로써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배출시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송풍을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별된 골재의 건축에 사용시 시멘트 등과의 부착력 저하를 극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예비선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예비선별유닛을 통해 1차적으로 예비 선별하여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비율이 높게 이송건조유닛 측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최종 수확되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회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파마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이송건조유닛을 거쳐 투입되는 골재에 대하여 부수적으로 파쇄함과 동시에 골재 표면에 붙은 분진이 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종 수확되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표면에 붙은 분진 제거율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a: 콘크리트 구조물
100: 이송건조유닛
110: 유입부 111: 유입호퍼
120: 회전이송드럼 121: 이송안내스크류
130: 배출부 140: 연동기어
150: 구동모터 151: 구동기어
160: 회전안내가이드 170: 회전안내롤러
100': 열풍건조유닛 110': 열풍공급관
200: 선별유닛
201: 메인설치프레임 202: 보조설치프레임
210: 호퍼 220: 제1진동선별스크린
220a: 송풍기 230: 제2진동선별스크린
240: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 240a: 안내돌부
241: 구동모터 240': 가이드 벽
250: 골재배출컨베이어 250a: 안내돌부
251: 구동모터
200': 집진유닛
1100: 예비선별유닛
1110: 유입부 1111: 유입호퍼
1120: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 1120a: 예비선별망체
1130: 배출부 1140: 연동기어
1150: 구동모터 1151: 구동기어
1160: 회전안내가이드 1170: 회전안내롤러
1200: 파마쇄수단
1210: 파마쇄용 회전팬 1220: 구동수단

Claims (15)

  1. 건축폐기물에 대하여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며, 투입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로부터 일정 입도 범위 내의 입도를 갖는 잔 골재를 선별하는 것으로서, 일정높이의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부에 설치되며, 일 측으로부터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어 타 측으로 투입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이송시키면서 건조하여 하향 배출시키는 이송건조유닛(100); 및 상기 이송건조유닛(100) 타 측 하부에 설치되며, 이송건조유닛(100)을 거쳐 건조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2단에 걸쳐 굵은 골재와 미분을 포함하는 이물질과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로 분류시켜 각기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별유닛(200)을 포함하는 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유닛(200)은 장방형의 틀 형상으로 구비되며, 파쇄유닛을 통해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투입되는 측과 반대 측인 이송건조유닛(100)의 콘크리트 구조물(100a)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측 하부의 지면에 설치되는 메인설치프레임(201)과, 상기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상부 중앙에 장방형의 틀 타입으로 설치되는 보조설치프레임(202) 상부 내측에 설치되되, 상, 하부가 개방되어 하향 협소해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송건조유닛(100)을 통해 이송되어 하향 배출되는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하향 안내하는 호퍼(210)와, 상기 호퍼(21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상부에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진 메쉬망 타입으로 설치되며, 메인설치프레임(201) 상에 완충되게 고정설치되어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진동이 유발되면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 중 굵은 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하여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낙하하도록 하는 제1진동선별스크린(220)과, 상기 제1진동선별스크린(220)의 하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되, 상기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상부에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진 메쉬망 타입으로 설치되며, 메인설치프레임(201) 상에 완충되게 고정설치되어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진동이 유발되면서 제1진동선별스크린(220)을 거쳐 선별되어 낙하하는 골재 중 잔존하는 굵은 골재를 2차적으로 선별하여 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낙하하도록 하는 한편, 잔존하는 굵은 골재가 선별된 후의 나머지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하여 하향 걸러내어 선별하는 제2진동선별스크린(230)과,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전방 측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일정각도 경사를 가지고 돌출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241)를 통해 순환회전하면서 제1진동선별스크린(220)과 제2진동선별스크린(230)을 통해 선별되어 경사지게 낙하하는 굵은 골재와 이물질을 안착시켜 외부로 배출안내하는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 및 제2진동선별스크린(230)의 하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되, 제2진동선별스크린(230) 하부로부터 메인설치프레임(201)의 후방 측으로 일정각도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면서 메인설치프레임(201)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 설치되며, 구동모터(251)를 통해 순환회전하면서 제2진동선별스크린(230)을 통해 선별되어 수직방향으로 하향 걸러져 떨어지는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외부로 배출안내하는 골재배출컨베이어(250)를 포함하며,
    상기 선별유닛(200)의 호퍼(210)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며, 이송건조유닛(100)을 통해 이송되어 하향 배출되는 골재에 대하여 파마쇄하면서 호퍼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마쇄수단(1200)을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파마쇄수단(1200)은 시로코 팬 타입이나 회전로터리 타입 또는 회전블레이드 타입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건조유닛(100)은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낙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부 일 측에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부에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유입되는 유입호퍼(111)를 갖는 유입부(110)와,
    내부에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일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내면에 나선 형상으로 이송안내스크류(121)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110) 일 측에 일단이 회전가능케 연통연결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이송드럼(120)과,
    개방된 일 측에 상기 회전이송드럼(120)의 타단이 회전가능케 연통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회전이송드럼(120)을 거쳐 이송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하향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부(130)와,
    회전이송드럼(120)이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부에 회전가능케 지지되도록 하되, 회전이송드럼(120)의 중앙 외면을 지지하면서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이송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이송드럼(120)의 중앙 외면을 감싸는 기어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연동기어(140) 및
    축 단부에 상기 연동기어(140)와 맞물리되 연동기어(140)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기어로 구비되어 맞물리는 구동기어(151)가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구동기어(151)와 맞물린 연동기어(140)를 회전시키면서 회전이송드럼(120)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건조유닛(100)은 상기 회전이송드럼(120)의 회전시 길이방향 양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이송드럼(120)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감싸는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회전안내가이드(160) 및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에 공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안내가이드(160)와 밀착되어 회전이송드럼(120)의 회전시 회전이송드럼(120)의 양단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롤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건조유닛(100)은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에 대하여 회전이송드럼(120) 내부를 통해 이송되면서 열풍을 통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유입부(110) 일 측에 열풍공급관(110')에 의해 연통 연결되며, 유입부(110) 측으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건조유닛(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유닛(200)은 골재배출컨베이어(250)로 수직방향으로 하향 걸러져 떨어지면서 배출 안내되는 일정 입도를 갖는 골재에 대한 외면에 부착된 분진과, 제1진동선별스크린(220)을 거쳐 걸려져 떨어지는 미분에 대하여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 측으로 배출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진동선별스크린(220)과 제2진동선별스크린(230) 사이의 제2진동선별스크린(230) 후단 상측에는 제1진동선별스크린(220)을 거쳐 낙하하는 미분을 포함하면서 외면에 분진이 부착된 골재에서의 미분과 분진이 메인설치프레임(201) 전방 측을 향하여 날아가 굴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 측으로 안내되도록 일정속도의 바람을 송풍시키는 송풍기(220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는 미분과 굵은 골재에 대하여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전방 측 외부로 상향 안내시 경사진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컨베이어벨트 외면에 미분과 굵은 골재를 지지하여 경사진 상방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V"자형 안내돌부(240a)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골재배출컨베이어(250)도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하여 메인설치프레임(201)의 후방 측 외부로 상향 안내시 경사진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컨베이어벨트 외면에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지지하여 경사진 상방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V"자형 안내돌부(250a)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유닛(200)은 제1진동선별스크린(220)과 제2진동선별스크린(230)이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설치프레임(201)의 내부공간에 비산하는 미분이 대기중으로 날리지 않도록,
    메인설치프레임(201)의 사방에 대하여 굵은골재겸이물질배출컨베이어(240)와, 골재배출컨베이어(250)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마감판을 통해 밀폐마감되는 한편,
    상기 메인설치프레임(201) 일 측에는 마감판의 외부로부터 메인설치프레임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메인설치프레임(201) 내부공간의 미분을 집진시키는 집진유닛(20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파쇄유닛과 이송건조유닛(10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a)의 이송건조유닛(100)이 설치되는 상부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투입되는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에 대하여,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에 대한 비율이 높게 1차적으로 예비 선별하여 예비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예비선별유닛(1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선별유닛(1100)은 예비 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가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투입 안내되도록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편,
    파쇄유닛을 거쳐 파쇄처리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낙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a)의 이송건조유닛(100)이 설치되는 상부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부 일단에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부에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가 유입되는 유입호퍼(1111)가 구비되는 유입부(1110)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며, 일단이 유입부(1110)와 연통연결되어 공회전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내면을 통해 예비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하향 안내하는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과,
    외면이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 내면과 일정거리 떨어지게 원통형 망체로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부(1110)로 유입된 미분 및 이물질을 내포하는 골재를 하향 경사지게 이송 안내하되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면서 채 쳐진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가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 내면에 떨어지도록 하여 골재를 예비 선별하는 예비선별망체(1120a)와,
    일단에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타단이 회전가능케 연통연결되며, 예비선별망체(1120a)에 의해 채 쳐져 예비선별된 일정 입도 범위 내의 골재를 하향 낙하시켜 이송건조유닛(100) 측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한편, 예비선별망체(1120a)에 의해 채 쳐진 후 예비선별망체(1120a) 내부에 남은 골재를 외부에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1130)와,
    콘크리트 구조물(100a)의 이송건조유닛(100)이 설치되는 상부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부에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이 회전가능케 지지되도록 하되,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중앙 외면을 지지하면서 구동력을 전달하여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을 구동 회전시키는 구동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전수단은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중앙 외면을 감싸는 기어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연동기어(1140) 및
    축 단부에 상기 연동기어(1140)와 맞물리되 연동기어(1140)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기어로 구비되어 맞물리는 구동기어(1151)가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구동기어(1151)와 맞물린 연동기어(1140)를 회전시키면서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1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선별유닛(1100)은 상기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회전시 길이방향 양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감싸는 링 타입으로 구비되는 회전안내가이드(1160) 및
    콘크리트 구조물(100a) 상에 공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안내가이드(1160)와 밀착되어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회전시 예비선별회전이송드럼(1120)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양측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롤러(1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마쇄수단(1200)은 시로코 팬 타입으로 적용될 경우,
    호퍼(2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시로코 팬 타입의 팬으로 적용되어 개방된 상부로 이송건조유닛(100)을 거쳐 하향 배출되는 골재가 유입된 후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블레이드와 부딪히면서 배출되어 골재를 파쇄함과 동시에 골재 표면에 붙은 분진이 떨어지도록 하여 골재를 호퍼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파마쇄용 회전팬(1210) 및
    파마쇄용 회전팬(1210)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호퍼(210)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걸쳐 설치되되, 벨트, 풀리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파마쇄용 회전팬(1210)과 벨트와 풀리 구조로 연결설치되는 구동수단(1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장치.
KR1020200037760A 2020-03-27 2020-03-27 골재 선별장치 KR102178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760A KR102178279B1 (ko) 2020-03-27 2020-03-27 골재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760A KR102178279B1 (ko) 2020-03-27 2020-03-27 골재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279B1 true KR102178279B1 (ko) 2020-11-13

Family

ID=7339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760A KR102178279B1 (ko) 2020-03-27 2020-03-27 골재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27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0524A (zh) * 2020-12-27 2021-04-16 李志刚 一种薯片分选装置
CN112808579A (zh) * 2020-12-31 2021-05-18 杜田义 一种矿物骨料湿料自动分离设备
CN112876109A (zh) * 2021-01-28 2021-06-01 荆州市劲力建材有限公司 一种水泥生产工艺及水泥生产用筛分设备
CN113083485A (zh) * 2021-04-03 2021-07-09 李美玲 一种具有干燥功能的化工用高效化工物料筛选机
CN113102232A (zh) * 2021-04-21 2021-07-13 杭州同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质颗粒的分级筛选设备
CN113182189A (zh) * 2021-03-19 2021-07-30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超高层建筑垃圾分选装置
CN114453052A (zh) * 2022-02-22 2022-05-10 济南潇屹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破碎筛选装置
CN114551077A (zh) * 2021-12-21 2022-05-27 包头韵升强磁材料有限公司 一种优化烧结钕铁硼磁体微观结构的方法
CN114739130A (zh) * 2022-04-26 2022-07-12 安徽理工大学 一种高品质茶叶的全自动高效干燥与包装一体设备
KR102447164B1 (ko) * 2021-10-18 2022-09-27 (주)신대양 고자력분리기를 이용한 건식 오염토양 정화처리 시스템
CN115780232A (zh) * 2022-12-02 2023-03-14 深圳市宝安纯中医治疗医院 一种制药用筛分装置
CN116899862A (zh) * 2023-09-04 2023-10-20 惠州京中重矿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振动筛
CN117481362A (zh) * 2024-01-02 2024-02-02 福建立兴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冻干咖啡块制作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25Y1 (ko) * 2004-07-20 2004-10-15 태성개발(주)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KR100828729B1 (ko) * 2007-10-29 2008-05-09 주식회사 세진로드 샌드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309573B1 (ko) * 2013-08-02 2013-09-17 권중배 골재 가공장치
KR101355785B1 (ko) 2011-05-16 2014-01-27 조기현 부하 대응 각 변위 스크린보드를 갖는 도로 공사용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진동 스크린
KR101795518B1 (ko) 2017-07-20 2017-11-08 유재권 골재 선별장치
KR101852103B1 (ko) * 2017-05-22 2018-04-27 민원 절대 잔골재율 선별 및 재파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882388B1 (ko) 2018-03-13 2018-07-26 이종환 복수의 크기별로 골재를 선별 가능한 골재 선별 회수장치
KR101962662B1 (ko) 2018-11-22 2019-03-27 (주) 제천환경개발 고압수를 이용한 폐골재의 이물질 선별기
KR20190091024A (ko) 2018-01-26 2019-08-05 정원우 재생 및 순환골재 선별기
KR102029736B1 (ko) 2019-01-29 2019-10-10 주식회사 초계산업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흡입 선별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25Y1 (ko) * 2004-07-20 2004-10-15 태성개발(주)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KR100828729B1 (ko) * 2007-10-29 2008-05-09 주식회사 세진로드 샌드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355785B1 (ko) 2011-05-16 2014-01-27 조기현 부하 대응 각 변위 스크린보드를 갖는 도로 공사용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진동 스크린
KR101309573B1 (ko) * 2013-08-02 2013-09-17 권중배 골재 가공장치
KR101852103B1 (ko) * 2017-05-22 2018-04-27 민원 절대 잔골재율 선별 및 재파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795518B1 (ko) 2017-07-20 2017-11-08 유재권 골재 선별장치
KR20190091024A (ko) 2018-01-26 2019-08-05 정원우 재생 및 순환골재 선별기
KR101882388B1 (ko) 2018-03-13 2018-07-26 이종환 복수의 크기별로 골재를 선별 가능한 골재 선별 회수장치
KR101962662B1 (ko) 2018-11-22 2019-03-27 (주) 제천환경개발 고압수를 이용한 폐골재의 이물질 선별기
KR102029736B1 (ko) 2019-01-29 2019-10-10 주식회사 초계산업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흡입 선별 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0524A (zh) * 2020-12-27 2021-04-16 李志刚 一种薯片分选装置
CN112808579A (zh) * 2020-12-31 2021-05-18 杜田义 一种矿物骨料湿料自动分离设备
CN112876109A (zh) * 2021-01-28 2021-06-01 荆州市劲力建材有限公司 一种水泥生产工艺及水泥生产用筛分设备
CN113182189A (zh) * 2021-03-19 2021-07-30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超高层建筑垃圾分选装置
CN113083485A (zh) * 2021-04-03 2021-07-09 李美玲 一种具有干燥功能的化工用高效化工物料筛选机
CN113083485B (zh) * 2021-04-03 2022-08-09 湖北科悦化学有限公司 一种具有干燥功能的化工用高效化工物料筛选机
CN113102232A (zh) * 2021-04-21 2021-07-13 杭州同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质颗粒的分级筛选设备
KR102447164B1 (ko) * 2021-10-18 2022-09-27 (주)신대양 고자력분리기를 이용한 건식 오염토양 정화처리 시스템
CN114551077B (zh) * 2021-12-21 2023-09-05 包头韵升强磁材料有限公司 一种优化烧结钕铁硼磁体微观结构的方法
CN114551077A (zh) * 2021-12-21 2022-05-27 包头韵升强磁材料有限公司 一种优化烧结钕铁硼磁体微观结构的方法
CN114453052A (zh) * 2022-02-22 2022-05-10 济南潇屹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破碎筛选装置
CN114739130A (zh) * 2022-04-26 2022-07-12 安徽理工大学 一种高品质茶叶的全自动高效干燥与包装一体设备
CN115780232B (zh) * 2022-12-02 2023-08-04 深圳市宝安纯中医治疗医院 一种制药用筛分装置
CN115780232A (zh) * 2022-12-02 2023-03-14 深圳市宝安纯中医治疗医院 一种制药用筛分装置
CN116899862A (zh) * 2023-09-04 2023-10-20 惠州京中重矿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振动筛
CN116899862B (zh) * 2023-09-04 2024-04-05 惠州京中重矿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振动筛
CN117481362A (zh) * 2024-01-02 2024-02-02 福建立兴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冻干咖啡块制作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481362B (zh) * 2024-01-02 2024-03-22 福建立兴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冻干咖啡块制作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279B1 (ko) 골재 선별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1464647B1 (ko)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KR20110074042A (ko) 건식 모래 생산방법 및 장치
CN211134112U (zh) 一种湿拌砂浆筛砂机构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31312Y1 (ko) 건설 폐기물 중력선별장치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200266263Y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2390539B1 (ko)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100523520B1 (ko)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KR100937980B1 (ko) 순환골재의 송풍 선별장치
KR0152297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639826B1 (ko) 참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0123017B1 (ko) 폐건축물의 분리방법 및 장치
KR200387222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30837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40370B1 (ko) 쓰레기 선별 스크린장치
KR200450648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20080075242A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KR100649952B1 (ko) 배출토사중 이물질의 역경사 입체 선별장치
KR100519502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골재 제조용 오토스크러빙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