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648Y1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648Y1
KR200450648Y1 KR2020090017059U KR20090017059U KR200450648Y1 KR 200450648 Y1 KR200450648 Y1 KR 200450648Y1 KR 2020090017059 U KR2020090017059 U KR 2020090017059U KR 20090017059 U KR20090017059 U KR 20090017059U KR 200450648 Y1 KR200450648 Y1 KR 200450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drum
construction waste
conveyor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7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472U (ko
Inventor
권영봉
Original Assignee
권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봉 filed Critical 권영봉
Priority to KR2020090017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64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6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Abstract

본 고안은 파쇄기 등에 의해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다단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에 바람을 불어 건설폐기물 중의 나무, 종이, 플라스틱 등의 가벼운 이물질을 제거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컨베이어드럼과; 상기 다수의 컨베이어드럼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올려지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드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올려진 건설폐기물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컨베이어드럼은 다단의 높이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폐기물을 재활용이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질의 재활용 골재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컨베이어, 건설폐기물, 다단, 헤드드럼, 송풍수단, 건식 이물질 분리기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Apparatus for seperating dust from construction waste }
본 고안은 파쇄기 등에 의해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다단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에 바람을 불어 건설폐기물 중의 나무, 종이, 플라스틱 등의 가벼운 이물질을 제거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시의 재개발 및 낡은 아파트의 재건축 등이 활발해짐에 따라 건물이나 토목 구조물의 철거시 많은 건설폐기물이 나오게 되는데, 이러한 건설폐기물의 활용을 위해 도로공사의 노반 조성재나 충진 조성재로 재활용되고 있으나, 소량만이 이용될 뿐 대부분의 건설폐기물은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건설폐기물에는 모래와 자갈이 함유된 콘크리트 덩어리와, 철근, 전선, 종이, 스티로폼 등을 함유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매립할 경우에는 심각한 토양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의 매립으로 인한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나, 최대의 난관은 분쇄된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폐목재, 비닐, 헝겊,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력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나,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으로 이물질을 분리할 경우에는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크기만 분리할 수 있어, 작은 크기의 이물질은 분리가 어려워 양질의 골재를 재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장비 즉, 습식 분류기나 사이클론 등을 이용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별도의 장비 추가에 따른 설비 투자비용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설비투자비용에 비해 이물질 분리에 대한 설비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설폐기물이 다단을 낙하되도록 건설폐기물을 이동하는 컨베이어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건설폐기물이 다단으로 낙하될 때, 송풍수단으로 송풍하여 가벼운 이물질을 제거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의 구성은, 다수의 컨베이어드럼과; 상기 다수의 컨베이어드럼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올려지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드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올려진 건설폐기물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컨베이어드럼은 다단의 높이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상기 컨베이어드럼의 하단 일측에는 위치를 조정가능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드럼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회전하여, 컨베이어벨트에 올려진 건설폐기물을 낙하시키는 다단의 헤드드럼과, 상기 헤드드럼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헤드드럼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다단의 테일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상기 테일드럼에서 상기 헤드드럼으로 상기 건설폐기물이 이동하며, 상기 다단의 헤드드럼의 하측에는 낙하되는 건설폐기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송풍수단이 각각 구비되고, 상측의 상기 헤드드럼의 전 측에는, 낙하하는 건설폐기물이 골고루 펼쳐지도록 하는 분배기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 배출슈트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슈트에는, 상기 송풍수단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 유입구와; 상기 이물질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 유입구와 상기 송풍수단간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댐퍼가 구비되며,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배출구에는 상기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을 2차적으로 여과하는 먼지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이 다단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되며, 건설폐기물이 낙하될 때, 다단의 송풍수단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필요하지 않아 저렴한 비용으로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양질의 골재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건설페기물의 매립에 따른 환경오염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설폐기물 중의 이물질이 많을 경우에는 건설폐기물이 낙하되는 횟수를 더 늘려서, 많은 횟수로 송풍하게 되면, 이물질의 함유량이 매우 적은 재활용 골재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의 개략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의 측면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의 상면 일부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의 정면 일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이하에서는 분리기라 칭함, 10)는 분쇄된 건설폐기물(12)이 올려지는 컨베이어벨트(4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40)를 지그재그로 회전하도록 하는 다수의 컨베이어드럼(60)과, 상기 컨베이어드럼(6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건설폐기물(12)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송풍수단(90)을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의 구성품(컨베이어벨트 내지 송풍수단)은 상기 분리기(10)의 전반적인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20)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철재가 전후/상하/좌우로 결합되어 소정의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분리기(10)의 기둥을 형성하는 다수의 세로프레임(22)과 상기 세로프레임(22)의 전후/좌우를 연결하여 구성품 일부를 고정할 수 있는 다수의 가로프레임(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로프레임(22)은 상기 분리기(10)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가로프레임(24)은 상기 다수의 세로프레임(22)을 연결하고, 상기 전후측 가로프레임(24)은 상기 분리기(10)의 폭 즉, 상기 컨베이어드럼(6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세로프레임(22)의 내부 상하측에는 분쇄된 건설폐기물(12)이 올려지는 컨베이어벨트(4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벨트(40)에 올려지는 상기 건설폐기물(12)은 이전 과정에서 파쇄기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파쇄되고, 철분 등이 제거된 상태에서, 별도의 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해 이동되거나, 다른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이동되어, 상단의 컨베이어벨트(40)에 올려진다.
상기 컨베이어벨트(40)는 상기 전후측 가로프레임(24)의 길이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원형의 엔드리스 띠 형태로,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컨베이어드럼(60)에 의해 지그지그로 구성되어, 상면에 올려진 상기 건설폐기물(12)을 상기 프레임(2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40)는 고무·직물·철망·강판 등으로 만들어지며,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한 재질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고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내측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40)를 지그재그로 회전하도록 다수의 컨베이어드럼(60)이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드럼(60)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된다. 상기 컨베이어드럼(6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에는 회전의 중심이되는 중심축(미도시)이 형성되며, 원통형의 외주면과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내주면의 마찰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벨트(40)를 회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드럼(60)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컨베이어드 럼(60)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전동기(미도시)와 컨베이어드럼(60)은 상호 연동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동기(미도시)의 회전축은 기어 및 체인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드럼(60)의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드럼(6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드럼(60)의 외주면과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벨트(40)는 회전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40)에 올려진 건설폐기물(12)을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드럼(60)은 상기 컨베이어벨트(40)를 회전하도록 상기 전동기(미도시)와 연동되는 다수의 헤드드럼(61,63,65,67)과, 상기 각 헤드드럼(61,63,65,67)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드럼(61,63,65,6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테일드럼(62,64,66,68)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단으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20)의 좌측(도 1에서 볼 때) 상단에는 1단테일드럼(62)이, 상기 1단테일드럼(62)의 우측 상단에는 1단헤드드럼(61)이 구비되며, 상기 1단헤드드럼(61)의 하측 후방 즉, 상기 1단테일드럼(62)과 1단헤드드럼(61)의 사이의 하측에는 2단테일드럼(64)이, 상기 2단테일드럼(64)의 우측 상단에는 2단헤드드럼(63)이 구비되고, 상기 2단헤드드럼(63)의 하측 후방 즉, 상기 2단테일드럼(64)과 2단헤드드럼(63)의 사이의 하측에는 3단테일드럼(6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3단테일드럼(66)의 우측 상단에는 3단헤드드럼(65)이 구비되며, 상기 3단테일드럼(66)의 하측 후방 즉, 상기 3단테일드럼(66)과 상기 3단헤드드럼(65)의 사이 하측에는 4단테일드럼(68)이 구비되고, 상기 4단테일드럼(68)의 우측 상단에는 4단헤드드럼(67)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4단헤드드럼(67)의 좌측 하단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장력을 조절하는 풀리(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풀리(70)는 상기 컨베이어드럼(60)과 유사한 원통형의 롤러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풀리(7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장력이 느슨해지고, 상기 풀리(7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장력이 팽행하게 되어, 상기 풀리(7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장력을 사용목적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1단헤드드럼(6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벨트(40)는 상기 1단테일드럼(62)에서 1단헤드드럼(61)으로 이동되며, 1단헤드드럼(61)에서 2단테일드럼(64)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1단헤드드럼(61)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40) 상의 건설폐기물(12)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2단테일드럼(64)과 2단헤드드럼(63) 사이의 컨베이어벨트(40)위로 자유낙하 된다.
이후, 상기 컨베이어벨트(40)는 상기 2단테일드럼(64)에서 2단헤드드럼(63)방향으로 이동되며, 2단헤드드럼(63)에서 3단테일드럼(66)으로 이동되고, 이때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40) 상의 건설폐기물(12)은 다시 자유낙하 되고, 이러한 과정은 4단헤드드럼(67)까지 이동될 때까지 반복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40)는 지그재그로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컨베이어벨트(40) 상의 건설폐 기물(12)은 다단으로 자유낙하 된다.
도면에는 건설폐기물(12)의 낙하가 4번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건설폐기물(12)의 낙하 횟수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건설폐기물(12) 중의 이물질 양이 많을 경우에는 더 많은 횟수로 낙하하며, 적을 경우에는 더 적은 횟수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1단헤드드럼(61)의 우측단(도 1에서 볼 때)에는 분배기(80)가 구비된다. 상기 분배기(80)는 소정의 덩어리로 올려져 있는 분쇄된 건설폐기물(12)이 골고루 펼쳐져서 낙하 되도록 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수단(90)에 의해 내부에 깊숙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1단헤드드럼(61) 내지 4단헤드드럼(67)에 각각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분배기(80)는 상기 1단헤드드럼(61)의 회전축이 고정된 양측의 프레임(20)에 각각 결합되는 분배날고정부(82)와 상기 양측의 분배날고정부(8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배날회전축(84)과, 상기 분배날회전축(84)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분배날(8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배날고정부(8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0)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분배날회전축(84)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배날회전축(84)은 상기 1단헤드드럼(61)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분배날고정부(82)의 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날(86)은 종단면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배날회전축(84)을 기준으로 4방향 또는 다수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용접 등의 방 법에 의해 상기 분배날회전축(84)에 고정되며, 이러한 분배날(86)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가 구비된다. 따라서, 낙하되는 건축폐기물(12)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건축폐기물(12)이 골고루 펼쳐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헤드드럼(61,63,65,67)의 하측에는 각 헤드드럼(61,63,65,67)에서 낙하되는 건설폐기물(12)에 송풍하여 폐목재, 비닐, 헝겊, 스티로폼 등의 가벼운 이물질을 제거하는 송풍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수단(90)은 바람을 발생하는 송풍기(92)와, 상기 송풍기(92)의 출구에 연결되어 바람을 분사하는 분사구(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92)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람을 발생하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팬의 회전 즉, 바람의 세기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건설폐기물(12) 중에 이물질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고압으로 송풍하도록 하며, 이물질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저압으로 송풍하도록 한다.
상기 분사구(94)는 상기 송풍기(92)의 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92)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분사되도록 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수단(90)은 스크류나 지지대(미도시) 등에 의해 각 단의 헤드드럼(61,63,65,67)과 테일드럼(62,64,66,68)의 사이에 형성된 전후측 가로프레임(24)에 고정되며, 낙하되는 건설폐기물(12)과 최대한 단거리가 되도록, 상기 헤드드럼(61,63,65,67)의 하측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수단(9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송풍기(92)를 이용하여, 상기 송풍기(92)의 출구를 다단의 덕트로 연결하여, 각 단의 헤드드럼(61,63,65,67)에서 낙하되는 건설폐기물(12)에 송풍하도록 구성되어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송풍수단(90)의 우측(도 2에서 볼 때)에는 상기 송풍수단(90)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 배출슈트(100)가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 배출슈트(100)는 상기 각 송풍수단(90)의 분사구(94)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송풍수단(90)에 의해 분사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 유입구(102)와,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를 통해 이물질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는 상기 컨베이어벨트(40)의 폭보다 넓으며, 상기 각 단의 헤드드럼(61,63,65,67)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높이로 구성되어, 상기 송풍수단(90)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이 주위로 날리지 않고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의 하단에는 댐퍼(103)가 더 구비되어, 이물질의 무게에 따른 비산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의 하단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댐퍼(103)는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판재로 형성되어, 좌우측(도 2에서 볼 때)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103)는 상기 송풍수단(90)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이 무게가 있을 경우에는 좌측(도 2에서 볼 때)으로 회동되어 이물질이 아래로 바로 낙하되지 않고,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물질 배출슈트(100)의 하측에는 상기 이물질 배출슈트(100)에 모아진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구가 더 구비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구(104)는 상기 이물질 배출슈트(1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를 통해 역류하지 않고 배기되도록 상기 이물질 배출슈트(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04)에는 상기 배기구(104)를 통해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사이클론(110)이 안내관(10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사이클론(110)은 유체의 선회류(旋回流)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장치로서, 기체속에 혼재된 고체입자의 비중의 차에 의해 무거운 고체는 하측에 형성된 하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며, 가벼운 고체(먼지 등)는 상승기류에 의해 상측 배출구(114)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은 이물받이(120)에 저장되며, 상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은 먼지필터(130)에 의해 2차적으로 여과되어, 깨끗한 공기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분리기(10)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동기(미도시)가 동작되고, 전동기에 의해 헤드드럼(61,63,65,67)이 회전되며, 상기 헤드드럼(61,63,65,6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벨트(40)도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분리기(10)의 전원과 연동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송풍수단(90)에도 전원이 인가되어 송풍수단(90)이 작동된다.
이후, 상기 컨베이어벨트(40)에 분쇄된 건설폐기물(12)을 지속적으로 올려놓으면, 상기 컨베이어벨트(40)에 올려진 건설폐기물(12)은 1단테일드럼(62)에서 1단헤드드럼(61)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된 건설폐기물(12)은 분배기(80)를 통과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높이로 쌓인 건설폐기물(12)은 분배기(80)의 분배날(86)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2단테일드럼(64)과 2단헤드드럼(63)사이의 컨베이어벨트(40) 위로 낙하된다.
이때, 1단헤드드럼(61)의 하측에 구비된 송풍수단(90)에 의해 이물질은 1차 제거되고, 비산된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슈트(100)의 이물질 유입구(10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로 유입된 이물질의 대부분은 상기 이물질 배출슈트(100)에 저장되었다가, 하부로 배출되며,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로 유입된 공기 및 이물질의 일부는 배기구(104)를 통해 사이클론(110)으로 유입된다.
상기 사이클론(110)으로 유입된 공기중에 비중이 큰 이물질은 하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어 이물받이(120)에 저장되며,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상측 배출구(114)로 배출된다. 상기 상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및 이물질은 상기 상측 배출구(114)에 연결된 먼지필터(130)에 의해 재차 여과되어,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1단헤드드럼(61) 하측의 컨베이어벨트(40) 상의 건설폐기물(12) 은 2단테일드럼(64)에서 2단헤드드럼(63)으로 이동되어, 3단테일드럼(66)과 3단헤드드럼(65) 사이의 상기 컨베이어벨트(40) 위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2단헤드드럼(63)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송풍수단(90)에 의해 낙하되는 상기 건설폐기물(12) 속의 이물질이 2차로 제거되며, 비산된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슈트(100)의 이물질 유입구(102)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로 유입된 이물질의 대부분은 상기 이물질 배출슈트(100)에 저장되었다 하부로 배출되며, 상기 이물질 유입구(102)로 유입된 공기 및 이물질의 일부는 배기구(104)를 통해 사이클론(110)으로 유입된다.
상기 사이클론(110)으로 유입된 공기중에 비중이 큰 이물질은 하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어 이물받이(120)에 저장되며,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상측 배출구(114)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및 이물질은 상기 상측 배출구(114)에 구비된 먼지필터(130)에 의해 재차 여과되어,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되어, 건설폐기물(12)에 포함된 이물질은 완전히 제거되며, 이렇게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폐기물(12)은 4단헤드드럼(67)의 하측에 구비된 저장조(140)에 저장되어 재활용되거나, 추가의 컨베이어(미도시)와 연결되어 다른 곳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의 개략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의 측면을 간략하게 도식화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의 상면 일부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의 정면 일부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분리기 20. 프레임
22. 세로프레임 24. 가로프레임
40. 컨베이어벨트 60. 컨베이어드럼
61. 1단헤드드럼 62. 1단테일드럼
63. 2단헤드드럼 64. 2단테일드럼
65. 3단헤드드럼 66. 3단테일드럼
67. 4단헤드드럼 68. 4단테일드럼
80. 분배기 82. 분배날고정부
86 . 분배날 90. 송풍수단
92. 송풍기 94. 분사구
100. 이물질 배출슈트 102. 이물질 유입구
104. 배기구 105. 안내관
110. 사이클론 112. 하측 배출구
114. 상측 배출구 120. 이물받이
130. 먼지필터

Claims (1)

  1. 다수의 컨베이어드럼과;
    상기 다수의 컨베이어드럼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분쇄된 건설폐기물이 올려지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드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올려진 건설폐기물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컨베이어드럼은 다단의 높이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상기 컨베이어드럼의 하단 일측에는 위치를 조정가능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드럼은,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회전하여, 컨베이어벨트에 올려진 건설폐기물을 낙하시키는 다단의 헤드드럼과,
    상기 헤드드럼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헤드드럼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다단의 테일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상기 테일드럼에서 상기 헤드드럼으로 상기 건설폐기물이 이동하며,
    상기 다단의 헤드드럼의 하측에는 낙하되는 건설폐기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송풍수단이 각각 구비되고,
    상측의 상기 헤드드럼의 전측에는, 낙하하는 건설폐기물이 골고루 펼쳐지도 록 하는 분배기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 배출슈트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슈트에는,
    상기 송풍수단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이물질 유입구와;
    상기 이물질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 유입구와 상기 송풍수단간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댐퍼가 구비되며,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배출구에는 상기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을 2차적으로 여과하는 먼지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2020090017059U 2009-12-30 2009-12-30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200450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059U KR200450648Y1 (ko) 2009-12-30 2009-12-30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059U KR200450648Y1 (ko) 2009-12-30 2009-12-30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004A Division KR20090041483A (ko) 2007-10-24 2007-10-24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72U KR20100002472U (ko) 2010-03-09
KR200450648Y1 true KR200450648Y1 (ko) 2010-10-20

Family

ID=4419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7059U KR200450648Y1 (ko) 2009-12-30 2009-12-30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6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2297A (zh) * 2013-02-05 2014-08-06 江苏鸿云翔橡塑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冷却振动筛
CN105750206A (zh) * 2016-02-19 2016-07-13 杨志辉 一种实现全粒度分选的选煤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950A (en) * 1984-03-14 1987-12-29 General Kinematics Corporation Vibratory separation apparatus
JP2001225017A (ja) * 2000-02-18 2001-08-21 Nippon Steel Corp 風力選別機
KR100582847B1 (ko) 2005-11-15 2006-05-23 (주)금광 이 엔 지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0761097B1 (ko) 2006-12-22 2007-10-04 (주)거산기계 경이물질 선별을 위한 다단 에어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950A (en) * 1984-03-14 1987-12-29 General Kinematics Corporation Vibratory separation apparatus
JP2001225017A (ja) * 2000-02-18 2001-08-21 Nippon Steel Corp 風力選別機
KR100582847B1 (ko) 2005-11-15 2006-05-23 (주)금광 이 엔 지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0761097B1 (ko) 2006-12-22 2007-10-04 (주)거산기계 경이물질 선별을 위한 다단 에어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72U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279B1 (ko) 골재 선별장치
KR100968793B1 (ko)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55725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기
CN109967494B (zh) 一种处理建筑垃圾的工艺方法及系统装置
CN204412616U (zh) 一种轻物质风选分离装置
KR20120084825A (ko)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CN107051315A (zh) 机制砂连续级配调节系统及其调节工艺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1294091B1 (ko)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
KR200450648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20090041483A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200331312Y1 (ko) 건설 폐기물 중력선별장치
KR102094862B1 (ko) 타격-진동-송풍-흡입 연속공정에 의한 건설폐토석 내 이물질 선별 장치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2006454B1 (ko) 건식모래선별장치
KR100967539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CN113996417B (zh) 一种建筑废弃物资源化处理装置
KR100937980B1 (ko) 순환골재의 송풍 선별장치
KR200351067Y1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41286B1 (ko) 골재 제조장치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