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825A -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825A
KR20120084825A KR1020110006093A KR20110006093A KR20120084825A KR 20120084825 A KR20120084825 A KR 20120084825A KR 1020110006093 A KR1020110006093 A KR 1020110006093A KR 20110006093 A KR20110006093 A KR 20110006093A KR 20120084825 A KR20120084825 A KR 20120084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unit
foreign
primary
wast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태
Original Assignee
장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태 filed Critical 장영태
Priority to KR102011000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4825A/ko
Publication of KR20120084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4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in casc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파쇄공정 중에서 1차 파쇄를 거쳐 이송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된 폐콘크리트를 받아 폐콘크리트 내에 혼합된 긴 철근덩어리, 헝겁, 긴끈, 폐지류, 폐비닐류 혹은 골재로 사용할 수 없는 가벼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분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물질 분리 시스템은 폐콘크리트 중에 포함된 굵고 긴 철근덩어리와 헝겁류 긴 끈과 같이 늘어지는 이물질을 갈고리 형태로 분리하고 굵은 골재는 진동평스크린 하부로 분리하며, 분리된 이물질은 벨트컨베이어로 이물질 저장소로 이송하고, 분리된 굵은 골재는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에서 나온 1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1차 고압 송풍하여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서 가벼운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고 나온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받아 2차 고압 송풍하여 이물질을 재분리하고, 최종으로 생산된 재생골재는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에서 흡입된 이물질 중 가벼운 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한 후 다시 공기를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로 송풍하는 백필터 장치부와;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백필터 장치부를 운전과 정지하고 제어하는 컨트롤패널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르면 투입되는 1차 파쇄공정을 거친 폐콘크리트에서 수직의 고속회전되는 갈고리를 이용하여 1차로 무기이물질과 유기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2차와 3차로 고압송풍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을 경사진동스크린 및 백필터장치로 다시 재분리하여 이물질을 완벽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에 딸려가는 잔골재도 회수할 수 있으므로 폐콘크리트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수율을 대폭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이물질 분리에 쓰이는 고압송풍 공기는 리사이클을 반복하여 더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고압풍력식 이물질분리장치 시스템이다.

Description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System of Equipment for Separating of Impurity Content by High Pressure Wind Power for Production of Recyling Grevel from Constructional Waste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을 파쇄하여 얻은 폐콘크리트에서 이물질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파쇄공정 중에서 1차 파쇄를 거쳐 이송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된 폐콘크리트를 받아 폐콘크리트 내에 혼합된 긴 철근덩어리, 헝겁, 긴끈, 폐지류, 폐비닐류 혹은 골재로 사용할 수 없는 가벼운 이물질을 진동평스크린과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 1차 선별하고, 2차와 3차로 고압송풍 선별하며, 더스트가 포함된 공기는 백필터로 포집한 후 배출공기를 다시 고압송풍을 하여 선별하는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시의 재개발 아파트 및 대단위 아파트의 재건축 등이 활발해 짐에 따라 건축 폐기물이 매년 약 2000만톤 이상 발생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더욱 많은 양의 건축 폐기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매년 발생되고 있는 건축 폐기물은, 재활용되는 빈도가 극히 미미하여 아주 극히 소량만이 도로공사의 노반 조성재나 충진 조성재로 재활용되고 있을 뿐, 나머지 대부분은 그대로 땅속에 매립되어 처분되거나 상당량이 무단 투기되어 심각한 토양의 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 폐기물로부터 골재나 기타 부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기술은 먼저 기존 건축물에서 수거된 건축 폐기물은 수작업 등에 의한 1차 선별공정을 거쳐 목재 및 비닐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죠 크라셔 등의 파쇄기에 의한 1차 파쇄공정을 통해 발생된 토사를 분리한 후, 나머지 건축 폐기물은 벨트 콘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1차 자력 선별공정으로 이동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자력 선별기에 의해 고철이 분리된다.
그런 다음, 수작업 등에 의한 2차 선별공정을 통해 쓰레기, 비닐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1차 스크린 공정에 이송하면 격자 망체로 구성된 진동스크린을 통해 석분을 분리해 내게 되며, 다시 육안에 의한 3차 선별공정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2차 파쇄공정을 통해 파쇄된 건축 폐기물은 마그네트 등의 2차 자력선별공정을 통하여 1차 자력 선별공정에서 잔류 되었던 철근 등의 고철을 분리 해낸 다음, 격자 망체로 구성된 진동 스크린을 통해 2차 스크린 공정을 거치면 모래, 세골재 및 조골재로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재생골재가 획득되어진다.
상기 공정 중, 1차 파쇄공정에서 얻어진 토사는 비닐, 스티로폼, 섬유 등의 이물질이 혼재되어 있어서 재생골재로 사용이 곤란하며, 이를 선별하기 위한 장치인 습식 분류기가 국내 실용신안등록공보 제136229호에 제안되어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1차 파쇄공정 후 얻어지는 토사를 호퍼를 통해 집수조 내에 연속하여 투입하면, 토사는 수중으로 침하되고 비중이 1이하인 각종 이물질은 집수조 내의 수면위로 부유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수중으로 침하되는 토사는 호퍼 하측의 집수조내에 설치된 토사 배출수단에 의해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집수조의 수면위로 부유된 이물질은 집수조의 수면 위에서 집수조의 외측으로 설치된 이물질 배출수단에 의해 집수조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집수조의 바닥에 침전되는 오니와 같은 침전물은 집수조의 바닥에서 집수조의 외측으로 설치된 침전물 배출수단에 의해 집수조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선행기술은 각종 건축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분리하여 순수한 폐콘크리트에 의한 골재의 생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우선, 불순물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의 정수처리 문제 등의 후속 처리과정이 수반되며, 배출수의 정수처리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출수에 의한 2차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집수조의 내부에서 부유 불순물을 분리하는 효율이 기대치보다 낮은 편이며, 이물질이 분류되는 과정에서 모래를 별도로 회수하여 재활용하지 않고 흙과 혼합된 상태로 그대로 폐기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동절기에는 집수조 내부의 물이 결빙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젖은 상태의 재생골재를 건조 후적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각종 기계 장치가 집수조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부식 혹은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높은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의 등록특허 10-0953665의 폐기물의 이물질 선별분류장치에 있어서 제1선별부에서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네트컨베이어의 작동상의 문제와 흡입방법의 문제가 있어 흡입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풍력에 의한 이물질 선별방법도 여러가지 안출되어 있으나 순환골재 내에서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어려워 재생 아스팔트 조성물의 성능 저하의 주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파쇄공정 중에서 1차 파쇄를 거쳐 이송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된 폐콘크리트 중에서 풍력으로 날려서 선별하기 어려운 굵고 긴 철근덩어리의 이물질을 끌고 올라가서 선별하는 1차,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로 선별한 후 다시 체거름 진동평스크린으로 이물질을 선별하는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를 거친 후, 고압풍력을 이용한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를 거쳐 2차 선별을 하고, 최종으로 고압풍력을 이용한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를 거쳐 순환골재를 생산하며, 고압풍력에 의해 발생한 먼지와 같은 가벼운 이물질은 백필터로 포집한 후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2차 및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에 사용하는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파쇄공정 중에서 1차 파쇄를 거쳐 이송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된 폐콘크리트를 받아 폐콘크리트 내에 혼합된 긴 철근덩어리, 헝겁, 긴끈, 폐지류, 폐비닐류 혹은 골재로 사용할 수 없는 가벼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분리 시스템이다.
상기 이물질 분리 시스템은 폐콘크리트 중에 포함된 굵고 긴 철근덩어리와 헝겁류 긴 끈과 같이 늘어지는 이물질을 갈고리 형태로 분리하고 굵은 골재는 진동평스크린 하부로 분리하며, 분리된 이물질은 벨트컨베이어로 이물질 저장소로 이송하고, 분리된 1차 선별 폐콘크리트는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에서 나온 1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1차 고압 송풍하여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서 가벼운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고 나온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받아 2차 고압 송풍하여 이물질을 재분리하고, 최종으로 생산된 재생골재는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에서 흡입된 이물질 중 가벼운 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한 후 다시 공기를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로 송풍하는 백필터 장치부와;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백필터 장치부를 운전과 정지하고 제어하는 컨트롤패널로 구성된다.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는 파쇄공정에서 1차 파쇄되어 상기 이송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되는 폐콘크리트가 투입되는 투입호퍼와; 상기 투입호퍼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1차로 굵고 긴 철근덩어리의 이물질을 끌고 올라가서 선별하는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와;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와 투입호퍼를 거쳐 떨어진 폐콘크리트를 진동시켜 굵은 골재는 하부로 선별하고 이물질은 스크린 위에서 앞쪽으로 진행시키는 체거름 진동평스크린과;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 상부로 분리된 헝겁류나 긴끈과 같이 늘어지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와;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에 선별된 굵고 긴 철근덩어리의 이물질을 이물질박스로 이송하는 1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와; 상기 1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에 선별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려가지 않도록 하는 안전커버 및 후드와; 상기 2차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에서 선별된 헝겁류나 긴끈과 같이 늘어지는 이물질을 이물질박스로 이송시키는 2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 하부로 떨어진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로 이송하는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는 상기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선별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송시키는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의 상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선별하기 위하여 고압 송풍을 하는 1차 송풍장치부와; 상기 1차 송풍장치부의 송풍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잔골재와 이물질로 분리하는 1차 이물질 재분리부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에서 2차 선별 후 낙하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로 유도하는 1차 유도스커트로 구성된다.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는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에서 2차 선별 후 낙하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3차 선별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송시키는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의 상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2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3차 선별하기 위하여 고압 송풍을 하는 2차 송풍장치부와; 상기 2차 송풍장치부의 송풍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잔골재와 이물질로 분리하는 2차 이물질 재분리부와;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에서 3차 선별 후 낙하되는 3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유도하는 2차 유도스커트로 구성된다.
상기 백필터장치부는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에서 흡입된 이물질 중 가벼운 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멀티 백필터장치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의 상부 일정 면적에서 이물질의 비산을 막고,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기 쉽게 포집속도(Capture Velocity)를 균일하게 하는 1차 흡입후드와;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의 상부 일정 면적에서 이물질의 비산을 막고,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기 쉽게 포집속도(Capture Velocity)를 균일하게 하는 2차 흡입후드와; 상기 백필터장치부에 흡입정압과 토출정압을 발생시켜 흡입하고 송풍하는 고압블로워와; 상기 1차 흡입후드 및 2차 흡입후드와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와 상기 고압블로워를 연결하는 흡입닥트와; 상기 고압블로워에서 상기 1차 송풍장치부 및 2차 송풍장치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통로인 송풍닥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르면 투입되는 1차 파쇄공정을 거친 폐콘크리트에서 수직의 고속회전되는 갈고리를 이용하여 1차로 무기이물질과 유기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2차와 3차로 고압송풍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을 경사진동스크린 및 백필터장치로 다시 재분리하여 이물질을 완벽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에 딸려가는 잔골재도 회수할 수 있으므로 폐콘크리트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수율을 대폭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이물질 분리에 쓰이는 고압송풍 공기는 리사이클을 반복하여 더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고압풍력식 이물질분리장치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전체배치 평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전체배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전체배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123차 이물질분리장치부 배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 배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 배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 배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백필터 장치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 경사설치도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 상세도
도 14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 상세도
도 15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체거름 진동평스크린 상세도
도 16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스크린 상세도
도 17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 상세도
도 18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프레임 및 장치설치부 배치도
도 19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송풍장치부 개략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 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파쇄공정 중에서 1차 파쇄를 거쳐 이송 벨트컨베이어(B)로 이송된 폐콘크리트를 받아 폐콘크리트 내에 혼합된 긴 철근덩어리, 헝겁, 긴끈, 폐지류, 폐비닐류 혹은 골재로 사용할 수 없는 가벼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분리 시스템(A)이다.
상기 이물질 분리 시스템(A)은 폐콘크리트 중에 포함된 굵고 긴 철근덩어리와 헝겁류 긴 끈과 같이 늘어지는 이물질을 갈고리 형태로 분리하고 골재는 진동평스크린 하부로 분리하며, 분리된 이물질은 벨트컨베이어로 이물질 저장소로 이송하고, 분리된 1차 선별 폐콘크리트는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와;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에서 나온 1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1차 고압 송풍하여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서 가벼운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고 나온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받아 2차 고압 송풍하여 이물질을 재분리하고, 최종으로 생산된 순환골재는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이송하는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에서 흡입된 이물질 중 가벼운 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한 후 다시 공기를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로 송풍하는 백필터 장치부(4)와;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와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백필터 장치부(4)가 설치되고, 운전시 운전자의 작업대와 이동로가 되는 랜딩(51)을 포함한 프레임(5)과;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와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백필터 장치부(4)를 운전과 정지하고 제어하는 컨트롤패널로 구성된다.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는 파쇄공정에서 1차 파쇄되어 상기 이송 벨트컨베이어(B)로 이송되는 폐콘크리트가 투입되는 투입호퍼(11)와; 상기 투입호퍼(1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1차로 굵고 긴 철근덩어리의 무기 이물질을 끌고 올라가서 선별하는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와;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와 투입호퍼(11)를 거쳐 떨어진 폐콘크리트를 진동시켜 골재는 하부로 선별하고 이물질은 스크린 위에서 앞쪽으로 진행시키는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과;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 상부로 분리된 헝겁류나 긴끈과 같이 늘어지는 유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4)와;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에 선별된 굵고 긴 철근덩어리의 무기 이물질을 이물질박스로 이송하는 1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5)와; 상기 1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5)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에 선별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려가지 않도록 하는 안전커버 및 후드(16a)와; 상기 2차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4)에서 선별된 헝겁류나 긴끈과 같이 늘어지는 유지 이물질을 이물질박스로 이송시키는 2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7)와; 상기 2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7)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7)에 선별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려가지 않도록 하는 안전커버 및 후드(16b)와;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 하부로 떨어진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로 이송하는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18)로 구성된다.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와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4)는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걸고 올라가는 다수 개의 수직갈고리(1211,1411)가 형성된 다수 개의 회전체인(121,141)과; 상기 회전체인(121,141)이 고정되고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인(121,141)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부(122,142)와; 상기 회전축부(122,14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122,142)에 회전력을 주는 동력기어드모터(123,14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부(122,142)에는 상기 회전체인(121,1410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상하 2개의 회전축(1221,1421)과, 상기 회전축(1221,1421)의 양단을 고정해주는 2개이 축부몸체(1222,1422(로 구성되며, 상하 상기 회전축(1221,1421)의 양단에는 회전 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12211,14211)이 설치된다.
상기 수직갈고리(1211,1411)에는 이물질이 걸리기 쉽고 빠져나가기 어렵게 하기 위한 걸림브이홈(12111, 14111)이 형성되며, 상하 상기 회전축(1221,1421)의 중간에는 상기 회전체인(121,141)이 상기 회전축(1221,1421)과 같이 회전할 수 있게 스프로켓휠(12212,14212)이 상기 회전체인(121,141)의 수량만큼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부(122,142)에는 상기 회전체인(121,141)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조정장치(1223,1423)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모터(123,143)와 상기 회전축부(122,142)의 일단에는 스프로켓휠(1231,1431)이 형성되어 체인(1232,1432)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다.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은 선별할 폐콘크리트가 투입되고 선별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주프레임(131)과; 상기 주프레임(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은 상부로 통과하고 상기 폐콘크리트는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스크린부(132)와;
상기 주프레임(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프레임(131)이 진동되게 하는 2개의 진동모터(133)와; 상기 진동모터(133)에 의해 진동되는 상기 주프레임(131)이 원활하게 진동되게 하고 상기 주프레임(131)의 양측면에 2개씩 설치되는 4개의 진동스프링(1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부(132)는 사각형의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빠지기 쉬운 사각형 펀칭망부분(1321)과, 원형의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빠지기 쉬운 원형 펀칭망부분(1322)과, 수직갈고리(1411)가 이물질을 걸어서 수직으로 들어 회전 원심력으로 선별할 수 있게 체 사이로 상기 수직갈고리(1411)가 회전할 수 있는 그리즐리바부분(막대체,1323))으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는 상기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18)에서 낙하되는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선별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송시키는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와; 상기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의 상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선별하기 위하여 고압 송풍을 하는 1차 송풍장치부(22)와;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의 송풍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잔골재와 이물질로 분리하는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2)에서 2차 선별 후 낙하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로 유도하는 1차 유도스커트(24)로 구성된다.
상기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는 적재물이 상부에 적재되는 벨트(211)와 상기 벨트(211)를 마찰에 의해 회전시키는 드럼(212)과, 상기 벨트(211)의 하중을 받아주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213)와, 상기 드럼(212)과 롤러(213)가 설치되는 프레임(214)으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211)에는 상기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의 경사도 때문에 1차 선별된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계속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턱붙이 날개(2111)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14)에는 지지를 위한 브래킷(2141)이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2141)을 따라 폐콘크리트가 상기 벨트(211)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2142)가 상기 벨트(21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에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1차 고압송풍노즐(221)이 송풍닥트(46)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1차 고압송풍노즐(221)에서 낙하하는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고압의 공기를 블로잉하여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로 이송시킨다.
상기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는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에서 블로잉하여 이송된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1차 이물질수용부(231)와; 상기 1차 이물질수용부(2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3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232)와; 상기 1차 이물질수용부(231)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3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232)에 떨어지지 않고 비산되는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여 잔골재는 2차 유도스커트(34)를 통해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낙하시키고 입자가 큰 이물질은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로 이송시키는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로 구성되고, 상기 1차 이물질수용부(231)의 상부에는 상기 백필터 장치부(4)로 미세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1차 흡입후드(42)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은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이 투입되고 선별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주프레임(2331)과; 상기 주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은 상부로 통과하고 상기 잔골재는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스크린부(2332)와; 상기 주프레임(23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프레임(2331)이 진동되게 하는 2개의 진동모터(2333)와; 상기 진동모터(2333)에 의해 진동되는 상기 주프레임(2331)이 원활하게 진동되게 하고 상기 주프레임(2331)의 양측면에 2개씩 설치되는 4개의 진동스프링(23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프레임(2331)은 투입되는 잔골재를 포함한 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측면커버(23311)와 상부커버(23312)로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주프레임(2331)의 상부 전단에는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의 송풍에 의해 날린 이물질이 1차 이물질수용부(231)에서 상기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로 유도되기 쉽게 풍력유도날개판(23313)이 형성된다.
상기 풍력유도날개판(23313)에는 풍력이 유도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각도조정부(233131)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는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2)에서 2차 선별 후 낙하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3차 선별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송시키는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와;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의 상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2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3차 선별하기 위하여 고압 송풍을 하는 2차 송풍장치부(32)와;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의 송풍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잔골재와 이물질로 분리하는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와;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3)에서 3차 선별 후 낙하되는 3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유도하는 2차 유도스커트(34)로 구성된다.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는 적재물이 상부에 적재되는 벨트(311)와 상기 벨트(311)를 마찰에 의해 회전시키는 2개의 드럼(312)과, 상기 벨트(311)의 하중을 받아주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상기 벨트(3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313)와, 상기 드럼(312)과 롤러(313)가 설치되는 프레임(314)으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311)에는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의 경사도 때문에 2차 선별된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계속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턱붙이 날개(3111)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14)에는 지지를 위한 브래킷(3141)이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3141)을 따라 폐콘크리트가 상기 벨트(311)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3142)가 상기 벨트(31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에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2차 고압송풍노즐(321)이 송풍닥트(46)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2차 고압송풍노즐(321)에서 낙하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고압의 공기를 블로잉하여 2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로 이송시킨다.
상기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는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에서 블로잉하여 이송된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2차 이물질수용부(331)와; 상기 2차 이물질수용부(3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4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332)로 구성되며, 상기 2차 이물질수용부(331)의 상부에는 상기 백필터 장치부(4)로 미세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2차 흡입후드(43)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백필터장치부(4)는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에서 흡입된 이물질 중 가벼운 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멀티 백필터장치(41)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의 상부 일정 면적에서 이물질의 비산을 막고,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기 쉽게 포집속도(Capture Velocity)를 균일하게 하는 1차 흡입후드(42)와;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의 상부 일정 면적에서 이물질의 비산을 막고,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기 쉽게 포집속도(Capture Velocity)를 균일하게 하는 2차 흡입후드(43)와; 상기 백필터장치부(4)에 흡입정압과 토출정압을 발생시켜 흡입하고 송풍하는 고압블로워(44)와; 상기 1차 흡입후드(42) 및 2차 흡입후드(43)와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41)를 연결하고,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41)와 상기 고압블로워(44)를 연결하는 흡입닥트(45)와; 상기 고압블로워(44)에서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 및 2차 송풍장치부(32)로 공기를 송풍하는 통로인 송풍닥트(46)와; 상기 백필터장치(41)에서 포집된 미세 가루를 포함한 잔골재를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장치(47)로 구성된다.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41)는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되면서 공기 중의 더스트가 포집되는 다수 개의 여과백(412)이 삽입되고 포집된 더스트가 쌓이는 다수 개의 여과 챔버(4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백에 포집된 더스트는 에어로 펄싱하여 털어내는 에어펄싱장(413)치를 갖춘 구조이다.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장치(47)는 상기 멀티 백틸터 장치(41) 하부의 포집된 미세 가루를 직접 받아 이송하는 1차 스크류 컨베이어(471)와; 상기 1차 스크류 컨베이어(471) 말단 하부에 설치되어 방향을 전환시키고 상기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에 이송시키는 2차 스크류 컨베이어(472)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전체배치 평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전체배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전체배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123차 이물질분리장치부 배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 배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 배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 배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백필터 장치부 상세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 상세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 경사설치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 상세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 상세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 상세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 상세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체거름 진동평스크린 상세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스크린 상세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 상세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프레임 및 장치설치부 배치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른 송풍장치부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 시스템(A)은 폐콘크리트 중에 포함된 굵고 긴 철근덩어리와 헝겁류 긴 끈과 같이 늘어지는 이물질을 갈고리 형태로 분리하고 골재는 진동평스크린 하부로 분리하며, 분리된 이물질은 벨트컨베이어로 이물질 저장소로 이송하고, 분리된 1차 선별 폐콘크리트는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와;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에서 나온 1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1차 고압 송풍하여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서 가벼운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고 나온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받아 2차 고압 송풍하여 이물질을 재분리하고, 최종으로 생산된 순환골재는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이송하는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에서 흡입된 이물질 중 가벼운 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한 후 다시 공기를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로 송풍하는 백필터 장치부(4)와;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와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백필터 장치부(4)가 설치되고, 운전시 운전자의 작업대와 이동로가 되는 랜딩(51)을 포함한 프레임(5)과;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와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백필터 장치부(4)를 운전과 정지하고 제어하는 컨트롤패널로 구성된다.
부언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물질 분리 시스템(A)는 요약하면 건설폐기물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파쇄공정 중에서 1차 파쇄를 거쳐 이송 벨트컨베이어(B)로 이송된 폐콘크리트를 받아 폐콘크리트 내에 혼합된 긴 철근덩어리, 헝겁, 긴끈, 폐지류, 폐비닐류 혹은 골재로 사용할 수 없는 가벼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 시스템이며,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에서 1차로 철근덩어리 같은 무기 이물질을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로 제거하고 2차로 체거름 진동평스크린 상부로 걸려진 헝겁류 긴끈 등 늘어지는 유기 이물질을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에서 제거하여 1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5) 및 2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7)로 이물질을 이물질 저장탱크(D)로 배출하고, 폐콘크리트 중 골재로 쓰일 수 있는 1차 선별 폐콘크리트는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에서 고압송풍으로 가벼운 이물질을 날려보내고 남은 2차 선별 폐콘크리트는 3차 이물질분리 장치부(3)에서 고압송풍으로 가벼운 이물질을 다시 선별한 후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B)로 떨어뜨려 순환골재로 제품화시키며,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 및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에서 나온 가벼운 이물질 및 가벼운 이물질에 딸려 넘어온 잔골재를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 및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에서 분리하여 나온 이물질은 3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232) 및 4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332)로 배출하고, 1차 흡입후드(42)와 2차 흡입후드(43)으로 공기와 함께 흡입된 미세한 잔골재 및 먼지는 멀티 백필터장치에서 포집되고, 공기는 고압블로워(44)에 흡입되어 다시 1차 송풍장치부(22) 및 2차 송풍장치부(32)에서 다시 고압송풍하는데 쓰이는 리사이클을 반복하여 더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고압풍력시 이물질분리장치 시스템이다.
상기 컨트롤패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외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는 파쇄공정에서 1차 파쇄되어 상기 이송 벨트컨베이어(B)로 이송되는 폐콘크리트가 투입되는 투입호퍼(11)와; 상기 투입호퍼(1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1차로 굵고 긴 철근덩어리의 무기 이물질을 끌고 올라가서 선별하는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와;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와 투입호퍼(11)를 거쳐 떨어진 폐콘크리트를 진동시켜 골재는 하부로 선별하고 이물질은 스크린 위에서 앞쪽으로 진행시키는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과;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 상부로 분리된 헝겁류나 긴끈과 같이 늘어지는 유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4)와;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에 선별된 굵고 긴 철근덩어리의 무기 이물질을 이물질박스로 이송하는 1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5)와; 상기 1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5)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에 선별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려가지 않도록 하는 안전커버 및 후드(16a)와; 상기 2차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4)에서 선별된 헝겁류나 긴끈과 같이 늘어지는 유지 이물질을 이물질박스로 이송시키는 2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7)와; 상기 2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7)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7)에 선별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려가지 않도록 하는 안전커버 및 후드(16b)와;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 하부로 떨어진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로 이송하는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18)로 구성된다.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는 건설폐기물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파쇄공정 중에서 1차 파쇄를 거쳐 이송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된 폐콘크리트 중에서 풍력으로 날려서 선별하기 어려운 굵고 긴 철근덩어리의 이물질을 끌고 올라가서 선별하는 1차,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로 선별한 후 다시 체거름 진동평스크린으로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는 상기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18)에서 낙하되는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선별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송시키는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와; 상기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의 상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선별하기 위하여 고압 송풍을 하는 1차 송풍장치부(22)와;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의 송풍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잔골재와 이물질로 분리하는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2)에서 2차 선별 후 낙하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로 유도하는 1차 유도스커트(24)로 구성된다.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에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1차 고압송풍노즐(221)이 송풍닥트(46)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1차 고압송풍노즐(221)에서 낙하하는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고압의 공기를 블로잉하여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로 이송시킨다.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의 전단 송풍닥트(46)에는 송풍되는 공기량을 조정하기 위한 송풍공기량 조정댐퍼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는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에서 블로잉하여 이송된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1차 이물질수용부(231)와; 상기 1차 이물질수용부(2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3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232)와; 상기 1차 이물질수용부(231)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3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232)에 떨어지지 않고 비산되는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여 잔골재는 2차 유도스커트(34)를 통해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낙하시키고 입자가 큰 이물질은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로 이송시키는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로 구성되고, 상기 1차 이물질수용부(231)의 상부에는 상기 백필터 장치부(4)로 미세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1차 흡입후드(42)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1차 흡입후드(42)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닥트(45)에는 공기량 조정을 위하여 흡입공기량 조정댐퍼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는 1차 선별된 폐콘크리트가 상기 2차 이송 벨트 컨베이어를 타고 올라가 하부로 떨어질 때 고압송풍을 하여 1차 선별된 폐콘크리트 내에 포함된 가벼운 이물질을 고압공기를 송풍하므로서 선별하고, 고압송풍에 의해 날려간 잔골재를 포함한 가벼운 이물질은 날려서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로 들어가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질은 3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232)로 배출되고, 송풍으로 날려간 이물질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잔골재도 상기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에서 재선별하여 상기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보내여 선별 효율을 높이며, 가볍고 미세한 이물질이나 더스트는 상기 1차 흡입후드(42)에 흡입되어 상기 백필터 장치부(4)에서 다시 선별되어 잔골재는 또 다시 회수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는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2)에서 2차 선별 후 낙하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3차 선별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송시키는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와;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의 상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2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3차 선별하기 위하여 고압 송풍을 하는 2차 송풍장치부(32)와;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의 송풍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잔골재와 이물질로 분리하는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와;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3)에서 3차 선별 후 낙하되는 3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유도하는 2차 유도스커트(34)로 구성된다.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에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2차 고압송풍노즐(321)이 송풍닥트(46)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2차 고압송풍노즐(321)에서 낙하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고압의 공기를 블로잉하여 2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로 이송시킨다.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의 전단 송풍닥트(46)에는 송풍되는 공기량을 조정하기 위한 송풍공기량 조정댐퍼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는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에서 블로잉하여 이송된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2차 이물질수용부(331)와; 상기 2차 이물질수용부(3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4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332)로 구성되며, 상기 2차 이물질수용부(331)의 상부에는 상기 백필터 장치부(4)로 미세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2차 흡입후드(43)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2차 흡입후드(43)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닥트(45)에는 공기량 조정을 위하여 흡입공기량 조정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는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에서 2차 선별된 폐콘크리트를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로 위로 끌어 올려서 다시 낙하하면서 고압송풍하여 이물질을 최종 단계로 선별하며, 고압송풍에 의해 날려간 잔골재를 포함한 가벼운 이물질은 날려서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로 들어가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질은 4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332)로 배출되고, 가벼운 물질은 상기 2차 흡입후드(43)로 빨려서 상기 백필터 장치부(4)에서 잔골재 및 더스트는 포집되고 공기만 상기 고압블로워(44)로 흡입되어 정압을 얻은 후 다시 송풍닥트(46)을 통해서 1차 송풍장치부(22) 및 3차 송풍장치부(32)로 송풍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백필터장치부(4)는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에서 흡입된 이물질 중 가벼운 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멀티 백필터장치(41)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의 상부 일정 면적에서 이물질의 비산을 막고,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기 쉽게 포집속도(Capture Velocity)를 균일하게 하는 1차 흡입후드(42)와;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의 상부 일정 면적에서 이물질의 비산을 막고,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기 쉽게 포집속도(Capture Velocity)를 균일하게 하는 2차 흡입후드(43)와; 상기 백필터장치부(4)에 흡입정압과 토출정압을 발생시켜 흡입하고 송풍하는 고압블로워(44)와; 상기 1차 흡입후드(42) 및 2차 흡입후드(43)와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41)를 연결하고,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41)와 상기 고압블로워(44)를 연결하는 흡입닥트(45)와; 상기 고압블로워(44)에서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 및 2차 송풍장치부(32)로 공기를 송풍하는 통로인 송풍닥트(46)와; 상기 백필터장치(41)에서 포집된 미세 가루를 포함한 잔골재를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장치(47)로 구성된다.
상기 1차 흡입후드(42)와 2차 흡입후드(43)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닥트(45)에는 공기량 조정을 위하여 흡입공기량 조정댐퍼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와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의 전단 송풍닥트(46)에는 송풍되는 공기량을 조정하기 위한 송풍공기량 조정댐퍼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41)는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되면서 공기 중의 더스트가 포집되는 다수 개의 여과백(412)이 삽입되고 포집된 더스트가 쌓이는 다수 개의 여과 챔버(4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백에 포집된 더스트는 에어로 펄싱하여 털어내는 에어펄싱장(413)치를 갖춘 구조이다.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장치(47)는 상기 멀티 백틸터 장치(41) 하부의 포집된 미세 가루를 직접 받아 이송하는 1차 스크류 컨베이어(471)와; 상기 1차 스크류 컨베이어(471) 말단 하부에 설치되어 방향을 전환시키고 상기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에 이송시키는 2차 스크류 컨베이어(472)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도 9와 도10와 도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와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4)는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걸고 올라가는 다수 개의 수직갈고리(1211,1411)가 형성된 다수 개의 회전체인(121,141)과; 상기 회전체인(121,141)이 고정되고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인(121,141)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부(122,142)와; 상기 회전축부(122,14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122,142)에 회전력을 주는 동력기어드모터(123,14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부(122,142)에는 상기 회전체인(121,1410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상하 2개의 회전축(1221,1421)과, 상기 회전축(1221,1421)의 양단을 고정해주는 2개이 축부몸체(1222,1422(로 구성되며, 상하 상기 회전축(1221,1421)의 양단에는 회전 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12211,14211)이 설치된다.
상기 수직갈고리(1211,1411)에는 이물질이 걸리기 쉽고 빠져나가기 어렵게 하기 위한 걸림브이홈(12111, 14111)이 형성되며, 상하 상기 회전축(1221,1421)의 중간에는 상기 회전체인(121,141)이 상기 회전축(1221,1421)과 같이 회전할 수 있게 스프로켓휠(12212,14212)이 상기 회전체인(121,141)의 수량만큼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부(122,142)에는 상기 회전체인(121,141)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조정장치(1223,1423)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모터(123,143)와 상기 회전축부(122,142)의 일단에는 스프로켓휠(1231,1431)이 형성되어 체인(1232,1432)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18)는 적재물이 상부에 적재되는 벨트(181)와 상기 벨트(181)를 마찰에 의해 회전시키는 드럼(182)과, 상기 벨트(181)의 하중을 받아주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183)와, 상기 드럼(182)과 롤러(183)가 설치되는 프레임(184)으로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는 적재물이 상부에 적재되는 벨트(211)와 상기 벨트(211)를 마찰에 의해 회전시키는 드럼(212)과, 상기 벨트(211)의 하중을 받아주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213)와, 상기 드럼(212)과 롤러(213)가 설치되는 프레임(214)으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211)에는 상기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의 경사도 때문에 1차 선별된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계속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턱붙이 날개(2111)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14)에는 지지를 위한 브래킷(2141)이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2141)을 따라 폐콘크리트가 상기 벨트(211)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2142)가 상기 벨트(21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는 적재물이 상부에 적재되는 벨트(311)와 상기 벨트(311)를 마찰에 의해 회전시키는 2개의 드럼(312)과, 상기 벨트(311)의 하중을 받아주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상기 벨트(3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313)와, 상기 드럼(312)과 롤러(313)가 설치되는 프레임(314)으로 구성된다.
상기 벨트(311)에는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의 경사도 때문에 2차 선별된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계속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턱붙이 날개(3111)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14)에는 지지를 위한 브래킷(3141)이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3141)을 따라 폐콘크리트가 상기 벨트(311)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3142)가 상기 벨트(31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은 선별할 폐콘크리트가 투입되고 선별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주프레임(131)과; 상기 주프레임(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은 상부로 통과하고 상기 폐콘크리트는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스크린부(132)와; 상기 주프레임(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프레임(131)이 진동되게 하는 2개의 진동모터(133)와; 상기 진동모터(133)에 의해 진동되는 상기 주프레임(131)이 원활하게 진동되게 하고 상기 주프레임(131)의 양측면에 2개씩 설치되는 4개의 진동스프링(134)으로 구성된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스크린부(132)는 사각형의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빠지기 쉬운 사각형 펀칭망부분(1321)과, 원형의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빠지기 쉬운 원형 펀칭망부분(1322)과, 수직갈고리(1411)가 이물질을 걸어서 수직으로 들어 회전 원심력으로 선별할 수 있게 체 사이로 상기 수직갈고리(1411)가 회전할 수 있는 그리즐리바부분(막대체,1323))으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사각형 펀칭망부분(1321)의 초입부분은 낙하되어 반탄이 생기는 부위이므로 망구성을 형성시키지 않고 라이너플레이트(1324)를 설치하여 상기 폐콘크리트의 낙하에 의한 마모나 손상을 막고 비산되어 상기 사각형 펀칭망부분(1321)으로 선별이 잘되도록 한다.
상기 그리즐리바부분(1323)에서는 긴 이물질은 그리즐리에 걸려서 서서히 전행되는 과정에 상기 수직갈고리(1411)에 의해 상부로 분리되어 제거되고 또한 그리즐리바부분에서 긴 이물질에 부착되어 있던 잔골재들이 상기 수직갈고리(1411)에 걸려서 이물질이 올라가면서 흐트러지므로 아래로 낙하되어 분리된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은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이 투입되고 선별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주프레임(2331)과; 상기 주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은 상부로 통과하고 상기 잔골재는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스크린부(2332)와; 상기 주프레임(23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프레임(2331)이 진동되게 하는 2개의 진동모터(2333)와; 상기 진동모터(2333)에 의해 진동되는 상기 주프레임(2331)이 원활하게 진동되게 하고 상기 주프레임(2331)의 양측면에 2개씩 설치되는 4개의 진동스프링(23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프레임(2331)은 투입되는 잔골재를 포함한 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측면커버(23311)와 상부커버(23312)로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주프레임(2331)의 상부 전단에는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의 송풍에 의해 날린 이물질이 1차 이물질수용부(231)에서 상기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로 유도되기 쉽게 풍력유도날개판(23313)이 형성된다.
상기 풍력유도날개판(23313)에는 풍력이 유도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각도조정부(233131)가 형성된 구조이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프레임(5)에는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와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백필터 장치부(4)가 설치되고, 운전시 운전자의 작업대와 이동로가 되는 랜딩(51)을 포함한다.
상기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18)과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과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과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과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의 상기 프레임(5)과의 설치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기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18)과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과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과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과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가 일정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에는 1차 고압송풍노즐(221)이 송풍닥트(46)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1차 고압송풍노즐(221,321)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각도조정부(2211)가 형성되며,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에는 2차 고압송풍노즐(321)이 송풍닥트(46)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2차 고압송풍노즐(321)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각도조정부(3211)가 형성된다.
상기 1차 고압송풍노즐(221)과 2차 고압송풍노즐(321)은 압력손실은 최대한 적게 발생하고 유속은 빨라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와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의 전단 송풍닥트(46)에는 송풍되는 공기량을 조정하기 위한 송풍공기량 조정댐퍼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송풍공기량 조정댐퍼에서 풍량을 조정하여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와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의 송풍 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의 송풍속도가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의 송풍속도보다 빠르게 설정하여 이물질이 풍력유도날개판(23313)을 타고 상기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에 따르면 투입되는 1차 파쇄공정을 거친 폐콘크리트에서 수직의 고속회전되는 갈고리를 이용하여 1차로 무기이물질과 유기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2차와 3차로 고압송풍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을 경사진동스크린 및 백필터장치로 다시 재분리하여 이물질을 완벽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에 딸려가는 잔골재도 회수할 수 있으므로 폐콘크리트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수율을 대폭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이물질 분리에 쓰이는 고압송풍 공기는 리사이클을 반복하여 더스트를 포함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고압풍력식 이물질분리장치 시스템이다.
A : 이물질 분리 시스템
B : 이송 벨트컨베이어
C :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
D : 이물질 저장탱크
1 :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 11 : 투입호퍼
12 :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 121 : 회전체인
1211 : 수직갈고리 12111 : 걸림브이홈
122 : 회전축부 1221 : 회전축
12211 : 베어링 12212 : 스프로켓휠
1222 : 축부몸체 1223 : 텐션조정장치
123 : 동력모터 1231 : 스프로켓휠
1232 : 체인 124 : 보호용 가드
1241 : 가이드 바 13 : 체거름 진동평스크린
131 : 주프레임 132 : 스크린부
1321 : 사각형 펀칭망부분 1322 : 원형 펀칭망부분
1323 : 그리즐리바부분 13231 : 그리즐리바
1324 : 라이너플레이트 133 : 진동모터
134 : 진동스프링 14 :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
141 : 회전체인 1411 : 수직갈고리
14111 : 걸림브이홈 142 : 회전축부
1421 : 회전축 14211 : 베어링
14212 : 스프로켓휠 1422 : 축부몸체
1423 : 텐션조정장치 143 : 동력기어드모터
1431 : 스프로켓휠 1432 : 체인
144 : 보호용 가드 1441 : 가이드 바
15 : 1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 16 : 안전커버 및 후드
17 : 2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 18 :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
181 : 벨트 182 : 드럼
183 : 롤러 184 : 프레임
185 : 구동부(기어드모터) 186 : 핸드레일 및 랜딩
2 :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 21 :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
211 : 벨트 2111 : 턱붙이 날개
212 : 드럼 213 : 롤러
214 : 프레임 2141 : 브래킷
2142 : 스커트 215 : 구동부(기어드모터)
216 : 핸드레일 및 랜딩 22 : 1차 송풍장치부
221 : 1차 고압송풍노즐 2211 : 각도조정부
23 : 1차 이물질 재분리부 231 : 1차 이물질수용부
232 : 3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
233 :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
2331 : 주프레임 23311 : 측면커버
23312 : 상부커버 23313 : 풍력유도날개판
233131 : 각도조정부 2332 : 스크린부
2333 : 진동모터 2334 : 진동스프링
24 : 1차 유도스커트 3 :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
31 :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 311 : 벨트
3111 : 턱붙이 날개 312 : 드럼
313 : 롤러 314 : 프레임
3141 : 브래킷 3142 : 스커트
315 : 구동부(기어드모터) 316 : 핸드레일 및 랜딩
32 : 2차 송풍장치부 321 : 2차 고압송풍노즐
3211 : 각도조정부 33 : 2차 이물질 재분리부
331 : 2차 이물질수용부 332 : 4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
34 : 2차 유도스커트 4 : 백필터 장치부
41 : 멜티 백필터장치 411 : 여과 챔버
412 : 여과백 413 : 에어펄싱장치
414 : 작업랜딩부 415 : 사다리
42 : 1차 흡입후드 43 : 2차 흡입후드
44 : 고압블로워 45 : 흡입닥트
46 : 송풍닥트 47 : 스크류컨베이어장치
471 : 1차 스크류컨베이어 472 : 2차 스크류컨베이어
5 : 프레임 51 : 랜딩

Claims (7)

  1. 건설폐기물에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파쇄공정 중에서 1차 파쇄를 거쳐 이송 벨트컨베이어(B)로 이송된 폐콘크리트를 받아 폐콘크리트 내에 혼합된 긴 철근덩어리, 헝겁, 긴끈, 폐지류, 폐비닐류 혹은 골재로 사용할 수 없는 가벼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A)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분리 시스템(A)은 폐콘크리트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갈고리 형태로 분리하고 골재는 진동평스크린 하부로 분리하며, 분리된 이물질은 벨트컨베이어로 이물질 저장소로 이송하고, 분리된 1차 선별 폐콘크리트는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와;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에서 나온 1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1차 고압 송풍하여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서 가벼운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고 나온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받아 2차 고압 송풍하여 이물질을 재분리하고, 최종으로 생산된 순환골재를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이송하는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에서 흡입된 이물질 중 가벼운 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한 후 다시 공기를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로 송풍하는 백필터 장치부(4)와;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백필터 장치부(4)가 설치되고, 운전시 운전자의 작업대와 이동로가 되는 랜딩(51)을 포함한 프레임(5)과;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백필터 장치부(4)의 운전과 정지하고 제어하는 컨트롤패널로 구성되는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이물질분리장치부(1)는 파쇄공정에서 1차 파쇄되어 상기 이송 벨트컨베이어(B)로 이송되는 폐콘크리트가 투입되는 투입호퍼(11)와;
    상기 투입호퍼(1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1차로 굵고 긴 철근덩어리의 무기 이물질을 끌고 올라가서 선별하는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와;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와 투입호퍼(11)를 거쳐 떨어진 폐콘크리트를 진동시켜 골재는 하부로 선별하고 이물질은 스크린 위에서 앞쪽으로 진행시키는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과;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 상부로 분리된 헝겁류나 긴끈과 같이 늘어지는 유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4)와;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에 선별된 굵고 긴 철근덩어리의 무기 이물질을 이물질박스로 이송하는 1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5)와;
    상기 1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5)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에 선별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려가지 않도록 하는 안전커버 및 후드(16a)와;
    상기 2차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4)에서 선별된 헝겁류나 긴끈과 같이 늘어지는 유지 이물질을 이물질박스로 이송시키는 2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7)와;
    상기 2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17)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7)에 선별된 이물질이 외부로 날려가지 않도록 하는 안전커버 및 후드(16b)와;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 하부로 떨어진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로 이송하는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는 상기 1차 이송 벨트컨베이어(18)에서 낙하되는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선별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송시키는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와;
    상기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의 상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 선별하기 위하여 고압 송풍을 하는 1차 송풍장치부(22)와;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의 송풍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잔골재와 이물질로 분리하는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2)에서 2차 선별 후 낙하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로 유도하는 1차 유도스커트(24)로 구성되며,
    상기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는 적재물이 상부에 적재되는 벨트(211)와 상기 벨트(211)를 마찰에 의해 회전시키는 드럼(212)과, 상기 벨트(211)의 하중을 받아주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213)와, 상기 드럼(212)과 롤러(213)가 설치되는 프레임(214)으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211)에는 상기 2차 이송 벨트컨베이어(21)의 경사도 때문에 1차 선별된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계속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턱붙이 날개(2111)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14)에는 지지를 위한 브래킷(2141)이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2141)을 따라 폐콘크리트가 상기 벨트(211)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2142)가 상기 벨트(21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에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1차 고압송풍노즐(221)이 송풍닥트(46)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1차 고압송풍노즐(221)에서 낙하하는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고압의 공기를 블로잉하여 1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로 이송시키고,
    상기 1차 이물질 재분리부(23)는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에서 블로잉하여 이송된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1차 이물질수용부(231)와;
    상기 1차 이물질수용부(2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3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232)와;
    상기 1차 이물질수용부(231)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3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232)에 떨어지지 않고 비산되는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여 잔골재는 2차 유도스커트(34)를 통해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낙하시키고 입자가 큰 이물질은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로 이송시키는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로 구성되고,
    상기 1차 이물질수용부(231)의 상부에는 상기 백필터 장치부(4)로 미세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1차 흡입후드(42)가 설치되는 구조이며,
    상기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은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이 투입되고 선별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주프레임(2331)과;
    상기 주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은 상부로 통과하고 상기 잔골재는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스크린부(2332)와;
    상기 주프레임(23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프레임(2331)이 진동되게 하는 2개의 진동모터(2333)와;
    상기 진동모터(2333)에 의해 진동되는 상기 주프레임(2331)이 원활하게 진동되게 하고 상기 주프레임(2331)의 양측면에 2개씩 설치되는 4개의 진동스프링(23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프레임(2331)은 투입되는 잔골재를 포함한 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측면커버(23311)와 상부커버(23312)로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주프레임(2331)의 상부 전단에는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의 송풍에 의해 날린 이물질이 1차 이물질수용부(231)에서 상기 이물질 잔골재 분리 경사진동스크린(233)로 유도되기 쉽게 풍력유도날개판(23313)이 형성되고,
    상기 풍력유도날개판(23313)에는 풍력이 유도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각도조정부(233131)가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는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2)에서 2차 선별 후 낙하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3차 선별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송시키는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와;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의 상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2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3차 선별하기 위하여 고압 송풍을 하는 2차 송풍장치부(32)와;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의 송풍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잔골재와 이물질로 분리하는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와;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3)에서 3차 선별 후 낙하되는 3차 선별 폐콘크리트를 상기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유도하는 2차 유도스커트(34)로 구성되며,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는 적재물이 상부에 적재되는 벨트(311)와 상기 벨트(311)를 마찰에 의해 회전시키는 2개의 드럼(312)과, 상기 벨트(311)의 하중을 받아주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상기 벨트(3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313)와, 상기 드럼(312)과 롤러(313)가 설치되는 프레임(314)으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311)에는 상기 3차 이송 벨트컨베이어(31)의 경사도 때문에 2차 선별된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계속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턱붙이 날개(3111)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14)에는 지지를 위한 브래킷(3141)이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3141)을 따라 폐콘크리트가 상기 벨트(311)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3142)가 상기 벨트(311)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에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2차 고압송풍노즐(321)이 송풍닥트(46)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2차 고압송풍노즐(321)에서 낙하하는 2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고압의 공기를 블로잉하여 2차 선별 폐콘크리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로 이송시키고,
    상기 2차 이물질 재분리부(33)는 상기 2차 송풍장치부(32)에서 블로잉하여 이송된 잔골재가 포함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2차 이물질수용부(331)와;
    상기 2차 이물질수용부(3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4차 이물질 배출벨트컨베이어(332)로 구성되며,
    상기 2차 이물질수용부(331)의 상부에는 상기 백필터 장치부(4)로 미세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2차 흡입후드(43)가 설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장치부(4)는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2)와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에서 흡입된 이물질 중 가벼운 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멀티 백필터장치(41)와;
    상기 2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의 상부 일정 면적에서 이물질의 비산을 막고,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기 쉽게 포집속도(Capture Velocity)를 균일하게 하는 1차 흡입후드(42)와;
    상기 3차 이물질분리장치부(3)의 상부 일정 면적에서 이물질의 비산을 막고,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기 쉽게 포집속도(Capture Velocity)를 균일하게 하는 2차 흡입후드(43)와;
    상기 백필터장치부(4)에 흡입정압과 토출정압을 발생시켜 흡입하고 송풍하는 고압블로워(44)와;
    상기 1차 흡입후드(42) 및 2차 흡입후드(43)와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41)를 연결하고,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41)와 상기 고압블로워(44)를 연결하는 흡입닥트(45)와;
    상기 고압블로워(44)에서 상기 1차 송풍장치부(22) 및 2차 송풍장치부(32)로 공기를 송풍하는 통로인 송풍닥트(46)와;
    상기 백필터장치(41)에서 포집된 미세 가루를 포함한 잔골재를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로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장치(47)로 구성되며,
    상기 멀티 백필터장치(41)는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되면서 공기 중의 더스트가 포집되는 다수 개의 여과백(412)이 삽입되고 포집된 더스트가 쌓이는 다수 개의 여과 챔버(4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백에 포집된 더스트는 에어로 펄싱하여 털어내는 에어펄싱장(413)치를 갖춘 구조이며,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장치(47)는 상기 멀티 백틸터 장치(41) 하부의 포집된 미세 가루를 직접 받아 이송하는 1차 스크류 컨베이어(471)와;
    상기 1차 스크류 컨베이어(471) 말단 하부에 설치되어 방향을 전환시키고 상기 순환골재 이송컨베이어(C)에 이송시키는 2차 스크류 컨베이어(472)로 구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2)와 2차 수직갈고리 이물질제거기(14)는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걸고 올라가는 다수 개의 수직갈고리(1211,1411)가 형성된 다수 개의 회전체인(121,141)과;
    상기 회전체인(121,141)이 고정되고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인(121,141)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부(122,142)와;
    상기 회전축부(122,14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122,142)에 회전력을 주는 동력기어드모터(123,143)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부(122,142)에는 상기 회전체인(121,1410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상하 2개의 회전축(1221,1421)과, 상기 회전축(1221,1421)의 양단을 고정해주는 2개이 축부몸체(1222,1422(로 구성되며,
    상하 상기 회전축(1221,1421)의 양단에는 회전 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12211,14211)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갈고리(1211,1411)에는 이물질이 걸리기 쉽고 빠져나가기 어렵게 하기 위한 걸림브이홈(12111, 14111)이 형성되며,
    상하 상기 회전축(1221,1421)의 중간에는 상기 회전체인(121,141)이 상기 회전축(1221,1421)과 같이 회전할 수 있게 스프로켓휠(12212,14212)이 상기 회전체인(121,141)의 수량만큼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122,142)에는 상기 회전체인(121,141)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조정장치(1223,1423)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모터(123,143)와 상기 회전축부(122,142)의 일단에는 스프로켓휠(1231,1431)이 형성되어 체인(1232,1432)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거름 진동평스크린(13)은 선별할 폐콘크리트가 투입되고 선별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주프레임(131)과;
    상기 주프레임(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은 상부로 통과하고 상기 폐콘크리트는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스크린부(132)와;
    상기 주프레임(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프레임(131)이 진동되게 하는 2개의 진동모터(133)와;
    상기 진동모터(133)에 의해 진동되는 상기 주프레임(131)이 원활하게 진동되게 하고 상기 주프레임(131)의 양측면에 2개씩 설치되는 4개의 진동스프링(1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부(132)는 사각형의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빠지기 쉬운 사각형 펀칭망부분(1321)과, 원형의 폐콘크리트가 하부로 빠지기 쉬운 원형 펀칭망부분(1322)과, 수직갈고리(1411)가 이물질을 걸어서 수직으로 들어 회전 원심력으로 선별할 수 있게 체 사이로 상기 수직갈고리(1411)가 회전할 수 있는 그리즐리바부분(막대체,1323))으로 구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KR1020110006093A 2011-01-21 2011-01-21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KR20120084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093A KR20120084825A (ko) 2011-01-21 2011-01-21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093A KR20120084825A (ko) 2011-01-21 2011-01-21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25A true KR20120084825A (ko) 2012-07-31

Family

ID=4671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093A KR20120084825A (ko) 2011-01-21 2011-01-21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482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3715A (zh) * 2017-07-12 2017-09-29 红安方达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长袋低压脉冲袋式除尘器
KR102021735B1 (ko) * 2019-04-18 2019-09-18 주식회사 다원환경 혼합 폐기물 선별시스템
CN110255195A (zh) * 2019-07-25 2019-09-20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分离装置
CN110433959A (zh) * 2019-08-16 2019-11-12 东阳阿语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筛拣分类装置
KR102324111B1 (ko) 2021-05-04 2021-11-10 백운석 풍력 와류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순환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CN114028880A (zh) * 2021-11-16 2022-02-11 安徽亚珠金刚石股份有限公司 一种金刚石合成车间粉尘净化装置
KR20220120378A (ko) * 2021-02-23 2022-08-30 김규민 흙 선별 장치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처리 시스템
KR102541391B1 (ko) * 2022-07-15 2023-06-08 조옥래 미립자를 제거한 친환경 구조용 바텀애시 경량골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3715A (zh) * 2017-07-12 2017-09-29 红安方达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长袋低压脉冲袋式除尘器
KR102021735B1 (ko) * 2019-04-18 2019-09-18 주식회사 다원환경 혼합 폐기물 선별시스템
CN110255195A (zh) * 2019-07-25 2019-09-20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分离装置
CN110433959A (zh) * 2019-08-16 2019-11-12 东阳阿语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筛拣分类装置
KR20220120378A (ko) * 2021-02-23 2022-08-30 김규민 흙 선별 장치를 포함하는 재활용품 처리 시스템
KR102324111B1 (ko) 2021-05-04 2021-11-10 백운석 풍력 와류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순환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CN114028880A (zh) * 2021-11-16 2022-02-11 安徽亚珠金刚石股份有限公司 一种金刚石合成车间粉尘净化装置
CN114028880B (zh) * 2021-11-16 2023-03-28 安徽亚珠金刚石股份有限公司 一种金刚石合成车间粉尘净化装置
KR102541391B1 (ko) * 2022-07-15 2023-06-08 조옥래 미립자를 제거한 친환경 구조용 바텀애시 경량골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4825A (ko)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0968793B1 (ko)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733631B1 (ko) 건설폐기물의 분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79188B1 (ko)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100953665B1 (ko) 폐기물의 이물질 선별분류장치
KR100890580B1 (ko) 건설폐기물용 파쇄골재의 토사 선별장치
KR102164244B1 (ko) 원석의 선택적 파쇄와 필터링이 가능한 크러싱 시스템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KR10076464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0471665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0553024B1 (ko) 폐토사를 이용한 잔골재 제조장치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CN212314562U (zh) 一种建筑垃圾收集处理装置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100689099B1 (ko) 건설폐기물의 습식처리장치용 골재배출장치
KR100639826B1 (ko) 참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53933B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컨베이어 장치
JP2917788B2 (ja) 廃棄物の分離回収方法とその設備
KR0152297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