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975B1 -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3975B1 KR101823975B1 KR1020170067419A KR20170067419A KR101823975B1 KR 101823975 B1 KR101823975 B1 KR 101823975B1 KR 1020170067419 A KR1020170067419 A KR 1020170067419A KR 20170067419 A KR20170067419 A KR 20170067419A KR 101823975 B1 KR101823975 B1 KR 1018239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creen
- floating
- waste
- waste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1차 조크러셔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인 폐콘크리트가 투입되면 이를 세척해줌과 동시에 물보다 부력이 작은 폐콘크리트는 수조 바닥으로 가라앉히고 물보다 부력이 커 수면 위로 부상되는 각종 이물질은 상기 스크레이퍼를 통해 진동스크린 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부유 선별장치와; 입자가 큰 이물질 거름용 1단 스크린과, 폐 콘크리트 잔입자 거름용 2단 스크린, 상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부 타공판으로 이루어진 슬러지 거름용 3단 스크린이 본체 내 상,하부 사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다층으로 설치되고, 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의 일측면 저부와 상기 부유 선별장치의 타측면 저부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물 리턴 파이프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부유 선별장치에서 선별하여 투입시킨 부유 이물질을 각각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분리 선별해 주는 진동스크린과; 입자가 큰 이물질을 포집해 주는 부유 이물질 포집구와; 폐콘크리트 잔입자를 2차 더블 조크러셔 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건설폐기물로부터의 순환골재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유 이물질의 선별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설폐기물로부터의 순환골재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유 이물질의 선별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설폐기물 내에 혼재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 중 수조를 이용하는 부유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한 각종 부유 이물질을 다층의 스크린을 구비한 진동스크린을 통해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각각 선별하여 분리한 다음, 나무나 비닐, 종이, 천조각, 플라스틱 또는 스치로 폼 등과 같은 입자가 큰 이물질은 최종 처리장으로 보내고, 부유 선별장치로부터 각종 부유물과 함께 배출된 물은 포집하여 부유 선별장치 측으로 회수시켜 재사용할 수 있게 하며, 폐콘크리트 잔입자들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2차 더블 조크러셔 측으로 회수시켜 주고 슬러지는 건조시켜 재활용하는 방식을 통해 건설폐기물로부터의 부유물 선별에 따른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친환경적 측면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건설 및 건축 구조물의 해체시에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은 매립되지 않고 소정의 장소로 수집된 후 조크러셔, 더블 조크러셔, 콘크러셔 등과 같은 크러셔들을 이용하여 파쇄하는 파쇄공정과, 인력선별이나 자력선별 및 부유선별 등과 같은 이물질 선별공정, 재생골재와 모르타르 분리공정 및 재생골재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박리공정 등 일련의 중간처리과정을 통해 양질의 자원(즉, 순환골재)으로 생산되고 있다.
일련의 중간처리과정 중 이물질 선별공정을 좀 더 살펴보면, 이물질 중 금속재는 전자석 자선기에 의해 부착 제거되기 때문에 선별 및 제거에 특별한 문제는 없으나, 비닐, 종이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비교적 비중이 적은 이물질의 경우에는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선별 제거하여야 했기 때문에 선별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최근 들어 당 업계에서는 비닐, 종이 또는 스티로폼 등과 같이 비교적 비중이 적은 이물질의 선별 및 제거방법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풍력을 이용한 풍력선별 제거방식과 수조를 이용한 부유선별 제거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여기서 수조를 이용한 부유선별 제거방식은 물이 채워진 수조 내로 건설폐기물을 통과시켜 건설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을 물 위로 부상하게 한 후 별도의 채집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선별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부유 선별장치(5)는 도 1과 같이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1차 조크러셔(1)와 2차 더블 조크러셔(2) 사이에 설치되어 1차 조크러셔(1)를 통해 파쇄된 건설폐기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부유 이물질을 선별하여 외부로 버려지고, 중량이 커 부유 선별장치(5) 내로 침전된 중량물(폐콘크리트 등)은 2차 더블 조크러셔(2) 측으로 보내 준다.
이렇게 보내진 2차 더블 조크러셔(2)로 보내진 중량물은 2차 더블 조크러셔(2)를 통해 파쇄된 다음 3차 콘크러셔(3) 측으로 보내져 3차 콘크러셔(3)를 통해 마모가 이루어진 후 최종 순환골재로 생산된다.
종래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557493호에는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되며 파분쇄된 골재가 투입되어 상기 골재가 상기 세척수에 세척되도록 하는 세척수조(10)와; 세척수조(10)의 일측에 구동모터(미도시)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분이 세척수조(10)의 세척수에 잠겨 세척수와 함께 세척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세척수조(10)의 외부로 퍼내어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수차(20)와; 이물질 제거수차(20)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이물질 제거수차(20)에 의해 세척수조(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을 공급받아 이물질을 탈수함으로써 이물질과 물로 선
별하는 이물질 탈수스크린(30)과; 이물질 탈수스크린(30)의 이물질 배출단 하부에 설치되며 이물질 탈수스크린(30)에서 선별된 이물질에 바람(온풍)을 가하여 이물질을 건조 및 비중차에 의해 이물질을 분류하는 송풍기(40)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는 이물질 제거수차에서 이물질을 물과 함께 퍼내어 제거하기 때문에 후공정으로 물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공정이 요구되며, 따라서 후공정으로 위한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는 비용 및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서는 세척수조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재생골재에 대해서는 이를 처리하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 세척수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골재를 자연 배출시키거나 바닥에 스크류를 설치하여 골재를 강제 배출시키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생골재 처리 방식에는 재생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와 순수 재생골재를 확실하게 분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 등록특허공보 10-0557493호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693109호로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물이 담겨져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로 이물질이 혼재된 건설폐기물을 안내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수조의 수면에 일부분이 잠기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조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며, 다수의 뜰채용 판이 조립된 수차 형상을 갖고, 뜰채용 판은 망 형상을 갖도록 하여 물을 제외한 이물질만 걸려 낼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단부에는 이물질을 걸어서 거를 수 있도록 걸림편이 더 형성되고, 일부분에 설치된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되게 구성된 회전뜰채; 상기 회전뜰채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회전뜰채를 통해 걸려진 이물질을 안내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컨베이어;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 및 재생골재를 강제 이송시켜 수조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슬러지 및 재생골재가 배출되는 부분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부분에 설치된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되며, 바닥면은 망 형상을 갖도록 하여, 배출되는 슬러지 및 재생골재를 진동에 의해 슬러지는 바닥의 망을 통해 하방향으로 낙하시키고 순수 재생골재만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진동안내판; 및 상기 진동안내판을 따라 안내된 순수 재생골재를 안내 배출하는 재생골재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의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는 조크러셔를 통해 1차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수조 내에 투입시켜 수조에 채워진 물의 부력에 의해 이물질을 부유시키고, 부유 이물질과 물, 슬러지 및 폐콘크리트 잔입자가 혼합되어 부유된 이물질을 수차 형상을 갖는 회전뜰채를 통해 한꺼번에 일괄로 선별처리하고 중량이 커 침전된 중량물(폐콘크리트 등)은 이송 스크류를 이용하여 2차와 3차의 후속 크러셔로 이송하고 파쇄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국내 등록특허공보 10-0693109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 이물질과 물, 슬러지 및 폐콘크리트 잔입자가 혼합된 부유 이물질을 일괄 처리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부유선별에 의해 제거되어 쌓아놓은 부유 이물질에는 순환골재로 생산할 수 있는 다량의 폐콘크리트 잔입자가 포함되어 있어 선별의 효율성과 경제성이 저하된다.
둘째, 일명 "스크레이퍼"라고도 불리는 회전뜰채에 의한 부유물 제거 시 다량의 물이 함께 월류되어 수처리 수조의 소요 수량이 증가하고 폐수발생에 의해 수환경 오염이 발생한다.
셋째, 각종 이물질을 1차의 부유선별에 의해 선별 및 제거하므로 폐콘크리트 등과 같이 중량물과 부피가 차이가 나는 이물질은 선별되나, 폐콘크리트의 잔입자와 함께 혼합된 이물질은 부유선별용 수조에 가라앉아 선별되지 않는다.
넷째, 제거된 부유 이물질에는 폐콘크리트의 잔입자, 폐수, 슬러지와 각종 이물질이 혼재되어 있으므로 최종 처리장에서 처리해야 할 폐기물 양이 증가하여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최종 처리비가 증가하여 경제성이 크게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조 내 물의 부력에 의해 이물질을 부유시키고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부유된 각종 이물질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 선별장치의 후방부에 다층의 스크린을 구비한 진동스크린을 설치함은 물론 진동스크린과 부유 선별장치의 저부는 플렉시블 파이프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건설폐기물 내에 혼재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수조를 이용하는 부유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면, 다층의 스크린을 구비한 진동스크린에서 나무나 비닐, 종이, 천조각, 플라스틱 또는 스치로 폼 등과 같이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각각 선별하여 분리한 다음, 입자가 큰 이물질은 최종 처리장으로 보내고, 부유 선별장치로부터 각종 부유물과 함께 배출된 물은 부유 선별장치 측으로 회수시켜 주며, 폐콘크리트 잔입자들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2차 더블 조크러셔 측으로 회수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건설폐기물로부터의 부유물 선별에 따른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유 선별장치에서 소요되는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수처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진동스크린을 통해 부유물로부터 다시 선별한 폐콘크리트 잔입자는 다시 2차 더블 조크러셔 측으로 이송시켜 순환골재에 포함시켜 줌으로써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해 낼 수 있는 순환골재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슬러지는 건조하여 석분 등의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최종으로 입자가 큰 이물질만 폐기처리 하므로 최종 처리장에서 처리해야 할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건설폐기물로부터 분리된 각종 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 처리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어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해 내는데 따른 경제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한 각종 부유 이물질을 다층의 스크린을 구비한 진동스크린을 통해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각각 선별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건설폐기물로부터의 순환골재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부유 이물질에서 선별해 낸 폐콘크리트 잔입자는 다시 2차 더블 조크러셔 측으로 이송시켜 순환골재로 활용함으로써 최종 처리장에서 처리해야 할 부유 폐기물량을 대폭 감량화할 수 있으며, 진동스크린에서 필터링된 물은 부유 선별장치 측으로 회수시켜 줌으로써 건설폐기물의 부유 이물질 처리시 발생하는 폐수 발생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처리에 소요되는 물의 사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선별된 슬러지는 건조 후 석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슬러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부유 이물질의 선별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용적을 갖는 수조의 일측면 상,하부에는 각각 물 공급 파이프와 물 배수 파이프가 설치되고, 수조의 타측 저면에는 폐콘크리트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조의 타측 상면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스크레이퍼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1차 조크러셔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인 폐콘크리트가 투입되면 이를 세척해줌과 동시에 물보다 부력이 작은 폐콘크리트는 수조 바닥으로 가라앉히고 물보다 부력이 커 수면 위로 부상되는 각종 이물질은 상기 스크레이퍼를 통해 진동스크린 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부유 선별장치와; 입자가 큰 이물질 거름용 1단 스크린과, 원형 또는 사각형의 100번 체(0.175mm)을 갖는 타공망로 이루어진 폐 콘크리트 잔입자 거름용 2단 스크린, 상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부 타공판으로 이루어진 슬러지 거름용 3단 스크린이 본체 내 상,하부 사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다층으로 설치되고, 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의 일측면 저부와 상기 부유 선별장치의 타측면 저부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물 리턴 파이프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모터의 구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상기 부유 선별장치에서 선별하여 투입시킨 부유 이물질을 각각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분리 선별하여 물은 부유 선별장치로 회수시켜 주고 나머지는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진동스크린과; 상기 진동스크린의 1단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포집해 주는 부유 이물질 포집구와; 상기 진동스크린의 2단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잔입자를 2차 더블 조크러셔 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3단 스크린의 상,하부 타공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입도 조정용 모래를 토목섬유로 싼 매트 형태를 갖고 상기 3단 스크린의 상부 타공판에 천공된 타공들을 통해 유입되는 물속에 포함된 미세 이물질을 필터링해 주는 필터를 설치하되, 상기 필터의 상,하면은 상부 타공판의 저면과 하부 타공판의 상면 사이에 정해진 높이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필터의 상,하면에는 상,하부 타공판에 천공된 타공보다 비교적 큰 지름을 갖는 타공이 천공된 필터 상,하면 보호판을 더 설치하고, 상기 상부 타공판의 저면과 상기 필터 상면 보호판의 상면 사이 및 상기 필터 하면 보호판의 저면과 상기 하부 타공판의 상면 사이에는 진동스크린의 진동 작동시 상기 필터의 위치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틈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자가 큰 이물질 거름용 1단 스크린은, 측단면이 "┗┛" 형상을 갖는 직사각 판체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장방형 이물질 통과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하고, 상기 직사각 판체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입자가 큰 이물질 중 길이가 긴 이물질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배출되게 하는 2개 이상의 이물질 방향 변환 턱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성형 또는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3단 스크린 중 상부 타공판의 타공은 역 깔때기 형상으로 천공하고, 하부 타공판의 타공은 깔때기 형상으로 천공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에 의하면, 수조 내 물의 부력에 의해 이물질을 부유시키고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부유된 각종 이물질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 선별장치의 후방부에 다층의 스크린을 구비한 진동스크린을 설치함은 물론 진동스크린과 부유 선별장치의 저부는 플렉시블 파이프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건설폐기물 내에 혼재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수조를 이용하는 부유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면, 다층의 스크린을 구비한 진동스크린에서 나무나 비닐, 종이, 천조각, 플라스틱 또는 스치로 폼 등과 같이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각각 선별하여 분리한 다음, 입자가 큰 이물질은 최종 처리장으로 보내고, 부유 선별장치로부터 각종 부유물과 함께 배출된 물은 부유 선별장치 측으로 회수시켜 주며, 폐콘크리트 잔입자들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2차 더블 조크러셔 측으로 회수시고 슬러지는 회수하여 자연건조 함으로써 건설폐기물로부터의 부유물 선별에 따른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유 선별장치에서 소요되는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수처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진동스크린을 통해 부유물로부터 다시 선별한 폐콘크리트 잔입자는 다시 2차 더블 조크러셔 측으로 이송시켜 순환골재에 포함시켜 줌으로써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해 낼 수 있는 순환골재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슬러지는 건조하여 석분 등의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최종으로 입자가 큰 이물질만 폐기처리 하므로 최종 처리장에서 처리해야 할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건설폐기물로부터 분리된 각종 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 처리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어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해 내는데 따른 경제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부유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한 각종 부유 이물질을 다층의 스크린을 구비한 진동스크린을 통해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각각 선별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건설폐기물로부터의 순환골재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부유 이물질에서 선별해 낸 폐콘크리트 잔입자는 다시 2차 더블 조크러셔 측으로 이송시켜 순환골재로 활용함으로써 최종 처리장에서 처리해야 할 부유 폐기물량을 대폭 감량화할 수 있으며, 진동스크린에서 필터링된 물은 부유 선별장치 측으로 회수시켜 줌으로써 건설폐기물의 부유 이물질 처리시 발생하는 폐수 발생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처리에 소요되는 물의 사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선별된 슬러지는 건조 후 석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슬러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부유 이물질의 선별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중 진동스크린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진동스크린 중 1단 내지 3단 스크린과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중 진동스크린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진동스크린 중 1단 내지 3단 스크린과 필터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의 전체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중 진동스크린의 일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진동스크린 중 1단 내지 3단 스크린과 필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정용적을 갖는 수조(51)의 일측면 상,하부에는 각각 물 공급 파이프(511)와 물 배수 파이프(512)가 설치되고, 수조(51)의 타측 저면에는 폐콘크리트 배출구(5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조(51)의 타측 상면부에는 모터(521)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스크레이퍼(52)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1차 조크러셔(1)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인 폐콘크리트가 투입되면 이를 세척해줌과 동시에 물보다 부력이 작은 폐콘크리트는 수조 바닥으로 가라앉히고 물보다 부력이 커 수면 위로 부상되는 각종 이물질은 상기 스크레이퍼(52)를 통해 진동스크린(6) 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부유 선별장치(5)와;
입자가 큰 이물질 거름용 1단 스크린(61)과, 원형 또는 사각형의 100번 체(0.175mm)을 갖는 타공망로 이루어진 폐 콘크리트 잔입자 거름용 2단 스크린(62), 상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부 타공판(631)(632)으로 이루어진 슬러지 거름용 3단 스크린(63)이 본체(60) 내 상,하부 사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다층으로 설치되고, 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60)의 일측면 저부와 상기 부유 선별장치(5)의 타측면 저부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물 리턴 파이프(64)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모터(68)의 구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상기 부유 선별장치(5)에서 선별하여 투입시킨 부유 이물질을 각각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분리 선별하여 물은 부유 선별장치(5)로 회수시켜 주고 나머지는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진동스크린(6)과;
상기 진동스크린(6)의 1단 스크린(61)을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포집해 주는 부유 이물질 포집구(7)와;
상기 진동스크린(6)의 2단 스크린(62)을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잔입자를 2차 더블 조크러셔(2) 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벨트 컨베이어(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3단 스크린(63)의 상,하부 타공판(631)(63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입도 조정용 모래(651)를 토목섬유(652)로 싼 매트 형태를 갖고 상기 3단 스크린(63)의 상부 타공판(631)에 천공된 타공(631-1)들을 통해 유입되는 물속에 포함된 미세 이물질을 필터링해 주는 필터(65)를 설치하되, 상기 필터(65)의 상,하면은 상부 타공판(631)의 저면과 하부 타공판(632)의 상면 사이에 정해진 높이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필터(65)의 상,하면에는 상,하부 타공판(631)(632)에 천공된 타공(631-1)(632-1)보다 비교적 큰 지름을 갖는 타공이 천공된 필터 상,하면 보호판(66a)(66b)을 더 설치하고, 상기 상부 타공판(631)의 저면과 상기 필터 상면 보호판(66a)의 상면 사이 및 상기 필터 하면 보호판(66b)의 저면과 상기 하부 타공판(631)의 상면 사이에는 진동스크린(6)의 진동 작동시 상기 필터(65)의 위치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틈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복수의 스페이서(67)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자가 큰 이물질 거름용 1단 스크린(61)은,
측단면이 "┗┛" 형상을 갖는 직사각 판체(611)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장방형 이물질 통과공(612)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하고, 상기 직사각 판체(611)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입자가 큰 이물질 중 길이가 긴 이물질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배출되게 하는 2개 이상의 이물질 방향 변환 턱(613)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성형 또는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3단 스크린(63) 중 상부 타공판(631)의 타공(631-1)은 역 깔때기 형상으로 천공하고, 하부 타공판(632)의 타공(632-1)은 깔때기 형상으로 천공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에 대한 작용효과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은 도 3과 같이, 크게 부유 선별장치(5)와 진동스크린(6), 부유 이물질 포집구(7) 및 벨트 컨베이어(8)로 구성시켜, 건설폐기물 내에 혼재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수조(51)를 이용하는 부유 선별장치(5)를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면, 1단 내지 3단 스크린(61)~(63)을 구비한 진동스크린(6)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각각 선별한 다음, 입자가 큰 이물질은 최종 처리장으로 보내고, 부유 선별장치(5)로부터 각종 부유물과 함께 배출된 물은 부유 선별장치(5) 측으로 회수시켜 주도록 하며, 폐콘크리트 잔입자들은 벨트 컨베이어(8)를 통해 2차 더블 조크러셔(2) 측으로 회수시켜 주며, 슬러지는 회수하여 자연건조시키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부유 선별장치(5)는, 소정용적을 갖는 수조(51)의 일측면 상,하부에는 각각 건설폐기물을 세척하기 위해 도시 생략한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수조내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파이프(511)와, 건설폐기물의 세척으로 인해 오염된 폐수를 정화하는 수처리조 등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수 파이프(512)가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수조(51)의 타측 저면에는 부유 이물질이 제거됨과 동시에 세척된 건설폐기물 즉, 폐콘크리트 조각들을 하단의 2차 더블 조크러셔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폐콘크리트 배출구(5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조(51)의 타측 상면부에는 수차 형태를 갖고 모터(521)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스크레이퍼(52)가 설치됨은 물론 상기 스크레이퍼(52)의 저부에는 회전하는 스크레이퍼(52)의 날개에 의해 걸려진 부유 이물질들이 진동스크린(6) 측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부유 이물질 배출 안내판(53)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부유 선별장치(5)는 1차 조크러셔(1)에서 1차적으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인 폐콘크리트가 수조(51) 내로 투입되면 물의 와류작용을 통해 이를 세척해줌과 동시에 물보다 부력이 작은 폐콘크리트는 수조 바닥으로 가라앉도록 하고, 물보다 부력이 커 수면 위로 부상되는 각종 이물질은 수차 형상을 갖고 회전작동하는 상기 스크레이퍼(52)를 통해 진동스크린(6) 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진동스크린(6)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1단 내지 3단 스크린(61)~(63)이 진동스크린(6)이 본체(60) 내의 상,하부 사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물질 배출부를 향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60)의 일측면 저부와 상기 부유 선별장치(5)의 타측면 저부 사이에는 물 리턴 파이프(64)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물 리턴 파이프(64)로는 플렉시블한 호스 등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진동스크린(6)이 모터(68)의 구동에 대응하여 진동 작동할 때 상기 물 리턴 파이프(64)의 형상이 탄력적으로 변화되므로 진동스크린(6) 자체가 장기간 진동 작동하더라도 물 리턴 파이프(64)이 손상되지 않고 진동스크린(6) 본체에서 수집한 물을 상기 부유 선별장치(5) 측으로 지속적으로 회수시켜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진동스크린(6)은, 모터(68)의 구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상기 부유 선별장치(5)에서 선별된 다음 투입되는 각종 부유 이물질을 각각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분리 선별하여, 본체(60) 경사진 저면 측으로 흘러내린 물은 부유 선별장치(5)로 회수시켜 주고 나머지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및 슬러지는 각각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진동스크린(6)의 구성요소 중 상기 1단 스크린(61)은 나무나 비닐, 종이, 천조각, 플라스틱 또는 스치로 폼 등과 같이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스크린으로, 철판 등을 이용하여 측단면이 "┗┛" 형상을 갖는 직사각 판체(611)로 절곡 성형하거나 또는 압출 성형함은 물론 중앙의 수평판체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장방형 이물질 통과공(612)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정해진 줄 만큼 천공한 형태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1단 스크린(61)은 상기 직사각 판체(611)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의 이물질 방향 변환 턱(613)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성형 또는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고 있어, 상기 1단 스크린(61)에 걸려진 입자가 큰 이물질 중 나무 등과 같이 길이가 긴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방향 변환 턱(613)들의 걸림 작용에 의해 길이방향(즉, 이물질의 배출 진행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배출되게 되므로 길이가 긴 이물질들이 이물질의 배출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출되므로 인해 출구에서 걸리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스크린(6)의 구성요소 중 상기 2단 스크린(62)은 상기 1단 스크린(61)의 저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1단 스크린(61)의 판체(61)에 천공된 장방형 이물질 통과공(612)을 통과한 폐콘크리트의 잔입자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써, 체 눈 크기가 100번 체(0.175mm)인 원형 타공망이나 사각 타공망을 이용하여 제작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2단 스크린(62)에 걸려져 선별된 후 진동스크린(6)의 외부로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잔입자는, 후술하는 벨트 컨베이어(8)를 통해 2차 더블 조크러셔(2)로 이송된 다음, 부유 선별장치(5)에서 직접 투입되는 폐콘크리트와 함께 상기 2차 더블 조크러셔(2)와 3차 콘크러셔(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재차 파쇄 및 마모된 후 순환골재로 생산된다.
또, 상기 진동스크린(6)의 구성요소 중 3단 스크린(63)은 상기 2단 스크린(62)의 저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2단 스크린(62)의 타공을 통과한 이물질 중 슬러지를 2단으로 걸러 외부로 배출해 주는 슬러지 거름용으로, 상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부 타공판(631)(632)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3단 스크린(63) 중 상부 타공판(631)의 타공(631-1)은 슬러지가 쉽게 빠지도록 역 깔때기 형상으로 천공하고, 하부 타공판(632)의 타공(632-1)은 물이 쉽게 빠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천공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부 구멍의 지름이 적고 하부 구멍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형태를 갖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타공(631-1)이 천공된 상부 타공판(631)의 상면에 비교적 큰 입자를 갖는 대부분의 미립자 즉, 비교적 큰 미립자의 슬러지는 1차적으로 걸려져 외부로 배출되고, 후술하는 필터(65)를 물과 함께 통과한 비교적 작은 미립자의 슬러지는 상부 구멍의 지름이 크고 하부 구멍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를 갖는 깔때기 형상으로 타공(632-1)이 천공된 하부 타공판(632)의 상면에 2차적으로 걸려져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3단 스크린(63)의 상,하부 타공판(631)(632)을 통해 1차 및 2차에 걸쳐 걸려진 슬러지는 서로 다른 배출 루트를 통해 진동스크린(6)의 외부로 배출된 다음 건조하여 석분 등으로 재활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3단 스크린(63)의 상,하부 타공판(631)(63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입도 조정용 모래(651)를 구멍의 크기가 약 0.05㎜를 갖는 토목섬유(652)로 싼 매트 형태를 갖는 필터(65)를 더 설치하되, 상기 필터(65)의 상,하면은 상부 타공판(631)의 저면과 하부 타공판(632)의 상면 사이에 정해진 높이(예를 들어 2~3㎝)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해 주었다.
이와 같은 필터(65)는 3단 스크린(63)의 상부 타공판(631)에 천공된 타공(631-1)들을 통해 유입되는 물속에 포함된 미세 이물질을 필터링시켜 준 다음 자체를 통과한 물을 포함한 미세 이물질만 하부 타공판(632)으로 흘려보내 줌으로써 하부 타공판(632)의 상면에 비교적 작은 미립자의 슬러지가 재차 걸려지고 비교적 깨끗한 물만 상기 하부 타공판(632)의 타공(632-1)을 통해 본체(60)의 하부로 흘러내려 간 다음 물 리턴 파이프(64)를 통해 부유 선별장치(5)로 자동 회수시켜 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매트 형상을 갖는 상기 필터(65)를 단순한 형태로 상기 3단 스크린(63)의 상,하부 타공판(631)(63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필터(65)의 상,하면에 상,하부 타공판(631)(632)에 천공된 타공(631-1)(632-1)보다 비교적 큰 지름을 갖는 타공(도면 부호 기입 생략함)이 천공된 필터 상,하면 보호판(66a)(66b)을 더 설치해 주었다.
따라서, 만약 입도 조정용 모래(651)를 토목섬유(652)로 싼 매트 형태를 갖는 상기 필터(65)를 상기 3단 스크린(63)의 상,하부 타공판(631)(63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단순히 설치하였을 경우 필터(65) 형상이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하방부로 축 처진 형태를 가짐은 물론 진동스크린(6)의 진동 작동시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는 반면, 상기와 같이 상기 필터(65)의 필터 상,하면 보호판(66a)(66b)을 더 설치해 줄 경우, 상기 필터(65)가 상기 필터 상,하면 보호판(66a)(66b)에 의해 고정 및 보호되는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필터(65) 자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진동스크린(6)이 진동 작동하더라도, 상기 필터(65)가 상기 필터 상,하면 보호판(66a)(66b)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손상이 방지되어 필터(65)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상,하면 보호판(66a)(66b)에 각각 천공된 타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65)의 상,하면에 상,하부 타공판(631)(632)에 천공된 타공(631-1)(632-1)보다 비교적 큰 지름을 갖게 천공하여 줌으로써 상기 상부 타공판(631)에 천공된 타공(631-1)들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포함한 미세 이물질이 필터 상면 보호판(66a)의 설치 상태와 무관하게 자체에 천공된 큰 타공들을 통해 필터(65) 측으로 원활히 유입됨은 물론 상기 필터(65)를 통과한 물을 포함한 미세 이물질도 필터 하면 보호판(66b)의 설치 상태와 무관하게 자체에 천공된 큰 타공들을 통해 하부 타공판(632) 측으로 원활히 유입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타공판(631)의 저면과 상기 필터 상면 보호판(66a)의 상면 사이 및 상기 필터 하면 보호판(66b)의 저면과 상기 하부 타공판(631)의 상면 사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67)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진동스크린(6)이 장시간 진동 작동하더라도, 상기 필터 상,하면 보호판(66a)(66b)에 의해 상기 필터(65)가 상,하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6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페이서(67)들에 의해 상기 상부 타공판(631)의 저면과 상기 필터 상면 보호판(66a)의 상면 사이 및 상기 필터 하면 보호판(66b)의 저면과 상기 하부 타공판(631)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간격(예를 들어 2~3㎝)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필터(65)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유 이물질 포집구(7)는 상기 진동스크린(6)의 1단 스크린(61) 출구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스크린(6)의 1단 스크린(61)을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포집해 주었다가 최종 처리장으로 한꺼번에 이송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8)는 상기 진동스크린(6)의 2단 스크린(62)의 출구측과 2차 더블 조크러셔(2) 상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스크린(6)의 2단 스크린(62)을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잔입자를 2차 더블 조크러셔(2) 측으로 이송시켜, 부유 선별장치(5)에서 직접 투입되는 폐콘크리트와 함께 상기 2차 더블 조크러셔(2)와 3차 콘크러셔(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재차 파쇄 및 마모된 후 순환골재로 생산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부유 선별장치(5)를 통해 선별한 각종 부유 이물질을 1단 내지 3단 스크린(61)~(63)과 필터(65) 등을 구비한 진동스크린(6)을 통해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각각 선별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건설폐기물로부터의 순환골재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부유 이물질의 선별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유 이물질에서 선별해 낸 폐콘크리트 잔입자는 다시 2차 더블 조크러셔(2) 측으로 이송시켜 순환골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종 처리장에서 처리해야 할 부유 폐기물량을 대폭 감량화할 수 있고, 진동스크린(6)에서 필터링된 물은 부유 선별장치(5) 측으로 회수시켜 줌으로써 건설폐기물의 부유 이물질 처리시 발생하는 폐수 발생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처리에 소요되는 물의 사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선별된 슬러지는 건조 후 석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슬러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1차 조크러셔
2 : 2차 더블 조크러셔
3 : 3차 콘크러셔
5 : 부유 선별장치
51 : 수조 511 : 물 공급 파이프
512 : 물 배수 파이프 513 : 폐콘크리트 배출구
52 : 스크레이퍼 521 : 모터
53 : 부유 이물질 배출 안내판
6 : 진동스크린 60 : 본체
61 : 1단 스크린 611 : 직사각 판체
612 : 장방형 이물질 통과공 613 : 이물질 방향 변환 턱
62 : 2단 스크린
63 : 3단 스크린 631 : 상부 타공판
632 : 하부 타공판 631-1, 632-1 : 타공
64 : 물 리턴 파이프 65 : 필터
651 : 입도 조정용 모래 652 : 토목섬유
66a : 필터 상면 보호판 66b : 필터 하면 보호판
67 : 스페이서 68 : 모터
7 : 부유 이물질 포집구
8 : 벨트 컨베이어
2 : 2차 더블 조크러셔
3 : 3차 콘크러셔
5 : 부유 선별장치
51 : 수조 511 : 물 공급 파이프
512 : 물 배수 파이프 513 : 폐콘크리트 배출구
52 : 스크레이퍼 521 : 모터
53 : 부유 이물질 배출 안내판
6 : 진동스크린 60 : 본체
61 : 1단 스크린 611 : 직사각 판체
612 : 장방형 이물질 통과공 613 : 이물질 방향 변환 턱
62 : 2단 스크린
63 : 3단 스크린 631 : 상부 타공판
632 : 하부 타공판 631-1, 632-1 : 타공
64 : 물 리턴 파이프 65 : 필터
651 : 입도 조정용 모래 652 : 토목섬유
66a : 필터 상면 보호판 66b : 필터 하면 보호판
67 : 스페이서 68 : 모터
7 : 부유 이물질 포집구
8 : 벨트 컨베이어
Claims (5)
- 수조의 일측면 상,하부에는 각각 물 공급 파이프와 물 배수 파이프가 설치되고, 수조의 타측 저면에는 폐콘크리트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조의 타측 상면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스크레이퍼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1차 조크러셔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인 폐콘크리트가 투입되면 이를 세척해줌과 동시에 물보다 부력이 작은 폐콘크리트는 수조 바닥으로 가라앉히고 물보다 부력이 커 수면 위로 부상되는 각종 이물질은 상기 스크레이퍼를 통해 진동스크린 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부유 선별장치와;
입자가 큰 이물질 거름용 1단 스크린과, 폐 콘크리트 잔입자 거름용 2단 스크린, 상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부 타공판으로 이루어진 슬러지 거름용 3단 스크린이 본체 내 상,하부 사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다층으로 설치되고, 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의 일측면 저부와 상기 부유 선별장치의 타측면 저부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물 리턴 파이프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모터의 구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상기 부유 선별장치에서 선별하여 투입시킨 부유 이물질을 각각 입자가 큰 이물질과 폐콘크리트 잔입자, 슬러지 및 물로 분리 선별하여 물은 부유 선별장치로 회수시켜 주고 나머지는 서로 다른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진동스크린과;
상기 진동스크린의 1단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포집해 주는 부유 이물질 포집구와;
상기 진동스크린의 2단 스크린을 통해 선별되어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잔입자를 2차 더블 조크러셔 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3단 스크린의 상,하부 타공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입도 조정용 모래를 토목섬유로 싼 매트 형태를 갖고 상기 3단 스크린의 상부 타공판에 천공된 타공들을 통해 유입되는 물속에 포함된 미세 이물질을 필터링해 주는 필터를 설치하되, 상기 필터의 상,하면은 상부 타공판의 저면과 하부 타공판의 상면 사이에 정해진 높이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상,하면에는 상,하부 타공판에 천공된 타공보다 비교적 큰 지름을 갖는 타공이 천공된 필터 상,하면 보호판을 더 설치하고, 상기 상부 타공판의 저면과 상기 필터 상면 보호판의 상면 사이 및 상기 필터 하면 보호판의 저면과 상기 하부 타공판의 상면 사이에는 진동스크린의 진동 작동시 상기 필터의 위치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틈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큰 이물질 거름용 1단 스크린은,
측단면이 "┗┛" 형상을 갖는 직사각 판체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장방형 이물질 통과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하고, 상기 직사각 판체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입자가 큰 이물질 중 길이가 긴 이물질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배출되게 하는 2개 이상의 이물질 방향 변환 턱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성형 또는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단 스크린 중 상부 타공판의 타공은 역 깔때기 형상으로 천공하고, 하부 타공판의 타공은 깔때기 형상으로 천공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7419A KR101823975B1 (ko) | 2017-05-31 | 2017-05-31 |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7419A KR101823975B1 (ko) | 2017-05-31 | 2017-05-31 |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3975B1 true KR101823975B1 (ko) | 2018-01-31 |
Family
ID=6108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7419A KR101823975B1 (ko) | 2017-05-31 | 2017-05-31 |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3975B1 (ko)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07774A (zh) * | 2018-09-12 | 2019-01-01 | 淮北市大金矿山机器有限责任公司 | 一种浮选机上的可伸缩调节的刮板 |
CN109365274A (zh) * | 2018-12-04 | 2019-02-22 | 山东金有粮脱皮制粉设备有限公司 | 高效振动筛 |
KR101977566B1 (ko) * | 2018-07-04 | 2019-08-28 | 홍대일 | 경사판 이중 스크린 장치 |
CN111589692A (zh) * | 2020-05-27 | 2020-08-28 | 汪芳 | 一种建筑机械设备 |
KR20200117424A (ko) | 2019-04-04 | 2020-10-14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 열 충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분리방법 및 열 충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분리시스템 |
CN111879696A (zh) * | 2020-07-20 | 2020-11-03 | 龙蟒佰利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滤饼触变程度的测试方法 |
KR20210036598A (ko) | 2019-09-26 | 2021-04-05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 순환골재를 이용한 맞춤형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레디믹스 콘크리트 |
CN112742592A (zh) * | 2020-12-08 | 2021-05-04 | 韩飞军 | 一种多级筛选装置及豆制品加工方法 |
CN113275085A (zh) * | 2021-04-28 | 2021-08-20 | 威海海洋职业学院 | 一种鲜海带破碎装置 |
CN113351463A (zh) * | 2020-03-06 | 2021-09-07 | 杨罗朋 | 一种建筑工程施工废料环保处理装置 |
CN113414104A (zh) * | 2020-12-30 | 2021-09-21 | 衡阳市广源线路器材有限公司 | 一种混凝土预制管道生产用砂石清洗筛选装置 |
KR102329253B1 (ko) | 2021-06-29 | 2021-11-19 |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 U자관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세척수 부유물 여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부유물 여과 제거방법 |
CN115430605A (zh) * | 2022-09-02 | 2022-12-06 |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砂石加工分离机 |
CN116078542A (zh) * | 2023-04-10 | 2023-05-09 | 河南宝景农业科技有限公司 | 一种精选筛分装置 |
KR20230080625A (ko) * | 2021-11-30 | 2023-06-07 | (주)대건환경산업 | 건설폐기물 집수조의 손상방지 구조를 갖는 습식분류장치 |
KR20230084751A (ko) * | 2021-12-06 | 2023-06-13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세척수 순환방식의 동애등에 유충 선별 및 탈수 시스템 |
CN116511018A (zh) * | 2022-12-08 | 2023-08-01 | 江苏丽鑫炭业有限公司 | 一种具有破碎功能的木质活性炭生产用筛选装置 |
CN116692529A (zh) * | 2023-08-01 | 2023-09-05 | 河北鑫源输送机械有限公司 | 一种倾斜式可调防滑料履带输送机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1994Y1 (ko) * | 2005-01-26 | 2005-04-15 | 김동환 | 재생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
KR100557493B1 (ko) * | 2005-10-26 | 2006-03-10 | (주)모악환경산업 |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
-
2017
- 2017-05-31 KR KR1020170067419A patent/KR1018239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1994Y1 (ko) * | 2005-01-26 | 2005-04-15 | 김동환 | 재생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
KR100557493B1 (ko) * | 2005-10-26 | 2006-03-10 | (주)모악환경산업 |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
Cited B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7566B1 (ko) * | 2018-07-04 | 2019-08-28 | 홍대일 | 경사판 이중 스크린 장치 |
CN109107774A (zh) * | 2018-09-12 | 2019-01-01 | 淮北市大金矿山机器有限责任公司 | 一种浮选机上的可伸缩调节的刮板 |
CN109365274A (zh) * | 2018-12-04 | 2019-02-22 | 山东金有粮脱皮制粉设备有限公司 | 高效振动筛 |
KR20200117424A (ko) | 2019-04-04 | 2020-10-14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 열 충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분리방법 및 열 충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분리시스템 |
KR20210036598A (ko) | 2019-09-26 | 2021-04-05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 순환골재를 이용한 맞춤형 레디믹스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레디믹스 콘크리트 |
CN113351463A (zh) * | 2020-03-06 | 2021-09-07 | 杨罗朋 | 一种建筑工程施工废料环保处理装置 |
CN111589692A (zh) * | 2020-05-27 | 2020-08-28 | 汪芳 | 一种建筑机械设备 |
CN111879696A (zh) * | 2020-07-20 | 2020-11-03 | 龙蟒佰利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滤饼触变程度的测试方法 |
CN111879696B (zh) * | 2020-07-20 | 2023-12-15 | 龙蟒佰利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滤饼触变程度的测试方法 |
CN112742592A (zh) * | 2020-12-08 | 2021-05-04 | 韩飞军 | 一种多级筛选装置及豆制品加工方法 |
CN112742592B (zh) * | 2020-12-08 | 2022-10-14 | 珠海粤淇食品有限公司 | 一种多级筛选装置及豆制品加工方法 |
CN113414104A (zh) * | 2020-12-30 | 2021-09-21 | 衡阳市广源线路器材有限公司 | 一种混凝土预制管道生产用砂石清洗筛选装置 |
CN113275085B (zh) * | 2021-04-28 | 2022-07-19 | 威海海洋职业学院 | 一种鲜海带破碎装置 |
CN113275085A (zh) * | 2021-04-28 | 2021-08-20 | 威海海洋职业学院 | 一种鲜海带破碎装置 |
KR102329253B1 (ko) | 2021-06-29 | 2021-11-19 |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 U자관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세척수 부유물 여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부유물 여과 제거방법 |
KR102660819B1 (ko) * | 2021-11-30 | 2024-04-26 | (주)대건환경산업 | 건설폐기물 집수조의 손상방지 구조를 갖는 습식분류장치 |
KR20230080625A (ko) * | 2021-11-30 | 2023-06-07 | (주)대건환경산업 | 건설폐기물 집수조의 손상방지 구조를 갖는 습식분류장치 |
KR102612100B1 (ko) * | 2021-12-06 | 2023-12-12 | 대한민국 | 세척수 순환방식의 동애등에 유충 선별 및 탈수 시스템 |
KR20230084751A (ko) * | 2021-12-06 | 2023-06-13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세척수 순환방식의 동애등에 유충 선별 및 탈수 시스템 |
CN115430605B (zh) * | 2022-09-02 | 2023-12-22 |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砂石加工分离机 |
CN115430605A (zh) * | 2022-09-02 | 2022-12-06 |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砂石加工分离机 |
CN116511018A (zh) * | 2022-12-08 | 2023-08-01 | 江苏丽鑫炭业有限公司 | 一种具有破碎功能的木质活性炭生产用筛选装置 |
CN116511018B (zh) * | 2022-12-08 | 2023-11-10 | 江苏丽鑫炭业有限公司 | 一种具有破碎功能的木质活性炭生产用筛选装置 |
CN116078542A (zh) * | 2023-04-10 | 2023-05-09 | 河南宝景农业科技有限公司 | 一种精选筛分装置 |
CN116692529A (zh) * | 2023-08-01 | 2023-09-05 | 河北鑫源输送机械有限公司 | 一种倾斜式可调防滑料履带输送机 |
CN116692529B (zh) * | 2023-08-01 | 2023-10-27 | 河北鑫源输送机械有限公司 | 一种倾斜式可调防滑料履带输送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3975B1 (ko) |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
KR100650509B1 (ko) |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 |
CN108855587B (zh) |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 |
KR100588836B1 (ko) |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 |
KR100688123B1 (ko) |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
KR20100138730A (ko) |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
KR20080058076A (ko) |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 |
KR20050044873A (ko) |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 |
KR100761554B1 (ko) | 파분쇄된 순환골재 선별장치 | |
KR101173286B1 (ko) |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 |
KR20040004294A (ko) | 재생골재를 위한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장치 | |
JP2003127141A (ja) | 廃プラスチックの分別処理装置とその分別処理方法 | |
CN110665934A (zh) | 一种建筑垃圾的回收处理系统 | |
CN211801602U (zh) | 一种建筑垃圾回收处理系统 | |
KR100764643B1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 |
KR100358687B1 (ko)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 |
KR100510328B1 (ko) |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 |
KR100693109B1 (ko)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 |
KR20050031104A (ko) |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 |
KR100722569B1 (ko) |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 |
KR100434799B1 (ko) |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 |
KR100533616B1 (ko) | 골재 선별 세척장치 | |
KR100456716B1 (ko) |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0557493B1 (ko) |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 |
KR100400197B1 (ko) |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