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723B1 -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723B1
KR100971723B1 KR1020080072350A KR20080072350A KR100971723B1 KR 100971723 B1 KR100971723 B1 KR 100971723B1 KR 1020080072350 A KR1020080072350 A KR 1020080072350A KR 20080072350 A KR20080072350 A KR 20080072350A KR 100971723 B1 KR100971723 B1 KR 100971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veyor
cylindrical
screen plate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223A (ko
Inventor
김도근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강성산업개발
유한회사 대성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강성산업개발, 유한회사 대성환경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강성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080072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7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컨베이어 프레임과,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이 투입되고, 원통형의 스크린 프레임과 체거름을 위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판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크기가 작은 골재와 토사를 선별분리하는 1차 원통형 선별기와,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의 스크린판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폐기물이 제1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되, 제1컨베이어 단부에는 제1송풍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1송풍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1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된 폐기물이 투입되어 회전에 의해 선별 분리하는 2차 원통형 선별기와,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에 의해 걸러져서 후방으로 배출되는 폐기물이 제2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되, 풍압을 가하여 소각처리물을 분리하기 위해 제2송풍기가 제2컨베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송풍기의 영향을 받지 않은 폐기물이 투입되어 회전에 의해 선별 분리하는 3차 원통형 선별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폐기물의 선별효율을 높여 처리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72350
폐기물, 분리, 시스템, 골재, 쓰레기, 토사, 매립

Description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WASTE SEPARATION SYSTEM}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이나 쓰레기 더미로부터 활용 가능한 골재 또는 매립용 골재와 소각처리대상을 선별 분리하는 폐기물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계별로 진행되는 선별과정을 통해 크기별로 골재를 구분하고 상기 골재에 포함되는 토사와 소각처리대상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 폐기물과 쓰레기 등의 폐기물에는 골재, 콘크리트 덩어리, 철근류, 플라스틱류, 옷가지, 폐비닐, 스치로폴 등 다양한 물질이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들 폐기물은 전량 매립할 경우 처리비용이 증대되고, 용지확보 등이 곤란하기 때문에 재활용 또는 매립물질과 소각물질로 선별하여 처리하게 된다.
통상 이러한 폐기물의 선별처리과정은 폐기물을 수거하여 처리장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운반된 폐기물을 소각대상과 재활용대상 또는 매립대상으로 선별하는 단계와, 소각대상은 소각처리장으로 운반하여 소각하고 매립 또는 재활용 대상은 해당 장소로 운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종래 이러한 폐기물의 일반적인 선별과정은 원폐기물 또는 파쇄기로 분쇄한 폐기물을 회전하는 선별망통에 투입하여 체거름하는 과정에 의해 1차로 소입자의 골재나 토사를 분리해내고, 원통형 선별망을 통과한 대입자의 덩어리나 비닐, 옷가지, 목재 등은 풍압을 가하여 비중이 낮은 소재와 높은 소재로 재차 분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차 선별에 이용되는 선별기는 원통형 선별망통 하부에 골재배출구를 형성하여 망을 통과한 골재를 골재배출구를 통하여 분리해내고, 망을 통과하지 않는 크기가 큰 골재 등은 선별망의 반대편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2차 선별은 선별망통의 후방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큰 골재 등을 컨베이어로 받아 상승시킨 상태에서 낙하시키고, 낙하 위치에서 송풍시켜 옷가지나 나무, 비닐 등 비중이 낮은 물질을 날려보내 낙하되는 비중이 큰 물질들만 컨베이어로 수거하고, 2차 선별과정에서 분리된 폐비닐 등과 같은 비중이 낮은 물질들은 전체가 소각대상으로서 최종 소각처리장으로 운반 처리된다.
그러나 상기한 소각처리대상은 송풍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토사가 표면에 다량 흡착된 상태로 소각처리대상에 포함된다.
이들 토사는 비닐이나 옷가지 등에 부착된 형태로 존재하거나 옷가지 등의 접혀진 부위에 다량으로 존재하며, 특히 젖은 폐기물의 경우에는 보다 많은 양이 함유되어 소각대상물의 전체 중량중 30~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차 및 2차 선별과정에서 분리되지 않고 소각대상에 포함된 토사는 소각대상을 최종 소각장으로 운반하는 비용을 증대시키고, 소각처리시 연료소비를 증대시키 며, 특히 폐기물로서 처리비용이 높은 소각 후 잔존물의 량을 증대시켜 전체적인 처리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은 이미 등록특허 제10-0494579호(발명의 명칭: 폐기물선별장치)를 통해, 원통형 선별망통의 회전에 의해 원폐기물이나 파쇄기로 분쇄한 폐기물 중에서 크기가 작은 골재와 토사를 선별분리하는 1차 선별장치와; 1차 선별장치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배출물을 받아 상향으로 끌어 올려 낙하시키는 제1컨베이어와, 낙하되는 배출물에 풍압을 가하여 비중이 큰 골재 덩어리와 비중이 가벼운 쓰레기류를 분리시키기 위해 제1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송풍기의 풍압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낙하되는 고비중물을 받아 배출시키기 위해 제1컨베이어 단부 아래에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로 이루어져 1차 선별장치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쓰레기와 굵은 골재를 제1컨베이어로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고 낙하도중에 풍압을 가하여 저비중의 쓰레기와 고비중의 골재 덩어리를 분리시키는 2차 선별장치와; 독립된 형태의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선별망통과, 상기 선별망통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과, 선별망통 하부에 설치되어 토사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선별망통으로 송풍기의 풍압에 의해 날리는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상기한 2차 선별장치의 송풍기로부터 이격되고 풍향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3차 선별장치;로 이루어져 폐기물 중에서 소각처리대상과 재활용 또는 매립대상을 선별 분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선별장치를 제시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본 발명인이 선출원한 등록특허 제10-0494579호를 개선한 것으로, 폐기물에 포함된 소각처리물과 활용가능한 토사와, 매립쓰레기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호퍼에 채워진 폐기물이 낙하하여 상기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이 투입되고, 원통형의 스크린 프레임과 체거름을 위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판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골재와 토사를 선별분리하는 1차 원통형 선별기;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의 스크린판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폐기물이 제1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되, 풍압을 가하여 골재덩어리와 소각처리물을 분리하기 위해 제1컨베이어 단부에 제1송풍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1송풍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1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된 폐기물이 투입되어 회전에 의해 선별 분리하는 2차 원통형 선별기;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에 의해 걸러져서 후방으로 배출되는 폐기물이 제2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되, 풍압을 가하여 소각처리물을 분리하기 위해 제2송풍기가 제2컨베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송풍기의 영향을 받지 않은 폐기물이 투입되어 회전에 의해 선별 분리하는 3차 원통형 선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폐기물에 포함된 소각처리대상과 재활용 또는 매립대상을 선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1차, 2차, 3차의 선별과정에 의해 가연성 물질의 소각처리물과 재활용 또는 매립처리되는 골재류를 더욱 정교하고 효과적으로 선별분리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전체적인 폐기물의 처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분별분리 시스템의 배치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호퍼(110)에 채워진 폐기물이 벨트컨베이어(120)로 낙하하여 상기 벨트컨베이어(120)가 일정한 속도로 이동함에 따라 1차 원통형 선별기(201) 내부로 상기 폐기물이 투입된다.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201)는 대략 35mm이하의 크기를 갖는 골재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의 스크린 프레임(210)과 체거름을 위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판(220)으로 형성되며 외부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에 의해 크기가 작은 골재와 토사를 선별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201)의 스크린판(220)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폐기물은 제1컨베이어(510)의 상면에 떨어지고 상기 제1컨베이어(510)를 통해 2차 원통형 선별기(202)로 이동하되, 상기 제1컨베이어(510) 단부에는 제1송풍기(610) 가 설치되어 풍압을 가해줌으로써 비중이 큰 골재 덩어리와 소각처리물이 분리된다.
따라서 제1컨베이어(510)를 통해 이동된 폐기물 중에서 상기 제1송풍기(61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1컨베이어(510) 상에 남겨진 폐기물만 2차 원통형 선별기(202)에 투입된다.
상기 2차 원통형 선별기(202)에 투입된 폐기물은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201)의 스크린판(220)을 통과한 35mm이하의 골재들이며, 상기 2차 원통형 선별기(202)가 회전하여 다시 한번 반복되는 선별작업을 통해 폐기물에 포함된 토사를 더욱 정교하게 배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201)의 스크린판(220)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져서 후방으로 배출되는 폐기물은 제2컨베이어(520)로 이동되어 3차 원통형 선별기(203)에 투입되되, 마찬가지로 비중이 큰 골재 덩어리와 소각처리물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2컨베이어(520)의 단부에는 제2송풍기(62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3차 원통형 선별기(203)에 투입되는 폐기물은 대부분 35mm이상의 골재들이며 상기 3차 원통형 선별기(203) 내부에서 회전을 통해 이뤄지는 작업과정을 통해 토사를 포함하는 더욱 정교한 선별작업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각각의 원통형 선별기를 평행한 상태로 도시하였지만 투입된 폐기물이 선별작업을 거치는 동안 자연스럽게 하단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약간의 기울기를 가진 상태로 위치하여 내부에 남겨진 폐기물이 후방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1차, 2차, 3차 원통형 선별기는 스크린 프레임(210)의 크기에 따른 외형적 차이는 있을 수 있겠으나 구성 요소는 이하 모두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이뤄지는 선별시스템에서 더욱 효과적이고 선별효율을 높이기 위해 포함되는 본 발명의 구성들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해 상하 단부가 개방된 호퍼(110)와 벨트컨베이어(120)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프레임(100)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저면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벨트컨베이어(120)와, 상기 벨트컨베이어(120)의 저면부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13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30)의 저면부에 일정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된 스프링(140)과, 상기 스프링(140)을 지지하도록 스프링(14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100)은 상기 호퍼(110)의 사면을 연결프레임(150)으로 지지하며, 벨트컨베이어(120)와 상기 벨트컨베이어(12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30,131) 및 스프링(1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호퍼(110)는 상하 단부가 개방되어 상단부에 폐기물이 호퍼(110) 내부로 투입되어 채워진 후, 호퍼(110)의 하단부를 통해 저면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벨트컨베이어(120) 위에 놓여지게 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120)에 의해 이동되는 폐기물이 1차 원통형 선별기(201)의 내부로 투입된다.
폐기물이 상기 호퍼(110)로 투입되어 채워지는 과정과 호퍼(110)에 채워진 폐기물이 벨트컨베이어(120)에 놓여지는 과정에서, 비중이 큰 폐기물에 의해 큰 충격을 받아 호퍼(110)나 벨트컨베이어(120) 내부의 로울러(160)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벨트컨베이어(120) 저면부에는 복수 개의 스프링(140)을 설치하여 호퍼(110)와 벨트컨베이어(120)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프레임(100)이 받는 전체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3과 도 4는 원통형 선별기(2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기존의 폐기물 선별장치는 쓰레기나 건축폐기물 중에 포함된 흙이나 골재 등 재활용이 가능하거나 매립가능한 부산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 회전하는 원통형 스크린상에 처리물을 통과시키거나 진동력을 부여한 평판형 스크린상에 처리물을 통과시킴으로써 흙이나 골재를 체거름하여 소각 쓰레기 또는 매립쓰레기로부터 분리하였다.
상기 원통형이나 평판형 스크린은 모두 부식성이 강한 폐기물에 직접 접촉하는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쉽게 녹이 슬어 수명이 매우 짧고, 제작시 프레임과 스크린 망이 일체로 용착되는 형태로 제작되고 가는 철봉을 격자 형태로 용접하여 망을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
또한, 폐기물의 선별작업 중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무게의 폐기물로 인해 원통형 스크린이 회전시 충격을 받아 마모가 되며, 부분 마모시에도 스크린을 통째로 교체하여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원통형 선별기(200)는 원통형 스크린 프레임(210)의 양단에 롤러 지지대(211)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가로방향의 직선으로 형성된 가로지지대(212)와 원형의 세로지지대(213)를 일정한 간격과 폭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가로지지대(212)와 세로지지대(213)에 의해 스크린 부착부(214)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원통형의 스크린 프레임(210)에, 판상의 체거름을 위 해 복수 개의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둘레에 복수 개의 연결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스크린판(220)을 상기 원통형 스크린 프레임(210)의 스크린 부착부(214)에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판(220)은 각 스크린 프레임(210)의 가로지지대(212) 및 세로지지대(213)에 의해 구획된 공간인 스크린 부착부(214)를 덮을 수 있도록 된 크기로써 내부에 일정 간격의 체거름 구멍(221)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판(220)을 스크린 프레임(210)에 부착시, 스크린판(220)과 프레임의 지지대(212,213) 사이에 연결 스프링(230)을 삽입하여 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프레임(210)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스크린판(220)은 탄력성을 갖는 고무판이나 철판에 체거름망을 이루는 복수 개의 구멍(221)을 형성한 구조로써, 구멍(221)의 크기나 간격 등은 선별 대상이 되는 폐기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 가능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멍(221)의 크기를 35mm로 하여 폐기물이 선별되도록 하였다.
상기 스크린판(220)을 고무소재로 구성하면 폐기물에 포함된 부식물질이 접착되더라도 녹이 슬지 않는 장점이 있고, 고무 자체의 탄력에 의해 점토질이나 이물질이 구멍(221)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스프링(230)은 폐기물 선별작업 중 큰 비중의 폐기물이 스크린 내부로 들어가 회전하면서 선별될 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의 역할을 하여 스크린판(220)의 마모와, 상기 스크린판(220)의 구멍(221)이 점토질이나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스크린 프레임(210)의 분할된 스크린 부착부(214)에 연결 스프링(230)이 결합된 스크린판(220)을 각각 별개로 부착하는 구성을 통해 마모된 스크린판(220)만을 분리하여 교체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원통형 선별기(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진동장치(3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진동장치(300)는 원통형 선별기(200)에서 스크린 프레임(210)이 회전하여 투입된 폐기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의 특성에 따라 스크린판(220)의 구멍(221)이 막히는 현상을 진동판(320)을 통해 타격을 가함으로써 스크린판(220)의 구멍(221)에 막혀있던 폐기물 찌꺼기를 제거하여 상기 스크린판(220)이 효과적으로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폐기물 선별 작업에 있어서, 상기 선별기 내부로 투입되는 폐기물의 종류가 골재와 같이 완전한 고체 형상이 아니고 각종 수분이나 진흙 등을 포함한 여러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판(220)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제거하여 원활한 선별작업이 진행되도록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장치(300)는 원통형 선별기(200)의 스크린 프레임(210) 양 끝단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기 두 개의 베어링에는 상기 스크린 프레임(210)의 외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진동축(310)을 형성한다.
상기 진동축(310)에는 상기 스크린판(220)에 진동을 주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진동판(320)이 설치되되, 진동축(31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진동판(320)이 스크린 판(220)과 충돌하여 진동을 전달하도록 세로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축(310)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원형 배열되는 3개의 진동판(320)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진동판(320)이 스크린판(220)에 접촉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판(220)이 회전함에 따라 자동적인 충돌이 발생하여 진동이 가해지기도 하지만, 그 효과가 미약하여 상기 진동축(310)도 함께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축(310)에는 상기 스크린 프레임(210)의 동력원과는 별개의 독립된 동력원을 사용하여 상기 스크린 프레임(21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충돌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상기 진동축(310)이 회전하여 진동판(320)이 스크린판(220)과의 충돌로 충격을 가하게 되면 상기 스크린판(220)이 충격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진동은 스크린판(220)과 결합된 연결 스프링(230)에 의해 그 지속성이 유지되면서 스크린판(220)의 여러 면적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진동판(320)은 스크린판(220)과 충돌을 하고 지속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고무판이나 와이어와 같이 휘어지는 연성과 탄성의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설치되는 진동장치(300)를 통해 스크린 구멍(221)에 막혀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스크린판(220)의 본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물 선별 작업의 정교함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골재배출판(400)이 형성된 원통형 선별기(200)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원통형 선별기(200)의 스크린판(220)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폐기물은 컨베이어(500) 상으로 낙하하여 매립이나 재활용 또는 소각처리대상으로 구분되는 추가적인 선별작업을 거치거나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상기 배출되는 폐기물은 외부로 흩어지지 않고 컨베이어(500)의 중심으로 낙하되어 다음 작업 단계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선별기(200)의 하부 양측에 골재배출판(400)을 형성하고, 상기 골재배출판(400)의 단부와 인접하게 컨베이어(500)가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골재배출판(400)은 컨베이어(500)의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어서 원통형 선별기(200) 하부로 배출되는 폐기물이 상기 컨베이어(500)의 외부로 흩어짐을 막고 기울기를 따라 중심부로 모아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을 도 7에 도시된 작업 흐름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동력원에 전원을 인가하여 원통형 선별기(20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선별작업을 하기 위한 폐기물을 호퍼(110)에 투입하면, 개방된 호퍼(110)의 하단부를 통해 폐기물이 벨트컨베이어(120)로 이동되되, 상기 과정에서 낙하되는 폐기물에 의한 무게로 발생되는 충격은 플레이트(130,131)사이에 위치한 스프링(140)으로 흡수되고,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상기 벨트컨베이어(120)에 위치한 폐기물은 1차 원통형 선별기(201)에 투입된다.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201)에 투입된 폐기물은 회전하는 스크린판(220)과 접촉하면서 상기 스크린판(220)에 형성된 구멍(221)을 통과하거나 걸러지게 되는데, 상기 구멍(221)의 크기는 35mm로 제작되어 상기 구멍(221)보다 작은 크기의 토사나 골재류만을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폐기물에 혼합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스크린 구멍(221)에 달라붙게 되어 상기 구멍(221)을 막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1차 원통형 선별기(201)의 스크린판(22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진동장치(300)의 진동판(320)이 반복적으로 충돌하여 구멍(221)을 막았던 이물질들을 제거하고, 스크린판(220)에 결합된 연결 스프링(230)에 의해 진동이 넓은 범위로 확대되어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선별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201)의 스크린판(220)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35mm이하의 토사 및 골재들은 골재배출판(400)에 의해 제1컨베이어(510)의 중심부로 낙하하여 위치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510)는 2차 원통형 선별기(202)의 투입부로 연결되는데, 상기 제1컨베이어(510)의 단부에는 풍압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기(610)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컨베이어(510)를 통해 이동해온 폐기물에 풍압을 가하여 종이, 비닐, 쓰레기 등이 포함되는 소각처리대상물을 별도로 분리시키고 남겨진 폐기물을 2차 원통형 선별기(202) 내부로 투입하여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201)에서와 같은 선별작업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미 1차 원통형 선별기(201)를 거쳐 배출된 폐기물 들이기 때문에 대부분 2차 원통형 선별기(202)의 스크린판(220)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된다.
반면,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201)의 스크린판(220)을 통과하지 못하고 내부로 걸러지는 35mm 이상의 폐기물들은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201)의 후방 배출구로 배출되어 제2컨베이어(52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520)는 3차 원통형 선별기(203)의 투입부와 연결되되, 제1컨베이어(5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컨베이어(520)의 단부에는 소각처리물을 분리하기 위해 제2송풍기(62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송풍기(620)의 풍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2컨베이어(520)에 남겨진 비중이 큰 골재들이 포함되는 폐기물이 3차 원통형 선별기(203)에 투입되어 선별 작업이 재차 이루어진다.
3차 원통형 선별기(203)에 투입되는 폐기물들은 부피와 비중이 큰 골재와 쓰레기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폐기물에는 많은 양의 토사가 묻어있는 상태이다.
상기 폐기물에 포함된 토사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상기 3차 원통형 선별기(203) 및 진동장치(300)를 지속적으로 가동하여 회전과 진동을 가해주면 마찰과 충격 등으로 토사가 분리되어 스크린판(22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2차 원통형 선별기(202) 및 3차 원통형 선별기(203)를 통해 하부로 낙하하거나 후방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거나 소각처리물로 분리된 폐기물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위치에 컨베이어 또는 로우더가 설치되어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선별작업에서 상기 원통형 선별기(202,203) 내부로 걸러진 폐기물들은 매립을 위한 공간으로 이동하여 배출시키고, 송풍기(610,620)를 통해 분리된 가연성 물질들은 소각처리하며, 상기 원통형 선별기(202,203)의 스크린판()을 통과하여 배출된 35mm이하의 토사는 지정된 장소로 이동하여 폐기물을 매립한 뒤 덮어주는 복토재로써 활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매립되는 폐기물로부터 소각처리물과 활용가능한 토사류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쓰레기 반출에 따르는 운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소각처리과정에서의 연료 소비를 감소시키며, 소각 후 부산물이 감소됨으로써 최종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치구성을 보인 정면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프레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통형 선별기 구성도.
도 4는 원통형 선별기의 스크린 프레임과 스크린판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진동장치가 설치된 원통형 선별기의 단면도.
도 6은 골재배출판이 형성된 원통형 선별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흐름도.
*주요 부호의 설명*
110. 호퍼 120. 벨트컨베이어 140. 스프링
201. 1차원통형선별기 202. 2차원통형선별기 203. 3차원통형선별기
210. 스크린 프레임 212. 가로지지대
213. 세로지지대 214. 스크린 부착부 220. 스크린판
221. 구멍 230. 연결스프링
300. 진동장치 310. 진동축 320. 진동판
400. 골재배출판
510. 제1컨베이어 520. 제2컨베이어
610. 제1송풍기 620. 제2송풍기

Claims (7)

  1.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호퍼에 채워진 폐기물이 낙하하여 상기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폐기물이 투입되고, 원통형의 스크린 프레임과 체거름을 위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판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골재와 토사를 선별분리하는 1차 원통형 선별기;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의 스크린판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폐기물이 제1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되, 풍압을 가하여 골재덩어리와 소각처리물을 분리하기 위해 제1컨베이어 단부에 제1송풍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1송풍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1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된 폐기물이 투입되어 회전에 의해 선별 분리하는 2차 원통형 선별기;
    상기 1차 원통형 선별기에 의해 걸러져서 후방으로 배출되는 폐기물이 제2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되, 풍압을 가하여 소각처리물을 분리하기 위해 제2송풍기가 제2컨베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송풍기의 영향을 받지 않은 폐기물이 투입되어 회전에 의해 선별 분리하는 3차 원통형 선별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폐기물에 포함된 소각처리대상과 재활용 또는 매립대상을 선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프레임은 벨트컨베이어의 저면부에 상부 플레이트가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2차 또는 3차 원통형 선별기는 스크린 프레임과 스크린판의 테두리 사이에 스프링이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체결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2차 또는 3차원통형 선별기에 설치되는 상기 스크린판은 고무 또는 철판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2차 또는 3차 원통형 선별기에는 스크린판의 측면 외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스크린판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진동축과, 상기 진동축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판이 회전할 때 스크린 판과 충돌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탄력있는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진동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고무판 또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2차 또는 3차 원통형 선별기의 스크린판 하부 양측에는 스크린판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폐기물이 컨베이어의 중심으로 모아지도록 컨베이어의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는 골재배출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1020080072350A 2008-07-24 2008-07-24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10097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350A KR100971723B1 (ko) 2008-07-24 2008-07-24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350A KR100971723B1 (ko) 2008-07-24 2008-07-24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23A KR20100011223A (ko) 2010-02-03
KR100971723B1 true KR100971723B1 (ko) 2010-07-21

Family

ID=4208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350A KR100971723B1 (ko) 2008-07-24 2008-07-24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387B1 (ko) * 2017-09-21 2018-07-26 이종환 골재 선별 회수장치
KR101882388B1 (ko) * 2018-03-13 2018-07-26 이종환 복수의 크기별로 골재를 선별 가능한 골재 선별 회수장치
KR102011756B1 (ko) * 2018-03-20 2019-10-21 손산 한약재 찌꺼기 분리 방법
CN118023132B (zh) * 2024-04-12 2024-06-18 江苏宇新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危险废弃焚烧物炉渣的自动化智能分拣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410A (ja) * 1993-09-10 1995-03-28 Yoshito Taki 廃棄物の選別回収装置
KR20000058670A (ko) * 2000-06-23 2000-10-05 박태홍 매립쓰레기 선별장치
KR20020057591A (ko) * 2001-01-02 2002-07-12 임갑순 폐기물 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0494579B1 (ko) 2002-04-04 2005-06-13 주식회사 대성엔지니어링 폐기물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410A (ja) * 1993-09-10 1995-03-28 Yoshito Taki 廃棄物の選別回収装置
KR20000058670A (ko) * 2000-06-23 2000-10-05 박태홍 매립쓰레기 선별장치
KR20020057591A (ko) * 2001-01-02 2002-07-12 임갑순 폐기물 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0494579B1 (ko) 2002-04-04 2005-06-13 주식회사 대성엔지니어링 폐기물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23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JP5770780B2 (ja) がれき類処理装置
KR100733631B1 (ko) 건설폐기물의 분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70621B1 (ko)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1888458B1 (ko) 에어펄스 백필터를 이용한 사이클론 다중 선별장치
JP6814026B2 (ja) 選別装置
JP2015016423A (ja) 袋体入り汚染物の解体選別設備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101173286B1 (ko)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101786946B1 (ko)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JP4115825B2 (ja) 集塵装置における混入物除去装置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200381991Y1 (ko) 건설 폐기물 재활용 처리 기계장치
KR100356719B1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0639826B1 (ko) 참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CN214132654U (zh) 一种沙土分离机构
KR200194531Y1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장치
KR100703954B1 (ko) 가연성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0381990Y1 (ko)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KR100404147B1 (ko)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JP3191023U (ja) ふるい下残渣の乾式精選選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