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091B1 -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091B1
KR101294091B1 KR1020110080252A KR20110080252A KR101294091B1 KR 101294091 B1 KR101294091 B1 KR 101294091B1 KR 1020110080252 A KR1020110080252 A KR 1020110080252A KR 20110080252 A KR20110080252 A KR 20110080252A KR 101294091 B1 KR101294091 B1 KR 10129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struction waste
foreign matter
waste soil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679A (ko
Inventor
이세현
송태협
이종찬
전찬수
윤상혁
김이업
이배식
박종팔
이재업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화기업주식회사
동성환경산업 주식회사
합자회사 금강개발
두제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문화기업주식회사, 동성환경산업 주식회사, 합자회사 금강개발, 두제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80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0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건설폐토석을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진동모터(M)가 구비되어 있어 진동을 가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고 진동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향 경사져 있으며, 망눈의 크기가 서로 다르되 망눈의 크기가 큰 것이 상층에 위치하고, 망눈의 크기가 작은 것이 하층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체망(20)과; 상기 체망(20) 중에서 하층에 위치하는 체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어 낙하하는 건설폐토석에 바람을 송풍하여 이물질이 날려가서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진동과 체가름과 송풍에 의해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선별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물질 선별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폐토석을 이산화탄소 가스와 접촉시켜 중성화시킴으로써 건설폐토석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from Recycled Aggregate}
본 발명은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설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건설폐토석을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건설폐토석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는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와, 상기 선별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선별 제거한 후 건설폐토석에 대해 탄산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건설폐토석을 환경적으로 안정화되도록 하는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건설폐토석에는 주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흙과 잔골재가 많이 함유되어 있지만, 그 이외에도 유기 이물질, 무기 이물질 등과 같이 재활용에 장애가 되는 다양한 이물질도 함유되어 있다. 건설폐기물 1톤을 처리하게 되면 약 10% 이상의 건설폐토석이 발생하게 되는데, 건설폐토석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건설폐토석을 재활용하는데 큰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폐기물관리법상 유기 이물질이 1%를 초과하거나 무기 이물질이 5%를 초과하게 되면 재활용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정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건설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많은 량의 건설폐토석은, 이물질을 허용량 이상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이유로 폐기물관리법의 규제를 받게 되어 재활용되지 않고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따른 비용과 자원낭비, 그리고 매립지 확보 등의 환경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건설폐토석에서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싸이클론을 이용하거나 강제 송풍을 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건설폐토석에는 수분이 남아 있고, 이러한 잔류 수분 때문에 단순히 건설폐토석에 송풍이나 싸이클론 방식의 바람을 가해는 것만으로는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건설폐토석에 강제 송풍을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선행기술의 일예로는 아래에서 선행기술문헌으로 기재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350167호(2004. 05. 17. 공고) 및 국내 등록특허 제10-443991호(2004. 08. 21. 공고)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대한 대안으로서, 건설폐토석을 건조시킨 후 송풍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는 있으나, 건설폐토석에는 약 5mm 이하의 크기의 분말로 이루어진 잔골재와 흙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건설폐토석이 건조된 상태에서 송풍을 하게 되면, 이물질뿐만 아니라 건설폐토석에 포함되어 있던 흙이나 잔골재, 또는 미분 등도 함께 바람에 날아가게 다. 이와 같이 건설폐토석에 단순히 강한 바람만을 송풍하는 종래 기술에 의해서는 실질적으로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한편, 건설폐토석은 건설폐기물로부터 발생되므로 시멘트 성분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시멘트 성분은 공기 중에 노출되거나 물과 반응하게 되면 pH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강알카리성을 띄게 된다. 이러한 높은 pH는 식물 및 생물의 생존과 생육에 치명적이며, 따라서 건설폐토석은 이물질의 제거 처리뿐만 아니라, 높은 강알카리성을 띄게 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만 재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50167호(2004. 05. 17. 공고)의 도 7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43991호(2004. 08. 21. 공고)의 도 1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건설폐토석의 재활용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들을 해결하여 유용한 자원으로서 재활용될 수 있도록, 건설폐토석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건설폐토석을 환경적으로 안정적인 물질이 되도록 안정화 처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동모터가 구비되어 있어 진동을 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크기를 기준으로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고 진동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향 경사져 있으며, 망눈의 크기가 서로 다르되 망눈의 크기가 큰 것이 상층에 위치하고, 망눈의 크기가 작은 것이 하층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체망과; 상기 체망 중에서 하층에 위치하는 체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본체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어 낙하하는 건설폐토석에 바람을 송풍하여 이물질이 날려가서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진동과 체가름과 송풍에 의해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토석으로부터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송풍기의 전방으로는 상기 송풍기와 간격을 두고 낙하유도판이 구비되어 있어, 하층에 배치된 체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본체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어 낙하하면서 송풍기의 송풍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폐토석이 상기 낙하유도판에 충돌하면서 낙하유도판을 따라 아래로 낙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체망에서, 상층에 배치되는 체망은 5mm의 망눈 크기를 가지는 5mm 체망이고, 하층에 배치되는 체망은 3mm의 망눈 크기를 가지는 3mm 체망이며; 상기 본체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어, 3mm 체망을 통과한 건설폐토석은 본체의 하면으로 낙하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선별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진동과 체가름과 송풍에 의해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폐토석을 챔버에 투입하고, 상기 챔버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여 건설폐토석이 이산화탄소 가스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건설폐토석을 중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폐토석에 포함되어 있던 목재, 스티로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용이하게 선별 제거될 수 있으며, 건설폐토석의 pH를 저하시켜 환경적으로 안정한 물질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처리를 건설폐토석은 건설재료로서 재활용 가치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물과 직접 접촉하는 수변지역의 성토 또는 복토용 골재 등으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토석으로부터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에서, 복수개의 체가 구비된 본체만을 그 내부가 투시되도록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이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라고 약칭합니다)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은, 건설폐토석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건설폐토석을 환경적으로 안정한 물질로 전환되도록 안정화 처리하기 위하여, 진동 및 체망을 이용하여 건설폐토석으로부터 플라스틱, 목재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폐토석을 사일로(Silo)와 같은 통형상의 챔버 내에서 이산화탄소 가스에 노출시켜 탄산화시킴으로써 pH를 낮추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에는 건설폐토석으로부터의 이물질을 선별 제거하는 본 발명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에서, 복수개의 체망가 구비된 본체만을 그 내부가 투시되도록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선별제거장치에는, 진동모터(M)가 구비되어 있어 진동을 가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크기를 기준으로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도록 하향 경사져 있는 복수개의 체망(20)과, 상기 체망(20)으로부터 배출되어 낙하하는 건설폐토석에 바람을 송풍하여 이물질이 날려가서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기(3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체망(20)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 등이 이동하게 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표기하고 이에 대해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표기한다. 또한, 상기 종방향에 대해 상,하로 직교하는 방향을 "연직방향"이라고 표기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0)에는 진동모터(M)가 구비되어 있어 진동모터(M)의 작동에 의해 진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1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11) 위에 설치되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체망(20)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 등이 진동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체망(20)의 전방이 후방보다 아래쪽에 있게 만들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0)는 전방이 하향 경사진 상태로 프레임(11)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본체(10)는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고 체망(20)만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되도록 본체(10)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체(10)의 상면에서 종방향의 후방에는 건설폐토석이 투입되는 투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횡방향 양 측면에는 스프링부재(13)가 구비되어 있어 스프링부재(13)에 의해 본체(10)가 상기 프레임(11)에 진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10)는 상자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본체(10)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복수개의 체망(20)이 연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횡방향 평면 형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건설폐토석은 기본적으로 흙과 모래, 그리고 미분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건물이나 구조물 등을 분쇄하는 현장으로부터 발생되기 때문에, 목재, 단열재 등과 같은 이물질도 포함되어 있다. 재활용의 대상이 되는 흙이나 잔골재(모래 및 미분)는 약 5mm 이하의 크기를 가진다. 이에 비하여 목재, 단열재, 비닐 등과 같은 이물질은 그 크기가 5mm 이상인 경우가 많다. 특히, 목재나 비닐, 스티로폼 등과 같은 발포체는 상대적으로 그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체망(20)을 이용하여 크기를 기준으로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재활용될 수 없는 이물질을 분리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망눈 크기의 체망을 본체(10) 내에 연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단에는 5m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물체를 걸러내는 "5mm 체망"을 배치하고, 그 하단에는 3m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물체를 걸러내는 "3mm 체망"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직방향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갈수록 망눈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복수개의 체망(20)이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상기 5mm 체망에 대해서는 부재번호 21을 부여하였으며, 3mm 체망에 대해서는 부재번호 22를 부여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이와 같은 복수개의 체망을 통칭할 때에는 "체망(20)"이라고 표기하며, 5mm 체망과 3mm 체망을 구분하여 지칭할 때에는 각각 "5mm 체망(21)"과 "3mm 체망(22)"로 표기하였다.
한편, 종방향으로 상기 본체(10)의 전방 측면에는 층을 이루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체망(20)에 의해 걸러져서 통과되지 못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의 체망(20) 설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최상층에 위치하는 체망(도시된 실시예에서는 5mm 체망(21))에 대한 제1배출구(19)에는 배출되는 이물질이 본체(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배출가이드(19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래층에 위치하는 체망(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mm 체망(22))에 대한 제2배출구(18)에도 배출되는 이물질의 낙하 위치를 가이드하는 추가적인 제2배출가이드(18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배출가이드(180)의 종방향 길이는 제1배출가이드(190)보다 짧다.
한편, 제2배출가이드(180)의 종방향 전방 아래쪽에는 송풍기(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30)는 공기가 공급되는 관 형상의 덕트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송풍기(30)에는 전방을 향하여 바람을 불어줄 수 있는 노즐(31)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제2배출가이드(180)를 통해서 이물질이 섞인 건설폐토석이 배출될 때, 상기 송풍기(30)의 노즐(31)을 통해서 강한 바람을 불어줌으로써,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송풍기(30)의 전방으로는 상기 노즐(31)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낙하유도판(4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낙하유도판(40)은, 제2배출가이드(180)로부터 배출되는 건설폐토석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흙이나 잔골재가 충돌하면서 용이하게 아래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는 제1배출가이드(190) 및 제2배출가이드(180)를 통해서 배출되는 이물질 등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배출가이드(190) 및 제2배출가이드(180)를 통해서 배출되는 이물질 등이 낙하되는 위치를 덮어씌우게 되는 덮개(5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자형 덮개(50)가 본체(10)의 전방에 더 설치되고, 이물질 등은 상기 덮개(50)의 내부 공간에서 제1배출가이드(190) 및 제2배출가이드(180)를 통해서 배출되어 낙하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50)에는 낙하되어 쌓이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개폐문(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선별제거장치의 작동과정과 그에 따른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 및 안정화 처리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본체(10)의 상면에서 종방향의 후방에 형성된 투입구(12)를 통해서, 이물질이 함유된 건설폐토석이 투입된다. 투입된 건설폐토석은 최상층의 체망 즉, 5mm 체망(21) 위로 부어지게 되는데, 본체(10)에 구비된 진동모터(M)의 작동에 의해 본체(10)가 진동하면서 5mm 체망(21)에 의한 체가름이 이루어진다. 건설폐토석에 함유되어 있는 목재나 스티로폼 등의 이물질은 통상 5mm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5m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이물질은 5mm 체망(21)을 통과하지 못하고 그 위에 남겨진다. 특히, 본체(10)는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5mm 체망(21) 위에 남겨진 이물질은 본체(10)가 진동함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배출구(19)로 배출되어 제1배출가이드(190)에 의해 가이드되어 본체(10)와 멀리 떨어진 위치로 낙하하게 된다.
흙, 잔골재 및 5mm 미만의 이물질은 최상층의 체망 즉, 5mm 체망(21)을 통과한 후, 다시 아래층에 위치하는 체망 즉, 3mm 체망(22)에 의해 다시 한 번 체가름 된다. 즉, 3mm 내지 5mm의 크기를 가지는 이물질은 3mm 체망(22)에 의해 다시 걸러져서 3mm 체망(22) 위에 남게 되는 것이다. 3mm 미만의 크기를 것들은 대부분은 모래 등의 잔골재이거나 흙으로서, 본체(10)의 하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3mm 체망(22)을 통과하여 본체(10)의 하면을 지나 본체(10)의 아래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반면에 3mm 체망(22) 위에 남아 있는 것들은 본체(10)의 하향 경사 및 본체(10)의 진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배출구(18)로 배출되고 제2배출가이드(18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낙하한다. 그런데 제2배출가이드(180)로부터 낙하되는 위치 즉, 제2배출가이드(180) 아래쪽에 송풍기(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30)의 노즐(31)을 통해서 공기가 전방을 향하여 분사되므로, 제2배출가이드(180)로부터 배출되는 것들에는 노즐(31)로부터의 공기가 가해지게 된다. 3mm 체망(22) 위에 남아 있는 것들에는 흙이나 잔골재의 입자도 존재하지만 작은 스티로폼 조각이나 나뭇조각 등의 이물질도 잔류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제2배출가이드(180)를 통해서 이러한 흙, 잔골재 및 이물질이 혼합된 건설폐토석이 배출될 때, 송풍 공기가 가해지므로, 그에 따라 건설폐토석에 혼합되어 있던 이물질은 바람에 날려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반면에 건설폐토석에 혼합되어 있던 흙이나 잔골재는 이물질보다 밀도가 더 크므로, 송풍에도 불구하고, 제2배출가이드(180)로부터 배출되는 형태의 낙하 궤적을 따라 낙하하게 된다. 상기 송풍기(30)의 전방에는 제2배출가이드(180)로부터 배출되는 것들의 낙하 궤적 중간에 낙하유도판(4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2배출가이드(180)로부터 배출되면서 바람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흙이나 잔골재는 상기 낙하유도판(40)에 충돌하면서 낙하유도판(40)을 따라 아래로 낙하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낙하유도판(40)의 하부가 본체(10)의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낙하유도판(40)을 통해서 낙하된 흙이나 잔골재가, 3mm 체망(22)을 통과하여 본체(10)의 아래로 낙하된 것들과 함께 모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낙하유도판(40)에 의해 가이드되어 낙하된 건설폐토석과 3mm 체망(22)을 통과하여 본체(10)의 아래로 낙하된 건설폐토석에는 이물질이 대부분 제거된 상태가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이렇게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폐토석을 사일로(Silo) 방식의 챔버로 투입하고, 상기 사일로 방식의 챔버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여 건설폐토석이 이산화탄소 가스와 접촉하여 중성화되도록 하여 안정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체망을 이용하여 크기를 기준으로 건설폐토석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어 건설폐토석을 유용한 자원으로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폐토석은 이산화탄소 가스에 의해 중성화되어 안정화를 이루게 되므로, 건설폐토석을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10: 본체
20: 체망
30: 송풍기
40: 낙하유도판

Claims (4)

  1. 진동모터(M)가 구비되어 있어 진동을 가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크기를 기준으로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고 진동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향 경사져 있으며, 망눈의 크기가 서로 다르되 망눈의 크기가 큰 것이 상층에 위치하고, 망눈의 크기가 작은 것이 하층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체망(20)과;
    상기 체망(20) 중에서 하층에 위치하는 체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어 낙하하는 건설폐토석에 바람을 송풍하여 이물질이 날려가서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망(20) 중에서 상층에 위치하는 체망의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이물질이 본체(10)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배출가이드(190)가 구비되어 있고, 하층에 위치하는 체망의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이물질이 본체(10)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되 상기 제1배출가이드(190)보다 종방향 길이가 짧은 제2배출가이드(18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기(30)는 상기 제2배출가이드(180)의 종방향 전방 아래쪽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30)의 전방으로는 낙하유도판(40)이 상기 송풍기(30)와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되, 상기 낙하유도판(40)의 하부는 본체(10)의 하층 체망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어, 하층에 배치된 체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2배출가이드(180)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어 낙하하면서 송풍기(30)의 송풍에 의해 이물질이 날려가서 제거된 상태의 건설폐토석이 상기 낙하유도판(40)에 충돌하면서 낙하유도판(40)을 따라 아래로 낙하되어 하층의 체망을 통과한 것과 함께 모이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진동과 체가름과 송풍에 의해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토석으로부터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체망(20)에서, 상층에 배치되는 체망(20)은 5mm의 망눈 크기를 가지는 5mm 체망(21)이고, 하층에 배치되는 체망(20)은 3mm의 망눈 크기를 가지는 3mm 체망(22)이며;
    상기 본체(10)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어, 3mm 체망(22)을 통과한 건설폐토석은 본체(10)의 하면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토석으로부터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4. 진동모터(M)가 구비되어 있어 진동을 가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크기를 기준으로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고 진동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향 경사져 있으며, 망눈의 크기가 서로 다르되 망눈의 크기가 큰 것이 상층에 위치하고, 망눈의 크기가 작은 것이 하층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체망(20)과; 상기 체망(20) 중에서 하층에 위치하는 체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어 낙하하는 건설폐토석에 바람을 송풍하여 이물질이 날려가서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기(30)를 포함하며; 상기 체망(20) 중에서 상층에 위치하는 체망의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이물질이 본체(10)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배출가이드(190)가 구비되어 있고, 하층에 위치하는 체망의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이물질이 본체(10)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되 상기 제1배출가이드(190)보다 종방향 길이가 짧은 제2배출가이드(18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기(30)는 상기 제2배출가이드(180)의 종방향 전방 아래쪽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30)의 전방으로는 낙하유도판(40)이 상기 송풍기(30)와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낙하유도판(40)은 그 하부가 본체(10)의 하층 체망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어, 하층에 배치된 체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2배출가이드(180)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어 낙하하면서 송풍기(30)의 송풍에 의해 이물질이 날려가서 제거된 상태의 건설폐토석이 상기 낙하유도판(40)에 충돌하면서 낙하유도판(40)을 따라 아래로 낙하되어 하층 체망을 통과한 것과 함께 모이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이물질 선별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진동과 체가름과 송풍에 의해 건설폐토석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폐토석을 챔버에 투입하고, 상기 챔버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여 건설폐토석이 이산화탄소 가스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건설폐토석을 중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
KR1020110080252A 2011-08-11 2011-08-11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 KR101294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52A KR101294091B1 (ko) 2011-08-11 2011-08-11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52A KR101294091B1 (ko) 2011-08-11 2011-08-11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679A KR20130017679A (ko) 2013-02-20
KR101294091B1 true KR101294091B1 (ko) 2013-08-08

Family

ID=4789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252A KR101294091B1 (ko) 2011-08-11 2011-08-11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0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1312A (zh) * 2015-03-13 2015-07-01 赖卫华 一种过滤机
CN104826791A (zh) * 2015-04-21 2015-08-12 德清县冠利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带导板的振动筛
CN105750201A (zh) * 2016-03-07 2016-07-13 无锡职业技术学院 可自动进料断料的粮食筛分机
KR101975415B1 (ko) 2018-07-17 2019-05-07 임홍락 편심캠 회전부재를 이용한 공중분산 및 수거 구조를 가지는 순환골재의 경량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4819B1 (fr) * 2014-08-14 2017-03-17 Baptiste Monroux Trieuse de naissain
CN110538797B (zh) * 2019-09-19 2020-07-31 连云港旺和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矿石粉体颗粒分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11Y1 (ko) 2003-07-23 2003-10-23 삼표산업 주식회사 건설 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82028B1 (ko) * 2005-10-18 2006-05-22 신명환경(주) 송풍식 선별장치
JP3134469U (ja) * 2007-06-04 2007-08-16 ホーワ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木材チップ用異物分離装置
KR100919301B1 (ko) * 2009-01-21 2009-1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촉진 중성화 반응을 이용한 순환 골재의 중성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11Y1 (ko) 2003-07-23 2003-10-23 삼표산업 주식회사 건설 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82028B1 (ko) * 2005-10-18 2006-05-22 신명환경(주) 송풍식 선별장치
JP3134469U (ja) * 2007-06-04 2007-08-16 ホーワ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木材チップ用異物分離装置
KR100919301B1 (ko) * 2009-01-21 2009-1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촉진 중성화 반응을 이용한 순환 골재의 중성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1312A (zh) * 2015-03-13 2015-07-01 赖卫华 一种过滤机
CN104826791A (zh) * 2015-04-21 2015-08-12 德清县冠利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带导板的振动筛
CN105750201A (zh) * 2016-03-07 2016-07-13 无锡职业技术学院 可自动进料断料的粮食筛分机
KR101975415B1 (ko) 2018-07-17 2019-05-07 임홍락 편심캠 회전부재를 이용한 공중분산 및 수거 구조를 가지는 순환골재의 경량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679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091B1 (ko)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
KR102029736B1 (ko) 골재 내 이물질의 진동-흡입 선별 장치
KR10055725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기
KR101479188B1 (ko)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101479187B1 (ko)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101806725B1 (ko) 토사이물질 정밀선별장치
KR101798044B1 (ko) 회전타격체의 타격 및 낙하 충돌을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104815835B (zh) 一种轻柔薄片物料的回收处理成套设备
KR100516002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의 이물질 선별구조
KR100890580B1 (ko) 건설폐기물용 파쇄골재의 토사 선별장치
JP2018075521A (ja) 選別装置
JP4842362B2 (ja) 廃棄物用選別装置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703028B1 (ko) 골재 선별장치
US83225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ines from rock
KR200266263Y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20090112071A (ko) 순환골재의 송풍 선별장치
KR100453933B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컨베이어 장치
KR200450648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20090041483A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KR200329222Y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KR200275784Y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0284249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컨베이어 장치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