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222Y1 -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222Y1
KR200329222Y1 KR20-2003-0022057U KR20030022057U KR200329222Y1 KR 200329222 Y1 KR200329222 Y1 KR 200329222Y1 KR 20030022057 U KR20030022057 U KR 20030022057U KR 200329222 Y1 KR200329222 Y1 KR 200329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hamber
air
blow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한
김동일
박은
Original Assignee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2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2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6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fixed and inclined tables ; using stationary pneumatic tables, e.g. fluidised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측벽에 송풍구멍과 쓰레기 배출도어를 각각 가지며 상면에 배기구를 갖는 챔버와, 챔버의 송풍구멍에 그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고정되어 챔버의 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송풍구멍의 대향위치에 건설폐기물 투입구와 골재배출구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가지며 건설폐기물 투입구와 골재배출구 사이에 송풍기류 유입구를 갖는 통형의 슈트와, 슈트의 송풍기류 유입구를 통해 그 내부에 소정의 강풍을 수평방향으로 불어넣어 슈트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건설폐기물중의 쓰레기를 챔버의 내부로 비산시키는 송풍수단과, 다수의 공기구멍을 가지며 송풍구멍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기류를 분산 감속시킴과 함께 쓰레기의 부상(浮上)을 억제하는 스크린 플레이트 및 챔버의 내부 상측에서 분진포집수를 안개상태로 분사하여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포집수 분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적정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섞여 있는 폐비닐 등의 불필요한 쓰레기를 재활용 가능한 골재로부터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면서도 분진의 대기방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s from the scrapped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로부터 토분, 석분 및 골재 등을 분류 재생하기 위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정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중의 재활용 가능한 자재들로부터 불필요한 쓰레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쓰레기 분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대기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 예컨대 교량이나 아파트 등의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른 노후화와 기능저하로 인해 해체 내지는 대대적인 보수가 불가피한 바, 보수 또는 해체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을 발생시키고 있다. 더욱이, 근래 들어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재건축과 재개발이 활발히 추진되면서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은 대부분 매립 처리되고 있었는데, 건설폐기물에는 토사, 콘크리트, 금속, 유리 및 각종 쓰레기가 포함되어 있어 그대로 매립될 경우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 등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뿐 아니라, 매립지 확보에도 큰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유한자원인 골재는 신규 건설의 증가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반해, 일방적으로 소모되는 결과가 되어 골재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은 물론 골재채취를 위한 채석/채굴에 의한 환경파괴를 더욱 부추기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자연환경 보호와 더불어 부족자원의 효율적인 재이용이라는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안이 적극적으로 강구되어 근래에는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을 재활용하는 추세에 있다.
도1에 이를 위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일반적인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먼저 건설폐기물을 호퍼에 투입(S1)한 후, 컨베이어에 의해 스캘핑 스크린(scalping screen)으로 이송시켜 토분을 제거한다(S2). 토분이 제거된 건설폐기물을 죠크러셔(jaw crusher)에 의해 적정크기로 1차 파쇄(S3)한 후, 진동피더 (vibration feeder)로 이송시키면서 전자석분리기에 의해 철근을 제거한다(S4). 이어서, 진동스크린에 의해 소정입경(약 25㎜이하)의 골재만을 선별(S5)하고 나서, 폐골재 덩어리에 혼재되어 있는 각종 쓰레기를 송풍기에 의한 비중분리 방식으로 1차 분리한다(S6).
다음 1차 파쇄된 골재 덩어리를 수조에 넣어 그에 묻어 있거나 혼입되어 있는 시멘트분과 이물질을 세척(S7)하고, 진동스크린 등에 의해 탈수(S8)시킨 뒤, 콘크러셔(cone crusher)에 의해 보다 작은 크기로 2차 파쇄한다(S9). 이어서, 전자석분리기에 의해 2차 파쇄된 골재로부터 철근을 제거(S10)한 후, 다시 소정입경 이하의 골재만을 선별한다(S11). 그리고 2차 파쇄된 골재에 혼재되어 있는 쓰레기를 송풍기에 의해 2차로 분리(S12)하고 나서, 골재 덩어리를 콘크러셔에 의해 더욱 작은 크기로 3차 파쇄하여 소요 입경이하의 골재로 재생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과정에서는 그 특성상 많은 분진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송풍기에 의해 폐비닐이나 폐지 등의 비산 가능 쓰레기를 분리시키는 공정의 경우 분진이 송풍기에 의해 대기중으로 확산 방출되어 작업장과 그 주변 토양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따라 분진의 대기방출을 방지하면서 비산 가능 쓰레기를 골재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쓰레기 분리장치들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3-0036493호에는, 골재가 공급되는 수직관로와, 투입되는 골재에 강하게 송풍하여 그에 섞인 가벼운 쓰레기를 수직관로의 상부로 부유시키는 송풍노즐과, 수직관로의 상부에 부유되는 쓰레기를 집진포에 흡착하는 집진기와, 컴프레서에 의해 집진기의 상부에 고압의 에어를 주기적으로 터뜨려 집진포에 흡착된 쓰레기를 떨어뜨리는 에어펄스기와, 집진기에 흡입관을 연결하고 송풍노즐을 일단에 갖는 송풍관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집진포에서 탈락되어 로터리 피더에 의해 배출된 쓰레기를 방출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흡입형 건식 쓰레기 분리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쓰레기 분리기는 쓰레기를 수직관로의 상부로 충분히 부유시키기 위해 그 하부에서 상부 쪽으로 강하게 송풍해야 함과 동시에 집진기의 출구에서도 쓰레기의 흡착을 위해 강하게 흡입해야 하므로, 유로에 매우 강한 기류가 형성되어 미세 먼지가 집진포를 통과하여 송풍기로 유입됨으로써 송풍기에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높을 뿐 아니라 송풍기의 용량도 커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집진포에 흡착된 쓰레기와 분진을 에어펄스에 의해 떨어뜨려 컨베이어로 방출하는 바, 이때 흡착되어 있던 분진이 비산되게 되어 분진이 어느 정도 외부로 누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분진이 대기중으로 넓게 확산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작업장 주위의 오염과 그로 인한 작업자의 건강악화는 확실히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쓰레기를 부유시켜 집진기의 집진포에 흡착함으로써 제거하기 때문에 기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에 따라 수시로 에어펄스기를 작동시켜 흡착된 쓰레기를 배출해야 하므로 장치의 가동효율이 낮은 문제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1-0070839호에는, 송풍기의 전방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시키는 제1분무장치 및 송풍기에 의해 비산되는 쓰레기를 차단하여 수거하는 그물망을 포함하며 미세 물방울로 이루어진 먼지 차단층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분쇄기나 스크린 또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차단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높이로 설치된 지지기둥, 지지기둥의 상단에 설치되어 360°방향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하는 제2분무노즐, 제2분무노즐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제2분무장치로 이루어진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은 그물망의 주위와 분쇄기나 컨베이어 등의 주위에 물을 분사하여 먼지의 대기방출을 차단하는 바, 먼지가 대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은 최대한 억제할 수는 있지만 물방울에 포집된 다량의 습한 먼지가 장치의 외부에 그대로 떨어져 부착됨으로써 시스템을 심하게 오염시키게 될 뿐 아니라 자칫 시스템에 고장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먼지의 대기방출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대단히 많은 물이 소비되어야 하고, 장치의 잦은 세척이 요구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건설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폐비닐이나 폐플라스틱 등의 쓰레기를 재활용 가능한 골재로부터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면서 분진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최소의 분무량으로 분진을 습식포집방법에 의해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 분진에 의한 오염을 배제시킬 수 있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기류를 순환시키면서도 분진이 순환기류를 따라 송풍기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고, 장치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분리장치의 스크린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분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단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챔버 13: 쓰레기 배출도어
14: 배기구 16: 쓰레기 수거함
20: 슈트 21: 건설폐기물 투입구
22: 골재배출구 23: 송풍기류 유입구
30: 송풍기 40,42,43,44: 스크린 플레이트
50: 분진포집수 분무유닛 60: 공기순환덕트
61: 댐퍼 70: 에어필터
W: 쓰레기 A: 재생 가능한 폐골재
S: 진동스크린 C: 컨베이어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는, 측벽에 송풍구멍과 쓰레기 배출도어를 각각 가지며, 상면에 배기구를 갖는 챔버(chamber); 챔버의 송풍구멍에 그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고정되어 챔버의 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송풍구멍의 대향위치에 건설폐기물 투입구와 골재배출구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가지며, 건설폐기물 투입구와 골재배출구 사이에 송풍기류 유입구를 갖는 통형의 슈트(shoot); 슈트의 송풍기류 유입구를 통해 그 내부에 소정의 강풍을 수평방향으로 불어넣어 슈트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건설폐기물중의 쓰레기를 챔버의 내부로 비산시키는 송풍수단; 다수의 공기구멍을 가지며, 송풍구멍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기류를 분산 감속시킴과 함께 쓰레기의 부상(浮上)을 억제하는 스크린 플레이트(screen plate); 챔버의 내부 상측에서 분진포집수를 안개상태로 분사하여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포집수 분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분진포집수 분무수단이, 챔버의 벽에 관통 설치되는 분무노즐(spray nozzle)과, 물탱크에 연결되어 분무노즐에 분진포집수를 공급하는 포집수공급관 및 분무노즐에 소정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air compressor)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챔버의 배기구와 슈트의 송풍기류 유입구를 연결하는 공기순환덕트를 더 구비하고, 송풍수단이 공기순환덕트에 설치되어 기류를 외부로의 배출 없이 순환시킴으로써 분진의 누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에 따라 본 고안은, 적정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섞여 있는 폐비닐 등의 불필요한 쓰레기를 재활용 가능한 골재로부터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면서도 분진의 대기방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쓰레기의 분리시 발생되는 분진이 챔버내에서 포집수에 의해 포집 제거되므로 최소의 포집수 분무량으로 분진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분진에 의한 시스템의 외부 오염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더욱이 송풍기류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순환시키면서도 분진의 송풍기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포집된 쓰레기를 수시로 배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의 가동효율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 쓰레기 분리장치의 신뢰성과 안전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2에서, 본 고안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는 건설폐기물로부터 비산 분리된 쓰레기(W)가 유입되는 챔버(10)와, 이 챔버(10)의 측벽(11)에 그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건설폐기물의 이송통로로 기능하는 슈트(20)와, 슈트(20)를 따라 이송중인 건설폐기물에 챔버(10)를 향해서 강풍을 불어주는 송풍기(30)와, 챔버(10)의 내부에서 송풍기류를 분산 감속시키면서 비산된 쓰레기 (W)의 부상을 방지하는 스크린 플레이트(40) 및 챔버(10)의 내부에 분진 제거를 위한 포집수를 안개상태로 분사해주는 분진포집수 분무유닛(50)으로 구성된다.
챔버(10)의 측벽(11) 한쪽에는 송풍기류가 유입되는 송풍구멍(12)이 형성되고, 측벽(11)의 다른 쪽에는 재생 가능한 폐골재(A)로부터 분리된 폐비닐이나 폐플라스틱 등의 쓰레기(W)를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쓰레기 배출도어(13)가 설치된다. 챔버(10)의 상부는 송풍기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송풍기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챔버(10)의 배기구(14)에는 철망(15)이 설치되는데, 이는 혹시라도 쓰레기(W)가 부상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바람직하기로 챔버(10)의 내부 바닥에는 재생 가능한 폐골재(A)로부터 비산 분리되어 챔버(10)의 내부로 유입된 쓰레기(W)들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한 쓰레기 수거함(16)이 장착된다.
슈트(20)는 통(筒)상으로 구성되어 챔버(10)의 측벽(11)에 형성된 송풍구멍 (12)에 설치되어 챔버(10)의 측벽(11)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전(前)공정으로부터 이송 투입된 건설폐기물이 자중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그 출구단이 챔버(10)의 내부를 향해 적정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기로 슈트(20)의 출구단은 건설폐기물의 재생 가능한 폐골재(A)로부터 비산 분리된 쓰레기(W)가 챔버(10)내의 쓰레기 수거함(16)으로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도록 챔버(10)의 내부로 적정길이만큼 진입된다.
슈트(20)의 상단에는 적정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이 진동스크린(S)에 의해 전공정으로부터 이송되어 투입되는 건설폐기물 투입구(21)가 구비되고, 슈트(20)의 경사진 바닥에는 건설폐기물 중 재생 가능한 폐골재(A)를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골재배출구(22)가 건설폐기물 투입구(21)와 적절한 레벨차이를 두고 수직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슈트(20)의 건설폐기물 투입구(21)와 골재배출구(22) 사이, 바람직하기로 골재배출구(22)의 최상부에는 슈트(20)의 바닥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건설폐기물로부터 가벼운 쓰레기(W)들만을 분리시키기 위해 건설폐기물에 강풍을 불어주기 위한 송풍기류 유입구(23)가 챔버(10)를 향하도록 수평으로 형성된다.
송풍기(30)는 슈트(20)의 송풍기류 유입구(23)에 설치되어, 예를 들어 20∼ 40㎧의 강풍을 챔버(10)의 내부를 향해 불어준다.
스크린 플레이트(40)는 송풍기(30)로부터 분출된 기류가 챔버(10)의 내부에서 골고루 분산되면서 감속되어 챔버(10)의 배기구(14)로 향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구멍(41)을 가지고 챔버(10)의 내부에서 송풍구멍(12)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공기구멍(41)의 크기는 송풍기류의 고른 분산과 비산된 쓰레기(W)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크린 플레이트(40)는 챔버(10)의 내부를 횡단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분진포집수에 의해 포집된 분진의 쓰레기 수거함(16)으로의 낙하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챔버(10)의 내벽에 접합되어 적절히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린 플레이트(40)는 별도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챔버(10)의 내부로 진입된 슈트(20)의 진입부 상판으로 이루어져 자유단이 챔버(10)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짐으로써 송풍기류에 의한 쓰레기(W)의 부상을 막고 쓰레기 수거함(16)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역할도 겸한다.
분진포집수 분무유닛(50)은 스크린 플레이트(4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챔버 (10)의 상부에 관통 설치되는 분무노즐(51)과, 물탱크(55)로부터 분무노즐(51)에 분진포집수를 공급하는 포집수 공급관(52) 및 포집수가 분무노즐(51)에서 안개상태로 분출되도록 관로(54)를 통해서 분무노즐(51)에 소정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급해주는 에어컴프레서(53)로 이루어진다.
분진포집수 분무유닛(50)이 에어컴프레서(53)를 사용하는 이유는 포집수를 고압, 예컨대 약 8㎏/㎠의 압축공기로 분출시켜 포집수를 극히 미세한 물방울의 안개상태로 분출시킴으로써 챔버(10)내에 부유하는 미세한 먼지까지 확실히 포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머지 부호 C는 슈트(20)의 골재배출구(22)에서 배출된 재생 가능한 폐골재 (A)를 후속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이다.
다음,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전공정에서 적정크기로 파쇄된 상태의 건설폐기물이 진동스크린(S)을 거쳐 슈트(20)의 건설폐기물 투입구(21)로 투입되면, 투입된 건설폐기물은 자중에 의해 경사진 슈트(20)의 바닥을 따라 구르면서 그 출구단 쪽으로 이동되다가 슈트(20)의 골재배출구(22)에 도달하면 이 골재배출구 (22)를 통해 컨베이어(C) 상으로 배출된다.
이때, 슈트(20)의 송풍기류 유입구(23)에서 구름 이동되다가 골재배출구(22)로 떨어지는 건설폐기물에 약 20∼40㎧의 강풍을 수평으로 불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건설폐기물의 재생 가능한 폐골재(A)들에 섞여 있던 폐비닐 등의 가벼운 쓰레기 (W)가 송풍기류를 따라 간단히 비산됨으로써 폐골재(A)로부터 분리된다.
즉, 건설폐기물의 재생 가능한 폐골재(A)들이 슈트(20)를 따라 굴러서 골재배출구(22)로 떨어짐에 따라 폐골재(A)들이 서로간에 적절히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이들간에 혼재되어 있던 쓰레기(W)와 분진이 비교적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송풍기류에 의해 쉽게 비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재생 가능한 폐골재(A)로부터 비산 분리된 쓰레기(W)와 분진은 송풍기류를 따라 챔버(10)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중 어느 정도의 부피를 갖는 쓰레기 (W)들은 경사진 스크린 플레이트(40)에 걸릴 뿐 아니라 송풍기류의 유속이 크게 감속됨에 따라 챔버(10)의 상부로 더 이상 부상하지 못하고 스크린 플레이트(40)에 의해 안내되어 자중에 의해 챔버(10) 바닥의 쓰레기 수거함(16)으로 낙하된다.
즉, 송풍기(30)에 의해 발생되어 건설폐기물을 향해 분출된 송풍기류는 많은 폐골재(A)들과 부딪치면서 쓰레기(W)를 비산시키게 될 뿐 아니라, 송풍기류 유입구 (23)에 비해 대단히 넓은 영역으로 점차 확산되어 가므로 폐골재(A)를 통과한 송풍기류의 유속은 초기보다 크게 감소된다.
특히, 이와 같이 감속된 송풍기류는 스크린 플레이트(40)의 공기구멍(41)을 통과하면서 접촉저항 등에 의해 유속이 더욱 감소됨은 물론, 수평으로 분출된 송풍기류가 챔버(10)의 상부에 수직으로 구비된 배기구(14)를 향해 유동경로가 바뀌기 때문에 챔버(10) 내에서는 송풍기류의 유속이 크게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챔버(10)의 내부 상측에는 후술한 바와 같이 분진포집수 분무유닛 (50)에 의해 분진포집수가 분사되기 때문에 챔버(10)의 배기구(14)를 향하는 송풍기류의 유속은 분진포집수의 저항을 받아 더더욱 낮아질 수밖에 없다. 본 고안자의 실험에 의하면, 송풍초기 20∼40㎧였던 송풍기류의 유속이 챔버(10)에서 배기구(14)를 향해 유동하는 속도는 약 0.1∼0.2㎧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재생 가능한 폐골재(A)로부터 비산 분리된 쓰레기(W)들이 더 이상 비산되거나 부상하지 못하고 자중에 의해 챔버(10)의 바닥으로 떨어져 쓰레기 수거함(16)에 수거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챔버(10)의 상부에 설치된 분진포집수 분무유닛(50)의 분무노즐(51)에서 챔버(10)의 내부 상측에 포집수가 고압의 에어에 의해 안개상태로 분사된다. 그러면, 안개상태의 분진포집수가 챔버(10)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서서히 하강하면서 송풍기류를 따라 부상하는 분진을 확실하게 포집하여 쓰레기 수거함 (16)으로 낙하된다.
이에 따라 분진포집수를 통과한 송풍기류는 분진이 대부분 제거된 깨끗한 상태로 챔버(10)의 배기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 분진에 의한 대기 및 토양오염이 방지됨은 물론 깨끗한 작업환경이 유지되어 호흡기 질환 등의 작업자의 질병유발도 최대한 억제된다.
도3에는 본 고안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용 쓰레기 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챔버(10)의 배기구(14)와 슈트(20)의 송풍기류 유입구(23)를 공기순환덕트(60)로 연결하고, 이 공기순환덕트(60)의 출구쪽에 송풍기(30)를 설치하여, 쓰레기(W)를 비산 분리시키는 송풍기류를 외부로배출시키지 않고 슈트(20)와 챔버(10)내에서만 순환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송풍기(30)에 의해 발생된 송풍기류가 대기로 전혀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건설폐기물로부터 쓰레기(W)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분진의 대기방출이 근본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또한, 쓰레기(W)를 비산시킨 송풍기류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듯이 챔버(10)내에서 부상하는 유속이 매우 느릴 뿐 아니라 분진포집수 분무유닛(50)에서 분사된 안개상태의 포집수에 의해 분진이 확실히 제거된 상태에서 공기순환덕트 (60)를 따라 유동하므로 분진에 의한 송풍기(30)의 고장우려도 거의 없다.
한편,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에 있어, 공기순환덕트(60)의 입구쪽에는 바람직하기로 필요에 따라 그 유로를 개폐하거나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댐퍼(damper:61)가 구비된다. 이는 장치를 정지하고 수거된 쓰레기(W)를 외부로 방출할 때 댐퍼 (61)를 닫아 분진이 공기순환덕트(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시 송풍기류의 공기량 조절을 가능케 한다.
도4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의 스크린 플레이트(40)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것은 스크린 플레이트(42,43,44)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일정각도 간격의 층상구조로 배열된 구성이다. 각 스크린 플레이트(42,43,44)에 형성된 공기구멍(42a,43a,44a)들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고, 또한 각 스크린 플레이트(42,43,44)는 쓰레기(W)의 용이한 낙하를 위해 상측으로 갈수록 챔버(10)의 측벽(11)으로부터의 돌출길이가 점차 길어진다.
이 경우, 송풍기류가 공기구멍(42a,43a,44a)의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각 스크린 플레이트(42,43,44)를 단계적으로 통과해야 하므로 접촉저항에 의한 유속감소가 더욱 커지게 되어 분진의 부상이 최소화된다. 아울러 작은 부피의 쓰레기(W)가 최하부의 스크린 플레이트(42)를 통과하더라도 중간 또는 최상부의 스크린 플레이트(43 또는 44)에서 걸러지게 되므로 쓰레기(W)와 분진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5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하였다. 이것은 전술한 두 번째 실시예의 구성에서, 챔버(10)의 배기구(14)에 철망(15) 대신 에어필터(70)를 설치하고, 이 에어필터(70)와 댐퍼(61) 사이의 공간을 분진포집수 분무유닛(50)의 에어컴프레서(53)에 관로(56)로 연결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챔버(10)의 배기구(14)에 에어필터(7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순환덕트(60)로의 분진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에어필터(70)의 청소는 장치의 정시시 댐퍼(61)를 닫고 관로(56)에 구비된 밸브 (57)를 열어 에어필터(70)의 상부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소정시간 동안 불어줌으로써 포집된 분진을 제거하게 된다. 물론 제거된 분진은 챔버(10) 하부의 쓰레기 수거함(16)으로 낙하되어 방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쓰레기 분리장치에 의하면, 적정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섞여 있는 폐비닐 등의 불필요한 쓰레기를 재활용 가능한 골재로부터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면서도 분진의 대기방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쓰레기의 분리시 발생되는 분진이 챔버내에서 포집수에 의해 포집 제거되므로 최소의 포집수 분무량으로 분진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분진에 의한 시스템의 외부 오염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더욱이 송풍기류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순환시키면서도 분진의 송풍기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포집된 쓰레기를 수시로 배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의 가동효율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 쓰레기 분리장치의 신뢰성과 안전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Claims (9)

  1. 건설폐기물을 일련의 공정을 거쳐 재생골재로 전환시키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에 있어 파쇄수단에 의해 적정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 폐비닐이나 폐플라스틱 등의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측벽에 송풍구멍과 쓰레기 배출도어를 각각 가지며, 상면에 배기구를 갖는 챔버;
    상기 챔버의 송풍구멍에 그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고정되어 챔버의 측벽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송풍구멍의 대향위치에 건설폐기물 투입구와 골재배출구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가지며, 상기 건설폐기물 투입구와 골재배출구 사이에 송풍기류 유입구를 갖는 통형의 슈트;
    상기 슈트의 송풍기류 유입구를 통해 그 내부에 소정의 강풍을 수평방향으로 불어넣어 슈트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건설폐기물중의 쓰레기를 상기 챔버의 내부로 비산시키는 송풍수단;
    다수의 공기구멍을 가지며, 상기 송풍구멍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기류를 분산 감속시킴과 함께 쓰레기의 부상을 억제하는 스크린 플레이트;
    상기 챔버의 내부 상측에서 분진포집수를 안개상태로 분사하여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포집수 분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포집수 분무수단은,
    상기 챔버의 벽에 관통 설치되는 분무노즐과, 물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분무노즐에 분진포집수를 공급하는 포집수공급관 및 상기 분무노즐에 소정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배기구와 상기 슈트의 송풍기류 유입구를 연결하는 공기순환덕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풍수단이 공기순환덕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배기구에 분진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덕트의 입구에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조절하기 위한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의 배출단이 상기 챔버의 내부로 소정길이만큼 진입되고, 상기 스크린 플레이트가 슈트의 진입부상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7.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플레이트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공기구멍이 작아지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고정단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 스크린 플레이트는 상측으로 갈수록 그 자유단의 돌출길이가 점차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8.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 송풍기류에 의해서 골재로부터 비산 분리된 쓰레기를 수집하기 위한 쓰레기 수거함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댐퍼 사이의 유로가 상기 분무수단의 에어컴프레서와 관로로 연결되고, 전체 시스템의 정지시 상기 댐퍼가 닫혀 공기순환덕트의 유로를 폐쇄한 후 상기 에어컴프레서가 일정시간동안 작동하여 소정압력의 압축공기를 불어줌으로써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KR20-2003-0022057U 2003-07-09 2003-07-09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KR200329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57U KR200329222Y1 (ko) 2003-07-09 2003-07-09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57U KR200329222Y1 (ko) 2003-07-09 2003-07-09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274A Division KR100452857B1 (ko) 2003-07-09 2003-07-09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222Y1 true KR200329222Y1 (ko) 2003-10-08

Family

ID=4933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057U KR200329222Y1 (ko) 2003-07-09 2003-07-09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22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475B1 (ko) * 2004-10-11 2005-03-31 (주)송림환경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712617B1 (ko) 2005-04-28 2007-04-30 이휘범 풍력을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 선별분리장치
KR100847472B1 (ko) 2007-07-11 2008-07-21 (주)한동알앤씨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KR102031973B1 (ko) 2019-04-24 2019-10-14 은성환경(주) 건설폐기물 분리장치
CN117258875A (zh) * 2023-11-22 2023-12-22 黑龙江科技大学 一种煤矿开采用煤矿破碎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475B1 (ko) * 2004-10-11 2005-03-31 (주)송림환경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712617B1 (ko) 2005-04-28 2007-04-30 이휘범 풍력을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 선별분리장치
KR100847472B1 (ko) 2007-07-11 2008-07-21 (주)한동알앤씨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KR102031973B1 (ko) 2019-04-24 2019-10-14 은성환경(주) 건설폐기물 분리장치
CN117258875A (zh) * 2023-11-22 2023-12-22 黑龙江科技大学 一种煤矿开采用煤矿破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266B2 (en) Aggregate recycling apparatus having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substance and fine particle separation means, and method thereof
KR100883783B1 (ko) 음식물쓰레기 파쇄 선별기
KR100756420B1 (ko)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CN213288109U (zh) 一种环保型建筑施工用建筑垃圾回收装置
KR101975035B1 (ko) 다단 이물질 처리 방식의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KR101888458B1 (ko) 에어펄스 백필터를 이용한 사이클론 다중 선별장치
US3925198A (en) Apparatus and method of air classifying municipal solid wastes
KR101717258B1 (ko) 폐 퍼라이트 원료 재생방법
KR100789054B1 (ko) 친환경 블라스트 장치
KR100953665B1 (ko) 폐기물의 이물질 선별분류장치
KR101173286B1 (ko) 건설폐기물의 표면에 부착된 잔골재 선별 회수장치
KR200329222Y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KR1004528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KR100889809B1 (ko) 건식 공정으로 도로공사용 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100471665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장치
KR20025519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100734520B1 (ko) 건설폐기물의 에어 선별장치
KR100450614B1 (ko)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재생시스템
KR100766908B1 (ko) 폐기물 선별 장치
KR200450648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JP2006150312A (ja) 風力選別装置
KR200351067Y1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CN207857529U (zh) 装修垃圾资源化再利用处置系统
KR20030016439A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