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908B1 - 폐기물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908B1
KR100766908B1 KR1020060051872A KR20060051872A KR100766908B1 KR 100766908 B1 KR100766908 B1 KR 100766908B1 KR 1020060051872 A KR1020060051872 A KR 1020060051872A KR 20060051872 A KR20060051872 A KR 20060051872A KR 100766908 B1 KR100766908 B1 KR 100766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blower
filter
separato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환
Original Assignee
한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환 filed Critical 한용환
Priority to KR1020060051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4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rotary tables or tables formed by travell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2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먼지 집진이 가능한 폐기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기물 선별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집진하여 외부 대기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 등을 이용하여 이송되는 폐기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 송풍기에 의해 분리기에서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에서 미분을 따로 선별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컨덴서 선별기로 이송시키는 풍구대분리기; 원통형이고 표면에 분진 및 미세 먼지만 통과될 수 있는 원통형 선별체통필터로 형성되며, 외주를 따라 외부를 향하여 결합된 복수개의 구분 날개가 결합되어 상기 흡입송풍기를 통해 이송된 이물질 중 분진과 미세 먼지는 원통형 내부로 인입하고 크기가 큰 이물질은 구분 날개를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컨덴서 선별기; 상기 컨덴서 선별기에서 선별된 원통형 선별체통필터 내부의 분진 및 미세 먼지를 여과 집진기까지 유도하는 2차 송풍기; 상기 2차 송풍기에 의해 유도된 분진 및 미세 먼지를 여과 집진기에서 흡착 포집 대기배출 하는 여과 집진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기물, 분리, 선별, 미세 먼지, 이물질, 여과집진기, 빽필터

Description

폐기물 선별 장치{A sorting plant for gathering of particle from wast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의 동작 계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컨덴샤 선별기의 상세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컨덴샤 선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여과집진기와 집진 필터의 배면도이다.
도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의 동작 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컨베이어 벨트 20: 건설 폐기물
21: 순환골재 22: 이물질
23: 쓰레기 24: 분진 및 미세먼지
30: 1차 송풍기 50: 건설 폐기물 선별 장치
54: 건설폐기물 투입 컨베이어 55: 송풍기
64: 폐기물 흡입 덕트 65: 격판
70: 폐기물 선별판 80: 물 분사 장치
100: 건설폐기물 선별 장치 110: 풍구대분리기
120: 컨덴샤 선별기 121: 구분 날개
122: 선별체통 123: 내부 공간
124: 쓰레기 배출구 125: 이물질 수거함
126: 이물질 흡입구 127: 흡입 방지판
129: 미분 이동관 130: 2차 배기송풍기
135: 미분 이송관 140: 여과집진기
142: 베이스판 150: 집진필터
152: 분진 수납공간 160: 분진 수납함
본 발명은 폐기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 선별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집진하여 외부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폐기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에는 건설 폐기물, 소각 폐기물, 광산에서 발생되는 석분 폐기물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폐기물들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장치에 활용될 수 있는 모든 폐기물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건설 폐기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건설 폐기물에는 재사용이 가능한 순환골재와 비닐, 스치로폼,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폐기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환골재를 얻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폐기물 선별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폐기물 선별 장치는 크게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된다.
습식은 물을 사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순환골재를 세척하여 미분이나 이물질을 분리한다. 그러나 습식은 세척 과정에서 여러 설비가 필요하고, 미분이나 이물질이 포함된 폐수가 다량 발생하게 되어, 폐수에서 슬러지를 분리하는 장치를 추가로 구비함은 물론 슬러지 처리비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용수 자체가 결빙되어 사용상 제약이 뒤따르게 되거나 장치 역시 사용되는 물의 내부 결빙으로 인해 장치가 고장 나기 쉬워 가동상의 어려움이 상존한다.
이와 같은 습식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송풍기 등을 사용한 건식 장치가 제안되었다.
건식 장치는 흡입에 의한 사이클론(Cyclone) 방식과, 송풍기의 바람에 의해 불어서 미분을 분리하는 송풍기 방식이 있다.
이중 사이클론 방식은 흡입력이 약하여 대용량, 고속의 처리가 불가능하고, 미세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어 대기오염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7을 참조로 일반적인 송풍기에 의한 폐기물 선별 장치를 설명한다.
도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의 동작 계통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50)는 폐기물 투입 컨베이어(54)를 통해 투입된 폐기물을 낙하시키면서 송풍기(55)의 바람에 의해 순환골재와 이물질로 분리한다. 즉,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순환골재는 바람의 영향을 덜 받아 아래로 낙하하고, 가벼운 이물질은 바람에 의해 날려가게 된다.
이후, 미세 구멍이 형성된 폐기물 선별판(70)에 부딪힌 이물질은 경사지게 설치된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60)를 따라 한 곳에 모이게 되며, 폐기물 선별판(70)을 통과한 미세 먼지는 폐기물 흡입 덕트(64)에 흡입되어 물 분사장치(80)에 의해 물과 결합하여 한 곳으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폐기물 선별 장치(50)는, 순환 골재, 이물질, 미세 먼지를 따로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미세 먼지는 물 분사 장치(80)에 의해 물과 결합하지만, 모든 미세 먼지가 물과 결합될 수는 없기 때문에 일부의 미세 먼지는 물과 결합하고, 나머지 미세 먼지는 장치(50)를 따라 순환하거나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미세 먼지가 장치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폐기물에서 소재와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폐기물 선별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폐기물 선별 장치는,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폐기물을 이물질과 소재로 선별하는 장치로서, 상기 이송 된 폐기물에 1차적으로 송풍력을 부여하는 1차 송풍기, 상기 1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선별된 물질을 1차적으로 분리하는 풍구대분리기 및, 상기 풍구대분리기에서 분리된 물질을 2차적으로 선별하도록 상기 풍구대분리기에 연통되는 컨덴서 선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덴샤 선별기에서 선별된 물질에 2차적으로 송풍력을 부여하는 2차 송풍기와, 상기 2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선별된 물질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여과 집진하기 위하여 상기 2차 송풍기에 연통되는 집진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풍구대분리기의 일측에는 상기 1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물질은 상기 풍구대분리기의 하부로 낙하되도록 제1차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이송되되 상기 컨덴샤 선별기까지 이송되지 못하는 물질을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차 배출부로부터 상기 컨덴샤 선별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2차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2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영향을 받아 여과 집진필터로 이송물질 중 분진을 처리키 위하여 상기 여과 집진필터 전단에 싸이크론 집진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덴샤 선별기는 원통형이고 표면에 작은 물질이 통과될 수 있는 원통형 선별체통필터로 형성되며, 외주를 따라 외부를 향하여 결합된 복수개의 구분 날개가 결합되어 이송된 물질중 작은 물질은 원통형 내부로 인입하고 크기가 큰 물질은 구분 날개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이물질 수거 압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덴샤 선별기는, 상기 원통형 선별체통필터 내부의 상부에만 2차 송풍기의 흡입력이 전달되도록, 하부가 막힌 상부와 분리된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집진 필터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모터, 및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에 의해 상기 집진 필터에서 분리된 물질을 수납하는 미분 수납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컨덴샤 선별기에는 선별기의 하부로 배출된 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압축기 및 이물질 수거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 집진필터는, 상기 미분 수납함에 수납된 미분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단에 역류 방지 수단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기에는 송풍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베이어 벨트 등을 이용하여 이송되는 건설 폐기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 적으로 분리하도록 송풍력을 부여하는 1차 풍구대송풍기, 상기 1차 송풍기에 의한 송풍력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되는 풍구대분리기, 상기 풍구대분리기에서 이송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원통형이고 표면에 미세 먼지만 통과될 수 있는 원통형 체통선별필터로 형성되며, 외주를 따라 외부를 향하여 결합된 복수개의 구분 날개가 결합되어 상기 흡입호퍼를 통해 이송된 이물질 중 미세 먼지는 원통형 내부로 인입하고 크기가 큰 이물질은 구분 날개를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컨덴서 선별기, 상기 컨덴서 선별기에서 선별된 원통형 선별 필터 내부의 미세 먼지를 유도하는 2차 송풍기, 상기 2차 송풍기에 의해 유도된 미세 먼지를 하부로 유도하 는 여과집진기, 및 상기 여과집진기를 통해 유도된 미세 먼지를 흡착하는 여과 집진필터; 를 포함하되, 상기 컨덴샤 선별기는, 상기 구분 날개를 통해 하부로 배출된 이물질을 수거 압축하는 이물질 수거함을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원통형 선별체통필터 내부의 상부에만 2차 송풍기의 흡입력이 전달되도록, 하부가 막힌 구조를 갖고, 상기 여과 집진 필터는, 상기 집진 필터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모터; 및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에 의해 상기 집진 필터에서 분리된 미세 먼지를 수납하는 미분수납 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먼지 집진이 가능한 폐기물 선별 장치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선별 장치의 동작 계통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사용된 컨덴샤 선별기의 상세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사용된 컨덴샤 선별기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사용된 여과집진기와 여과 집진필터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먼지 집진이 가능한 폐기물 선별 장치(100: 이하에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미세 먼지 집진이 가능한 폐기물 선별 장치'는 간략히 '선별 장치'라 한다)는, 1차 송풍기(30)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집진 필터(150)에서 집진하는 구조를 갖는다.
컨베이어 벨트(10)는 폐기물(20)을 풍구대분리기(110)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풍구대분리기(110)는 전방과 하방이 개방되어, 순환골재(21)는 개방된 하방으로 낙하하고, 이물질(22)은 개방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풍구대분리기(110)의 하방은 순환골재(21)가 낙하하기 위한 제1차 배출부와, 이물질(22) 중 무거운 이물질이 낙하하기 위한 제2차배출부(배출호퍼:11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호퍼(112)에서 하방으로 낙하한 무거운 이물질은 이동관(미표시)을 통해 이물질 수거함(125)에 수거된다.
1차 송풍기(30)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해 이송된 폐기물(20)이 풍구대분리기(110)에서 낙하하는 동안, 바람을 불어 재사용이 가능한 순환골재(21)는 아래 로 낙하하고, 이물질(22)은 풍구대분리기(110)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폐기물(20)에서 순환골재(21)는 무게가 무거워 1차 송풍기(30)에 의한 풍력에 영향을 덜 받게 되어 아래로 낙하하지만, 이물질(22)은 무게가 가벼워 1차 송풍기(30)의 풍력에 의해 풍구대분리기(11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풍구대분리기(110)는 분리된 이물질(22)을 컨덴샤 선별기(120)로 이송한다.
컨덴샤 선별기(120)는 이물질 흡입구(126)로 흡입된 이물질(22)을 미세 먼지(24)와 비닐, 스치로폼, 나뭇가지 등과 같은 쓰레기(23)로 분리한다. 컨덴샤 선별기(1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먼지(24)가 빠져나갈 통로(123)와 쓰레기(23)가 빠져나갈 통로(124)를 갖는 몸체(125)에, 원통형 선별체통(1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원통형 선별체통(122)은 분진과 미세 먼지(24)가 통과될 수 있도록 망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에 외부를 향하여 결합된 복수개의 구분 날개(121)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원통형 선별체통필터(122)의 내부 공간(123)에는 미세 먼지만 통과하여 들어가게 된다.
또한, 컨덴샤 선별기(120)의 원통형 선별체통(122)의 하부 공간은 이동 방지판(127)이 결합되어, 후술될 2차 송풍기(130)의 흡입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원통형 선별체통(122)의 상부로는 분진과 미세먼지(24)가 2차 송풍기(130)의 흡입력에 의해 내부 공간(123)으로 들어오고, 구분 날개(121) 사이에 위치된 쓰레기(23)는 강제로 원통형 선별체통(122) 외주의 하부로 이동된 뒤 2차 송풍기(130)의 흡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이물질 수거함(125)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컨덴샤 선별기(120)의 동작이 도3에 의해 확인된다.
정리하면, 풍구대분리기(110)는 순환골재(21)가 배출되는 제1차배출부(111)와, 이물질(22) 중 무거운 이물질이 낙하하기 위한 제2차배출부(112)로 구성되며, 배출호퍼(112)에서 하방으로 낙하한 무거운 이물질은 이동관(미표시)을 통해 이물질 수거함(125)에 수거된다.
즉, 1차 송풍기(30)에 의해 바람을 불어 무게가 무거운 순환골재(21)는 아래로 낙하하고, 이물질(22)은 풍구대분리기(110)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풍구대분리기(110)에서 분리된 이물질(22)은 컨덴샤 선별기(120)로 이송되며, 컨덴샤 선별기(120)는 미세 먼지(24)가 빠져나갈 통로(123)와 쓰레기(23)가 빠져나갈 통로(124)를 갖는 몸체(125)에, 원통형 선별체통(1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어, 원통형 선별체통(122)의 상부로는 분진과 미세먼지(24)가 2차 송풍기(130)의 흡입력에 의해 내부 공간(123)으로 들어오고, 구분 날개(121) 사이에 위치된 쓰레기(23)는 강제로 원통형 선별체통(122) 외주의 하부로 이동된 뒤 2차 송풍기(130)의 흡입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이물질 수거함(125)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2차 송풍기(130)는 컨덴샤 선별기(120)의 원통형 선별체통(122) 내부 공간(123)으로 이동된 분진과 미세먼지(24)를 흡입하여 미분 이송관(135)을 통해 여과 집진기(140)로 이동시킨다.
여과 집진기(140)는 미분 이송관(135)을 통해 이동된 미세 먼지(24)를 집진 필터(150)로 유도한다. 여과 집진기(140)는 상부는 막혀 있고, 하부는 집진 필터(150)와 연결되어, 분진과 미세먼지(24)가 2차 송풍기(130)의 풍력에 의해 집진 필터(150)로 강제로 이동 여과 집진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과 집진필터(150)는 분진과 미세먼지(24)가 일부는 달라붙고 일부는 미분 수납함(160)으로 유도 한다. 따라서, 집진 필터(150)에 모든 미세 먼지(24)가 일부는 달라붙고 일부는 수납함(160)으로 수납된다, 여과 집진장치(100) 외부로는 미세 먼지(24)가 제거된 공기만이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집진필터(150)는 집진 필터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진동 동작될 수 있다. 집진필터(150)의 진동 동작에 의해, 집진 필터(150)에 흡착된 미세 먼지(24)는 미분 수납함(152)에 모두 모이게 된다.
집진필터(150)의 하부에는 역류 방지 호퍼(154)가 결합되어, 분진 수납함(160)의 분진 수납공간(152)을 부유하는 미세 먼지(24)가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분전함(도시되지 않음)은 1차 송풍기(30), 컨덴샤 선별기(120), 2차 송풍기(130) 및 진동 모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송풍기에는 인버터가 더 포함되어 송풍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동작예)
이하에서 전술된 실시 예에 따른 선별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물질을 포함한 폐기물(20)은 제1단계,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해 풍구대분리기(110)로 이동된다.
제2단계, 폐기물(20)이 풍구대분리기(110)에서 낙하한다.
제3단계, 풍구대분리기(110)에서 낙하하는 폐기물(20)은 1차 송풍기(30)의 송풍력에 의해 순환골재(21)는 하부로 낙하하고, 이물질(22)은 컨덴샤 선별기(120)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폐기물(20)로부터 순환골재(21)가 선별된다.
이때, 풍구대분리기(110)의 배출호퍼(112)로 낙하한 무거운 중량을 갖는 이물질은 이동관으로 이동하여 이물질 수거함(125)에 모인다.
제4단계, 이물질(22)이 컨덴샤 선별기(120)까지 이동된다.
제5단계, 컨덴샤 선별기(120)에서 이물질(22)에 포함된 미세 먼지(24)는 원통형 선별체통필터(122)를 통과하여 내부 공간(123)으로 이동되고, 쓰레기(23)는 구분 날개(121)의 회전에 따라 컨덴샤 선별기(120)의 통로(124)를 통해 이물질 수거함(125)으로 낙하한다.
이에 의해 폐기물(20) 속에 포함된 쓰레기가 쓰레기 이동관(128)을 통해 이물질 수거함(125)에 모이게 된다.
제6단계, 미세 먼지(24)는 배출구(131)를 통해 배출되어 미분 이동관(129)을 통해 2차 송풍기(130)로 이동된 뒤, 2차 송풍기(130)의 풍력에 의해 미분 이송관(135)을 거친 뒤 여과 집진기(140)로 이동된다.
제7단계, 미세 먼지(24)가 여과 집진기(140)로부터 집진 필터(150)로 풍력에 의해 강제 이동된다.
제8단계, 미세 먼지(24)가 집진 필터(150)에 흡착포집 및 수거함에 수납된다.
제9단계, 집진 필터(150)가 진동하여 미세 먼지(24)를 미분 수납함(160)에 수납된다. 이에 의해 미세 먼지(24)가 미분 수납함(160)에 모이게 된다. 이때, 분진 수납공간(152)을 부유중인 미세 먼지(24)는 역류 방지 호퍼(154)의 작용에 의해 집진 필터(150)로 역류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의 동작은 1차 송풍기(30), 컨덴샤 선별기(120) 및 2차 송풍기(130)가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미세 먼지(24)가 역류하여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폐기물(20)의 연속적인 선별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 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풍구대분리기, 1차 송풍기, 컨덴샤 선별기, 2차 송풍기, 여과 집진기 등의 구성에 의해 폐기물로부터 소재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로 안전하게 분리수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송풍에 의한 폐기물 선별의 경우 미세 먼지 등은 대기 중으로 확산되어 환경오염의 문제가 심각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 먼지가 대기로 확산되지 않고 분리 수거되어 친환경적인 폐기물 선별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풍구대분리기에는 1,2차 배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1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물질은 1차 배출부로, 1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이송되되 상기 컨덴샤 선별기까지 이송되지 못하는 물질은 2차 배출부로 낙하시켜 풍구대분리기 내에 물질이 적재되지 않고 모두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여과 집진필터 상부에는 여과집진기가 더 포함되어, 2차 송풍기에 의해 이송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집진 필터로 유도된다.
또한, 집진필터 전단에 싸이크론 집진기가 더 포함되어 이송되는 물질 중 분진을 집진필터 이송 전에 전처리가 되어 효율적이고, 집진필터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컨덴샤 선별기는 표면에 원통형 선별체통 필터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구분 날개가 결합되며, 하부가 막힌 상부와 분리된 구조가 되어, 이송된 물질 미세 먼지 등은 원통형체통내부로 인입되고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은 강제적으로 날개에 유도 컨덴샤 하부로 떨어질 수 있게 되어, 쓰레기와 미세먼지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여과 집진필터와, 진동 모터, 미분 수납함을 추가로 포함하여, 분리된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모아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송풍기에 인버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송풍기에는 송풍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처리하는 폐기물의 중량 등에 따라 이물질 등이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진필터 하단에는 역류방지수단이 형성되어 미분 수납함에 수납된 미분이 역류하지 않게 된다.
또한, 1차 풍구대분리기, 송풍기, 컨덴샤 선별기, 2차 송풍기가 연속적으로 동작하므로, 폐기물의 연속적인 선별 작업이 가능하고, 미세 먼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삭제
  2.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폐기물을 이물질과 소재로 선별하는 장치로서,
    상기 이송된 폐기물에 1차적으로 송풍력을 부여하는 1차 송풍기;
    상기 1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선별된 물질을 1차적으로 분리하는 풍구대분리기; 및
    상기 풍구대분리기에서 분리된 물질을 2차적으로 선별하도록 상기 풍구대분리기에 연통되는 컨덴샤 선별기를 포함하되,
    상기 컨덴샤 선별기에서 선별된 물질에 2차적으로 송풍력을 부여하는 2차 송풍기;와
    상기 2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선별된 물질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흡착하기 위하여 상기 2차 송풍기에 연통되는 집진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풍구대분리기의 일측에는 상기 1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물질은 상기 풍구대분리기의 하부로 낙하되도록 제1차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이송되되 상기 컨덴샤 선별기까지 이송되지 못하는 물질을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차 배출부로부터 상기 컨 덴샤 선별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2차 배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영향을 받아 이송된 물질을 상기 집진필터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필터 상부에는 여과집진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송풍기의 송풍력에 영향을 받아 이송되는 물질 중 분진을 처리키 위하여 상기 집진필터 전단에 싸이크론 집진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덴샤 선별기는
    원통형이고 표면에 작은 물질이 통과될 수 있는 원통형 선별체통필터로 형성되며, 외주를 따라 외부를 향하여 결합된 복수개의 구분 날개가 결합되어 이송된 물질중 작은 물질은 원통형 내부로 인입하고 크기가 큰 물질은 구분 날개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이물질 수거압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덴샤 선별기는,
    상기 원통형 선별체통필터 내부의 상부에만 2차 송풍기의 흡입력이 전달되도록, 하부가 막힌 상부와 분리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 장 치.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집진 필터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모터; 및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에 의해 상기 집진 필터에서 분리된 물질을 수납하는 미분 수납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컨덴샤 선별기에는 선별기의 하부로 배출된 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압축기 또는 이물질 수거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집진필터는,
    상기 미분 수납함에 수납된 미분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단에 역류 방지수단이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는 송풍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 장치.
KR1020060051872A 2006-06-09 2006-06-09 폐기물 선별 장치 KR100766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872A KR100766908B1 (ko) 2006-06-09 2006-06-09 폐기물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872A KR100766908B1 (ko) 2006-06-09 2006-06-09 폐기물 선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908B1 true KR100766908B1 (ko) 2007-10-17

Family

ID=3881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872A KR100766908B1 (ko) 2006-06-09 2006-06-09 폐기물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79B1 (ko) * 2009-02-27 2011-01-24 이상웅 로터리필터 및 이 로터리필터가 적용된 쓰레기 선별장치
KR101077917B1 (ko) * 2009-02-27 2011-10-31 이상웅 쓰레기 흡입선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681U (ja) * 1992-03-11 1993-10-12 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多段分級機
JPH06226209A (ja) * 1993-02-01 1994-08-16 Yoshito Taki 廃棄物から空き缶類を選別回収する装置
KR20030008203A (ko) * 2002-12-31 2003-01-24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건설폐기물의 자원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JP2003320312A (ja) * 2002-04-25 2003-11-11 Kumagai Gumi Co Ltd 鉛玉汚染土壌用風力選別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681U (ja) * 1992-03-11 1993-10-12 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多段分級機
JPH06226209A (ja) * 1993-02-01 1994-08-16 Yoshito Taki 廃棄物から空き缶類を選別回収する装置
JP2003320312A (ja) * 2002-04-25 2003-11-11 Kumagai Gumi Co Ltd 鉛玉汚染土壌用風力選別機
KR20030008203A (ko) * 2002-12-31 2003-01-24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건설폐기물의 자원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79B1 (ko) * 2009-02-27 2011-01-24 이상웅 로터리필터 및 이 로터리필터가 적용된 쓰레기 선별장치
KR101077917B1 (ko) * 2009-02-27 2011-10-31 이상웅 쓰레기 흡입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3048C2 (ru) Агрегат для уборки дорог
US4139454A (en) Reclaiming system for scrap metals
KR101975035B1 (ko) 다단 이물질 처리 방식의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KR101888458B1 (ko) 에어펄스 백필터를 이용한 사이클론 다중 선별장치
US20090272406A1 (en) Apparatus for on-site cleaning of landscape rock
KR100953665B1 (ko) 폐기물의 이물질 선별분류장치
US8590709B2 (en) Pneumatic classification of mixtures of particulates
KR101010679B1 (ko) 로터리필터 및 이 로터리필터가 적용된 쓰레기 선별장치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100766908B1 (ko) 폐기물 선별 장치
KR101527389B1 (ko) 농산물처리시 발생되는 분진 및 이물질 처리용 원심식 여과장치
CN108080402A (zh) 装修垃圾资源化再利用处置系统及方法
CN201950028U (zh) 原料除杂进仓系统
KR102006454B1 (ko) 건식모래선별장치
CN214132654U (zh) 一种沙土分离机构
KR1004528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DE10342117B4 (de) Selbstfahrende Kehrsaugmaschine mit einer Filtereinrichtung zum Abscheiden von nassem oder trockenem Kehricht
CN213103173U (zh) 一种选煤除尘装置
CN208583790U (zh) 一种振动脱水分离机
KR100404147B1 (ko)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KR100421943B1 (ko) 건축폐기물 중 토사 내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CN207857529U (zh) 装修垃圾资源化再利用处置系统
KR101202842B1 (ko) 분진 분리장치
KR100488476B1 (ko) 건설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