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614B1 -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재생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재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614B1
KR100450614B1 KR10-2001-0033001A KR20010033001A KR100450614B1 KR 100450614 B1 KR100450614 B1 KR 100450614B1 KR 20010033001 A KR20010033001 A KR 20010033001A KR 100450614 B1 KR100450614 B1 KR 100450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construction waste
dust
waste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839A (ko
Inventor
엄용섭
우창윤
Original Assignee
(주)수도권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도권환경 filed Critical (주)수도권환경
Priority to KR10-2001-003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61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로부터 토분, 석분 및 골재 등을 분류/재생하는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 섬유, 플라스틱 및 스치로폼 등 비교적 가벼운 쓰레기를 강풍을 이용하여 분리할 때 송풍기의 전방에 미세 물방울로 이루어진 차단층을 형성함으로써 먼지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다수의 분쇄기와, 입경에 따라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다수의 스크린, 강풍을 발생시켜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는 다수의 송풍기 및 건설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전방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시키는 제1분무장치와 상기 송풍기의 강풍에 의해 비산되는 쓰레기를 차단하여 수거하는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미세 물방울으로 이루어진 먼지 차단용 차단층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상기 분쇄기, 스크린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차단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된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하는 제2분무노즐과, 상기 제2분무노즐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2분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Blowing system for intercepting scattering dust and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로부터 토분, 석분 및 골재 등을 분류/재생하는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 섬유, 플라스틱 및 스치로폼 등 비교적 가벼운 쓰레기를 강풍을 이용하여 분리할 때 송풍기의 전방에 미세 물방울로 이루어진 차단층을 형성함으로써 먼지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신축 현장이나 해체 현장에서는 토사, 폐콘크리트, 폐종이, 폐섬유, 금속류, 폐플라스틱, 폐목재, 유리 및 도자기류 등이 혼재된 건설 폐기물이 발생되게 된다. 최근에는 도시 재개발 및 대단위 아파트의 재건축 등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러한 건설 폐기물의 발생량이 더욱 증가되고 있어 경제적인 측면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건설 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가 요청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건설 폐기물의 대부분이 일반쓰레기와 함께 단순 매립되고 있어 재활용 가능한 골재 등이 그대로 사장되고 토양 및 지하수 등이 2차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유한 자원인 골재가 일방적으로 소모되고 있는 반면에 신규 건설에 의해 골재 수요는 매년 급증하고 있어 가까운 시일에 골재의 부족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폐기물을 수집, 분쇄, 선별하여 건설 폐기물로부터 골재 등을 재생하여 재활용하는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은 폐콘크리트에 함몰되어 있거나 폐콘크리트와 혼재되어 있는 토사, 철근, 쓰레기 등을 분쇄/선별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직경을 갖는 골재와 토분 및 석분으로 분리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재생된 골재 등은 건설 현장에 다시 활용됨으로써 부족한 자원을 보충하고 채석 및 채굴에 의한 환경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은 폐콘크리트 등을 분쇄하기 위한 다수의 분쇄장치와 철근 및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분리장치 그리고 원하는 크기의 재생 골재 등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장치를 적절히 조합하여 만들어진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는 공정도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건축 현장 등에서 운반되어 온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50)와, 투입된 건설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토분을 분리하기 위한 피더 스크린(51), 폐콘크리트 덩어리를 파쇄하여 원하는 크기로 분쇄하는 제1죠크러셔(52), 제2죠크러셔(54) 및 콘크러셔(56), 그리고 분쇄된 건설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철근토막이나 잡물을 제거하는 다수의 전자석(58), 분쇄된 건설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쓰레기를 수작업으로 분리하는 쓰레기 분리실(57), 분쇄된 건설 폐기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강풍으로 분리하는 다수의 송풍기(59), 분쇄된 건설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제1스크린(53) 및 제2스크린(55) 그리고 분쇄된 건설 폐기물을 각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20)로 구성된다.
따라서 호퍼(50)에 투입된 건설 폐기물은 피더 스크린(51)에서 폐콘크리트 덩어리와 토사로 분리되어 토사는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토사 저장소로 이송되고 폐콘크리트 덩어리는 제1죠크러셔(52)로 투입되어 소정의 크기(200mm)이하로 파쇄된다. 이어 파쇄된 폐콘크리트는 컨베이어 벨트(20)를 타고 제1스크린(53)으로 이송되는데, 그 중간에 쓰레기 분리실(57)과 전자석(58)이 설치되어 파쇄된 콘크리트 사이에 혼재된 쓰레기와 철근토막 등의 금속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은 분쇄공정과 선별공정 그리고 그 중간에 이루어지는 쓰레기 분리공정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즉, 1차 분쇄과정에서 발생된 석분(20mm이하)과 토분은 제1스크린(53)에서 분리되어 토분 저장소로 보내지고 제1스크린(53)을 통과한 폐콘크리트는 다시 제2죠크러셔(54)로 이송되게 되는데, 그 중간에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송풍기(5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59)는 쓰레기를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낙차를 갖도록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의 낙하지점에 설치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쓰레기 분리실(57)을 설치하여 비산되지 않는 쓰레기를 수작업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제2죠크러셔(54)에서는 폐콘크리트 덩어리를 더욱 분쇄하여 다양한 크기의 골재를 재생한다. 이후 2단 체걸름망으로 구성된 제2스크린(55)에서는 골재의 입경에 따라 석분(9mm이하), 재생 골재(9mm이상 22mm이하) 및 폐콘크리트(22mm)로 분리하고, 상기 석분은 석분 저장소로, 상기 재생 골재는 재생 골재 저장소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폐콘크리트 덩어리는 다시 콘크러셔(56)로 투입되어 분쇄된 후 상기 제2스크린(55)으로 유입되거나 제2죠크러셔(54)에서 재차 분쇄된 후 제2스크린(55)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순환공정은 원하는 크기의 재생 골재가 얻어질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서는 양질의 재생 골재를 생산하기 위해 폐콘크리트를 분쇄하기 위한 다수의 분쇄기와, 입경에 따라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다수의 진동 스크린, 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송풍기 및 건설 폐기물, 토분, 석분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공정에서 많은 양의 먼지가 발생되고 된다.
그 중에서도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해 송풍기로 강풍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건설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이 일시에 대기 중으로 분산되어 전체 작업장을 오염시키거나 작업자가 분진을 흡입하여 호흡기 장애를 일으키는 것은 물론이고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의 인근 주민에게도 피해를 주어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 주위에 방진벽 또는 방진망을 설치하고 골재 저장소 등을 방진시트로 씌워두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종래 방법으로는 공정자체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재생시스템을 오염시킨 먼지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극적인 방법이었다. 또한, 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이해 주기적으로 재생시스템 주위에 살수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살수지역이 매우 제한적이며 송풍기 등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차단할 수 없었고 별도의 인력이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의 분쇄, 선별 및 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장 오염 및 작업자의 분진 흡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먼지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송풍기 주위에 미세 물방울로 이루어진 차단층을 형성하여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강풍을 이용하여 분리할 때 발생된 먼지가 대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한 층 이상의 미세 물방울로 이루어진 차단층을 전체 폐기물 재생시스템에 형성함으로써 작업장 내에서의 분진발생을 방지하고 발생된 분진이 대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갖는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사나 석분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직경의 쓰레기를 분리시킴으로써 양질의 토사나 석분을 생산할 수 있는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4는 도3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 13 : 송풍기
15 : 송풍기 지지대 17 : 안내 커버판
20 : 컨베이어 벨트 30 : 폐콘크리트
33 : 비산 가능한 쓰레기 35 : 비산 먼지
60 : 분무장치 61 : 차단층
63 : 분무노즐 65 : 분무관
70 : 그물망 75 : 갈퀴
90 : 제2분무장치 91 : 제2차단층
93 : 제2분무노즐 100 :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건설 폐기물에 강풍을 불어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송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전방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시키는 분무장치와; 상기 송풍기의 강풍에 의해 비산된 쓰레기를 차단하여 수거하는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미세 물방울로 이루어진 먼지 차단용 차단층이 형성되도록 한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송풍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하부로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분무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상부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과 상기 노즐이 설치된 분무관 및 상기 노즐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물망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터널형으로 설치되고 좌우 양측은 고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건설 폐기물을 뒤집을 수 있는 갈퀴를 더 설치함으로써 건설 폐기물에 매몰되어 있는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노출시켜 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형성된 먼지 차단용 차단층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에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하는 제2분무노즐과, 상기 제2분무노즐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2분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송풍기의 차단층 상부에 제2차단층을 형성하여 비산 먼지를 2중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다수의 분쇄기와, 입경에 따라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다수의 스크린, 강풍을 발생시켜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는 다수의 송풍기 및 건설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전방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시키는 제1분무장치와 상기 송풍기의 강풍에 의해 비산되는 쓰레기를 차단하여 수거하는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미세 물방울으로 이루어진 먼지 차단용 차단층을 형성하는 다수의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상기 분쇄기, 스크린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차단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된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하는 제2분무노즐과, 상기 제2분무노즐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2분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3은 강풍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송풍기이고, 참조번호 20은 폐콘크리트(30)(또는건설 폐기물) 등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이다. 상기 송풍기(13)는 컨베이어 벨트(20)의 이송방향의 반대로 강풍을 불어 폐콘크리트(30)에 혼재되어 있는 비산 가능한 쓰레기(33)와 먼지(35)를 비산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비산 가능한 쓰레기(33)로는 단열재로 사용된 스치로폼나 섬유, 가구나 건축물에 사용된 목재, 기타 종이나 플라스틱 등으로서 쓰레기 분리실(57)에서 수작업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비교적 가볍고 작은 물질이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13)를 이용하여 강한 바람을 일으키면 비산 가능한 쓰레기(33)는 강풍에 날려 폐콘크리트(3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송풍기는 많은 양의 먼지(35)도 동시에 비산시키기 때문에 재생시스템의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10)은 상기 송풍기(13)의 상부 전방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시키는 분무노즐(63)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송풍기(10)의 강풍이 미치는 범위 내에 일정한 수막(水膜 61)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분무노즐(63)에서 분사된 미세 물방울은 상기 송풍기(13)의 강풍에 의해 전방 및 상부로 퍼진 다음 송풍기(13)의 바람이 약해지는 거리에서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소정 범위에 걸쳐 돔형의 차단층(61)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기(13)에 의해 비산된 먼지(35)는 상기 차단층(61)의 물방울에 차단 및 흡착되어 다시 하강되기 때문에 대기 중으로 비산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층(61)은 조밀한 물방울이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분무노즐(63)에서 분사되는 물방울은 너무 크거나 작지 않은 범위에서 균등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방울이 너무 큰 경우에는 자체 하중에 의해 신속히 낙하되기 때문에 차단층(61) 내의 물방울 밀도가 크게 떨어지고 반대로 분사된 물방울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송풍기의 강풍에 날려 일정한 두께의 차단층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1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3)는 컨베이어 벨트(20)의 이송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강풍을 불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13)의 상부 전방에는 다수이 분무노즐(63)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분무관(6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송풍기(13)는 소정 높이를 갖도록 고정된 송풍기 지지대(15) 위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20)가 상기 송풍기(13)의 하부로 통과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3)의 상부에는 상기 분무노즐(63)을 보호하고 분무노즐(63)에서 분사된 물방울이 전방으로 분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커버판(17)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3)의 전방으로 물방울을 분사시키는 분무장치(60)는 다수의 분무노즐(63)과 이 분무노즐(63)에 가압수를 공급하는 펌프(6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분무노즐(63)은 상기 송풍기(13)의 크기와 모양에 대응되는 파이프형상의 분무관(65)에 일체로 설치되고 필요한 경우 각 분무노즐(63) 사이의 거리를 다르게 한다. 이어 상기 분무관(65)은 수직관(69)을 통해 고정되는 동시에 물을 펌핑하는 펌프(67)와 연통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무장치(60)에 공급되는 물은 지하수나 집수된 빗물이며 집수관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분무노즐(6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0)의 전방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게 그물망(70)이 설치되어 강풍에 의해 비산된 쓰레기를 차단하여 수거하게 된다. 상기 그물망(70)은 컨베이어 벨트(20)의 상부에 터널형으로 설치되고 양 측면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비산된 쓰레기가 그물망(70)을 따라 좌우 양측으로 떨어져 수거함(78)에 모아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그물망(70)은 컨베이어 벨트 지지대(23)에 고정된 다수의 지지봉(73)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그물망(70)의 후방은 하방으로 경사져 비산된 쓰레기가 그물망(7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20)의 하부에는 하강되는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쓰레기 수거함(78)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그물망(70)이 하부의 컨베이어 벨트(20)상에는 갈퀴(75)가 설치되어 이송되는 건설 폐기물을 교반하거나 뒤집음으로써 건설 폐기물 속에 매몰되어 있는 비산 가능한 쓰레기가 용이하게 비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갈퀴(75)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지지대(23)에 고정되어 있으며 건설 폐기물의 양이나 특성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도시되지 않은 조절수단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10)의 단면도로서, 송풍기(13)와 송풍기 지지대(15)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20)와의 결합관계를 보여 준다. 특히, 다수의 분무노즐(63)이 일체로 형성된 분무관(65)은 송풍기(13)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상의 송풍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송풍기(13)가 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분무관(65)을 만곡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무관(65)은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차단층(6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3)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 커버판(17)은 상기 송풍기(13) 및 분무관(65)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송풍기의 바람이 전방으로 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낙차를 갖도록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20)의 낙하지점에 하나 이상의 송풍기(13)를 설치하고 상기 송풍기(13)의 상부에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시키는 분무장치(6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송풍기(13)의 강풍이 미치는 범위 내에 차단층(61)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그물망(70)은 강풍에 의해 날아간 비산 가능한 쓰레기(33)를 차단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기(13)는 필요한 경우 컨베이어 벨트(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10)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제2분무장치(9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송풍시스템(10)의 차단층(61)을 통과한 비산 먼지를 다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분무장치(90)는 상기 송풍시스템(10)을 커버하는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지지기둥(96)과 그 위에 설치된 제2분무노즐(9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기둥(89)의 상단에 설치된 분무노즐은 360도 방향으로 미세 물방울을 분사시켜 상기 차단층(61) 위에 제2차단층(9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분무노즐(93)에는 제2펌프(97)에 의해 가압된 가압수가 공급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분무장치(90)는 상기 송풍시스템(10) 상부 이외의 곳에도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분쇄기나 스크린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분무장치(90)를 설치함으로써 전체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10)과 제2분무장치(90)를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100)의 여러 곳에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은 원으로 표현된 것은 송풍시스템(10)에 의해 형성된 1차 차단층(61)이고 보다 큰 원으로 표현된 것은 제2분무장치(90)에 의해 형성된 2차 차단층(91)이다. 이와 같이, 제1차 및 제2차 차단층(61)(91)으로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커버함으로써 각 공정에서 비산되는 먼지를 발생즉시 미세 물방울에 흡착시켜 가라앉힘으로써 먼지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작업자 내의 먼지 농도를 떨어뜨림으로써 작업자가 먼지로 인한 피해를 보지 않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10) 및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100)의 작용 효과를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송풍시스템(10)은 컨베이어 벨트(20)를 따라 이송되는 폐콘크리트(30)에 혼재되어 있는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기(10)에서 강풍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던 비산 가능한 쓰레기(33)와 먼지(35)가 동시에 전방과 상부로 비산되게 된다. 이때 비산된 쓰레기(33)는 컨베이어 벨트(20)를감싸고 있는 그물망(70)에 걸려 더 이상 비산되지 않고 강풍과 그물망(70)에 의해 그물망의 좌우 양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반면 그물망(70)에 걸리지 않는 비산 먼지(35)는 그물망(70)의 상부로 비산되게 되나 분무장치(60)에서 분무된 미세 물방울과 송풍기(13)의 강풍에 의해 그물망(70)의 상부에 형성된 차단층(61)에 의해 차단되어 더 이상 비산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차단층(61)에 의해 차단된 먼지(35)는 차단층(61)의 물방울에 흡착되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10)은 폐콘크리트, 석분 또는 토분에 혼재된 작은 직격의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동시에 이들과 혼재되어 있는 분진을 비산시켜 제거함으로써 이후의 공정에서 먼지가 발생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시스템(10)에서 분무된 수분은 폐콘크리트, 석분, 토분 등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이후의 공정이나 이송 중에 먼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송풍시스템(10)이나 분쇄기 및 스크린 등의 상부에 형성된 제2분무장치(90)는 분쇄기나 스크린 등에서 발생된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송풍시스템(10)의 제1차단층(61)을 통과한 비산 먼지를 재차 차단함으로써 송풍기(10)에 의해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100)은 다수의 송풍시스템(10)과 제2분무장치(90)를 적절히 배치하여 설치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이 미세 물방울로 이루어진 차단층에 의해 감싸지게 하여 시스템 내에 분진 농도를 매우 낮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은 건설 폐기물이 다수의 분쇄기, 송풍기 및 스크린을 통해 토분, 골재, 석분으로 분쇄/분리/선별할 때,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다수의 제2분무장치에 의해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완저히 차단하여 작업장 내의 먼지오염 및 작업자의 호흡 곤란 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근 주민이 비산 먼지에 의해 피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은 재생시스템 내에 분진측정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송풍기시스템 및 제2분무장치에 연결시킴으로써 시스템내의 분진 농도에 따라 각 분무장치를 자동으로 운전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건설 폐기물에 강풍을 불어주어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송풍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강풍에 의해 비산되는 경량 쓰레기를 차단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설치된 그물망과;
    상기 송풍기의 전방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시켜 상기 송풍기의 강풍에 의해서 상기 그물망의 상부와 후방으로 미세한 물방울로 이루어진 비산 먼지 차단층을 형성하는 분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송풍기의 강풍에 의해 비산되는 경량 쓰레기는 상기 그물망을 통해 일차적으로 선별하고 상기 송풍기의 강풍에 의해 비산된 먼지는 상기 비산 먼지 차단층에 의해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하부로 건설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분무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상부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과 상기 노즐이 일체로 설치된 분무관 및 상기 노즐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물망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터널형태로 설치되고 좌우 양측은 고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이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건설 폐기물을 뒤집을 수 있는 갈퀴를 더 설치함으로써 건설 폐기물에 매몰되어 있는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노출시켜 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형성된 비산 먼지 차단층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된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하는 제2분무노즐과, 상기 제2분무노즐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2분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비산 먼지 차단층의 상부에 제2차단층을 더 형성하여 2중으로 비산 먼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
  5. 건설 폐기물을 분쇄하기 위한 다수의 분쇄기와, 크기에 따라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다수의 스크린, 강풍을 발생시켜 비산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는 다수의 송풍기 및 건설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전방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시키는 제1분무장치와 상기 송풍기의 강풍에 의해 비산되는 쓰레기를 차단하여 수거하는 그물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미세 물방울으로 이루어진 비산 먼지 차단층을 형성하는 다수의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상기 분쇄기, 스크린 또는 컨베이어 벨트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된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설치되어 360도 방향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하는 제2분무노즐과, 상기 제2분무노즐에 가압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2분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전체 비산 먼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 재생시스템.
KR10-2001-0033001A 2001-06-12 2001-06-12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재생시스템 KR100450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001A KR100450614B1 (ko) 2001-06-12 2001-06-12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재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001A KR100450614B1 (ko) 2001-06-12 2001-06-12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재생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504U Division KR200244896Y1 (ko) 2001-06-12 2001-06-12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재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839A KR20010070839A (ko) 2001-07-27
KR100450614B1 true KR100450614B1 (ko) 2004-10-06

Family

ID=1971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001A KR100450614B1 (ko) 2001-06-12 2001-06-12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재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6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25Y1 (ko) * 2008-12-26 2011-07-22 한국중부발전(주) 발전소용 조 스크린 세정장치
KR102119826B1 (ko) 2020-04-28 2020-06-05 이만형 우드 펠렛 제조용 집진장치
KR20210113789A (ko) 2020-03-09 2021-09-17 정문성 산업시설용 집진 장치
KR20220017729A (ko) 2020-08-05 2022-02-14 길소연 산업시설용 집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242B1 (ko) * 2004-10-22 2005-05-10 (주)모악환경산업 파분쇄 건설폐기물 재생시 비산 먼지 억제를 위한 살수장치
KR102094862B1 (ko) * 2019-06-28 2020-03-30 씨앤이산업 주식회사 타격-진동-송풍-흡입 연속공정에 의한 건설폐토석 내 이물질 선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8388A (ja) * 1989-10-27 1991-08-02 Valorisation Des Dechets Sovadec:Soc 有機物質を回収するために廃物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H09206689A (ja) * 1996-01-31 1997-08-12 Nkk Corp 廃棄物の分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8388A (ja) * 1989-10-27 1991-08-02 Valorisation Des Dechets Sovadec:Soc 有機物質を回収するために廃物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H09206689A (ja) * 1996-01-31 1997-08-12 Nkk Corp 廃棄物の分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25Y1 (ko) * 2008-12-26 2011-07-22 한국중부발전(주) 발전소용 조 스크린 세정장치
KR20210113789A (ko) 2020-03-09 2021-09-17 정문성 산업시설용 집진 장치
KR102119826B1 (ko) 2020-04-28 2020-06-05 이만형 우드 펠렛 제조용 집진장치
KR20220017729A (ko) 2020-08-05 2022-02-14 길소연 산업시설용 집진 장치
KR20220032544A (ko) 2020-08-05 2022-03-15 길소연 산업시설용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839A (ko) 200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631B1 (ko) 건설폐기물의 분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2178686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순환공조시스템을 이용한 재생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50614B1 (ko)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재생시스템
CN106111674A (zh) 一种固体垃圾的处理方法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20025519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200244896Y1 (ko) 비산 먼지 차단용 송풍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재생시스템
CN110102363B (zh) 一种块状建筑垃圾分类回收设备
KR100448651B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1004528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KR20030034483A (ko)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CN214132654U (zh) 一种沙土分离机构
KR100801966B1 (ko) 살수처리장치가 설치된 건설폐기물용 골재 제조장치
KR200329222Y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CN209384066U (zh) 一种再生料破碎生产线
KR200381990Y1 (ko) 건설 폐기물 처리 장치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220045526A (ko) 폐나무를 포함하는 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JP2006150312A (ja) 風力選別装置
KR101021288B1 (ko) 풍력을 재사용하는 건설폐기물의 잔골재 회수장치
KR100458286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200363038Y1 (ko) 토사와 이물질 선별용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KR100749830B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0488168B1 (ko) 건축폐기물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