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573B1 - 골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573B1
KR101309573B1 KR1020130092187A KR20130092187A KR101309573B1 KR 101309573 B1 KR101309573 B1 KR 101309573B1 KR 1020130092187 A KR1020130092187 A KR 1020130092187A KR 20130092187 A KR20130092187 A KR 20130092187A KR 101309573 B1 KR101309573 B1 KR 101309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rotary tube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중배
Original Assignee
권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중배 filed Critical 권중배
Priority to KR102013009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and ax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골재 가공장치는, 지지프레임(1)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어 장석 및 편석 등의 미가공 골재(3)를 공급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출구단과 입구단이 수평으로 연결되어 저속 회전되면서 호퍼(10)로부터 공급되는 미가공 골재(3)를 출구단으로 이송시키도록 내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스크루돌기부(12a)가 형성된 제1 회전관(12)과; 상기 제1 회전관(12)의 내주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그 외주면과 제1 회전관(12)의 내주면 사이 통로를 통과하는 미가공 골재(3)가 회전 속도 차에 의한 강한 마찰력에 의해 파쇄되어 육각석(모래입자)으로 가공되거나 미가공 골재(3)들끼리 마모되어 표면에 묻어있던 미분가루가 분리되도록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스크루돌기부(14a)가 형성되고, 입구단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육각석(모래입자)의 가공 골재(3a) 및 미분가루가 내주면을 타고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구단이 상기 호퍼(10)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2 회전관(14)과; 상기 제2 회전관(14)의 출구단을 통해 고온의 열풍을 유입하여 제1 회전관(12)과 제2 회전관(14)의 통로를 타고 이송되는 미가공 골재(3) 및 가공 골재(3a)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켜 서로 엉겨 붙지 않게 건조되도록 상기 호퍼(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열풍발생기(16) 및; 상기 제1 회전관(12)의 출구단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면서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에 연결되어 가공 골재(3a)가 제1 회전관(12)의 출구단에서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으로 유입되도록 이송방향을 유턴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관(14)의 출구단으로 유입되는 고온의 열풍이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수단(18)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가공 골재(3)를 회전 속도가 다른 제1 회전관(12)측 스크루돌기부(12a)와 제2 회전관(14)측 스크루돌기부(14a)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강제 이송시킴과 동시에 강한 마찰력에 의해 원하는 입도 및 입형의 육각석(모래입자)으로 파쇄시키고, 고온의 열풍으로 미가공 골재(3)를 가열시켜 미가공 골재(3)들끼리 엉켜 붙지 않게 수분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미분가루가 잘 분리되도록 가공 골재(3a)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재 가공장치{Processing Appratus for natural gravel}
본 발명은 열을 이용한 입형 건조 골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석 및 편석 등을 공급받아 고열로 가열하면서 회전 마찰에 의해 미분가루를 건조 분리시키고 마모된 육각석(모래입자)으로 가공하도록 한 골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석산의 천연암석을 원료로 하여 골재를 생산할 때에는 파쇄기 및 크러셔 등의 분쇄장치로 암석을 분쇄한 후, 원하는 골재 입도 및 입형별로 선별(스크린)이 용이하도록 골재 선별기로 보내기 전에 골재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하여 왔었다.
즉, 파쇄기의 원리는 압축판 사이에 골재를 낀 상태로 골재를 파쇄하는 압축파쇄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축작용을 이용한 파쇄기로 생산된 골재의 입형은 대체적으로 편석으로 생산되는 경향이 있고, 골재와 모르타르가 동시에 파쇄되기 때문에 순환골재에 부착되어 있는 모르타르의 박리효과도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파쇄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골재의 입도는 일정 크기 이하로만 배출되고 있어 콘크리트용 재생골재(KS F 2573)나 콘크리트용 부순골재(KS F 2527) 등에서 제안하고 있는 입도 및 입형 등을 맞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5㎜이하의 골재생산비율도 작아 도로공사용 순환골재기준에도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671038호에서 하우징, 구동모터, 회전축, 로더, 타격부재, 배출가이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타격부재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로더의 일면에 복수로 장착된 골재 재생장치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타격부재(수평 해머)가 하우징(수직형 스윙 햄머 크러셔) 내부 법면과 접촉되는 부위의 형상이 각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골재 파쇄시 마모가 쉽게 되어 골재와 골재간의 마찰 파쇄가 약해지면서 골격 파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떨어지는 골재가 가장 많이 부딪치는 상부에도 햄머의 다른 부위에 비해 마모가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골재 파쇄시 강한 힘에 의해 타격부재가 하우징 내부 법면에 충격을 가함으로서, 하우징 내부 법면이 물결 형상으로 마모됨으로서 법면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4488호를 통해 비트형 햄머·탈부착식 호형상의 법면으로 이루어진 수직형스윙 햄머 크러셔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수직형 스윙 햄머 크러셔는, 로더(600)의 일면에 복수개의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수평 햄머(100)가 구동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투입된 골재를 수평 햄머(100)에 의한 충격 파쇄와 수평 햄머(100)와 수직형 스윙 햄머 크러셔(400) 내부 법면(410)과의 마찰 파쇄를 통해 파·분쇄한 후 골재 배출부(700)을 통해 골재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형 스윙 햄머 크러셔는 골재와 직접적으로 부딪혀 파쇄를 실시하는 수평 햄머(100)의 마모가 심하여 자주 교체를 해야 하는 폐단이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작업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따른 관리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또한, 상기 수평 햄머(100)는 60~80Kg의 무게를 갖는 것에 의해 작업성이 대단히 곤란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체의 내구성을 높이면서 작업효율을 높이고 유지보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골재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열로 가열하면서 회전 마찰에 의해 장석 및 편석 등의 골재로부터 미분가루를 건조 분리시키고 원하는 입도 및 입경의 육각석(입석)으로 가공 생산할 수 있는 골재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재 가공장치는,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어 장석 및 편석 등의 미가공 골재를 공급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출구단과 입구단이 수평으로 연결되어 저속 회전되면서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미가공 골재를 출구단으로 이송시키도록 내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스크루돌기부가 형성된 제1 회전관과; 상기 제1 회전관의 내주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그 외주면과 제1 회전관의 내주면 사이 통로를 통과하는 미가공 골재가 회전 속도 차에 의한 강한 마찰력에 의해 파쇄되어 육각석(모래입자)으로 가공되거나 미가공 골재들끼리 마모되어 표면에 묻어있던 미분가루가 분리되도록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스크루돌기부가 형성되고, 입구단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육각석(모래입자)의 가공 골재 및 미분가루가 내주면을 타고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구단이 상기 호퍼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2 회전관과; 상기 제2 회전관의 출구단을 통해 고온의 열풍을 유입하여 제1 회전관과 제2 회전관의 통로를 타고 이송되는 미가공 골재 및 가공 골재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켜 서로 엉겨 붙지 않게 건조되도록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는 열풍발생기 및; 상기 제1 회전관의 출구단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면서 제2 회전관의 입구단에 연결되어 가공 골재가 제1 회전관의 출구단에서 제2 회전관의 입구단으로 유입되도록 이송방향을 유턴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관의 출구단으로 유입되는 고온의 열풍이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회전관의 출구에는 그 입구단보다 출구단의 직경이 크게 확대되어 가공 골재의 유턴공간의 면적을 넓혀주도록 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회전관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와 상기 제2 회전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는 피치 간격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회전관은 상기 제2 회전관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도 제2 회전관 보다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제1 회전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제2 회전관은 제1 회전관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도 제1 회전관 보다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안내수단을 매개로 제2 회전구동수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제1 회전관의 외주면에 고정된 링기어와, 모터의 구동을 받아 회전되는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과 상기 링기어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안내수단의 외주면에 고정된 링기어와, 모터의 구동을 받아 회전되는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과 상기 링기어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회전관의 내주면에는 그 내부로 공급된 가공 골재가 입구단에서 출구단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스크루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회전관의 입구단 둘레에는 상기 안내수단의 안내를 받아 흘러내리는 가공 골재가 제2 회전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안내수단은, 상기 제1 회전관의 출구단에서 제2 회전관의 입구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그 경사면에 스크루돌기부가 형성되어 가공 골재를 제2 회전관의 입구단 내부로 이송시키는 유턴안내관과, 상기 유턴안내관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고정되어 열풍유입부가 제2 회전관의 입구단 속으로 삽입되고 열풍배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의 내주면 일정깊이에 설치되어 열풍은 통과시키면서 가공 골재 및 미분가루의 유입을 차단하는 골재차단망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배기관의 열풍유입부는 그 끝단이 외부로 벌어지도록 확대되고, 그 끝단에서 내주면 일정깊이까지는 유입되는 가공 골재 및 미분가루를 제2 회전관으로 밀어내도록 스크루돌기부가 일정한 피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골재 가공장치는 미가공 골재를 회전 속도가 다른 제1 회전관측 스크루돌기부와 제2 회전관측 스크루돌기부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강제 이송시킴과 동시에 강한 마찰력에 의해 원하는 입도 및 입형의 육각석(모래입자)으로 파쇄시키고, 고온의 열풍으로 미가공 골재를 가열시켜 미가공 골재들끼리 엉켜 붙지 않게 수분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미분가루가 잘 분리되도록 가공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골재 파쇄 크러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열과 마찰을 이용한 골재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수단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재 가공장치는, 지지프레임(1)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어 장석 및 편석 등의 미가공 골재(3)를 공급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출구단과 입구단이 수평으로 연결되어 저속 회전되면서 호퍼(10)로부터 공급되는 미가공 골재(3)를 출구단으로 이송시키도록 내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스크루돌기부(12a)가 형성된 제1 회전관(12)과; 상기 제1 회전관(12)의 내주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그 외주면과 제1 회전관(12)의 내주면 사이 통로를 통과하는 미가공 골재(3)가 회전 속도 차에 의한 강한 마찰력에 의해 파쇄되어 육각석(모래입자)으로 가공되거나 미가공 골재(3)들끼리 마모되어 표면에 묻어있던 미분가루가 분리되도록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스크루돌기부(14a)가 형성되고, 입구단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육각석(모래입자)의 가공 골재(3a) 및 미분가루가 내주면을 타고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구단이 상기 호퍼(10)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2 회전관(14)과; 상기 제2 회전관(14)의 출구단을 통해 고온의 열풍을 유입하여 제1 회전관(12)과 제2 회전관(14)의 통로를 타고 이송되는 미가공 골재(3) 및 가공 골재(3a)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켜 서로 엉겨 붙지 않게 건조되도록 상기 호퍼(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열풍발생기(16)와; 상기 제1 회전관(12)의 출구단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면서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에 연결되어 가공 골재(3a)가 제1 회전관(12)의 출구단에서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으로 유입되도록 이송방향을 유턴(U turn)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관(14)의 출구단으로 유입되는 고온의 열풍이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수단(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회전관(12)의 출구에는 그 입구단보다 출구단의 직경이 크게 확대되어 가공 골재(3a)의 유턴공간의 면적을 넓혀주도록 확장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12a)와 상기 제2 회전관(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14a)는 피치 간격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관(12)은 상기 제2 회전관(14)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도 제2 회전관(14) 보다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제1 회전구동수단(20)에 연결되고, 제2 회전관(14)은 상기 제1 회전관(12)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도 제1 회전관(12) 보다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안내수단(18)을 매개로 제2 회전구동수단(30)에 연결되어 진다.
이때, 상기 제1 회전구동수단(20)은, 상기 제1 회전관(12)의 외주면에 고정된 링기어(22)와, 상기 지지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24)와, 상기 모터(24)의 구동을 받아 회전되는 기어축(26)과, 상기 기어축(26)과 상기 링기어(22)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2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회전구동수단(30)은, 상기 안내수단(18)의 외주면에 고정된 링기어(32)와, 상기 지지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34)와, 상기 모터(34)의 구동을 받아 회전되는 기어축(36)과, 상기 기어축(36)과 상기 링기어(32)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회전관(14)의 내주면에는 그 내부로 공급된 가공 골재(3)가 입구단에서 출구단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스크루돌기부(14b)가 형성되어 있고, 그 입구단 둘레에는 상기 안내수단(18)의 안내를 받아 흘러내리는 가공 골재(3)가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홀(1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수단(18)은, 상기 제1 회전관(12)의 출구단에서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40a)을 형성하면서 그 경사면(40a)에 스크루돌기부(40b)가 형성되어 가공 골재(3)를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 내부로 이송시키는 유턴안내관(40)과, 상기 유턴안내관(4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고정되어 열풍유입부(42a)가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 속으로 삽입되고 열풍배출부(42b)가 외부로 노출되는 배기관(42)과, 상기 배기관(42)의 내주면 일정깊이에 설치되어 열풍은 통과시키면서 가공 골재(3a) 및 미분가루의 유입을 차단하는 골재차단망(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기관(42)의 열풍유입부(42a)는 그 끝단이 외부로 벌어지도록 확대되고, 그 끝단에서 내주면 일정깊이까지는 유입되는 가공 골재(3) 및 미분가루를 제2 회전관(14)으로 밀어내도록 스크루돌기부(42c)가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0은 베어링을 나타낸 것이고, 52는 받침대를 나타낸 것이며, 54는 운반용 대차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골재 가공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재 가공장치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및 제2 회전구동수단(20)(30)의 모터(24)(34)를 동시 구동시키면, 이들 모터(24)(34)의 구동에 따라 기어축(26)(36)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들 기어축(26)(36)에 각각 기어맞춤된 타이밍벨트(28)(38)를 동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한쪽 타이밍벨트(28)는 제1 회전관(12)의 외주면에 고정된 링기어(22)와 기어맞춤되어 제1 회전관(12)을 저속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다른쪽 타이밍벨트(38)는 안내수단(18)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안내수단(18)과 일체로 연결 고정된 제2 회전관(14)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 구동 상태에서 호퍼(10)를 통해 장석 및 편석 등의 미가공 골재(3)를 투입하면, 이들 미가공 골재(3)는 제1 회전관(12)과 제2 회전관(14)의 사이 통로로 공급됨과 동시에 제1 회전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12a)의 저속 회전력과 제2 회전관(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14a)의 고속 회전력에 의한 회전 속도 차에 의해 서서히 이송되면서 강한 마찰력에 의해 파쇄된다.
즉, 미가공 골재(3)는 강한 마찰력에 의해 파쇄되거나 표면이 마모되면서 원하는 입도 및 입형의 육각석(모래입자)으로 가공되고, 이 가공 골재(3a)는 제1 회전관(12)의 출구단에 형성된 확장부(12b)로 모임과 동시에 유턴안내관(40)의 경사면(40a)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40b)의 나선 회전방향에 따라 유턴되면서 유턴안내관(40)의 경사면(40a)에 고정된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측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4c)을 통해 제2 회전관(14)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 회전관(14)의 내부로 유입된 가공 골재(3a)는 제2 회전관(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14b)의 안내를 받아 이송되면서 출구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운반용 대차(54)에 수거된다.
이때, 제2 회전관(14)의 출구단에 설치된 열풍발생기(16)를 가동시켜 제2 회전관(14)의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유입시키면, 이 고온의 열풍은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4c)을 거쳐 제1 회전관(12)과 제2 회전관(14)의 사이 통로를 따라 이송되는 미가공 골재(3)를 가열함으로써 미가공 골재(3)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켜 서로 엉겨 붙지 않게 함과 동시에 파쇄과정에서 미가공 골재(3)로부터 미분가루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건조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열풍 압력은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된 안내수단(18)의 배기관(42)측 열풍유입부(42a)를 통해 유입되어 열풍배출부(4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제1 회전관(12)과 제2 회전관(14)의 열풍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 배기관(42)을 통해 열풍이 배출될 때 가공 골재(3) 및 미분가루가 배출되지 않도록 배기관(42)의 내부 일정깊이에 설치된 골재차단망(44)이 차단하게 되고, 배기관(42)은 회전될 때 열풍유입부(42a)로부터 골재차단망(44)까지 사이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42c)를 동시 회전시켜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스크루돌기부(42c)는 회전될 때 열풍유입부(42a)를 통해 유입되어 골재차단망(44)에 의해 차단된 가공 골재(3) 및 미분가루가 제2 회전관(14)의 출구단쪽으로 이송되도록 지속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배기관(42)의 내부가 막히지 않게 최소화시켜 줌과 동시에 순환된 열풍만이 배출되도록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가공 골재(3)를 회전 속도가 다른 제1 회전관(12)측 스크루돌기부(12a)와 제2 회전관(14)측 스크루돌기부(14a)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강제 이송시킴과 동시에 강한 마찰력에 의해 원하는 입도 및 입형의 육각석(모래입자)으로 파쇄시키고, 고온의 열풍으로 미가공 골재(3)를 가열시켜 미가공 골재(3)들끼리 엉켜 붙지 않게 수분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미분가루가 잘 분리되도록 가공 골재(3a)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지지프레임 3 : 미가공 골재
3a : 가공 골재 10 : 호퍼
12 : 제1 회전관 12a : 스크루돌기부
12b : 확장부 14 : 제2 회전관
14a,14b : 스크루돌기부 14c : 관통홀
16 : 열풍발생기 18 : 안내수단
20 : 제1 회전구동수단 22 : 링기어
24 : 모터 26 : 기어축
28 : 타이밍벨트 30 : 제2 회전구동수단
32 : 링기어 34 : 모터
36 : 기어축 38 : 타이밍벨트
40 : 유턴안내관 40a : 경사면
40b : 스크루돌기부 42 : 배기관
42a : 열풍유입부 42b : 열풍배출부
42c : 스크루돌기부 44 : 골재차단망

Claims (10)

  1. 지지프레임(1)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어 장석 및 편석 등의 미가공 골재(3)를 공급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출구단과 입구단이 수평으로 연결되어 저속 회전되면서 호퍼(10)로부터 공급되는 미가공 골재(3)를 출구단으로 이송시키도록 내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스크루돌기부(12a)가 형성된 제1 회전관(12)과;
    상기 제1 회전관(12)의 내주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그 외주면과 제1 회전관(12)의 내주면 사이 통로를 통과하는 미가공 골재(3)가 회전 속도 차에 의한 강한 마찰력에 의해 파쇄되어 육각석(모래입자)으로 가공되거나 미가공 골재(3)들끼리 마모되어 표면에 묻어있던 미분가루가 분리되도록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스크루돌기부(14a)가 형성되고, 입구단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육각석(모래입자)의 가공 골재(3a) 및 미분가루가 내주면을 타고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구단이 상기 호퍼(10)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2 회전관(14)과;
    상기 제2 회전관(14)의 출구단을 통해 고온의 열풍을 유입하여 제1 회전관(12)과 제2 회전관(14)의 통로를 타고 이송되는 미가공 골재(3) 및 가공 골재(3a)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켜 서로 엉겨 붙지 않게 건조되도록 상기 호퍼(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열풍발생기(16) 및;
    상기 제1 회전관(12)의 출구단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면서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에 연결되어 가공 골재(3a)가 제1 회전관(12)의 출구단에서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으로 유입되도록 이송방향을 유턴시킴과 동시에 제2 회전관(14)의 출구단으로 유입되는 고온의 열풍이 순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안내수단(1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관(12)의 출구에는 그 입구단보다 출구단의 직경이 크게 확대되어 가공 골재(3a)의 유턴공간의 면적을 넓혀주도록 확장부(1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관(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12a)와 상기 제2 회전관(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루돌기부(14a)는 피치 간격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관(12)은 상기 제2 회전관(14)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도 제2 회전관(14) 보다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제1 회전구동수단(20)에 연결되고, 제2 회전관(14)은 제1 회전관(12)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도 제1 회전관(12) 보다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안내수단(18)을 매개로 제2 회전구동수단(3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구동수단(20)은,
    상기 제1 회전관(12)의 외주면에 고정된 링기어(22)와,
    모터(24)의 구동을 받아 회전되는 기어축(26)과,
    상기 기어축(26)과 상기 링기어(22)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구동수단(30)은,
    상기 안내수단(18)의 외주면에 고정된 링기어(32)와,
    모터(34)의 구동을 받아 회전되는 기어축(36)과,
    상기 기어축(36)과 상기 링기어(32)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관(14)의 내주면에는 그 내부로 공급된 가공 골재(3)가 입구단에서 출구단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스크루돌기부(1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 둘레에는 상기 안내수단(18)의 안내를 받아 흘러내리는 가공 골재(3)가 제2 회전관(14)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홀(14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18)은,
    상기 제1 회전관(12)의 출구단에서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40a)을 형성하면서 그 경사면(40a)에 스크루돌기부(40b)가 형성되어 가공 골재(3)를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 내부로 이송시키는 유턴안내관(40)과,
    상기 유턴안내관(4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고정되어 열풍유입부(42a)가 제2 회전관(14)의 입구단 속으로 삽입되고 열풍배출부(42b)가 외부로 노출되는 배기관(42)과,
    상기 배기관(42)의 내주면 일정깊이에 설치되어 열풍은 통과시키면서 가공 골재(3a) 및 미분가루의 유입을 차단하는 골재차단망(44)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42)의 열풍유입부(42a)는 그 끝단이 외부로 벌어지도록 확대되고, 그 끝단에서 내주면 일정깊이까지는 유입되는 가공 골재(3) 및 미분가루를 제2 회전관(14)으로 밀어내도록 스크루돌기부(42c)가 일정한 피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KR1020130092187A 2013-08-02 2013-08-02 골재 가공장치 KR101309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87A KR101309573B1 (ko) 2013-08-02 2013-08-02 골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87A KR101309573B1 (ko) 2013-08-02 2013-08-02 골재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573B1 true KR101309573B1 (ko) 2013-09-17

Family

ID=4945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187A KR101309573B1 (ko) 2013-08-02 2013-08-02 골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603A1 (ko) * 2013-10-22 2015-04-30 권중배 골재 가공장치
KR20150097315A (ko) * 2014-02-18 2015-08-26 주식회사 샌드테크노 골재 가공장치
KR102178279B1 (ko) * 2020-03-27 2020-11-13 청호산업 유한회사 골재 선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991A (ja) * 1993-05-26 1994-11-29 Mitsubishi Heavy Ind Ltd 乾式媒体型超微粒ミルの運転方法
JP2002336814A (ja) 2001-05-14 2002-11-26 Kanedai Watanabe:Kk 水産系廃棄物処理装置
JP2007245023A (ja) 2006-03-16 2007-09-27 Miike Iron Works Co Ltd 廃石膏ボードのリサイクル装置
KR20090016079A (ko) * 2007-08-10 2009-02-13 권수길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991A (ja) * 1993-05-26 1994-11-29 Mitsubishi Heavy Ind Ltd 乾式媒体型超微粒ミルの運転方法
JP2002336814A (ja) 2001-05-14 2002-11-26 Kanedai Watanabe:Kk 水産系廃棄物処理装置
JP2007245023A (ja) 2006-03-16 2007-09-27 Miike Iron Works Co Ltd 廃石膏ボードのリサイクル装置
KR20090016079A (ko) * 2007-08-10 2009-02-13 권수길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603A1 (ko) * 2013-10-22 2015-04-30 권중배 골재 가공장치
KR20150097315A (ko) * 2014-02-18 2015-08-26 주식회사 샌드테크노 골재 가공장치
KR101656484B1 (ko) 2014-02-18 2016-10-05 주식회사 샌드테크노 골재 가공장치
KR102178279B1 (ko) * 2020-03-27 2020-11-13 청호산업 유한회사 골재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8959B2 (ja) 粒状物質の複合生産装置及びその生産方法
CN107051639A (zh) 一种矿山用小型石料破碎机
KR101379913B1 (ko) 폐콘크리트로부터 모래를 재생하는 폐콘크리트 리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CN101947481B (zh) 井下用选择性破碎机
KR20090016079A (ko)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KR20110090503A (ko) 다단 맨틀 구조를 갖는 임팩트형 콘 크러셔
CN206838179U (zh) 一种矿山用小型石料破碎机
KR101309573B1 (ko) 골재 가공장치
JP5688489B2 (ja) 粒状物質の磨砕装置および粒状物質の生産プラント
WO2015060603A1 (ko) 골재 가공장치
KR20130123728A (ko) 순환골재 선별 파쇄장치
CN206543611U (zh) 一种数控多级粉碎装置
CN103657774B (zh) 惯性球磨机
CN103861695A (zh) 多环微粉磨研磨腔、多环微粉磨及智能多环微粉磨系统
JP2004141713A (ja) 骨材製造用粉砕システム
CN105555407A (zh) 具有弹簧装置的用于粉碎矿石的设备和方法
KR100413325B1 (ko)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입형 및 품질개선장치
KR20190141828A (ko) 건식 모래 가공장치
JP2008030364A (ja) 合成樹脂製シートの洗浄処理装置
KR101194661B1 (ko) 골재 마쇄장치
CN1572371A (zh) 粉碎方法和粉碎装置
CN116571306A (zh) 一种特种沥青原料破碎筛选装置
KR100507705B1 (ko) 모래제조장치
KR101336713B1 (ko) 스크류콘 파·마쇄기
KR100599459B1 (ko)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