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484B1 - 골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484B1
KR101656484B1 KR1020140018687A KR20140018687A KR101656484B1 KR 101656484 B1 KR101656484 B1 KR 101656484B1 KR 1020140018687 A KR1020140018687 A KR 1020140018687A KR 20140018687 A KR20140018687 A KR 20140018687A KR 101656484 B1 KR101656484 B1 KR 101656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air
rotary shaft
screws
high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315A (ko
Inventor
권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샌드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샌드테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샌드테크노
Priority to KR102014001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4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09Dischar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골재 가공장치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어 상부 일측 호퍼를 통해 미가공된 골재를 유입하고 하부 타측 배출구를 통해 가공된 골재를 배출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면서 그 양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지지프레임에 고속 회전되도록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이송관의 호퍼에서 배출구까지의 거리 사이에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결합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미가공된 골재를 출구단으로 이송할 때 와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제1 및 제2 스크루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의 양 끝단에 접하도록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관의 양 끝단 내부에 수용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미가공된 골재가 충돌될 때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킴과 동시에 외부 공기가 이송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송풍을 가하여 골재를 건조시키는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고속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입도 및 입형의 육각석으로 파쇄시킬 수 있고, 원활한 공기 유입 및 배출로 인하여 미가공 골재를 건조시켜 골재들끼리 엉켜 붙지 않는 가공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재 가공장치{Processing Appratus for natural gravel}
본 발명은 입형 건조 골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석 및 편석 등의 미가공 골재를 스크루와 엔드캡부재의 고속 회전에 의한 타격과 공기 와류에 의해 미분가루를 건조 분리시키고 파쇄된 육각석으로 가공하도록 한 골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석산의 천연암석을 원료로 하여 골재를 생산할 때에는 파쇄기 및 크러셔 등의 분쇄장치로 암석을 분쇄한 후, 원하는 골재 입도 및 입형별로 선별(스크린)이 용이하도록 골재 선별기로 보내기 전에 골재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하여 왔었다.
즉, 파쇄기의 원리는 압축판 사이에 골재를 낀 상태로 골재를 파쇄하는 압축파쇄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축작용을 이용한 파쇄기로 생산된 골재의 입형은 대체적으로 편석으로 생산되는 경향이 있고, 골재와 모르타르가 동시에 파쇄되기 때문에 순환골재에 부착되어 있는 모르타르의 박리효과도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파쇄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골재의 입도는 일정 크기 이하로만 배출되고 있어 콘크리트용 재생골재(KS F 2573)나 콘크리트용 부순골재(KS F 2527) 등에서 제안하고 있는 입도 및 입형 등을 맞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5㎜이하의 골재생산비율도 작아 도로공사용 순환골재기준에도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671038호에서 하우징, 구동모터, 회전축, 로더, 타격부재, 배출가이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타격부재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로더의 일면에 복수로 장착된 골재 재생장치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타격부재(수평 해머)가 하우징(수직형 스윙 햄머 크러셔) 내부 법면과 접촉되는 부위의 형상이 각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골재 파쇄시 마모가 쉽게 되어 골재와 골재간의 마찰 파쇄가 약해지면서 골격 파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떨어지는 골재가 가장 많이 부딪치는 상부에도 햄머의 다른 부위에 비해 마모가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골재 파쇄시 강한 힘에 의해 타격부재가 하우징 내부 법면에 충격을 가함으로서, 하우징 내부 법면이 물결 형상으로 마모됨으로서 법면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4488호를 통해 비트형 햄머·탈부착식 호형상의 법면으로 이루어진 수직형스윙 햄머 크러셔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수직형 스윙 햄머 크러셔는, 로더(600)의 일면에 복수개의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수평 햄머(100)가 구동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투입된 골재를 수평 햄머(100)에 의한 충격 파쇄와 수평 햄머(100)와 수직형 스윙 햄머 크러셔(400) 내부 법면(410)과의 마찰 파쇄를 통해 파·분쇄한 후 골재 배출부(700)을 통해 골재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형 스윙 햄머 크러셔는 골재와 직접적으로 부딪혀 파쇄를 실시하는 수평 햄머(100)의 마모가 심하여 자주 교체를 해야 하는 폐단이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작업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따른 관리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또한, 상기 수평 햄머(100)는 60~80Kg의 무게를 갖는 것에 의해 작업성이 대단히 곤란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체의 내구성을 높이면서 작업효율을 높이고 유지보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골재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건조와 고속 회전에 의한 타격에 의해 장석 및 편석 등의 골재로부터 미분가루를 건조 분리시키고 원하는 입도 및 입경의 육각석(입석)으로 파쇄 가공할 수 있는 골재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재 가공장치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어 상부 일측 호퍼를 통해 미가공된 골재를 유입하고 하부 타측 배출구를 통해 가공된 골재를 배출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면서 그 양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지지프레임에 고속 회전되도록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이송관의 호퍼에서 배출구까지의 거리 사이에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결합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미가공된 골재를 출구단으로 이송할 때 와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제1 및 제2 스크루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의 양 끝단에 접하도록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관의 양 끝단 내부에 수용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미가공된 골재가 충돌될 때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킴과 동시에 외부 공기가 이송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송풍을 가하여 골재를 건조시키는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고속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는, 그들 나선면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과 근접하는 내측 끝단에 나선면이 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될 때 형성되는 큰 공기 와류와 충돌하여 흐름이 꺽이는 작은 공기 와류를 형성하면서 골재들이 나선면에 강하게 충돌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과; 그들 나선면에 대하여 외측 끝단에 나선면이 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될 때 형성되는 큰 공기 와류와 작은 와류에 의해 비산되는 골재와 강한 충돌에 의한 타격에 의해 파쇄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된 다수의 타격용 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는, 그들 전측 경사면이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의 양 끝단과 각각 접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 외주에 각각 결합되어 골재가 충돌될 때 45°의 각도로 흐름을 변환시키는 중공캡형상의 몸체와; 상기 경사면에 대하여 외주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면서 축방향으로 길게 각각 고정되어 경사면에 충돌하는 골재에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다수의 타격용 팁과; 상기 경사면에 대하여 상기 타격용 팁의 일측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면서 몸체의 후측 개구부와 통로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공기분사홀과; 상기 몸체의 후측 개구부의 내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어 몸체의 고속 회전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다수의 공기분사홀을 통해 이송관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송풍력을 가하는 다수의 송풍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이송관에는, 그 둘레면에 공기가 배출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공기배출홀이 형성되고, 그 하부 최하단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와 이송관의 사이에 끼어서 이송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겉도는 작은 알갱이 모양의 골재들이 배출되도록 이송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골재배출홀이 형성되며, 그 양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의 고속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송풍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송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공기유입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이송관의 하부 둘레측 외주에는 상기 다수의 공기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분가루나 상기 다수의 골재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골재를 받아서 한 곳으로 수거되도록 감싸주는 안내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스크루와 제2 스크루는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상기 회전축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것으로서, 그들 나선 피치 간격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스크루와 제2 스크루는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상기 회전축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것으로서, 그들 나선 외경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스크루와 제2 스크루는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상기 회전축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것으로서, 그들 나선 입구측에서 나선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수의 슬릿은,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의 나선면에 대하여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펀칭 등의 절개수단에 의해 형성된 공기통화홀과, 상기 공기통화홀의 면적 내에서 절개되어 경사지게 꺽인 공기흐름안내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수의 타격용 팁은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의 나선면에 대하여 회전방향쪽에 체결부재에 의해 교체가능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골재 가공장치는 미가공 골재를 고속 회전되는 투웨이(two-way) 방식의 스크루와 타격용 팁 및 와류용 슬릿에 의해 원하는 입도 및 입형의 육각석으로 파쇄시키고, 원활한 공기 유입 및 배출로 인하여 미가공 골재를 건조시켜 미가공 골재들끼리 엉켜 붙지 않게 수분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미분가루가 잘 분리되도록 가공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골재 파쇄 크러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방식의 스크루와 타격용 팁 및 와류용 슬릿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재 가공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프레임(1)에 의해 일정한 높이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상부 일측 호퍼(5)를 통해 장석 및 편석 등의 미가공된 골재(3)를 유입하고 하부 타측 배출구(7)를 통해 가공된 골재(3)를 배출하는 이송관(10)과; 상기 이송관(10)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면서 그 양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또 다른 복수의 지지프레임(1)에 고속 회전되도록 지지된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이송관(10)의 호퍼(5)에서 배출구(7)까지의 거리 사이에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결합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미가공된 골재(3)를 출구단으로 이송할 때 와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와; 상기 회전축(20)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의 양 끝단에 접하도록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관(10)의 양 끝단 내부에 수용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미가공된 골재(3)가 충돌될 때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킴과 동시에 외부 공기가 이송관(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송풍을 가하여 골재(3)를 건조시키는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와; 상기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축(20)을 고속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이송관(1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 둘레면에 공기가 배출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공기배출홀(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 최하단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와 이송관(10)의 사이에 끼어서 이송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겉도는 작은 알갱이 모양의 골재(3)들이 배출되도록 이송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골재배출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의 고속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송풍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송관(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공기유입홀(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관(10)의 하부 둘레측 외주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공기배출홀(1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분가루나 상기 다수의 골재배출홀(14)을 통해 배출되는 골재(3)를 받아서 한 곳으로 수거되도록 감싸주는 안내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크루(30a)와 제2 스크루(30b)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상기 회전축(20)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것으로서, 그들 나선 피치 간격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하거나 나선 외경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들 나선 입구측에서 나선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들 나선면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20)과 근접하는 내측 끝단에 나선면이 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될 때 형성되는 큰 공기 와류와 충돌하여 흐름이 꺽이는 작은 공기 와류를 형성하면서 골재(3)들이 나선면에 강하게 충돌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슬릿(slit)(32)이 형성되어 있고, 그들 나선면에 대하여 외측 끝단에 나선면이 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될 때 형성되는 큰 공기 와류와 작은 와류에 의해 비산(飛散)되는 골재(3)와 강한 충돌에 의한 타격에 의해 파쇄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타격용 팁(tip)(34)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슬릿(32)은,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의 나선면에 대하여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펀칭 등의 절개수단에 의해 형성된 공기통화홀(32a)과, 상기 공기통화홀(32a)의 면적 내에서 절개되어 경사지게 꺽인 공기흐름안내편(3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타격용 팁(34)은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의 나선면에 대하여 회전방향쪽에 볼트나 리벳 등의 체결부재(36)에 의해 교체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들 전측 경사면(42a)이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의 양 끝단과 각각 접하도록 상기 회전축(20)의 양 끝단 외주에 각각 결합되어 골재(3)가 충돌될 때 45°의 각도로 흐름을 변환시키는 중공캡형상의 몸체(42)와, 상기 경사면(42a)에 대하여 외주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면서 축방향으로 길게 각각 고정되어 경사면(42a)에 충돌하는 골재(3)에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다수의 타격용 팁(44)과, 상기 경사면(42a)에 대하여 상기 타격용 팁(44)의 일측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면서 몸체(42)의 후측 개구부(42b)와 통로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공기분사홀(46)과, 상기 몸체(42)의 후측 개구부(42b)의 내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어 몸체(42)의 고속 회전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다수의 공기분사홀(46)을 통해 이송관(10)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송풍력을 가하는 다수의 송풍날개(4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구동수단(5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관(10)의 외주면에 고정된 링기어(52)와, 상기 지지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54)와, 상기 모터(54)의 구동을 받아 회전되는 기어축(56)과, 상기 기어축(56)과 상기 링기어(52)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58)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0은 베어링을 나타낸 것이고, 62는 운반용 대차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골재 가공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재 가공장치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전구동수단(50)의 모터(54)를 구동시키면, 이들 모터(54)의 구동에 따라 기어축(56)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기어축(56)에 기어맞춤된 타이밍벨트(58)를 동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타이밍벨트(58)는 회전축(20) 일측단 외주면에 고정된 링기어(52)와 기어맞춤되어 회전축(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20)에 결합된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와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를 동시 같은 방향 및 같은 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구동수단(50)에 의해 회전축(20),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가 고속 회전될 때 도 1과 같이 호퍼(5)를 통해 장석 및 편석 등의 미가공된 골재(3)를 투입하면, 미가공된 골재(3)들은 이송관(10)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와 제1 엔드캡부재(40a)의 안내를 받아 출구측으로 이송되면서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의 나선면 끝단에 고정된 타격용 팁(34)과 제1 엔드캡부재(40a)의 몸체(42)측 경사면(42a)에 고정된 타격용 팁(44)에 강하게 충돌됨으로써 작은 골재(3)로 파쇄되고, 다시 출구측 제2 엔드캡부재(40b)의 몸체(42)측 경사면(42a)에 고정된 다수의 타격용 팁(44)에 강하게 충돌되어 더 작은 골재(3)로 파쇄됨과 동시에 이송관(10)의 배출구(7)를 향해 비산시키게 된다.
즉, 미가공된 골재(3)는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와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의 고속 회전력, 타격용 팁(34)(44)에 강하게 충돌하는 파쇄력,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와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의 고속 회전할 때 발생되는 강한 와류,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의 나선면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32)에 의한 와류, 골재(3)들끼리 강하게 충돌하여 생기는 파쇄력에 의해 입도 및 입형의 육각석(모래입자)으로 짧은 시간에 효울적으로 가공되어 지고, 이 가공된 골재(3)는 이송관(10)의 출구단에 설치된 배출구(7)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운반용 대차(62)에 수거된다.
이때,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는 고속 회전될 때 그 개구부(42b)에 설치된 다수의 송풍날개(48)에 의해 외부 공기를 끌어당겨 몸체(42)의 내부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몸체(42)의 경사면(42a)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분사홀(46)을 통해 이송관(10)의 양 끝단 내부로 강하게 분사함으로써 이송관(10) 내의 골재(3)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켜 서로 엉겨 붙지 않게 함과 동시에 파쇄과정에서 미가공된 골재(3)로부터 미분가루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건조시켜 주게 된다.
즉, 다수의 공기분사홀(46)은 다수의 타격용 팁(44)을 사이에 두고 타격용 팁(34)이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면에 인접하도록 경사면(42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의 고속 회전시 발생되는 와류나 골재(3)들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고 타격용 팁(34)의 안내를 받아 외부 공기를 이송관(10)의 내부로 강하게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분사홀(46)에 의해 이송관(1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 및 기압은 이송관(1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배출홀(12)과 이송관(10)의 바닥 중앙에 형성된 다수의 골재배출홀(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이송관(10)의 내부 온도 및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 이송관(10)의 바닥에 형성된 골재배출홀(14)은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와 이송관(10)의 사이에 끼어서 이송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겉도는 작은 알갱이 모양의 골재(3)들이 배출하게 되고, 이 배출된 골재(3)는 이송관(10)의 하측 외부를 감싸는 안내부재(18)를 안내를 받아 출구측으로 모여짐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됨로써 운반용 대차(62)에 수거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지지프레임 3 : 골재
5 : 호퍼 7 : 배출구
10 : 이송관 12 : 공기배출홀
14 : 골재배출홀 16 : 공기유입홀
18 : 안내부재 20 : 회전축
30a,30b : 제1 및 제2 스크루 32 : 슬릿
32a : 공기통화홀 32b : 공기흐름안내편
34 : 타격용 팁 36 : 체결부재
40a,40b :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 42 : 몸체
42a : 경사면 42b : 개구부
44 : 타격용 팁 46 : 공기분사홀
48 : 송풍날개 50 : 회전구동수단
52 : 링기어 54 : 모터
56 : 기어축 58 : 타이밍벨트

Claims (10)

  1. 지지프레임(1)에 의해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어 상부 일측 호퍼(5)를 통해 미가공된 골재(3)를 유입하고 하부 타측 배출구(7)를 통해 가공된 골재(3)를 배출하는 이송관(10)과; 상기 이송관(10)의 내부 중심을 관통하면서 그 양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지지프레임(1)에 고속 회전되도록 지지된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이송관(10)의 호퍼(5)에서 배출구(7)까지의 거리 사이에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결합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미가공된 골재(3)를 출구단으로 이송할 때 와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와; 상기 회전축(20)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의 양 끝단에 접하도록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관(10)의 양 끝단 내부에 수용되어 고속 회전되면서 미가공된 골재(3)가 충돌될 때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킴과 동시에 외부 공기가 이송관(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송풍을 가하여 골재(3)를 건조시키는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와; 상기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축(20)을 고속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5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는, 그들 나선면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20)과 근접하는 내측 끝단에 나선면이 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될 때 형성되는 큰 공기 와류와 충돌하여 흐름이 꺽이는 작은 공기 와류를 형성하면서 골재(3)들이 나선면에 강하게 충돌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32)과; 그들 나선면에 대하여 외측 끝단에 나선면이 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될 때 형성되는 큰 공기 와류와 작은 와류에 의해 비산되는 골재(3)와 강한 충돌에 의한 타격에 의해 파쇄되도록 나선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된 다수의 타격용 팁(3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는, 그들 전측 경사면(42a)이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의 양 끝단과 각각 접하도록 상기 회전축(20)의 양 끝단 외주에 각각 결합되어 골재(3)가 충돌될 때 45°의 각도로 흐름을 변환시키는 중공캡형상의 몸체(42)와; 상기 경사면(42a)에 대하여 외주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면서 축방향으로 길게 각각 고정되어 경사면(42a)에 충돌하는 골재(3)에 타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다수의 타격용 팁(44)과; 상기 경사면(42a)에 대하여 상기 타격용 팁(44)의 일측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면서 몸체(42)의 후측 개구부(42b)와 통로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공기분사홀(46)과; 상기 몸체(42)의 후측 개구부(42b)의 내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어 몸체(42)의 고속 회전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다수의 공기분사홀(46)을 통해 이송관(10)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송풍력을 가하는 다수의 송풍날개(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10)에는, 그 둘레면에 공기가 배출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공기배출홀(12)이 형성되고, 그 하부 최하단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와 이송관(10)의 사이에 끼어서 이송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겉도는 작은 알갱이 모양의 골재(3)들이 배출되도록 이송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골재배출홀(14)이 형성되며, 그 양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엔드캡부재(40a)(40b)의 고속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송풍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이송관(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공기유입홀(16)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10)의 하부 둘레측 외주에는 상기 다수의 공기배출홀(1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분가루나 상기 다수의 골재배출홀(14)을 통해 배출되는 골재(3)를 받아서 한 곳으로 수거되도록 감싸주는 안내부재(1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루(30a)와 제2 스크루(30b)는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상기 회전축(20)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것으로서, 그들 나선 피치 간격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루(30a)와 제2 스크루(30b)는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상기 회전축(20)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것으로서, 그들 나선 외경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루(30a)와 제2 스크루(30b)는 투웨이 방식으로 서로 어긋나는 피치 간격으로 상기 회전축(20)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것으로서, 그들 나선 입구측에서 나선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슬릿(32)은,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의 나선면에 대하여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펀칭 등의 절개수단에 의해 형성된 공기통화홀(32a)과, 상기 공기통화홀(32a)의 면적 내에서 절개되어 경사지게 꺽인 공기흐름안내편(32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타격용 팁(34)은 상기 제1 및 제2 스크루(30a)(30b)의 나선면에 대하여 회전방향쪽에 체결부재(36)에 의해 교체가능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가공장치.
  10. 삭제
KR1020140018687A 2014-02-18 2014-02-18 골재 가공장치 KR101656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87A KR101656484B1 (ko) 2014-02-18 2014-02-18 골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87A KR101656484B1 (ko) 2014-02-18 2014-02-18 골재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15A KR20150097315A (ko) 2015-08-26
KR101656484B1 true KR101656484B1 (ko) 2016-10-05

Family

ID=5405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687A KR101656484B1 (ko) 2014-02-18 2014-02-18 골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4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73B1 (ko) 2013-08-02 2013-09-17 권중배 골재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19B1 (ko) * 2012-02-28 2014-02-04 김인철 재활용 플라스틱조각 탈수장치
KR101425212B1 (ko) * 2012-05-22 2014-08-04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폐비닐의 재활용을 위한 수분 및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73B1 (ko) 2013-08-02 2013-09-17 권중배 골재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15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564B2 (en) Portable apparatus for crushing rock and other hard material and related method
CN107051639A (zh) 一种矿山用小型石料破碎机
CN205269768U (zh) 新型选择性破碎双齿辊破碎机
CN101947481B (zh) 井下用选择性破碎机
JP4989059B2 (ja) 粉砕装置
WO2014190893A1 (zh) 一种锤式破碎机
CN201815331U (zh) 卧式碎选机
CN206838179U (zh) 一种矿山用小型石料破碎机
KR101546356B1 (ko) 타격 풍력식 폐기물 선별 장치
RU2444407C1 (ru) Роторная мельница
KR20190141828A (ko) 건식 모래 가공장치
KR20150046817A (ko) 골재 가공장치
CN2920397Y (zh) 锤式冲击破碎机
CN206881820U (zh) 一种快速破碎的反击式破碎机
CN207204211U (zh) 一种防尘可逆式制砂机
CN207839111U (zh) 一种锤式破碎机
KR101656484B1 (ko) 골재 가공장치
KR101309573B1 (ko) 골재 가공장치
KR100859018B1 (ko) 경사투입부를 갖는 연질재료의 전단분쇄기
CN107597354A (zh) 一种高效气流粉碎机
KR100793169B1 (ko)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 몰탈제거 및 모래생산용 원통형의스크류 드럼벨
CN203525773U (zh) 物料破碎装置
WO2008050494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pulvérisation
CN208449473U (zh) 一种易于除杂的粉碎机
CN207533312U (zh) 一种带筛分的立式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