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507A - 나락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나락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507A
KR20190009507A KR1020170091324A KR20170091324A KR20190009507A KR 20190009507 A KR20190009507 A KR 20190009507A KR 1020170091324 A KR1020170091324 A KR 1020170091324A KR 20170091324 A KR20170091324 A KR 20170091324A KR 20190009507 A KR20190009507 A KR 2019000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lift
drying
particle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542B1 (ko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바로농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바로농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바로농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5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5/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인입된 나락을 수분함량 11~12%가 되도록 건조하는 건조수단과, 상기 건조수단에 의해 수분함량 11~12%로 건조된 나락을 인계받아 진동과 자중을 이용하여 나락과 돌을 분리하는 석발수단과, 상기 석발수단에 의해 석발된 나락을 인계받아 비중으로 나락을 복수의 분류로 선별하는 비중선별수단과, 상기 비중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나락 분류 중 어느 하나를 인계받아 채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 별로 나락을 선별하는 입자선별수단 및 상기 입자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벼를 인계받아 벼를 일렬로 낙하시키면서, 광을 이용하여 나락을 색채선별하는 색채선별수단을 포함하여, 탈곡된 나락을 건조, 석발, 비중선별, 입자선별, 색채선별 순으로 세분화된 나락 선별을 하나의 장치로 실시하여, 나락 생산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나락을 선별함과 동시에 이물을 함께 제거하여, 종래보다 짧은 시간 내에 양품의 나락만을 수득할 수 있고, 나락의 건조과정에서 나락을 수분함량 11~12%로 건조하여, 나락을 도정할 시 미강유로 인한 쌀겨의 뭉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도정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나락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나락 생산장치{Grain manufacture device}
본 발명은 나락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곡된 나락을 건조, 석발, 비중선별, 입자선별, 색채선별 순으로 세분화된 나락 선별 생산과정을 하나의 장치로 실시하여, 나락 생산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나락을 생산함과 동시에 이물을 함께 제거하여, 종래보다 짧은 시간 내에 양품의 나락만을 수득하도록 한 나락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곡된 나락은 조선기를 거쳐 돌, 검불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선된 후에 도정되어 현미 및 백미로 되는 것이나, 도정과정에서 싸라기가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백미와 함께 혼입되기 때문에 이를 분리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진동 선별생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진동 선별생산장치는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받는 스크린이 비스듬히 배치되어서 스프링과 같은 현가수단에 의해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스크린의 상측방에서 호퍼를 통해 낙류되는 미곡은 경사진 스크린의 상면을 타고 흘러내릴 때에 입경이 작은 싸라기 등은 스크린을 통해 낙하되는 것에 의해 백미만 선별하게 되어 있다.
한편, 최근의 정미 가공장에서는 정선설비나 도정 설비를 대형화하여 일손을 덜면서 작업 효율은 극대화 시키는 추세에 있고, 이 때문에 사용 빈도가 드문 진동 선별장치는 비교적 장소를 좁게 점유하면서도 선별 효율은 더 우수하거나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1092127호(2011.12.02)에서는 요동 구동되는 복수의 선별판 또는 배출통 등을 구비한 선별 주요부와, 상기 배출통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피처리물을 받아 하방으로 안내하는 배송 슈트와, 상기 선별 주요부 및 상기 배송 슈트의 측면 주위를 덮는 외면 케이싱을 구비하는 요동 선별 장치의 상방에, 탈곡 롤이나 선별 풍로를 형성하는 안내판을 구비하는 탈곡 풍선별 장치를 배치하고, 이 탈곡 롤 상방에 원료탱크를 배치함과 함께, 상기 요동 선별 장치 상부 외측 주위에 작업 플로어를 마련하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상기 외면 케이싱의 전면부에, 제1도어와 제2도어를 좌우 병설하여 각각 좌우 개폐 가능하게 마련하고, 상기 제1도어의 내면측에 상기 배송 슈트를 일체적으로 마련한 곡물 선별 장치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나락 생산장치는 선별장치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검불이나 청취(미숙미), 싸라기 등과 같은 이물들이 나락과 함께 배출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는 형성되어있질 못하다.
따라서 결국 현미와 이물질을 현미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된 이물질 제거장치로 옮겨 다시 검불 및 청취, 싸래기 등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폐단을 갖는 것이다.
또한, 나락을 도정할 시, 도정과정 중 쌀겨에서 미강유가 추출되어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가 서로 뭉쳐져 도정기가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탈곡된 나락을 건조, 석발, 비중선별, 입자선별, 색채선별 순으로 세분화된 나락 선별 생산과정을 하나의 장치로 실시하여, 나락 생산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나락을 선별함과 동시에 이물을 함께 제거하여, 종래보다 짧은 시간 내에 양품의 나락만을 수득할 수 있고, 나락의 건조과정에서 수분함량 11~12%로 나락을 건조하여, 나락을 도정할 시 미강유로 인한 쌀겨의 뭉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도정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나락 생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는 외부에서 인입된 탈곡된 나락을 수분함량 5~15%가 되도록 건조하는 건조수단과, 상기 건조수단에 의해 수분함량 5~15%로 건조된 나락을 인계받아 진동과 자중을 이용하여 나락과 돌을 분리하는 석발수단과, 상기 석발수단에 의해 석발된 나락을 인계받아 비중으로 나락을 복수 개의 분류로 선별하는 비중선별수단과, 상기 비중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나락 분류 중 어느 하나를 인계받아 채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별로 나락을 선별하는 입자선별수단, 및 상기 입자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나락을 인계받아 나락을 일렬로 낙하시키면서, 광을 이용하여 나락을 색채선별하는 색채선별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조수단은 상부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된 벼를 수용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벼를 타공판 또는 메쉬망으로 형성된 이동로로 순차적으로 인입하면서, 상기 이동로로 송풍을 실시하여, 해당 수분함량으로 벼를 건조하는 건조모듈부, 상기 건조모듈부에서 배출되는 벼를 모아 다시 상기 저장탱크로 제공하는 제1리프트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벼가 건조모듈부로 건조모듈부에서 리프트에 의해 저장탱크로 순환하면서 건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중선별수단은 직육면체를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석발수단에 의해 석발된 벼를 공급받는 벼 투입구와, 상기 벼 투입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벼 투입구를 통해 공급된 벼를 확산시키는 벼확산판과, 상기 벼 투입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벼확산판에 의해 확산된 벼를 모아 횡대로 나열하여 낙하시키는 정렬구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정렬구를 통해 횡대로 낙하하는 벼에 풍력을 제공하여 벼를 타측으로 날리는 송풍팬과, 상기 케이스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에서 제공한 풍력에 날린 거리별로 벼를 선별하여 분류 배출하는 복수 개의 분류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에서 제공한 풍력에 날린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류배출구들의 사이에는 상향으로 연장형성한 안내턱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턱의 상단에는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날린 벼의 선별 범위를 조절하는 낙하조절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석발부, 비중선별수단, 입자선별부 및 색채선별수단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석발부, 비중선별수단, 입자선별부 및 색채선별수단에서 배출된 벼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한 후 낙하시켜 다음 수단으로 인계하는 제2리프트, 제3리프트 및 제4리프트를 더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중선별수단은 상기 제2리프트, 제3리프트 및 제4리프트 중 어느 하나의 리프트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결합된 리프트에서 퍼 올려진 벼를 비중선별하여 다음 수단으로 인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탈곡된 나락을 건조, 석발, 비중선별, 입자선별, 색채선별 순으로 세분화된 나락 선별을 하나의 장치로 실시하여, 나락 생산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나락을 선별함과 동시에 이물을 함께 제거하여, 즉석도정기의 도정에 적합한 나락을 짧은 시간 내에 생산할 수 있다.
둘째, 나락의 건조과정에서 수분함량 5~15%, 더 바람직하게는 11~12%로 나락을 건조하여, 나락을 도정할 시, 미강유로 인한 쌀겨의 뭉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도정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의 건조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의 석발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의 비중선별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의 입자선별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의 색채선별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중선별수단이 리프트 상측에 결합하여, 입자선별수단 상에 위치한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탈곡된 나락을 건조, 석발, 비중선별, 입자선별, 색채선별 순으로 세분화된 나락 선별을 하나의 장치로 실시하여, 나락 생산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나락을 선별함과 동시에 이물을 함께 제거하여, 종래보다 짧은 시간 내에 양품의 나락만을 수득하도록 한 나락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는 이삭에서 탈곡한 나락을 건조, 석발, 비중선별, 입자선별, 및 색채선별 과정 순으로 양품의 나락을 생산하여 출하하는 것으로, 상기한 과정들을 실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수단(100), 석발수단(200), 비중선별수단(300), 입자선별수단(400) 및 색채선별수단(500)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단(100)을 살펴보면, 상기 건조수단(100)은 일측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외부에서 탈곡된 나락을 인입하고, 인입된 나락은 지정시간 동안 송풍장치(111)에서 제공하는 송풍으로 건조한 후 건조된 나락을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수단(100)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건조수단(100)은 하측에 건조모듈부(110)가 위치하고, 상기 건조모듈부(110)의 상측에 저장탱크(120)가 일체로 연결된 것으로, 상기 건조모듈부(110) 내부에는 중심에 송풍장치(111)가 위치하고, 그 중심을 기준하여 주변에는 메쉬 또는 타공판으로 이루어진 가이드(112)가 'V' 형태로 나락이 통과하는 이동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모듈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저장탱크(120)에 저장된 나락이 건조모듈부(110)로 하향이동하면, 상기 건조모듈부(110)의 가이드(112)에 의해 형성된 'V'자 형태의 이동로로 나락이 이동하면서 중심에 위치하는 송풍장치(111)에서 제공하는 송풍이 가이드(112)의 메쉬공 또는 타공을 통해 이동로로 전달되어 이동로를 통하는 나락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건조모듈부(110)의 이동로 주변에는 먼지 및 까락 등과 같이 나락보다 비교적 가벼운 이물이 건조과정 중 비산되어 배기와 함께 외부로 배기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수단(100)의 배기 측에는 집진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비산된 먼지 및 까락 등을 집진하면서 먼지 및 까락 등이 제거된 배기만을 배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112)에 의한 이동로를 따라 건조모듈부(110)를 통과한 나락은 상기 건조모듈부(110)의 하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건조모듈부(110)에서 배출된 나락은 제1리프트(610)로 수집되어, 상기 제1리프트(610)에 의해 다시 상기 저장탱크(120)로 이송된다.
상기 제1리프트(610)는 상, 하 길이방향을 갖는 직립본체(611)를 구비하고, 상기 직립본체(611)의 내부에는 나락을 상측으로 퍼올릴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버킷을 장착한 이송벨트(612)를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상기 직립본체(611)의 상단에는 이송벨트(612)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직립본체(611)의 하측에는 그 내부로 나락이 공급되도록 개구부(613)를 마련하고, 상기 직립본체(611)의 상측에는 상기 버킷에 의해 퍼 올려진 나락을 배출하는 배출구(614)를 상기 저장탱크(110)로 향하게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모듈부(110)의 최하부에는 이송스크류(113)가 구비되어, 상기 건조모듈부(110)에서 배출된 나락을 이송스크류(113)로 상기 직립본체(611) 하측 개구부(613)로 인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단(100)은 나락을 저장한 상태로 나락을 건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저장탱크(110)에서 건조모듈부(120)로, 상기 제1리프트(610)를 이용해 상기 건조모듈부(110)에서 저장탱크(110)로 순환시키면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20)의 상부에는 상기 제1리프트(610)와 연결된 셀렉션(140)을 구비하는데, 상기 셀렉션(140)은 선택적으로 나락을 저장탱크(120)로 제공하거나, 또는 다음으로 인계되도록 배출한다.
이때 상기 셀렉션(140)은 바스켓 형태로 상측은 상기 제1리프트(610)의 배출구(614)와 연결되어, 상기 제1리프트(610)에 의해 상기 건조모듈부(110)에서 퍼 올려진 나락을 인입하고, 상기 셀렉션(140)의 일측에는 이송스크류(141)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141)의 선택적인 구동으로 인입된 나락을 선택적으로 저장탱크(130)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셀렉션(140)의 하부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문(142)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나락을 다음인 석발수단(200)으로 인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수단(100)은 통상 나락을 수분함량 5~15%가 되도록 건조하나,
상기 나락을 도정할 시 미강유의
바람직하게는 나락을 수분함량 11~12%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와 같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게 되면, 나락의 도정과정 중 미강유 등에 의해 찌꺼기가 서로 뭉쳐져 도정기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수단(100)은 그 내부에 나락의 수분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분함량 센서 또는 측정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상기 건조수단(100)에 의해 건조되는 나락이 수분함량 11~12%로 건조될 수 있도록 상기 건조수단(10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건조수단(100)에서 배출된 수분함량 11~12%의 나락을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한 후 낙하시켜 다음인 석발수단(200)으로 인계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수단(100)의 다음 구성인 석발수단(200)은 셀렉션(140)을 통해 선택적으로 수분함량 11~12%로 건조된 나락을 인계받아 요동과 밀도 차를 이용하여 나락과 돌을 분리하여 각각 배출한다.
이때, 상기 석발수단(2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갖는 육면체의 몸체를 이루는 석발하우징(210)을 포함하고, 상기 석발하우징(210)의 최상부에는 호퍼(220)를 배치한다.
상기 호퍼(220)는 통상적인 호퍼와 같이 개구된 상측을 통해 상기 셀렉션()에서 낙하하는 나락을 일정하게 인입하여 상기 석발하우징(210)의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석발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바닥면에 다공을 형성한 석발틀(230)을 구비하는데, 상기 석발틀(230)은 돌을 배출하는 돌배출부(231)가 아래로 향하고, 나락을 배출하는 나락배출부(232)가 위로 향하게 경사지게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석발틀(230)의 일측은 편심회전장치(240)와 연결되고, 상기 편심회전장치(240)는 외부에서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전원으로 상기 석발틀(230)을 요동시키며, 상기 석발틀(230)의 하부에는 송풍기(250)를 구비하여, 상기 석발틀(230)의 다공으로 바람을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송풍은 상기 석발틀(230)의 다공을 통해 상기 석발틀(230) 내에서 요동하는 나락으로 분사되어, 나락이 송풍력에 의해 상기 석발틀(230)의 상향에 위치하는 나락배출부(232)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석발수단(200)은 상기 호퍼(220)를 통해 석발틀(230)로 나락이 공급되면, 경사진 석발틀(230)이 편심회전장치(240)에 의해 요동하고, 다공을 통해 송풍이 이루어지면, 돌보다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나락은 송풍된 바람에 의해 날려 석발틀(230)의 상향인 나락배출부(232)로 이동하고, 나락보다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돌은 석발틀(230)의 하향인 돌배출부(231)로 이동하여 각각 분리 배출되어 석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석발수단(200)의 일측에도 제2리프트(620)를 배치하는데, 상기 제2리프트(620) 역시, 상, 하 길이방향을 갖는 직립본체(621)를 구비하고, 상기 직립본체(621)의 내부에는 나락을 퍼올릴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버킷을 장착한 이송벨트(622)를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상기 직립본체(621)의 상단에는 이송벨트(622)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직립본체(621)의 하부에는 그 내부로 나락이 인입되도록 개구부(623)를 마련하고, 상기 직립본체(621)의 상부에는 상기 버킷에 의해 퍼올려진 나락을 하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624)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리프트(620)는 상기 석발수단(200)에서 배출된 나락을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한 후 낙하시켜 다음 구성인 비중선별수단(300)로 인계한다.
도 4를 참조한 상기 비중선별수단(300)은 직육면체를 이루는 케이스(30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301)의 일측 상면에는 나락 투입구(310)를 형성하는데, 상기 나락 투입구(310)는 상기 석발수단(200)에 의해 석발된 나락을 상기 제2리프트(620)를 통해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 나락 투입구(310) 내부에는 나락확산판(311)이 수평선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나락 투입구(310)를 통해 공급된 나락을 나락확산판(311)으로 낙하하면서 나락확산판(311)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나락확산판(311)의 주변을 통해 낙하하여 확산된다.
그리고 상기 나락 투입구(310)의 하부에는 정렬구(312)를 구비하는데, 상기 정렬구(312)는 상기 나락확산판(311)에 의해 확산된 나락을 모아 횡대로 나열하여 낙하시킨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301)의 일측 내부에는 송풍팬(320)을 구비하는데, 상기 송풍팬(320)은 상기 정렬구(312)를 통해 횡대로 낙하하는 나락에 풍력을 제공하여 나락이 상기 케이스(301)의 타측 내부를 향해 날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301)의 타측 하부에는 배출구(331,332,333)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하는데, 상기 송풍팬(320)에서 제공한 풍력에 날린 거리별로 나락을 선별하여 분리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320)과 제일 가까운 위치부터 무거운 중량의 나락, 다음은 중경량의 나락, 다음은 경량의 나락으로 각각 선별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구를 3개로 한정하여 도시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2개 또는 4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01)의 타측면에는 이물질배출구(302)를 형성하여, 상기 송풍팬(320)에서 제공한 풍력에 날린 이물질을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비중선별수단(300)의 일측에도 제3리프트(630)를 배치하는데, 상기 제3리프트(630) 역시, 상, 하 길이방향을 갖는 직립본체(631)의 내부에는 나락을 퍼올릴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버킷을 장착한 이송벨트(632)를 설치하고, 상기 직립본체(631)의 상단에는 이송벨트(632)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직립본체(631)의 하부에는 그 내부로 나락이 인입되도록 개구부(633)를 마련하고, 상기 직립본체(631)의 상부에는 상기 버킷에 의해 퍼올려진 나락을 하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634)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3리프트(530)는 상기 비중선별수단(300)에서 배출된 나락을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한 후 낙하시켜 다음인 입자선별수단(400)으로 인계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중선별수단(30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리프트(620) 내지 제4리프트(640) 중 어느 하나의 리프트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결합된 리프트에서 퍼올려진 나락을 비중선별하여 다음 수단으로 인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해 나락 생산장치의 단순화를 추구할 수 있다.
상기 비중선별수단(300) 다음 구성인 입자선별수단(4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중선별수단(300)에 의해 선별된 나락을 인계받아 일정한 간격의 체로 이물을 제거하면서 나락을 선별하여 나락과 이물(검불, 청취(미숙미), 싸라기)을 분리 배출한다.
이때, 상기 입자선별수단(400)은 상부를 개방된 하우징(41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선별망체(430)를 구비한다.
상기 선별망체(430)는 복수 개가 다단으로 적층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동으로 나락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면서 관통홀을 낙하시켜 선별한다.
여기서, 다단으로 적층 구비된 상기 선별망체(430)는 선별 입자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선별망체(430)들의 관통홀 크기는 하위로 갈수록 작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별망체(430)들은 복수 개의 현수링크(412)에 의해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에 요동 가능하게 현수되는데, 상기 현수링크(412)는 2개가 쌍을 이루고, 상기 하우징(410)의 상부에서 좌, 우측면을 가로지르는 회전축(411)의 좌, 우에 각각 결합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411)을 축으로 상기 현수링크(412)가 회동하여 선별망체(430)들이 전후로 요동한다.
여기서, 선별망체(430)를 요동시키는 동력은 상기 선별망체(430)와 편심링크(443)로 연결된 요동수단(440)에 의해 제공되는데, 상기 요동수단(440)은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모터(441)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모터(441)와 이격되어 벨트로 연결되고, 상기 전동모터(441)의 회전력을 벨트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벨트풀리(4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벨트풀리(442)의 중심에는 상기 하우징(410)의 후방에 수평 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축을 구비하는데, 상기 축은 상기 벨트풀리(44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축의 외향 측단에는 편심링크(443)의 일측이 편심지게 연결되어, 상기 축의 회전으로 상기 편심링크(443)의 일측이 편심 회전하여 상기 편심링크(433)의 타측이 연결된 선별망체(430)가 상기 편심링크(443)의 편심회전운동으로 요동하게 된다.
또한, 다단으로 적층 구비된 상기 선별망체(430)들 사이에는 볼(431)을 배치하는데, 상기 볼(431)은 상기 선별망체(430)의 진동에 의해, 상기 선별망 사이에서 자유로운 구름 및 상,하 진동 운동으로 선별망체(430)의 관통홀에 낀 이물이 관통홀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입자선별수단(400)의 일측에도 제4리프트(640)을 배치하는데, 상기 제4리프트(640) 역시, 상, 하 길이방향을 갖는 직립본체(641)를 구비하고, 상기 직립본체(641)의 내부에는 나락을 퍼올릴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버킷을 장착한 이송벨트(642)를 설치하고, 상기 직립본체(641)의 상단에는 이송벨트(642)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직립본체(641)의 하부에는 그 내부로 나락이 공급되도록 개구부(643)를 마련하고, 상기 직립본체(641)의 상부에는 상기 버킷(64)에 의해 퍼올려진 나락을 하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644)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4리프트(640)은 상기 입자선별수단(400)에서 배출된 나락을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한 후 낙하시켜 다음 구성인 색채선별수단(500)로 인계한다.
여기서, 상기 색채선별수단(5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자선별수단(200)에 의해 선별된 나락을 제4리프트(640)을 통해 인계받아 나락을 일렬로 낙하시키면서, 광(빛)을 이용한 나락의 색채로 선별하여 양품의 나락과 불량품의 나락 및 이물을 분리하여 배출한다.
이때, 상기 색채선별부(500)는 몸체를 이루는 색채하우징(510)을 포함하고, 상기 색채하우징(510)의 최상부에는 호퍼(520)를 배치하는데, 상기 색채선별부(500)의 호퍼(520) 역시, 개구된 상측을 통해 제4리프트(640)에서 낙하하는 나락을 인입하고, 상기 호퍼(520)에 의해 공급된 나락은 상기 호퍼(520)의 하부에 구비된 이송나열장치(530)에 의해 확산 나열되면서, 상기 색채하우징(510) 내부에 구비된 활강로(511)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나열장치(53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진동하는 진동판(531)을 구비하는데, 상기 진동판(531)은 진동으로 상기 호퍼(520)에 의해 공급된 나락을 요동시켜, 나락이 진동판(531) 상에서 요동됨에 따라 확산 나열되면서 활강로(511)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활강로(511)는 나락이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낙하하는 복수 개의 채널을 서로 평행하게 연속 반복하여 배치한 것으로, 상기 색채하우징(510)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나락을 지정경로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미끄러지듯 낙하하게 안내하고, 상기 활강로(511)의 하부에는 양품의 나락을 모아 배출구를 통해 배출한다.
또한, 상기 활강로(511) 선상에는 광학검출수단(540)을 구비하는데, 상기 광학검출수단(540)은 복수 개의 광원(541)과 광센서 또는 카메라(542)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활강로(511) 각각의 채널마다 구비되어, 상기 활강로(511) 각각의 채널을 따라 일렬로 낙하하는 나락에 빛을 조사하고, 빛이 조사된 나락에서 반사된 빛 파장을 광검출부로 검출하거나, 카메라(542)로 촬상하여 이미지를 검출한다.
더불어, 상기 활강로(511) 각각의 채널 선상에는 광학검출수단(540)과 함께, 분리수단(550)을 구비하는데, 상기 분리수단(550)은 상기한 광학검출수단(540)을 통해 불량으로 판단된 나락 및 이물(지푸라기, 착색잎, 깜부기, 쭉정이 등)에 바람을 불어 경로에서 이탈시켜 양품의 나락과 분리해 내고, 이때 분리된 불량의 나락 및 이물은 별도의 경로를 따라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색채선별부(500)는 색채하우징(510) 상부에 위치하는 호퍼(520)를 통해 나락이 공급되면, 상기 호퍼(520)의 하부에 위치된 이송나열장치(530)로 낙하해 위치하고, 상기 이송나열장치(530)에 구비된 진동판(531)의 진동에 의해 나락이 활강로(511)로 이송되며, 이송된 나락은 상기 활강로(511)의 채널을 따라 낙하하다 광학검출수단(540)을 통하게 되는데, 상기 광학검출수단(540)은 광원(541)이 나락에 빛을 조사하면 이를 광검출부 또는 카메라(542)가 촬상하게 되고, 반사된 빛의 파장 또는 촬상된 비디오 신호를 분석을 하여 설정된 임계값보다도 낮거나, 높은 레벨의 신호를 검출, 이를 불량 나락으로 특정하고 이에 대한 위치 및 시간 데이터를 분리수단(550)으로 전송하면, 상기 분리수단(550)은 특정된 불량 나락 또는 이물에 에어를 분사하여 불량 나락 또는 이물을 경로에서 분리하여, 이러한 양품의 나락과 불량 나락 또는 이물은 각각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색채선별과정이 종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락 생산장치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으나, 상기와 같이 색채선별과정을 마친 나락을 해당 규격단위의 포장지에 각각 포장하는 포장 공정을 더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건조수단 111: 송풍장치 110: 건조모듈부
112: 가이드 120: 저장탱크 140: 셀렉션
141: 이송스크류 142: 개폐문 200: 석발수단
210: 석발하우징 220: 호퍼 230: 석발틀
231: 돌배출부 232: 나락배출부 240: 편심회전장치
300: 비중선별수단 301: 케이스 302: 이물질배출구
310: 나락 투입구 311: 나락확산판 312: 정렬구
320: 송풍팬 331, 332, 333: 배출구
400: 입자선별부 410: 하우징 430: 선별망체
431: 볼 420: 호퍼 500: 색채선별수단
510: 색채하우징 520: 호퍼 530: 이송나열장치
511: 활강로 531: 진동판 540: 광학검출수단
541: 광원 542: 카메라 550: 분리수단
610: 제1리프트 620: 제2리프트 630: 제3리프트
640: 제4리프트
611, 621, 631, 641: 직립본체 612, 622, 632, 642: 이송벨트
613, 623,633, 643: 개구부 614, 624, 634, 635: 배출구

Claims (7)

  1. 외부에서 인입된 탈곡된 나락을 수분함량 5~15%가 되도록 건조하는 건조수단;
    상기 건조수단에 의해 수분함량 5~15%로 건조된 나락을 인계받아 진동과 자중을 이용하여 나락과 돌을 분리하는 석발수단;
    상기 석발수단에 의해 석발된 나락을 인계받아 비중으로 나락을 복수 개의 분류로 선별하는 비중선별수단;
    상기 비중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나락 분류 중 어느 하나를 인계받아 채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별로 나락을 선별하는 입자선별수단; 및
    상기 입자선별수단에 의해 선별된 나락을 인계받아 나락을 일렬로 낙하시키면서, 광을 이용하여 나락을 색채 선별하는 색채선별수단;을 포함하는 나락 생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상부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된 나락을 수용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나락을 타공판 또는 메쉬망으로 형성된 이동로로 순차적으로 인입하면서, 상기 이동로로 송풍을 실시하여, 해당 수분함량으로 나락을 건조하는 건조모듈부;
    상기 건조모듈부에서 배출되는 나락을 모아 다시 상기 저장탱크로 제공하는 제1리프트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나락이 건조모듈부로 건조모듈부에서 리프트에 의해 저장탱크로 순환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락 생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중선별수단은
    직육면체를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석발수단에 의해 석발된 나락을 공급받는 나락 투입구와;
    상기 나락 투입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나락 투입구를 통해 공급된 나락을 확산시키는 나락확산판과;
    상기 나락 투입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나락확산판에 의해 확산된 나락을 모아 횡대로 나열하여 낙하시키는 정렬구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정렬구를 통해 횡대로 낙하하는 나락에 풍력을 제공하여 나락을 타측으로 날리는 송풍팬과;
    상기 케이스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에서 제공한 풍력에 날린 거리별로 나락을 선별하여 분류 배출하는 복수 개의 분류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에서 제공한 풍력에 날린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구;를 포함하는 나락 생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류배출구들의 사이에는 상향으로 연장형성한 안내턱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턱의 상단에는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날린 나락의 선별 범위를 조절하는 낙하조절레버를 포함하는 나락 생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발수단, 비중선별수단, 입자선별수단, 색채선별수단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석발부, 비중선별수단, 입자선별부 및 색채선별수단에서 배출된 나락을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한 후 낙하시켜 다음 수단으로 인계하는 제2리프트, 제3리프트 및 제4리프트;를 더 포함하는 나락 생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중선별수단은
    상기 제2리프트, 제3리프트 및 제4리프트 중 어느 하나의 리프트 상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결합된 리프트에서 퍼올려진 나락을 비중선별하여 다음 수단으로 인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락 생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나락을 수분함량 11~12%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락 생산장치.

KR1020170091324A 2017-07-19 2017-07-19 나락 생산장치 KR102015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324A KR102015542B1 (ko) 2017-07-19 2017-07-19 나락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324A KR102015542B1 (ko) 2017-07-19 2017-07-19 나락 생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507A true KR20190009507A (ko) 2019-01-29
KR102015542B1 KR102015542B1 (ko) 2019-08-28

Family

ID=6532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324A KR102015542B1 (ko) 2017-07-19 2017-07-19 나락 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9316A (zh) * 2019-01-31 2019-05-17 中南大学 一种检测颗粒材料级配特性可靠度的筛分仪及筛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212U (ko) * 1997-11-08 1999-06-05 서홍원 분말 선별장치
KR20070046132A (ko) * 2004-07-27 2007-05-0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곡물 선별 장치
KR101248937B1 (ko) * 2012-11-28 2013-04-03 한규수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
KR101577749B1 (ko) * 2015-02-13 2015-12-28 (주)경기제일미곡처리장 거름망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고순도 미강 선별장치
JP2017020691A (ja) * 2015-07-09 2017-01-26 株式会社サタケ 穀物乾燥機における熱風室の排塵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212U (ko) * 1997-11-08 1999-06-05 서홍원 분말 선별장치
KR20070046132A (ko) * 2004-07-27 2007-05-0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곡물 선별 장치
KR101248937B1 (ko) * 2012-11-28 2013-04-03 한규수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
KR101577749B1 (ko) * 2015-02-13 2015-12-28 (주)경기제일미곡처리장 거름망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고순도 미강 선별장치
JP2017020691A (ja) * 2015-07-09 2017-01-26 株式会社サタケ 穀物乾燥機における熱風室の排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9316A (zh) * 2019-01-31 2019-05-17 中南大学 一种检测颗粒材料级配特性可靠度的筛分仪及筛分方法
CN109759316B (zh) * 2019-01-31 2022-03-18 中南大学 一种检测颗粒材料级配特性可靠度的筛分仪及筛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542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7017U (ja) 穀物用選別機
JPH09267076A (ja) 粗選石抜装置
JPS6228703B2 (ko)
KR101670988B1 (ko)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
JP2018118185A (ja) 粗選別機
KR20190009507A (ko) 나락 생산장치
JP2002239465A (ja) 穀粒の密閉式風力選別機構
KR101092127B1 (ko) 곡물 선별 장치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KR101193090B1 (ko) 고추선별기
JP2009066575A (ja) 籾摺選別装置
JP2003200066A (ja) 穀物調製装置
JP2000157877A (ja) 籾摺選別装置
JP4466286B2 (ja) 籾摺選別機の組立方法
JP4319515B2 (ja) 穀物揺動選別装置
JP4234560B2 (ja) 米麦調製出荷設備に使用される仕上風選装置
JP6739184B2 (ja) 籾摺装置
JP3573664B2 (ja) 脱穀機の選別装置
JP4234559B2 (ja) 米麦調製出荷設備
JP2003200068A (ja) 穀物乾燥調製装置
JP5668502B2 (ja) 籾摺精米設備
JP7408055B2 (ja) 籾摺選別機
KR102458453B1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JP3883173B2 (ja) 高性能石抜き機
JP2009125621A (ja) 籾摺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