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073B1 - 폐기물의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의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073B1
KR100290073B1 KR1019940019558A KR19940019558A KR100290073B1 KR 100290073 B1 KR100290073 B1 KR 100290073B1 KR 1019940019558 A KR1019940019558 A KR 1019940019558A KR 19940019558 A KR19940019558 A KR 19940019558A KR 100290073 B1 KR100290073 B1 KR 100290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waste
wind
n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388A (ko
Inventor
시게루 다쯔미
기요시 오오또
가즈유끼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마에다 유키오
가부시키가이샤 구리모토 뎃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에다 유키오, 가부시키가이샤 구리모토 뎃코쇼 filed Critical 마에다 유키오
Publication of KR95000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 풍량을 크게 하는 일 없이 또한 선별 정도를 현저하게 높이는 일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폐기물중, 불연물 등의 작은 알맹이 모양의 물질이 망부(5a)의 망구멍(5c)을 통과하여, 망부용 구획실(16)에 떨어진다. 망 위의 비교적 큰 알맹이 모양의 물질 즉, 돌 덩어리류는 풍력 선별부(5b)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불연물 중의 돌 덩어리류는 경사벽(5e)을 타고넘어 빠르게 떨어지는 한편, 아래 깔려있던 시트 모양의 물질은 느리게 이동하기 때문에 돌 덩어리류는 시트 모양 물질과의 아래깔린 위치가 최악의 경우 중앙부에서 단부로 바뀐다. 풍력 선별부(5b)의 진동에 의해 비중이 무거운 돌덩어리류는 크게 튀지만 비중이 가벼운 시트 모양 물질은 그다지 튀어 오르지 않기 때문에 돌덩어리류와 풍력 선별부(5b)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시트모양 물질은 분출하는 공기와 함께 송풍기(31)에 의해 흡인 후드(25)에서 흡인되며 포집기(30)에 회수되어 비닐, 종이류에서 제외된 돌덩어리 등은 배출구(3)를 거쳐서 배출된다.

Description

폐기물의 선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선별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 선 단면도.
제3(a)도는 폐기물 선별 장치의 풍력 선별부 주요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제3(b)도는 제3(a)도 B-B 선의 단면도.
제4도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 풍력 선별부의 풍력 선별 상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제5도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흡인 후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6도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 망(sieve)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7(a)도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 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7(b)도는 상기 제7(a)도의 측면도.
제8(a)도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 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측면도.
제9(a)도는 폐기물의 선별장치에 있어서 망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9(b)도는 제9(a)도 I-I 선의 단면도.
제10(a)도는 폐기물의 선별장치에 있어서 망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10(b)도는 제10(a)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풍력 병용형 진동망 2 : 공급구
3 : 배출구 4 : 상자 모양 본체
5 : 다공부재 5a : 망(sieve)부
5b : 풍력 선별부 5c : 망구멍
5d : 풍력 선별 구멍 5e : 경사벽
5f : 개구 5g : 제량 방지턱
6 : 진동수단
16, 17 : 망부용 및 풍력 선별부용 구획실
18 : 망 아래물 배출구 19 : 공기 공급구
25 : 흡인 후드 26 : 흡인구
29 : 도관 30 : 포집기
31 : 송풍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일반계 폐기물 및 건설 폐기물 처리 시설 등에 사용하는 폐기물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러한 선별장치로서, 예를들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한 폐기물의 회전 선별 장치가 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4-358578).
이것은 회전 롤러상에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다수의 역송출용 긁어올림 판을 구비한 원통 모양 스크린을 거의 수평으로 놓고, 상기 원통 모양 스크린내에 양단이 개구되며 또한 내부의 보내는 스큐류를 구비한 수송관을 그 원통 모양 스크린의 전단 개구에서 가운데 정도까지 연장한 위에 적절한 간격을 갖고 동심상에 설치되며, 상기 간격을 고리 모양 통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 모양 스크린의 전단 개구측에 복수개 이상의 공기 공급관을 상기 고리 모양 통로 및 상기 수송관으로 향하여 설치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져 하는 문제]
그러나, 상기 회전 선별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원통 모양 스크린내에 선별용의 바람을 보내지만 상기 원통 모양 스크린 전면에 바람을 보내서 비교적 경량물을 불어서 뜨게 할 필요가 있다. 이 풍량은, 원통 모양 스크린의 실제의 망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은 상기 원통 모양 스크린의 30% 정도이다. 이것은 필요 풍량의 약 3 배가 필요하게 되며 풍량이 크고, 이 바람의 발생원이 불필요하게 큰 것을 사용하지 않으면 않된다.
(2) 원통 모양 스크린내에로의 송풍에 의해 상기 원통 모양 스크린의 망 구멍으로부터 바람이 원통 모양 스크린 바깥으로 새는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쉬운 망구멍 이하의 경량물이 망구멍으로부터 눌려나오기 때문에 순도가 나쁘다.
(3) 회전 작용으로 철사 모양 물질의 단부가 원통 모양 스크린 안을 스쳐 원통 모양 스크린의 구멍에 걸리기 쉽게 되며 걸리게 되면 긁어내는 작용이 없기 때문에 빼낼 수가 없으며, 걸린 철사에 다음의 것이 걸려 쌓여서 결국은 원통 모양 스크린의 구멍을 밀폐하는 우려가 있다.
(4) 상기와 같이 불필요하게 망의 면이 크기 때문에 기계적으로도 크고, 중량이 무거우며 거기에다 구동 동력이 커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별 풍량을 크게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선별 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일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 폐기물의 선별 장치는 폐기물을 공급구 단부에서 배출구 단부로 반송하는 거의 수평의 다공부재를 갖는 상자 모양 진동망의 다공부재를 공급구측 폐기물 중의 비교적 소형의 물질을 체로 분리 가능한 망구멍을 갖는 망부와, 배출구측의 폐기물 안의 비교적 대형의 물질이 통과 가능한 풍력 선별 구멍을 갖는 풍력 선별부 등에 의해 형성하며, 상기 풍력 선별 구멍에 풍력 선별 구멍의 배출구측이 개구하도록 경사벽으로 덮으며, 또한 상기 다공부판의 망부 및 풍력 선별부의 하부에 각각 망부용 구획실과 풍력 선별부용 구획실을 형성하며 상기 풍력 선별부에 공기 공급구를 설치하며, 상기 풍력 선별부의 상부에 흡인 후드를 설치함과 동시에 흡인 후드에 포집기와 송풍기 등을 접속한 것이다.
또한, 망부를 적어도 1 단 이상의 계단 모양으로 한 것이다.
또한, 망부는 망 구멍을 갖는 평편한 판의 하부에 있어서 망 구멍의 배출구 측에 망 구멍을 덮는 경사판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망부는 평편한 판에 오목 모양 돌출부를 형성하며 돌출부의 공급구측을 개구하여 망 구멍으로 한 것이다.
또한, 망부는 상부측에 갈퀴부를 갖는 거의 < 자 모양의 절곡판을 폐기물의 반송 방향과 직각으로 소정 간격으로 겹쳐서 설치한 것이다.
또한, 망부는 폐기물의 반송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 길고 가느다란 평판과, 그 길고 가느다란 판의 하부에 폐기물의 반송 방향과 직각이며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 설치한 앵글재로 되며, 상기 평판과 앵글재 등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을 망 구멍으로 한 것이다.
또한, 풍력 선별부의 공기 통과 개구율을 5∼25% 로 한 것이다.
거기에 풍력 선별부의 배출단에 제어량 방지턱을 설치한 것이다.
[작용]
공급구에서 상자 모양 진동망에 투입된 폐기물은 진동 작용에 의해 다공판 위를 거쳐 배출구쪽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필히 폐기물 안의 불연물 등의 작은 알맹이 모양의 것이 망부의 망 구멍을 통과하여 망부용 구획실로 낙하한다.
다음에 망 위의 비교적 큰 알맹이 모양의 것, 즉 돌 덩어리류는 풍력 선별부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풍력 선별부용 구획실에서 풍력 선별 구멍 개구를 거쳐 윗측으로 분출하는 공기에 의해 경사벽 위를 통과하는 비닐, 종이류는 불려올라가며, 상부의 흡인 후드에 흡인 포집되어진다. 즉, 폐기물은 다공판의 진동에 의해 반송되지만 그중의 돌 덩어리류는 경사벽을 타고넘어 빠르게 낙하하는 한편, 밑에 깔려있던 비닐, 종이류 등의 시트 모양의 물질은 늦게 이동하기 때문에 돌덩어리류는 시트 모양 물질과의 밑에 깔린 위치가 최악의 경우인 중앙부에서 단부로 바뀐다.
이어서, 풍력 선별부의 진동에 의해 비중이 무거운 돌 덩어리류는 크게 튀지만, 비중이 가벼운 시트 모양 물질은 그다지 튀어오르지 않기 때문에 돌 덩어리류와 풍력 선별부와의 간극이 생겨서 시트 모양 물질은 분출하는 공기에 의해 확실하게 빠져나와 부상한다.
그리고, 부상한 비닐, 종이류는 상기 공기와 함께 송풍기에 의해 흡인 후드에서 흡인되어 포집기에 포집되며, 한편, 비닐, 종이류의 나머지 돌 덩어리류 등은 배출구를 거쳐 배출된다.
또한, 풍력 선별 구멍의 상부는 경사벽으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폐기물이 풍력 선별 구멍에 걸리거나 하는 일은 없다.
또한, 망부를 적어도 1 단 이상의 계단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단의 망부 위에서 시트에 올라 체로 분리되지 않는 작은 덩어리는 망부의 단차에 의해 먼저 낙하하여 하단의 망부 위에 오르며, 그 하단의 망부에서 확실히 체로 분리된다.
또한, 망부로서 망구멍을 갖는 평판의 하부에 있어서 망 구멍의 배출구측에 망구멍을 덮는 경사판을 설치하거나 평판에 오목 모양 돌출부를 형성하여 돌출부의 공급구측을 개구하여 망구멍으로 하거나, 상부측에 갈퀴부를 갖는 거의 < 자 모양의 절곡판을 폐기물의 반송 방향과 직각으로 소정 간격으로 겹치게 설치하거나, 또한 폐기물의 반송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 길고 가느다란 평판과 그 평판의 하부에 폐기물의 반송 방향과 직각 또는 소정의 간격에 하나로 설치한 앵글재로 이루어지며, 그 평판과 앵글재 등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을 망 구멍으로 한 것에 의해 폐기물, 특히 길고 가느다란 물질의 망 구멍에 걸림이 크게 줄어든다.
또한, 풍력 선별부에서의 공기 통과 개구율을 5∼25% 로 한 것에 의해 각각의 개구에서의 부분적인 벗어남이 없게 된다.
또한, 풍력 선별부의 배출측단에 설치한 제어량 방지턱에 의해 폐기물은 일시 모이게 된다. 이 일시 모임에 있어서 다공판의 진동 작용에 의해 비중이 무거운 돌 덩어리류는 하부로, 돌 덩어리류에 비교하여 비중이 가벼운 나무조각은 상부로 나누어지며, 자유 상태로 된 나무 조각은 개구에서의 분류 공기에 의해 날아오르며, 계속해서 송풍기에 의해 흡인 후드를 거쳐 포집기에 회수되며, 돌 덩어리는 제어량 방지턱을 넘어서 배출구로 들어가 회수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부호 1 은 풍력 겸용형의 상자형 진동망으로 이 진동망은 한쪽단 상부에 공급구(2)를 다른 단 하부에 배출구(3)를 갖는 거의 수평으로 가로로 긴 상자형 본체(4)와 이 상자형 본체(4)를 상하 둘로 분리되도록 설치한 거의 수평의 다공부재(반송판)(5)와, 상자형 본체(4)를 경사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수단(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자 모양 본체(4)는 베이스(7) 위에 스프링(8)을 끼어 설치한 기계대(9) 위에 이들 양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한 요동 레버(10)와, 요동 레버(10)와 직각 방향으로 설치한 스프링(11)에 의해 지지되어져 있다.
진동 수단(6)은 상자 모양 본체(4)와 기계대(9)의 지지대(12) 사이에 설치한 진동부(13)와 지지대(12) 위에 설치한 모터(14)로 이루어지며,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상자 모양 본체(4)를 진동부(13)를 거쳐서 경사 방향(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다공부재(5)는 공급구(2)측의 망 구멍(5c)을 갖는 망부 (5a)와 배출구(3)측의 풍력 선별 구멍(5d)을 갖는 풍력 선별부(5c)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풍력 선별부(5b)는 풍력 선별 구멍(5d)의 상부를 풍력 선별 구멍(5d)의 하류측이 개구(5e)되도록 덮은 경사벽(5f)과 하류측단에 설치한 제어량 방지턱(5g)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기에다 풍력 선별부(5b)의 경사벽(5f)은 다공부재(5)를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해도 좋으며, 펀치로 풍력 선별 구멍(5d)을 뚫은 뒤 별도 성형한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또한, 망 구멍(5c)의 지름을 약 20∼40m/m 로 설정한다. 거기에다, 망 구멍(5b)은 철망으로 대체하는 일도 가능하다.
부호 16, 17 은 상자 모양 본체(4)의 다공부재(5) 하부의 경계벽(15)에 의해 망부(5a)속과 풍력 선별부(5b)측으로 구획한 망부용 및 풍력 선별용 구획실로서, 구획실(16)의 경계벽(15)측 하부에 망 하부물 배출구(18)를 설치함과 동시에 구획실(17)에 공기 공급구(19)를 설치한다. 부호 20 은 청소용 뚜껑이다.
그리고, 공기 공급구(19)에 송풍기(21) 배관(22)을 끼어 접속하며 송풍기(21)로부터의 공기를 조절용 밸브(23)를 거쳐서 풍력 선별용 구획실(17)로 공급한다.
또한, 풍력 선별부(5b)의 개구(5f)를 통하는 공기의 통과 속도를 약 5∼30m/sec 로 설정한다.
부호 24 는 상자 모양 본체(4)의 윗벽에 풍력 선별 구멍(5d)에 대향하도록 설치한 배기구로서, 상기 배기구에 흡인구(26)를 갖는 흡인 후드(25)를 끼어 장착하며 흡인 후드(25)를 가설대(27)를 통해 고정한다. 부호 28 은 가변 튜브이다.
또한, 흡인 후드(25)에 도관(29)을 끼어서 사이크론 등의 포집기(30) 및 송풍기(31)를 접속한다. 부호 32 는 조절용 밸브이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일반 폐기물 또는 건설 폐기물을 도시 생략한 폐기물 파쇄기에 의해 파쇄한 뒤, 파쇄물을 반송 컨베이어 등에 의해 직접 반송하여 공급구(2)에서 풍력 겸용형 진동망(1)에 투입된다.
투입된 파쇄물은 다공부재(5) 위를 진동수단(6), 즉, 모터(14)의 기동에 의한 진동부(13)의 발진에 의해, 진동되면서 배출구(3)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송풍기(21)에서의 공기를 배관(22)을 거쳐 공기 공급구(19)에서 풍력 선별부용 구획실(17) 안으로 공급한다. 풍력 선별부용 구획실(17)의 공기는 풍력선별 구멍(5d)을 통해 개구(5e)에서 풍력 선별부(5b) 위로 유입(분출)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우선 파쇄물 가운데 불연물 등의 가느다란 알맹이 물질(작은 알맹이 모양의 물질)이 망 구멍(5c)을 통해 망부용 구획실(16) 안에 낙하하며 망하물 배출구(18)에서 회수되어진다. 이경우, 단순한 진동 작용에 의해 망 상부물과 망 하부물로 분리되어진다.
계속해서, 망구멍(5c)을 통과하지 못한 망 위의 비교적 큰 치수의 파쇄물은 다공부재(5)의 진동에 의해 풍력 선별부(5b) 위에 이동하며, 여기에서, 풍력 선별부(5b)의 경사벽(5e)을 타넘으면서 배출구(3)측으로 이동한다.
즉, 제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파쇄물은 다공부재(5)의 진동에 의해 반송되지만 그안의 돌 덩어리류(b)는 경사벽(5e)을 타고 넘어 빠르게 낙하한다. 한편, 아래깔려 있던 비닐, 종이류 등의 시트 모양 물질(a)은 늦게 이동한다. 이때문에 돌 덩어리류(b)는 시트 모양 물질(a)과의 아래깔린 위치가 최악의 경우 중앙부에서 단부로 바뀐다.
이어서, 풍력 선별부(5b)의 진동에 의해 돌 덩어리류(b)는 비중이 무겁고 큰알맹이 모양이기 때문에 크게 튀지만 시트 모양 물질(a)은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그다지 튀어오르는 일이 없다.
이때문에, 큰 알맹이 모방의 물질(b)과 풍력 선별부(5b)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며 시트 모양 물질(a)은 분출하는 공기에 의해 확실히 벗어나 부상한다.
그래서, 분리 부상한 시트 모양 물질(3)은 비닐, 프라스틱 및 종이 등 작은 조각과 함께 송풍기(31)에 의해 공기와 함께 흡인구(26)에서 흡인 후드(25)안에 흡인되며 도관(29)을 거쳐서 포집기(30)에 회수되어진다. 다른한편, 시트 모양 물질에서 제외된 돌 덩어리류는 배출구(3)를 거쳐 회수된다.
이와같이 파쇄물은 다공부재(5)의 진동과 풍력 선별부(5b)에서 분출하는 공기와의 상승 작용에 의해 불연물 등의 작은 알맹이 모양의 물질과 가연물인 비닐, 프라스틱, 종이류 및 주로 불연물인 돌 덩어리류 등으로 분리되며, 거기에다 흡인 풍력에 의해 확실히 선별되는 것이다.
또, 풍력 선별부(5b)에서는 풍력 선별 구멍(5e)의 상부에 다수의 경사벽(5e)이 설치되어져 있기 때문에 비닐, 종이류를 제외한 돌 덩어리류는 진동에 의해 반송되며 경사벽(5e)을 넘은 위치에서 빠르게 낙하한다. 한편, 비닐, 종이류는 가볍기 때문에 경사벽(5e)에 그대로 남는 일도 있으며 이것에 의해 풍력 선별부용 구획실(17)에서의 분류 공기에 의해 떠오르는 한편 상하 진동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비중이 무거운 돌 덩어리류는 커다랗게 튀며 비닐, 종이류의 비중이 가벼운 것은 그다지 튀어오르지 않는 것에 의해 돌 덩어리류와 비닐류와는 풍력 분리되어지며, 계속해서 비닐류는 분류 공기의 작용을 충실하게 받아서 흡인 후드(25)를 통해 포집기(70)에 회수된다.
또, 풍력 선별부(5b)의 배출측단에는 제어량 방지턱(5g)에 의해 풍력 선별부(5b) 위의 파쇄물은 일시 모여진다. 그리고, 일시 모여진 물질중 비중이 무거운 돌 덩어리류는 하부에, 비중이 가벼운 나무조각은 상부에 분리되어 자유상태로 되며, 자유 상태로 된 나무조각은 개구(5f)에서 분출하는 공기에 의해 날아오르며, 송풍기(31)에 의해 공기와 함께 흡인구(26)에서 흡인 후드(25) 안으로 흡인되며, 도관(29)을 거쳐서 포집기(30)에 회수되고 돌 덩어리류는 제어량 방지턱(5g)을 타고 넘어서 배출구(3)에 들어가 회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폐기물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파쇄물을 선별하도록 했지만 건설 폐기물의 경우는 사람손에 의해 거칠게 분리된 폐기물을 선별하는 경우도 있다.
제5도는 흡인 후드(2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흡인 후드는 선단을 조여서 가늘고 긴 흡인구(26a)로 한 것이다.
거기에다, 풍력 선별부(5b)의 개구(5f)는 평면으로 보아서 가늘고 긴 슬릿 모양이지만 파쇄물은 이 개구(5f)에서 거의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진동망(1)의 진동 방향을 공지의 진동 수단에 의해 거의 수평면내에서 선회 운동시키는 일도 가능하다.
또한, 흡인 후드(25) 가설대(27)에 고정했지만 도시하지 않은 적절한 수단을 거쳐서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하는 일이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 보다 선별 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6도는 망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망부(5a)를 세운벽(5h)에 의해 2 단으로 한 것이지만 2 단 이상이라도 좋다.
또, 망부를 제7(a)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한 것과같이 구성할 수 있다.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한 것은 평판(51a)을 펀칭으로 형성하여 망구멍(51c)을 형성하며, 망구멍(51c)의 하부에 그리고 망구멍(51c)의 배출구측에 망구멍(51c)을 덮도록 경사판(52)을 설치함과 동시에 측판(53)을 설치한 것이다.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한 것은 평판(54a)을 프레스 등에 의해 오목 모양의 돌출부(55)를 형성하며 돌출부(55)의 공급구측의 한변을 개구하여 망구멍(54c)으로 함과 동시에 측판(53)을 설치한 것이다.
제9(a)도 및 제9(b)도에 도시한 것은 거의 < 자 모양 단면의 절곡판(56a)의 상부측의 상반부에 갈퀴부(56′a)를 형성하며 갈퀴부(56′a) 사이를 망구멍(56c)으로 한 것이며 절곡판(56a)을 폐기물의 반송 방향과 직각 또한 소정 간격으로 측판(53)을 끼어서 겹쳐서 설치한 것이다.
제10도에 도시한 것은 폐기물의 반송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 길고 가느다란 판(57a)과, 길고 가느다란 판(57a)의 하부에 상기 반송 방향과 직각이며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로 설치한 앵글재(58a) 및 측판(53) 등으로 이루어지며, 길고 가느다란 판(57a)과 앵글재로 형성되는 간격을 망구멍(59c)으로 한 것이다. 거기에다 부호 58′a 는 수직부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었기 때문에 다음에 서술하는 것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폐기물을 공급구단에서 배출구단으로 반송하는 거의 수평의 다공부재를 갖는 상자형 진동망의 다공부재를 공급구측의 폐기물중의 비교적 소형의 물질이 가려져 분리가능한 망구멍을 갖는 망부와, 배출구측의 폐기물중의 비교적 대형의 물질이 통과 가능한 풍력 선별 구멍을 갖는 풍력 선별부에 의해 형성되며 풍력 선별 구멍에 그 풍력 선별 구멍의 배출구측이 개구되도록 경사벽으로 덮어지며, 또한 상기 다공부재의 망부 및 풍력 선별부의 하부에 각각 망부용 구획실과 풍력 선별부용 구획실을 형성하여 풍력 선별부에 공기의 공급을 설치하며 상기 풍력 선별부의 상부에 흡인 후드를 설치함과 동시에, 흡인 후드에 포집기와 송풍기를 접속하므로 비교적 작은 알맹이의 물질은 망부에 의해 망아래로 되며, 망위의 비교적 큰 물질은 풍력 선별부 위에서 진동 작용과 개구에서 불어내는 공기 및 흡인력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비중이 무거운 돌 덩어리류와 비닐, 종이류 등으로 확실히 분리 회수하는 일이 가능하다.
또한, 풍력 선별 구멍의 상부는 경사벽으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폐기물이 풍력 선별 구멍에 걸리거나 하는 일이 없으며, 이때문에 풍력 선별이 원활하게 계속 된다.
또한, 분류 공기의 유효 면적이 100% 에 가깝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회전식에 비교하여 송풍기와 그 관련의 장치를 소형화 감량이 가능하며,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설치할 장소도 작게, 기계적으로도 소형화활 수 있기 때문에 플랜트 조립에도 상당히 효과가 있다.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망부를 적어도 1 단 이상의 계단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폐기물중의 작은 덩어리를 확실하게 가려 분리하는 일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3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망부에 경사판을 설치하거나 오목모양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절곡판을 겹쳐서 설치하거나, 또한 길고 가느다란 평판과 앵글부재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해 폐기물, 특히 길고 가느다란 물질이 망구멍에 걸리는 것이 대폭으로 경감되며 계속적으로 가동하는 일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풍력 선별부의 개구율을 5∼25% 정도로 했기 때문에 각각의 개구부에서 부분적인 벗어남이 없게 되어 효율이 좋은 선별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풍력 선별부의 배출 측단에 제어량 방지턱을 설치했기 때문에 더욱 중량 물질과 경량 물질을 한층 확실하게 분리시키는 일이 가능하며, 회수율이 상당히 높다.

Claims (8)

  1. 폐기물을 공급구 단부로부터 배출구 단부로 반송하는 수평에 가까운 다공부재를 갖는 상자형 진동망(sieve)의 다공부재를 공급구 측의 폐기물중의 비교적 소형의 물질이 가려져 분리 가능한 망구멍을 갖는 망부와, 배출구 측의 폐기물중의 비교적 큰 물질이 통과 가능한 풍력 선별 구멍을 갖는 풍력 선별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풍력 선별 구멍에 풍력 선별 구멍의 배출구측이 개구하도록 경사벽으로 덮여지며, 상기 다공부재의 망부(sieve part) 및 풍력 선별부의 하부에 각각 망부용 구획실과 풍력 선별부용 구획실을 형성하고, 상기 풍력 선별부에 공기 공급구를 설치하며 상기 풍력 선별부의 상부에 흡인 후드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흡인 후드에 포집기와 송풍기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부를 1 단 이상의 계단 모양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부는 망 구멍을 갖는 평판의 하부에 있어서 망 구멍의 배출구 측에, 상기 망 구멍을 덮는 경사판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부는 평판으로 오목모양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의 공급구측을 개구하여 망구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부는 상부측에 갈퀴부를 갖는 < 자 모양에 가까운 절곡판을 폐기물의 반송 방향과 직각이며 소정 간격으로 겹쳐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부는, 폐기물의 반송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 길고 가느다란 평판과, 상기 길고 가느다란 평판의 하부에 폐기물의 반송 방향과 직각이며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로 설치한 앵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판과 앵글재에 의해 형성되는 극간(隙間)을 망구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선별부의 공기 통과 개구율을 5∼25%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선별부의 배출단에 제어량 방지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선별 장치.
KR1019940019558A 1993-08-11 1994-08-09 폐기물의 선별 장치 KR100290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20729A JP2864959B2 (ja) 1993-08-11 1993-08-11 廃棄物の選別装置
JP93-220729 1993-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388A KR950005388A (ko) 1995-03-20
KR100290073B1 true KR100290073B1 (ko) 2001-05-15

Family

ID=1675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558A KR100290073B1 (ko) 1993-08-11 1994-08-09 폐기물의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64959B2 (ko)
KR (1) KR100290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43B1 (ko) * 2002-09-06 2004-03-11 (주)거산기계 건축폐기물 중 토사 내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448B1 (ko) * 2016-04-05 2022-10-0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막-코팅된 유리로부터 막을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1566U (ko) * 1975-03-26 1976-10-01
JPS5269060A (en) * 1975-12-05 1977-06-08 Kawasaki Heavy Ind Ltd Cascade classifier
JPS5364866A (en) * 1976-11-22 1978-06-09 Iony Kk Selector for granular material
JPS5539288A (en) * 1979-05-21 1980-03-19 Yuriko Kai Sieving net consisting of improved wire
JPS5993684U (ja) * 1982-12-06 1984-06-25 神鋼電機株式会社 篩用櫛歯網
JPS6210712A (ja) * 1985-07-08 1987-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直流安定化電源用温度補償回路
JPS6332682U (ko) * 1986-08-20 1988-03-02
JPH0437574U (ko) * 1990-07-30 1992-03-30
JPH05115849A (ja) * 1991-07-02 1993-05-14 Kurimoto Ltd 破砕不燃物の選別装置
JP3160948B2 (ja) * 1991-07-05 2001-04-25 神鋼電機株式会社 ごみ分離振動コンベ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43B1 (ko) * 2002-09-06 2004-03-11 (주)거산기계 건축폐기물 중 토사 내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51627A (ja) 1995-02-28
JP2864959B2 (ja) 1999-03-08
KR950005388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E42268B1 (en) Refuse fractionation
EP0968061B1 (en) Sorting waste materials
US4778116A (en) Municipal waste processing apparatus
US4867866A (en) Municipal waste processing apparatus
KR100290073B1 (ko) 폐기물의 선별 장치
JP2720757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3491647B2 (ja) 石抜選別機
JP3208793B2 (ja) 風選機
JP2803996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3151148B2 (ja) 廃棄物選別装置
JP3325502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3440021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3029017B2 (ja) 生ごみを含む可燃性ごみの固形燃料化装置
JP2912175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3325503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3035200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EP0065493A1 (en) Device to sort compost
JP2742030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3127489B2 (ja) ごみ分離装置
JPH06178966A (ja) 風選機
JP3035201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2799145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KR100290072B1 (ko) 분쇄 불연물의 선별장치
JP2803995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H02407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