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942Y1 - 곡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곡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942Y1
KR200228942Y1 KR2020010002043U KR20010002043U KR200228942Y1 KR 200228942 Y1 KR200228942 Y1 KR 200228942Y1 KR 2020010002043 U KR2020010002043 U KR 2020010002043U KR 20010002043 U KR20010002043 U KR 20010002043U KR 200228942 Y1 KR200228942 Y1 KR 200228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air flow
air
housing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훈
Original Assignee
전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훈 filed Critical 전병훈
Priority to KR2020010002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942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수확한 곡물을 농가 내에서 강제 송풍 방식으로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게다가 곡물의 투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곡물 선별기를 제공함으로써, 기후에 상관없이 농가에서 선별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곡물의 종류에 맞게 송풍량과 곡물의 투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수확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 곡물을 수용하여 아래로 투하시킬 수 있도록 곡물 수용부와 이 곡물 수용부 아래에 공기 유동로가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 유동로를 따라 풍량을 조절하여 제공해 주는 풍량 공급 수단과, 풍량에 의해 선별된 곡물과 나머지 부분을 분리하여 수용시켜 주는 적어도 2개의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 선별기{Cereals sorting machine}
본 고안은 곡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종류에 맞게 곡물의 투입량과 함께 송풍량을 조절하여 선별 작업을 할 수 있는 곡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재배하는 농작물인 쌀이나 밀 그리고 보리 등의 곡물은 곡류 입자를 보호하기 위해 입자의 가장 바깥쪽에 왕겨 등으로 쌓여져 곡류를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곡물은 탈곡 후 도정(搗精) 작업을 통해 왕겨와 곡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보통 농가에서는 곡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곡물을 거두어 들인 다음 곡물에 함유된 돌 알갱이나 썩은 곡물 알갱이 그리고 이삭 등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보통 농가나 도로 등지에서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를 택해 자연풍에 의해 선별 작업을 하게 된다.
즉, 자연풍이 부는 곳에서 곡물을 아래로 낙하시키게 되면 곡물과 여기에 포함된 썩은 곡물 알갱와 돌 알갱이 등이 중력과 자연풍의 세기에 따라 낙하되는 지점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가장 무거운 돌 알갱이는 바로 아래에 그리고 이보다 조금 무거운 식용 곡류는 그 뒤로 떨어지게 되고, 마지막으로 가장 가벼운 왕겨 등은 자연풍에 의해 가장 멀리 날아가서 낙하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별 방법은 자연풍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곡물을 수확한 다음 자연풍이 불지 않는 곳에서는 선별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며, 게다가 비가 오는 날에는 실외에서 선별 작업을 할 수 없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자연풍을 이용하여 선별 작업을 할 수 있는 경우에도 곡류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중량이 다르기 때문에 자연풍이 너무 강하게 불게 되면 식용으로 사용할 곡류 마저도 자연풍에 의해 불려가게 되어 수확량을 떨어 뜨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확한 곡물을 농가 내에서 강제 송풍 방식으로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게다가 곡물의 투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곡물 선별기를 제공함으로써, 기후에 상관없이 농가에서 선별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곡물의 종류에 맞게 송풍량과 곡물의 투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수확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르는 곡물 선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르는 개폐수단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곡물 선별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곡물 수용부
12 : 공기 유동로 13 : 구획판
14 : 투입구 15 : 브라켓
15a : 아크형 장공 16 : 개폐판
17 : 링크구조 17a : 고정링크
17b : 가동링크 18 : 샤프트
18a : 회전 손잡이 18b : 고정수단
19 : 곡물 분쇄기 20 : 풍량 조절 수단
21 : 하우징 22 : 구동팬
23 : 구동모터 24 : 공기 유입창
30 : 수납부 31 : 격벽
31a : 상부 격벽 31b : 하부 격벽
32 : 장공 33 : 볼트
34 : 너트 35 : 거름망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 곡물을 수용하여 아래로 투하시킬 수 있도록 곡물 수용부와 이 곡물 수용부 아래에 공기 유동로가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 유동로를 따라 풍량을 조절하여 제공해 주는 풍량 공급 수단과, 풍량에 의해 선별된 곡물과 나머지 부분을 분리하여 수용시켜 주는 적어도 2개의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몸체는 중앙에 투입구가 형성된 역마름모꼴 형상의 판부재에 의해 곡물 수용부와 공기 유도로가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는 하부에 개폐시켜 주는 개폐판과 이 개폐판을 몸체 외부에서 작동시켜 주는 링크 구조로 이루어진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는 상부에 풍량 공급 수단과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곡물 분쇄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량 공급 수단은 몸체의 일측에 장착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구동팬과, 이 구동팬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몸체에 제공되는 풍량을 조절해 주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일측면에 외부로부터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있도록 개폐 가능한 공기 유입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수납부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상면과 수직 측면이 개구된 역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몸체의 공기 유동로 타측부의 하부에 연통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일측면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격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격벽은 상부의 일부를 분리하여 형성된 상부 격벽에 수직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격벽에는 이 장공에 끼워져서 체결 고정가능하도록 볼트-너트가 구비되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하면에 거름망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르는 곡물 선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선별하고자 하는 곡물을 수용하여 일정량만큼씩 자중에 의해 아래로 투하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10)와, 이 몸체(10)의 일측에 장착되어 곡물의 무게에 맞게 풍량을 제공해 주는 풍량 공급 수단(20)과, 풍량과 곡물의 무게에 의해 선별된 곡물 및 나머지를 분리하여 수용해 주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납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부재로,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곡물 수용부(11)와 공기유동로(12)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곡물 수용부(11)와 공기 유동로(12)는 구획판(13)에 의해 상하부로 구획되어 있으며, 이 구획판(13)은 판부재를 이용하여 중앙 부분에 곡물 수용부(11)로부터 곡물이 아래로 자연 낙하할 수 있도록 투입구(14)가 형성된 역마름모꼴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몸체(10)는 개구된 상부를 통해 곡물을 곡물 수용부(11)에 수용하고 투입구(14)를 통해 후술하게 될 풍량 공급 수단(20)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동로(12)에 자연 낙하시켜 주게 된다.
물론, 상기 몸체(10)는 공기 유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풍량 공급 수단(20)이 설치되는 맞은편쪽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에는 곡물 수용부(11)에 수용된 곡물이 자연 낙하되는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투입구(14)에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투입구(14)의 하부에서 이를 마감하거나 개폐량에 따라 투입구(14)를 막아 주는 정도를 달리 해주는 개폐판(16)과, 이 개폐판(16)을 몸체(10) 외부에서 손잡이를 통해 조절해 줄 수 있게 해 주는 링크 구조(1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구조(17)는,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개폐판(16)에 고정된 고정링크(17a)와, 상기 몸체(10)의 폭방향으로 가로 걸쳐 설치된 샤프트(18)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이 고정링크(17a)에 링크 결합된 가동링크(17b)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샤프트(18)는 일단이 몸체(10) 외부로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단부에는 회전 손잡이(18a)가 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회전 손잡이(18a)가 돌출되는 몸체(10)의 측면에는 개폐판(16)의 개폐 정도를 조절해 주기 위한 브라켓(1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5)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면에는 회전 손잡이(18a)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아크형 장공(15a)이 관통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브라켓(15)은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18a)가 회전하는 쪽에 오도록 몸체(10)에 고정되며, 이때 상기 아크형 장공(15a)에는 상기 회전 손잡이(18a)에 구비되는 위치 고정용 볼트-너트로 구성된 고정수단(18b)이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18b)은 볼트가 아크형 장공(15a)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여기에 회전 손잡이(18a)가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상기 아크형 장공(15a)과 회전 손잡이(18a)를 한꺼번에 관통하여 끼워진 볼트의 단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 손잡이(18a)는 너트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위아래로 회전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으로 개폐판(16)을 회전시켜 투입구(14)의 개구 정도를 조절한 다음 다시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회전 손잡이(18a)가 더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어 투입구(14)의 개구된 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몸체(10)는 상부에 구성된 곡물 수용부(11)에 일정량의 곡물을 수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투입구(14)를 개폐시켜 주는 개폐수단의 개구정도에 따라 곡물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개구 정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곡물을 공기 유동로(12)로 자유낙하시켜 주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투입구(14)의 상부에는 스크류 타입의 곡물 분쇄기(19)를 장착하여 후술하는 풍량 공급 수단(20)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곡물을 곡물 수용부(11)에 수용함에 따라 곡물이 눌려 덩어리지는 것을 부숴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량 공급 수단(20)은 몸체(10)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공기 유동로(12)에 일정량의 풍량을 제공하고, 이 풍량에 의해 상기 투입구(14)를 통해 자유 낙하되는 곡물을 선별해 주게 된다.
이러한 풍량 공급 수단(20)은 몸체(1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하우징(21)과, 이 하우징(11) 내부에 장착되어 풍량을 발생시켜 주는 구동팬(22)과, 곡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구동팬(22)의 구동력을 제어해 주는 구동모터(23)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21)은 구동팬(22)에 의해 발생된 풍량을 공기 유동로(12)에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그 측면에는 하우징(21)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기 유입창(24)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풍량 공급 수단(20)은,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23)의 구동으로 벨트로 연결된 구동팬(22)을 회동시켜 주게 되며, 이 구동팬(22)의 구동으로 발생된 바람의 유동이 공기 유동로(12)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3)의 회전력을 조절함에 따라 풍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 유입창(24)의 개구 정도에 따라 하우징(2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3)는 구동팬(22) 뿐만 아니라 상술한 곡물 분쇄기(19)와도 벨트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벨트 구동에 의해 상기 곡물 분쇄기(19)도 구동모터(23)의 회전력에 비례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30)는 몸체(10)의 공기 유동로(12)의 저부에 설치되어 투입구(14)를 통해 자유낙하되는 곡물이 공기 유동에 의해 선별된 곡물 및 나머지 이물질을 수용해 주게 된다.
이러한 수납부(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면과 측면이 개구된 역직각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측면에는 격벽(31)이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특히, 상기 격벽(31)은 상부를 소정의 크기로 구획하여 상부 격벽(31a)과 수납부(30)에 고정되는 하부 격벽(31b)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격벽(31a)에는 수직으로 나란하게 2개의 장공(32)이 관통성형되어 있고, 하부격벽(31b)에는 이 장공(32)에 끼워지는 볼트(33)와 너트(34)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 격벽(31b)에는 볼트(33)가 각 장공(32)에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이 볼트(33)는 상기 장공(32)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34)가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너트(34)를 이완시킨 다음 상부 격벽(31a)을 잡아 위나 아래로올리고 다시 너트(34)를 조이게 되면 격벽(31)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수납부(30)는 본 고안에서는 2개 이상을 필요로 하게 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는 2개의 수납부(30)가 설치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수납부(30)는 2개가 엇갈린 형태로 공기 유동로(12)의 하부에 장착되며, 이때 상기 풍량 공급 수단(20)의 설치된 몸체(10)의 반대쪽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2개의 수납부(30)는,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풍량 공급 수단(20)과 가까운 쪽에 설치되는 수납부가 그 뒤로 설치되는 수납부에 비해 격벽(31)의 높이가 낮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풍량에 의해 불려나는 곡물과 겨 그리고 돌 알갱이 등이 무게에 의해 자유낙하하면서 상기 격벽(31)에 의해 선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투입구(14)를 통해 자유낙하되는 곡물은 풍량 공급 수단(20)에서 제공하는 풍량에 의해 불려나게 되는데, 이때 곡물과 겨 그리고 돌 알갱이 등은 자중 때문에 불려나는 정도가 각각 다르게 되는데, 상기 격벽(31)이 이렇게 불려 나는 정도를 구획해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가 가장 무거운 돌 알갱이 등은 좌측의 격벽을 넘지 못하게 되고, 이보다 가벼운 곡물은 좌측의 격벽을 넘을 수 있으나 우측의 격벽에 부딛혀서 좌측의 수납부에 수납되게 되고, 겨와 같이 가벼운 것들은 2개의 격벽을 차례로 넘어 우측의 수납부에 수납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각 수납부(30)에는 하부의 빗면에 거름망(35)을 구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30)에 수납되는 곡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 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부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각 수납부(30)의 하부에는 용기를 두어 각 수납부(30)에 수납되는 곡물과 기타 이물질을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몸체(10)에 제공된 곡물은 투입구(14)를 통해 자유낙하되면서 풍량에 의해 불려나는 정도에 따라 수납부(30)에 선별하여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에 곡물을 수용하여 아래로 투하시킬 수 있도록 곡물 수용부와 이 곡물 수용부 아래에 공기 유동로가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 유동로를 따라 풍량을 조절하여 제공해 주는 풍량 공급 수단과, 풍량에 의해 선별된 곡물과 나머지 부분을 분리하여 수용시켜 주는 적어도 2개의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를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1) 바람이 없거나 비가 오는 궂은 날씨에도 실내에서 언제든지 선별 작업을할 수 있게 된다.
2) 곡물의 종류(예를 들어, 직경이나 크기에 따라)에 맞게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풍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9)

  1. 상부에 곡물을 수용하여 아래로 투하시킬 수 있도록 곡물 수용부와 이 곡물 수용부 아래에 공기 유동로가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 유동로를 따라 풍량을 조절하여 제공해 주는 풍량 공급 수단과,
    풍량에 의해 선별된 곡물과 나머지 부분을 분리하여 수용시켜 주는 적어도 2개의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앙에 투입구가 형성된 역마름모꼴 형상의 판부재에 의해 곡물 수용부와 공기 유도로가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하부에 개폐시켜 주는 개폐판과 이 개폐판을 몸체 외부에서 작동시켜 주는 링크 구조로 이루어진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부에 풍량 공급 수단과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곡물 분쇄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공급 수단은 몸체의 일측에 장착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구동팬과, 이 구동팬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몸체에 제공되는 풍량을 조절해 주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일측면에 외부로부터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공기 유입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납부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상면과 수직 측면이 개구된 역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몸체의 공기 유동로 타측부의 하부에 연통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일측면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격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격벽은 상부의 일부를 분리하여 형성된 상부 격벽에 수직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격벽에는 이 장공에 끼워져서 체결 고정가능하도록 볼트-너트가 구비되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하면에 거름망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KR2020010002043U 2001-01-29 2001-01-29 곡물 선별기 KR200228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043U KR200228942Y1 (ko) 2001-01-29 2001-01-29 곡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043U KR200228942Y1 (ko) 2001-01-29 2001-01-29 곡물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942Y1 true KR200228942Y1 (ko) 2001-07-03

Family

ID=7305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043U KR200228942Y1 (ko) 2001-01-29 2001-01-29 곡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9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351B1 (ko) * 2010-03-15 2012-11-05 홍성표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KR101393722B1 (ko) 2012-11-29 2014-05-14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카카오용 분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351B1 (ko) * 2010-03-15 2012-11-05 홍성표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KR101393722B1 (ko) 2012-11-29 2014-05-14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카카오용 분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010B1 (ko) 고효율 곡물 정선기
CN209476806U (zh) 新型矿石筛分装置
JP2018118185A (ja) 粗選別機
KR200228942Y1 (ko) 곡물 선별기
KR101197351B1 (ko)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KR100461459B1 (ko) 조선기
CN210207647U (zh) 谷物精选机
US6050422A (en) Rotary sweep scalper
KR860000571Y1 (ko)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KR100323650B1 (ko) 조선기
KR100242284B1 (ko) 벼정선기
KR200209572Y1 (ko) 곡물 조선기
CN220804444U (zh) 一种苕子分选系统
KR0182368B1 (ko)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CN213103221U (zh) 一种用于谷物脱粒机的分拣装置
CN211558011U (zh) 一种花生收割机的果实叶片分离机构
CN214347789U (zh) 一种稻谷和大米两用分离机
JP2794615B2 (ja) 穀物選別装置
US3015390A (en) Pneumatic separator
JP2943061B2 (ja) 穀物加工装置
KR200190383Y1 (ko) 정미기용 정곡 분리기
JP2982417B2 (ja) 揺動選別装置の傾斜角度調節装置
JPS6336308B2 (ko)
JP2909407B2 (ja) 比重型選別機
KR200192518Y1 (ko) 조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