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368B1 -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 Google Patents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368B1
KR0182368B1 KR1019950049977A KR19950049977A KR0182368B1 KR 0182368 B1 KR0182368 B1 KR 0182368B1 KR 1019950049977 A KR1019950049977 A KR 1019950049977A KR 19950049977 A KR19950049977 A KR 19950049977A KR 0182368 B1 KR0182368 B1 KR 0182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sorting
casing
grain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041A (ko
Inventor
이중희
Original Assignee
이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희 filed Critical 이중희
Priority to KR101995004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368B1/ko
Publication of KR97003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3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25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the material being slingered or fled out horizontally before falling, e.g. by disper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곡물 투입구가 설치된 미탈곡 곡물 재탈곡부와, 이 미탈곡 곡물 재탈곡부의 하단에 연결된 선별케이싱과, 이, 선별케이싱의 상부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지푸라기 등 가벼운 이물질을 분리수거하는 미세 이물질 분리수단 및, 상기 선별부의 하단부에 선별풍을 횡방향으로 송풍하여 정선벼와 돌/모래를 서로 다른 위치에 낙하되도록 하는 비중분리수단으로 구성된다.
이 구조에 의하여 지경이 붙은 벼를 재탈곡함과 아울러 지푸라기등의 이물질을분쇄한 다음 정선벼와 돌/모래를 분리 수거함과 아울러 분쇄된 지푸라기등의 이물질을 분리 수거함으로써 정선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의 종단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의 평면도.
제3도는 수거위치 조절수단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비중분리수단 및 조절수단의 작용을 보인 부분 종단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종단 측면도로서,
a도는 재탈곡과정을 보인 도면.
b도는 재탈곡완료 후 미세 이물질 배출과정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재탈곡부 11 : 탈곡케이싱
13 : 탈곡고정드럼 14 : 탈곡회전드럼
15 : 정선벼 모음공간 16 : 미세 이물질 모음공간
20 : 선별케이싱 21 : 정선벼 배출구
22 : 이물질 배출구 30 : 미세 이물질 분리수단
32 : 흡인팬 35 : 사이클론 집진기
40 : 비중분리수단 41 : 선별풍 공급팬
44 : 분리안내편 45 : 수직분리편
46 : 정선벼 안내편 47 : 돌/모래 안내편
50 : 수거위치 조절수단 51 : 나사봉
52 : 차단판 53 : 고정너트
본 발명은 곡물을 탈곡함과 아울러 타망기에 의하여 정선하여 곡립과 이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의 품위를 시험조사하기 위하여 수확시 농민들에 의하여 탈곡된 벼를 건조하여 포장재에 넣어 포장한 후 정부 또는 농업협동조합이 수매하여 보관하며, 보관중인 벼를 시험도정 조사용 벼로 샘플을 채취하여 샘플 벼를 수작업을 거쳐 정선하여 대형 시험시설에 의하여 도정수율을 시험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정선을 위하여 인위적인 정선 작업을 거치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가 불확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대형 정선시설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정선하여 도정수율을 시험조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그 시설이 대형이므로 실험용으로는 부적합하며, 시설비용이 고가이므로 비경제적인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곡된 샘플 벼를 효과적으로 정선할 수 있어 도정수율을 정확하게 시험조사할 수 있으면서도 저가인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선벼와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에 곡물 투입구가 설치된 미탈곡 곡물 재탈곡부와, 이 미탈곡 곡물 재탈곡부의 하단에 연결된 선별케이싱과, 이 선별케이싱의 상부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지푸라기 등 가벼운 이물질을 분리수거하는 미세 이물질 분리수단 및, 상기 선별부의 하단부에 선별풍을 횡방향으로 송풍하여 정선벼와 돌/모래를 서로 다른 위치에 낙하되도록 하는 비중분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의 종단 정면도로서, 상부에 곡물 투입구(12)가 설치된 미탈곡 곡물 재탈곡부(10)와, 이 미탈곡 곡물 재탈곡부(10)의 하단에 연결된 선별케이싱(20)과, 이 선별케이싱(20)의 상부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지푸라기 등 가벼운 미세 이물질을 분리수거하는 미세 이물질 분리수단(30) 및, 상기 선별케이싱(20)의 하단부에 송풍하여 정선벼와 돌/모래를 서로 다른 위치에 낙하되도록 하는 비중분리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미탈곡 곡물 재탈곡부(10)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 상기 곡물 투입구(12)가 연통연결된 탈곡케이싱(11)과, 이 탈곡케이싱(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정선벼 모음공간(15)을 두고 설치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탈곡고정치(13a)가 배열되고 주벽에 다수개의 정선벼 통과공(13b)이 천공된 탈곡고정드럼(13)과, 이 탈곡고정드럼(1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탈곡고정치(13a)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열된 탈곡회전치(14a)가 배열된 탈곡회전드럼(14) 및, 이 탈곡회전드럼(14)을 회전시키는 탈곡구동모터(17)로 구성된다.
상기 탈곡케이싱(11)과 탈곡고정드럼(13) 및 탈곡회전드럼(14)은 대략 상반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반부는 하단이 좁은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탈곡고정드럼(13)에 천공되는 정선벼 통과공(13b)은 정선벼가 통과할 수 있는 직경 약 10㎜정도로 타공된다.
상기 탈곡고정치(13a)와 탈곡회전치(14a)는 도시례와 같이 일반적인 탈곡기에서 사용되는 탈곡치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환봉이나 사각봉 등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탈곡회전드럼(14)의 외주면과 탈곡고정드럼(13)의 내주면 사이에는 지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모아지는 미세 이물질 모음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탈곡고정드럼(13)과 탈곡회전드럼(14)의 하단 중심부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정선벼 모음공간(15)과 미세 이물질 모음공간(16)이 선별케이싱(20)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정선벼 낙하공(15a)과 미세 이물질 낙하공(16a)이 형성된다.
상기 미세 이물질 낙하공(16a)은 개폐콘(18)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개폐콘(18)은 선별케이싱(20)의 외벽에 힌지설치된 회동레버(18a)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회동레버(18a)의 후단부에 솔레노이드(19)를 연결하여 솔레노이드(19)에 의하여 회동레버(18a)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개폐콘(18)이 미세 이물질 낙하공(16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곡회전드럼(14)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7)는 탈곡케이싱(1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그 축(17a)에 탈곡회전드럼(14)의 상단부가 연결구(17b)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선별케이싱(20)은 상단부가 상기 탈곡케이싱(11)의 하단부에 연통연결되면, 하단부에는 정선벼 배출구(21)와 이물질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선별케이싱(2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크림프망(23)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선벼 배출구(21)의 하부에는 정선벼 수거통(25)이, 이물질 배출구(22)에는 이물질 수거통(26)이 설치된다.
상기 미세 이물질 분리수단(30)은 선별케이싱(20)의 상단부에 연통연결되어 선별케이싱(20)내에 공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사이클론 집진기(35)측으로 송풍하는 것으로,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31)에 의하여 구동되는 흡인팬(32)과 이 흡인팬(32)과 선별케이싱(20)을 연결하는 연결통부(33)로 구성된다.
상기 흡인팬(32)은 그 흡입구가 연결통부(33)를 통하여 선별케이싱(20)의 상단부에 연통연결되며, 그 토출구가 연결관(34)을 통하여 사이클론 집진기(35)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35)는 일반적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은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 사이클론 집진기의 하단부에는 이물질 수거통(26)측으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 배출구(36)가 설치된다.
상기 비중분리수단(40)은 상기 선별케이싱(20)의 하단부측에 연통연결되어 선별케이싱(20)내에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낱곡과 이보다 비중이 큰 돌/모래를 분리 수거하는 것으로, 선별케이싱(20)의 하단측 내부에 선별풍을 불어넣는 선별풍 공급팬(41)과, 선별케이싱(20)내부에서 낙하되는 낱곡과 돌/모래를 선별풍 공급팬(41)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는 위치로 분리시키는 분리안내편(44)과 이 분리안내편(44)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거위치 조절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별풍 공급팬(41)은 구동모터(42)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낱곡은 공급팬(41)으로부터 먼곳으로 날려보내고 낱곡보다 비중이 큰 돌/모래는 공급팬(41)에 인접한 위치에 거의 그대로 낙하되도록 하는 정도의 풍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선별풍 공급팬(41)은 그 흡입구가 상기 선별케이싱(20)의 상단부에 연결관(43)을 통해 연결되고, 토출구가 상기 선별케이싱(20)의 하단부에 연통연결된다.
상기 분리안내편(44)은 선별케이싱(20)의 전후방향 폭에 일치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단의 수직분리편(45)과 이 수직분리편(45)의 하단에서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정선벼 안내편(46)과 돌/모래 안내편(47)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거위치 조절수단(50)은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안내편(44)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고정되어 선별케이싱(20)의 전후벽에 천공된 안내장공(24)에 관통되어 선별케이싱(20)의 전후벽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양단에 나사부(51a)가 형성된 나사봉(51)과, 상기 나사봉(51)의 양단이 관통되며 안내장공(24)의 외측을 복개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판(52)과, 상기 나사봉(51)의 나사부(51a)에 체결되어 차단판(52)을 선별케이싱(20)의 전후벽 외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너트(53)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판(52)은 선별케이싱(20)의 외벽에 고정된 대략 ㄷ자형 안내편(54)에 의하여 안내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제5도(a)와 같이 미세 이물질 낙하공(16a)을 개폐콘(18)에 의하여 폐쇄한 상태에서 탈곡된 벼를 재탈곡부(10)의 탈곡케이싱(11)에 연결된 투입구(12)를 통하여 탈곡고정드럼(13)과 탈곡회전드럼(14)사이의 공간부로 투입한다.
재탈곡부(10)의 구동모터(17)를 가동시켜 이에 연결된 탈곡회전드럼(14)을 회전시키면, 탈곡고정드럼(13)과 탈곡회전드럼(14)에 설치된 탈곡고정장치(13a) 및 탈곡회전치(14a)들에 의하여 재탈곡이 이루어져 붙어있던 지경이 떨어지며 지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소립자로 분쇄된다.
지경이 떨어진 정선벼는 탈곡고정드럼(13)에 천공된 정선벼 통과공(13b)을 통하여 탈곡케이싱(11)과 탈곡회전드럼(14)사이의 공간으로 빠져나와 탈곡케이싱(11)과 탈곡회전드럼(14)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정선벼 낙하공(15a)을 통하여 선별케이싱(20)으로 낙하된다.
한편, 분쇄된 지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정선벼 통과공(13b)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물질 모음공간(16)내에 잔류하게 된다.
이때, 정선벼 통과공(13b)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돌/모래가 정선벼와 함께 낙하되는 바, 이 정선벼와 돌/모래는 선별케이싱(20)의 하단부에 설치된 비중분리수단(40)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위치로 수거된다.
즉, 정선벼와 돌/모래가 낙하되는 과정에서 선별케이싱(20)의 하단부에 설치된 비중분리수단(40)을 구성하는 선별풍 공급팬(41)에서 선별케이싱(20)의 내부에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횡방향으로 공급되는 선별풍에 의하여 돌/모래에 비하여 비중이 작은 정선벼는 비교적 멀리 밀려나가게 되고, 정선벼에 비하여 비중이 큰 돌/모래는 멀리 밀려나가지 않고 가까운 위치에 낙하되므로 정선벼와 돌/모래는 비중차에 의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비중분리수단(40)의 선별풍 공급팬(41)은 선별케이싱(20)의 상부와 연결되어 선별케이싱(20)내의 공기를 상부로부터 흡입하여 다시 선별캐이싱(20)의 하부로 불어넣는 것이므로 선별케이싱(20)내에서의 공기유동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별풍에 의하여 분리되는 정선벼와 돌/모래는 상기 분리안내편(44)에 의하여 안내되어 보다 확실하게 분리 수거된다.
즉, 선별풍에 의하여 비교적 멀리 밀려나가는 정선벼는 분리안내편(44)의 수직분리편(45)을 넘어 도면에서 좌측의 정선벼 안내편(46)을 따라 흘러내려 정선벼 배출구(21)를 통하여 정선벼 수거통(25)에 수거되고, 멀리 밀려나가지 않은 돌/모래는 수직 분리편(45)을 넘지 못하고 도면에서 우측의 돌/모래 안내편(47)을 따라 흘러내려 돌/모래 배출구(22)를 통하여 돌/모래 수거통(26)에 수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거위치 조절수단(50)의 고정너트(53)를 이완시킨 다음 좌우로 이동시키면 이에 체결된 나사봉(51)과 분리안내편(44) 및 차단판(52)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분리안내편(44)의 위치가 제4도와 같이 선별풍 공급팬(41)의 토출구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되어 정선벼와 돌/모래의 무게에 따라 정확한 분리 수거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선벼의 배출 및 분리 수거가 완료된 후 제5도(b)와 같이 솔레노이드(19)를 작동시켜 회동레버(18a)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개폐콘(18)을 하강시킴으로써 미세 이물질 낙하공(16a)을 개방하면, 이물질 모음공간(16)에 잔류하고 있던 이물질들이 낙하하게 된다.
이때, 이물질들은 비중이 매우 작은 것으로서 선별케이싱(20)내에서 부유하게 되는바, 선별케이싱(20)의 상부에 연결된 미세 이물질 분리수단(30)의 흡인팬(32)의 흡인력에 의하여 흡인되어 사이클론 집진기(35)로 집진되며, 이 사이클론 집진기(35)의 하단 이물질 배출구(36)에서 미세 이물질 수거통(26)에 수거된다.
이러한 미세 이물질 분리수거 작용은 탈곡시 정선벼와 돌/모래가 낙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 이물질에 대하여도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정선벼와 돌/모래가 비중분리수단에 의하여 확실하게 분리 수거됨과 아울러 지경이나 지푸라기등의 미세한 이물질은 미세 이물질 분리수단에 의하여 분리 수거되므로 정선효율이 크게 향상되며, 이에 따라 벼의 품위를 즉석에서 확인하고 금액을 산출해낼 수 있어 개인별, 지역별, 품종별, 등급별 등 다양한 조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결국 농민의 이익추구를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상부에 곡물 투입구가 설치된 미탈곡 곡물 재탈곡부와, 이 미탈곡 곡물 재탈곡부이 하단에 연결된 선별케이싱과 , 이 선별케이싱의 상부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지푸라기 등 가벼운 이물질을 분리수거하는 미세 이물질 분리수단 및, 상기 선별부의 하단부에 선별풍을 횡방향으로 송풍하여 정선벼와 돌/모래를 서로 다른 위치에 낙하되도록 하는 비중분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탈곡부는 상기 선별케이싱의 상단부에 연통연결된 탈곡부 케이싱과, 이 탈곡부 케이싱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주벽에 다수개의 정선벼 통과공이 천공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탈곡고정치가 설치된 탈곡고정드럼과, 이 탈곡고정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탈곡회전치가 형성된 탈곡회전드럼 및, 이 탈곡회전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고정드럼의 하단부에는 이물질 배출구가 형성되고, 이 이물질 배출구는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작동되는 개폐콘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이물질 분리수단은 상기 선별케이싱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선별케이싱내의 공기를 흡인해내는 흡인팬과, 이 흡인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흡인팬과 선별케이싱을 연결시키는 연결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팬의 토출구에는 사이클론 집진기가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분리수단은 상기 선별케이싱의 하부에 선별풍을 불어넣는 선별풍 공급팬과, 상기 선별케이싱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어 정선벼와 돌/모래를 서로 다른 위치로 분리안내하는 분리안내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풍 공급팬은 그 흡입부가 상기 선별케이싱의 상단부에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토출구가 상기 선별케이싱의 하단부에 연통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안내편은 상기 선별케이싱의 전후방향 폭에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단의 수직분리편과 이 수직분리편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된 정선벼 안내편과 돌/모래 안내편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안내편은 수거위치 조절수단에 의하여 선별풍 공급팬의 토출구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위치 조절수단은 상기 분리안내편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되어 선별케이싱의 전후벽에 천공된 안내장공에 관통되며 관통돌출된 양단에 나사부에 형성된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양단이 관통되며 안내장공의 외측을 복개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판과, 상기 나사봉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차단판을 선별케이싱의 전후벽 외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KR1019950049977A 1995-12-14 1995-12-14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KR0182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977A KR0182368B1 (ko) 1995-12-14 1995-12-14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977A KR0182368B1 (ko) 1995-12-14 1995-12-14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041A KR970033041A (ko) 1997-07-22
KR0182368B1 true KR0182368B1 (ko) 1999-04-15

Family

ID=1944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977A KR0182368B1 (ko) 1995-12-14 1995-12-14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46B1 (ko) * 2010-11-24 2014-06-10 카리 비헬라티 소금 가루 제조방법 및 소금 가루 생성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46B1 (ko) * 2010-11-24 2014-06-10 카리 비헬라티 소금 가루 제조방법 및 소금 가루 생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041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2874A (ko) 곤충 선별기
CN105032529B (zh) 一种适用于真菌毒素污染小麦分级清理的工艺
KR0182368B1 (ko)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KR100804074B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27299Y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50058890A (ko) 콩 정선장치
KR20000031976A (ko) 소형 탈곡기
DK172059B1 (da) Kornsorteringsapparat
US1339077A (en) Cranberry-separator
KR200453178Y1 (ko) 곡물선별기
KR102364169B1 (ko) 콩의 이물질 제거 선별장치
SU1699656A1 (ru) Сортировка дл измельченных древесных материалов
SU8825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молота подсолнечника
US2074515A (en) Separator
KR200344857Y1 (ko) 콩 정선장치
KR102458453B1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US925002A (en) Grain-separator.
CN110586462B (zh) 一种大豆种子多级筛分装置
KR100323650B1 (ko) 조선기
KR100442406B1 (ko) 상토 분쇄겸용 콩탈곡기
JPH0115327Y2 (ko)
US5013280A (en) Device for secondary separation of grain in a combine harvester
JPH0111299Y2 (ko)
US640734A (en) Grain-cleaner.
KR200256898Y1 (ko) 상토 분쇄겸용 콩탈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