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890A - 콩 정선장치 - Google Patents

콩 정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890A
KR20050058890A KR1020030090903A KR20030090903A KR20050058890A KR 20050058890 A KR20050058890 A KR 20050058890A KR 1020030090903 A KR1020030090903 A KR 1020030090903A KR 20030090903 A KR20030090903 A KR 20030090903A KR 20050058890 A KR20050058890 A KR 20050058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hopper
wind
outle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2854B1 (ko
Inventor
김유환
Original Assignee
김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환 filed Critical 김유환
Priority to KR10-2003-009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8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5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8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 B07B1/49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stretching more than one screen or screen section by the same or different stret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 정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작이 이루어진 다음에 크기가 서로 다른 콩, 껍질, 쭉정이, 먼지, 돌 등이 섞여 있는 상태의 것을 정선하여 불필요한 껍질, 쭉정이, 먼지, 돌 등은 외부로 배출시키고 콩도 크기가 크고 작은 것을 선별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한 정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엔 주로 바람을 이용하여 쭉정이나 껍질 또는 먼지 등을 날려버리고 나머지 크기가 다른 콩과 돌 등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의 것을 얻는 정도로서 단순히 선별하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져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콩을 제외한 나머지 이물질은 모두 분리 배출시키고, 순수한 콩도 그 크기별로 분류가 단 한번의 처리과정을 거치면서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의 획기적인 개선이 이루어져 콩수확을 위한 작업기로서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콩 정선장치{Sorting Machine For A Bean}
본 발명은 콩 정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작이 이루어진 다음에 크기가 서로 다른 콩, 껍질, 쭉정이, 먼지, 돌 등이 섞여 있는 상태의 것을 정선하여 불필요한 껍질, 쭉정이, 먼지, 돌 등은 외부로 배출시키고 콩도 크기가 크고 작은 것을 선별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한 정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엔 주로 바람을 이용하여 쭉정이나 껍질 또는 먼지 등을 날려버리고 나머지 크기가 다른 콩과 돌 등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의 것을 얻는 정도로서 단순히 바람에 날리는 이물질만을 분리, 선별하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풍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비교적 비중이 큰 돌은 그대로 콩 속에 혼재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별도로 이러한 돌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거나 아니면 별도의 돌고르는 기게를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더우기, 위와 같이 돌을 고르는 작업을 수행한 다음에는 수확된 콩이 실하여 입자가 큰 것과 실하지 못하여 입자가 작은 것, 즉 품질이 우수한 것과 우수하지 못한 것이 구분되어 있지 못한 관계로 이를 분류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많은게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콩을 제외한 나머지 이물질은 모두 분리 배출시키고, 순수한 콩도 그 크기별로 분류가 단 한번의 처리과정을 거치면서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의 획기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콩수확을 위한 장비로서 보다 유효 적절하게 활용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작동중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을 적게하여 신뢰도를 높히고 사용수명을 극대화 시킬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치의 전체를 이루는 프레임의 일측에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춘 급송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와 인접된 위치로서 그 하부에 상기 배출구로부터 공급된 수확물을 공급받기 위한 호퍼를 설치하며, 상기 호퍼의 배출부와 일정 간격을 띄운 상태로서 경사지게 진동분류기구를 설치하며, 상기 진동분류기구의 하부 위치로서 일정 간격을 띄운 상태에서 경사지게 1차 분류기구 및 2차 분류기구를 각각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2차 분류기구의 하부엔 경사배출기구를 별도로 설치하며, 상기 호퍼와 상기 진동분류기구의 사이 위치에 덕트의 송풍구가 위치하도록 송풍팬 및 덕트로 구성되는 풍력배출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콩 정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진동분류기구의 경우 핵심구성을 이루는 분류판은 비중이 크고 입자 형태인 분류물이 진동 이동하면서 방향을 바꾸고 경사면을 거쳐 개공을 통과하여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경사돌부와 경사오목부 사이에 개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류판은 일측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그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콩 정선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1 내지 도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콩 정선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장치의 전체를 이루는 프레임(1)의 일측에 유입구(20)와 배출구(2)를 갖춘 급송기구(2)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22)와 인접된 위치로서 그 하부에 상기 배출구(22)로부터 공급된 수확물을 공급받기 위한 호퍼(3)를 설치하며, 상기 호퍼(3)의 배출부(30)와 일정 간격을 띄운 상태로서 경사지게 진동분류기구(4)를 설치하며, 상기 진동분류기구(4)의 하부 위치로서 일정 간격을 띄운 상태에서 경사지게 1차 분류기구(5) 및 2차 분류기구(6)를 각각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2차 분류기구(6)의 하부엔 경사배출기구(7)를 별도로 설치하며, 상기 호퍼(3)와 상기 진동분류기구(4)의 사이 위치에 덕트(80)의 송풍구(82)가 위치하도록 송풍팬(84) 및 덕트(80)로 구성되는 풍력배출기구(8)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급송기구(2)는 외측 케이싱(26)의 내측에 버킷컨베어(24)를 설치하고 상기 외측 케이싱(26)의 하부측엔 유입구(20)가 마련되고 이를 감싼 상태로 호퍼(28)가 설치되며, 외측 케이싱(26)의 상부측엔 배출구(2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진동분류기구(4)는 통상적인 진동스크린과 같이 이루어지되, 상기 진동분류기구(4)의 경우 핵심구성을 이루는 분류판(40)은 비중이 크고 입자 형태인 분류처리물이 진동 이동하면서 방향을 바꾸고 경사면을 거쳐 개공(43)을 통과하여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경사돌부(41)와 경사오목부(42) 사이에 개공(43)이 형성되는 다수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분류판(40)은 일측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그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조절기(44)가 설치되는데, 이 경사조절기(44)는 상,하부에 힌지부(45,46)를 갖추고 상,하부 암나사부재(47,48)와 중간의 수나사봉(49)을 나사결합하여 중간의 수나사봉(49)을 회전시킴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정되면서 분류판(40)의 일측 높이를 조절하여 결국 그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 상기 1차 및 2차 분류기구(5,6)는 망체 형태로서 서로 입자가 다른 크기의 것이 통과할 수 있게 메시의 크기가 다르게 각각 설치되고 각각 해당되는 메시를 통과한 것은 하부에 위치한 2차 분류기구(6)나 경사배출기구(7)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어지되, 이들 1차 및 2차 분류기구(5,6)는 하부에 인접된 위치에 가이더(50,60)가 각각 설치되어 이들 가이더(50,60)를 경유 해당되는 각각의 배출구(52,6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배출기구(7)는 경사판 형태로 구성되어 전술한 1차 및 2차 분류기구(5,6)를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남게 되는 돌과 같은 이물질을 그대로 하부로 모아서 인접되게 설치된 가이더(70)를 경유 배출구(72)를 거쳐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더우기, 상기 풍력배출기구(8)는 송풍팬(84)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덕트(80)를 경유하여 송풍구(82)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상기 송풍구(82)가 호퍼(3)와 상기 진동분류기구(4)의 사이 간극에 위치하므로 이 간극을 통하여 배출되는 바람에 의하여 호퍼(3)의 배출구(22)를 경유 낙하하는 수확물에 혼재되어 있던 콩깍지, 먼지 등의 비중이 비교적 낮은 이물질이 비산되어 전면에 위치한 개방구(86)를 거쳐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9는 상기 진동분류기구(4)의 구동용 모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경우에 다음과 같이 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각종 이물질이 섞여 있는 수확된 콩을 급송기구(2)의 호퍼(28)에 넣고 급송기구(2) 등의 구성요소(3,4,8,9)를 가동시키게 되면, 이들 수확된 콩은 다른 이물질과 함께 유입구(20)를 거쳐 외측케이싱(26)의 내부에 위치한 버킷컨베어(24)에 의하여 상향 급송이 이루어지고 배출구(22)를 거쳐 하부에 대기하고 있던 호퍼(28)의 내측으로 낙하 급송된다.
다음, 호퍼(3)의 배출부(30)를 경유 하부로 낙하하게 되는 수확된 콩은 풍력배출기구(8)의 송풍팬(84)에 의하여 발생된 바람이 덕트(80) 및 송풍구(82)를 경유 호퍼(3)의 배출구(22)와 진동분류기구(4)사이로 강제로 급송되면서 풍력으로 분류되어 비중이 낮은 가벼운 이물질, 예를 들면 먼지,콩깍지 등이 비산되면서 전면에 위치한 개방구(8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수확된 콩은 하부에 위치한 진동분류기구(4)의 분류판(40) 상부에 흩어지면서 낙하되고 진동현상에 의하여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되, 여러 개공(43)의 근접한 위치엔 경사돌부(41)와 경사오목부(42)가 각각 위치하여 그 중에서 특히 경사오목부(42)에 콩이나 돌과 같은 입자가 위치하게 되면 이 분류판(40)의 진동 현상에 의하여 개공(43)을 거쳐 통과하면서 1차 분류기구(5)의 상부로 낙하하게 된다.
다음, 1차 분류기구(5)의 상부로 낙하한 콩을 포함한 입자는 그 입자의 크기에 따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은 가장 실한 콩에 해당하여 그대로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려 가이더(50)를 거쳐 배출구(52)를 경유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 1차 분류기구(5)를 통과하여 2차 분류기구(6)의 상부로 낙하한 콩을 포함한 입자는 그 입자의 크기에 따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은 다음의 품질에 해당하는 콩에 해당하고 이는 그대로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려 가이더(60)를 거쳐 배출구(62)를 경유 외부로 배출된다.
끝으로, 상기 2차 분류기구(6)도 통과하게 되는 입자, 이는 돌이나 크기가 아주 작은 부실한 형태의 콩이 이에 해당하므로, 이는 경사배출기구(7)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려 가이더(70)와 배출구(72)를 거쳐 외부로 별도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하여 수확된 콩에 콩깍지나 먼지, 돌 등의 이물질이 섞여 있던 것을 풍력배출기구(8), 진동분류기구(4), 1,2차분류기구(6,7) 및 경사배출기구(7)에 의하여 각각 분류하게 되고 정선된 상태의 콩을 크기별로 구분하여 얻을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장치에 의하면, 급송기구(2), 호퍼(3), 진동분류기구(4), 1차 분류기구(5) 및 2차 분류기구(6), 상기 경사배출기구(7), 상기 호퍼(3)와, 그리고 풍력배출기구(8)를 설치하여 이루어져, 콩을 제외한 나머지 이물질은 모두 분리 배출시키고, 순수한 콩도 그 크기별로 분류가 단 한번의 처리과정을 거치면서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의 획기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콩수확을 위한 장비로서 보다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인 급송기구(2), 호퍼(3), 진동분류기구(4), 1차 분류기구(5), 2차 분류기구(6), 상기 경사배출기구(7), 상기 호퍼(3), 풍력배출기구(8)의 경우에 비교적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작동중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을 적게하여 신뢰도를 높히면서 사용수명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개략 종단면도,
도3은 도2에 있어서 급송기구를 제외한 상태로서의 종단면도,
도4는 도3에 있어서 진동선별기구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5는 도3에 있어서 진동선별기구에 있어서 높낮이 조절기를 중심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2: 급송기구,
3: 호퍼, 4: 진동분류기구,
5: 1차 분류기구, 6: 2차 분류기구,
7: 경사배출기구, 8: 풍력배출기구

Claims (3)

  1. 프레임(1)의 일측에 유입구(20)와 배출구(2)를 갖춘 급송기구(2)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22)와 인접된 위치로서 그 하부에 상기 배출구(22)로부터 공급된 수확물을 공급받기 위한 호퍼(3)를 설치하며,
    상기 호퍼(3)의 배출부(30)와 일정 간격을 띄운 상태로서 경사지게 진동분류기구(4)를 설치하며,
    상기 진동분류기구(4)의 하부 위치로서 일정 간격을 띄운 상태에서 경사지게 1차 분류기구(5) 및 2차 분류기구(6)를 각각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2차 분류기구(6)의 하부엔 경사배출기구(7)를 별도로 설치하며, 상기 호퍼(3)와 상기 진동분류기구(4)의 사이 위치에 덕트(80)의 송풍구(82)가 위치하도록 송풍팬(84) 및 덕트(80)로 구성되는 풍력배출기구(8)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기구(2)는 외측 케이싱(26)의 내측에 버킷컨베어(24)를 설치하고 상기 외측 케이싱(26)의 하부측엔 유입구(20)가 마련되고 이를 감싼 상태로 호퍼(28)가 설치되며, 외측 케이싱(26)의 상부측엔 배출구(2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분류기구(4)는 분류판(40)은 비중이 크고 입자 형태인 분류처리물이 진동 이동하면서 방향을 바꾸고 경사면을 거쳐 개공(43)을 통과하여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경사돌부(41)와 경사오목부(42) 사이에 개공(43)이 형성되는 다수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차 및 2차 분류기구(5,6)는 망체 형태로서 서로 입자가 다른 크기의 것이 통과할 수 있게 메시의 크기가 다르게 각각 설치되고, 하부에 인접된 위치에 가이더(50,60)가 각각 설치되어 이들 가이더(50,60)를 경유 해당되는 각각의 배출구(52,6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사배출기구(7)는 경사판 형태로 구성되어 인접되게 설치된 가이더(70)를 경유 배출구(72)를 거쳐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풍력배출기구(8)는 송풍팬(84)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덕트(80)를 경유하여 송풍구(82)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게 구성되고, 상기 송풍구(82)가 호퍼(3)와 상기 진동분류기구(4)의 사이 간극에 위치하며, 이 간극을 통하여 배출되는 바람에 의하여 이물질이 비산되어 전면에 위치한 개방구(86)를 거쳐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판(40)은 일측에 경사조절기(44)를 설치하되, 이 경사조절기(44)는 상,하부에 힌지부(45,46)를 갖추고 상,하부 암나사부재(47,48)와 중간의 수나사봉(49)을 나사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장치.
KR10-2003-0090903A 2003-12-13 2003-12-13 콩 정선장치 KR10053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903A KR100532854B1 (ko) 2003-12-13 2003-12-13 콩 정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903A KR100532854B1 (ko) 2003-12-13 2003-12-13 콩 정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902U Division KR200344857Y1 (ko) 2003-12-13 2003-12-13 콩 정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890A true KR20050058890A (ko) 2005-06-17
KR100532854B1 KR100532854B1 (ko) 2005-12-06

Family

ID=3725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903A KR100532854B1 (ko) 2003-12-13 2003-12-13 콩 정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8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074B1 (ko) * 2006-07-07 2008-02-18 김상완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6391462A (zh) * 2016-11-14 2017-02-15 杭州知加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空心胶囊剔除装置
CN113019680A (zh) * 2021-03-17 2021-06-25 谭志文 一种农业种植用绿豆分选装置
KR102364169B1 (ko) * 2021-05-26 2022-02-23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콩의 이물질 제거 선별장치
KR102476820B1 (ko) * 2022-07-21 2022-12-13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곡물 석발기의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020B1 (ko) 2011-08-16 2013-06-04 주식회사 쌀눈조아에프앤비 쌀눈 선별방법
KR101539062B1 (ko) * 2013-08-27 2015-07-24 주식회사 이천종합농기계 콩 선별장치
KR101676167B1 (ko) 2015-05-04 2016-11-14 강옥자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CN111871483B (zh) * 2020-08-07 2021-08-24 常州市武进双湖粮油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大米加工用稻谷去壳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074B1 (ko) * 2006-07-07 2008-02-18 김상완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6391462A (zh) * 2016-11-14 2017-02-15 杭州知加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空心胶囊剔除装置
CN106391462B (zh) * 2016-11-14 2020-01-21 孙培道 一种空心胶囊剔除装置
CN113019680A (zh) * 2021-03-17 2021-06-25 谭志文 一种农业种植用绿豆分选装置
CN113019680B (zh) * 2021-03-17 2023-10-31 同心县京南惠方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种植用绿豆分选装置
KR102364169B1 (ko) * 2021-05-26 2022-02-23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콩의 이물질 제거 선별장치
KR102476820B1 (ko) * 2022-07-21 2022-12-13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곡물 석발기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2854B1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7017U (ja) 穀物用選別機
KR100209104B1 (ko) 곡물 선별 장치
KR101753010B1 (ko) 고효율 곡물 정선기
CN111558527B (zh) 一种基于智能制造的分类分拣系统
CN106955845B (zh) 废烟风选装置及烟支分选系统
CN105855169B (zh) 一种谷糙分离机
KR100532854B1 (ko) 콩 정선장치
JP2018118185A (ja) 粗選別機
CN112936116A (zh) 一种应用于抛丸机上的抛丸用回收处理装置
CN205628608U (zh) 一种谷糙分离机
KR200344857Y1 (ko) 콩 정선장치
JP2008200655A (ja) 胚芽分離回収装置
KR100804074B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763187B1 (ko) 쌀눈 선별 시스템
CN214555304U (zh) 复合式颗粒分离装置
KR20100043381A (ko) 콩 선별 시스템
JP2006026466A (ja) 選別機の微石粒除去装置
CN210632462U (zh) 一种新型比重式风选器
CN210207647U (zh) 谷物精选机
EP1163059B1 (en) Particle size classifier
CN209034873U (zh) 一种骨粒多级分选装置
JP4209359B2 (ja) 籾摺選別装置における夾雑物除去装置
KR102015542B1 (ko) 나락 생산장치
CN110586480A (zh) 结构紧凑型精选机
CN211587051U (zh) 一种粮食除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5